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0:26:14

GitHub Copilot


[[GitHub|
파일:GitHub 아이콘 화이트.svg파일:GitHub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관련 인물 톰 프레스턴 워너
서비스 저장소 · GitHub Pages · GitHub Action · GitHub Packages · GitHub Wiki · GitHub Gist · GitHub Copilot
클라이언트 GitHub CLI · GitHub Desktop
오픈 소스 Electron · Atom · Tree-sitter
관련 문서 사건 사고 · GitHub Universe · npm }}}}}}}}}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 종류 대화형 인공지능 (주요 목록) · 코드 생성 인공지능 · 그림 인공지능 · 영상 인공지능 · 음향 인공지능 · 3D 모델링· 지능형 에이전트 · VLA · 멀티모달 모델 · 언어 모델 · 월드 모델
프롬프트 프롬프트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프롬프트 해킹
아키텍처 트랜스포머 · GAN · 확산 모델 · 변분 오토인코더 · 자기회귀모델
학습 자기지도학습 · 강화학습 (RLHF)
응용 인공지능 검색 엔진 · 바이브 코딩 · 인공지능 로봇 (테슬라 옵티머스) · AI 신약개발
밈/유행 쇼거스 · AI 커버 · 창팝 · ChatGPT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 유행 · Italian Brainrot
기타 AI 슬롭 · AI wrapper · 인공지능 환각 · 인공지능 벤치마크 · MCP · 대중화 · 인공 일반 지능 · 인공지능 정렬 · Spiritual bliss attractor }}}}}}}}}
<colcolor=#fff>
GitHub Copilot
깃허브 코파일럿
파일:Copilot_Logo.webp
<colbgcolor=#6778be> 슬로건 Your AI pair programmer
Don’t fly solo.
개발사 Microsoft
기능 자동 코드 완성 인공지능
기반 언어모델 OpenAI Codex
출시일
Copilot
2021년 6월 29일
Copilot X
2023년 3월 22일
서비스 부분적 유료
라이선스 Proprietary SW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버전
2.1. Copilot2.2. Copilot X
3. 요금제4. 사용 가능한 모델5. 논란

1. 개요

GitHub Copilot은 GitHub가 2021년 출시한 자동 코드 완성 인공지능이다.

주석이나 함수 이름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여 코드를 자동 완성해, 단순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자동화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2022년 6월 22일 기준, GitHub 계정 인증을 받고 이용 가능하던 방식에서 계정당 1회 60일간 무료체험 후 월 10$ 또는 연 100$ 정액제로 전환되어 상업적인 판매가 시작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학생이거나, 계정이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오픈소스 리포지토리의 관리자로 계정 소유자가 신청하고 사실로 확인될 경우, 12달의 무료체험 기간을 계속해서 갱신하는 형태로 지속적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고 안내가 되어있다.

만 13세 이상이고, 현재 고등학교, 중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홈스쿨 또는 유사한 교육 기관과 같은 교육 과정 수료증을 부여하는 학위 또는 졸업장에 등록되어 있다면 이를 증명하는 문서를 업로드한 후 GitHub Student Developer Pack을 통하여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2023년 3월에는 GPT-4에 기반한 Copilot X를 공개하였다.

2024년 12월 18일부터 무료 플랜을 제공하며, Visual Studio Code에도 기본 탑재되어 있다.[1]

2025년 6월 18일부터 premium requests가 적용되었다. 매월 1일마다 premium requests가 리셋되며 모든 요청에 토큰이 사용된다. 하지만 기본 모델은 예외로 premium requests를 사용하지 않으며 기본 모델 이외 다른 모델들은 토큰을 사용한다.Github Docs

Visual Studio에서 사용시 코파일럿 채팅에서 에이전트로 설정하면 직접 프로젝트를 분석해 코드를 수정-빌드-재수정 과정을 반복한다.

터미널에서 돌리는 CLI 방식 및 IDE에 플러그인으로 붙어 사용하는 GUI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경쟁자로 Claude Codegemini cli 같은 CLI 기반 AI 툴이 있으며, GUI 기반의 Cursor도 있다. 전자와 비교하면, 이름부터 특정 LLM 모델이 들어가는 서비스에 비해 더 많고 다양한 LLM 모델을 지원한다는 강점이 있다. 후자와 비교하면, Cursor가 독립적인 IDE 프로그램으로 구동되는 것과 달리, Copilot의 경우 기성 IDE-가령 VSC 등에서 GitHub Copilot Chat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오른쪽에 창을 열어 채팅을 통해 코드를 수정하는 사이드 챗봇 형식의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Cursor에 비해 인터페이스나 기능이 불편하지만[2] Cursor가 과금 방식을 횟수에서 사용량 기준으로 개편하면서 Cursor의 대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2. 버전

2.1. Copilot

2021년에 처음 출시한 자동 완성 AI이다.

2.2. Copilot X


GPT-4를 사용해 전작 대비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게 되었다.

3. 요금제


깃허브 코파일럿은 기업용 포함 4가지 요금제가 존재 한다.
Pro, Pro+, Business, Enterprise
요금제FreeProPro+BusinessEnterprise
기본료0$10$39$19$39$
Premium requests5030015003001000
Chat월 50번 최대기본 모델 한정 무제한기본 모델 한정 무제한기본 모델 한정 무제한기본 모델 한정 무제한
Free와 Pro는 기본 모델을 사용할때 요청 속도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Premium requests는 한 달마다 리셋되며 기본 모델을 제외한 모델을 사용하면 토큰을 소비한다.[3]

4. 사용 가능한 모델

2025년 9월 24일 기준. 리스트에 없는 모델은 API 키 등록시 사용이 가능하다.
추가로, 등록 가능한 provider는 Azure, Anthropic, xAI, Ollama, OpenAI, Gemini, Groq, OpenRouter가 있다.

지원하는 모델들일 뿐 IDE 및 요금제마다 사용할 수 있는 모델 종류는 제한적이거나 다르다.[27]
예시로 Visual Studio 2022에는 o4 mini가 없어 사용할 수 없지만 Visual Studio Code에는 있어 잘만 사용한다.[28]

2025년 10월 23일 이후 일부 모델들이 지원 종료될 예정이다. [29][30]

5. 논란

'코딩 해주는 AI' 깃허브 코파일럿, 저작권 침해 논란 (임주형의 테크토크)

저작권 침해 논란이 있다. 그림 인공지능그림 인공지능 저작권 논란과 비슷한 맥락이다. 과연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 원본 소스 중에 저작권에 저촉되는 자료가 없다고 장담할 수 있냐는 것이다.

MIT 라이선스BSD 라이선스와 같은 Permissive 라이선스는 그렇다 쳐도[31] GPL 라이선스인 코드를 가져다 쓴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기계가 단순히 학습을 위해 참고하였으므로 사람이 학습을 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학습 한 것과 다를 바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사람의 경우에도 Wine과 같이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는 코드들은 해당 구현을 어떠한 방법으로 보았든 해당 코드는 절대로 기여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무의식 중에 그러한 코드가 기여 되더라도 발견되는 즉시 해당 커밋은 제거되는 엄격한 저작권 관리를 하고 있는데다 여러 OSS라이선스들 중 서로 상호 호환되지 않는 라이선스 (GPL코드를 비자유 라이선스 코드에 집어넣는 등)로 공개되어 있는 코드들의 경우도 절대로 같은 알고리즘을 써서 기여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발견 되는 즉시 제거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보니 단순히 기계가 학습을 위해 코드를 학습 한 결과물도 사람이 학습한 것과 별반 다를것이 없도록 취급되어야 한다는 것이 논점이다.

그리고 공개된 프로젝트만 학습했다 하지만, 제대로 된 법적인 대응을 위한 라이센스를 준비하고 시작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작다는 것 또한 고려의 대상이며 개중에는 저작권으로 보호되는 소스코드들 또한 해킹 등의 사유로 “공개” 프로젝트로 올라오는 경우가 간혹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저 주장을 곧대로 받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일례로 비공개 프로젝트의 경우 유료라 어쩔 수 없이 공개 프로젝트로 시작하는 "소자본 프로젝트"들의 경우, 과거에는 인적 참고 외에 코드가 참고될 방법이 없어 public으로 전환 되어도 큰 문제가 아니었겠지만, 나도 모르게 코드를 불특정다수에게 소개해버릴 수 있는 여지가 발생해버리는 셈이라 프로젝트 소유를 하고 있는 개발자나 관리자 입장에서는 꺼림칙하기는 마찬가지이며, 향후 public에서 private로 전환이 되어 만일 있을지도 모르는 코드의 법적 분쟁에서 해당 코드가 copilot으로 작성된 것이 확인될 경우 ms가 자유로울 수 있느냐는 윤리적 책임 문제도 제기가 되었다.

실제로 GPL로 공개된 퀘이크 3의 Fast Inverse Square Root 구현 코드를 그대로 생성해 저작권 문제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줬다. GitHub Copilot and open source laundering
[1] 오픈 소스 기반인 VSCodium에는 미탑재되어 있다.[2] 버튼을 통한 코드 롤백, 또는 코드 변경 사항 추적 등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Cursor에 비하면 다소 투박한 편.[3] 프로 버전 사용자는 한 달의 최대 300번만 요청 가능하다는 것은 기존 사용자를 이탈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었지만, 기존에 사용자들에게는 매우 큰 타격이었다. 또한 다른 IDE 커서뿐만 아닌 제미나이 CLI, 클로드 Code로 인해 더욱 많은 사용자가 코파일럿을 떠날 것으로 보인다.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예시로 AI의 출력물이 사용자에게 완벽하다고 보장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300번 요청 이후에는 사용을 못 하거나 추가 비용을 지급해야 하므로 부담은 커지고 오히려 다른 CLI 또는 IDE가 더 괜찮은 대체재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특히 많은 사용자는 클로드 또는 제미나이를 계속 사용했는데 300번 요청 이후부터 사용할 수 없다면 4.1이나 4o를 써야 하지만 문제는 두 모델의 결과는 매우 좋지 않기 때문에 대체재를 찾을 수밖에 없다. 커서와 같은 IDE는 대부분 code 기반이기 때문에 2022 사용자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쓰거나 포기하는 수밖에 없다. JetBrains 사의 유료 IDE를 사용 중이라면(IntelliJ IDEA 등) JetBrains의 AI 어시스턴트를 무료 플랜도 무제한 코드 완성으로 이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4] 채팅에 한정하여 유료 사용자의 경우 무제한으로 요청할 수 있고 무료 사용자는 요청마다 토큰 하나를 사용한다.[5] 채팅에 한정하여 유료 사용자의 경우 무제한으로 요청할 수 있고 무료 사용자는 요청마다 토큰 하나를 사용한다.[6] 각 요청마다 토큰 1개를 사용한다.[7] 각 요청마다 토큰 1개를 사용한다.[8] 지원 종료 예정.[9] 각 요청마다 토큰 0.33개를 사용한다.[10] 지원 종료 예정.[11] 각 요청마다 토큰 0.33개를 사용한다.[12] 지원 종료 예정.[13] 각 요청마다 토큰 하나를 사용한다.[14] 각 요청마다 토큰 하나를 사용한다.[15] 지원 종료 예정.[16] 각 요청마다 토큰 1.25개를 사용한다.[17] 지원 종료 예정.[18] 각 요청마다 토큰 하나를 사용한다.[19] 각 요청마다 토큰 하나를 사용한다.[20] 각 요청마다 토큰 10개를 사용한다.[21] 지원 종료 예정.[22] 각 요청마다 토큰 10개를 사용한다.[23] 각 요청마다 토큰 0.25개를 사용한다.[24] 지원 종료 예정.[25] 각 요청마다 토큰 1개를 사용한다.[26] 각 요청마다 토큰 0.25개를 사용한다.[27] 요금제마다 일부 모델이 비활성화 되어있다.[28] 2025년 8월 31일 기준이며 Copilot에서는 차례대로 추가할 것이라고 한다.[29] 문서에 입력되지 않은 o1 mini도 비활성화될 예정이다.[30] 지원 종료 이후에도 GPT-4o 처럼 사용은 할 수 있다[31] GPL과 달리 전염성이 없을 뿐이지 원 저작자를 명시해야 하는 조건은 똑같으며 저작자를 명시하지 않고 사용하면 라이선스 위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