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3 10:35:06

Escape from Tarkov/무기/주무장/저격소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scape from Tarkov/무기/주무장
파일:V2fPYou.png
게임 정보
등장인물 상인 · 세력 · 보스
무기
구역 · 타르코프 시내 · 그라운드 제로
아이템 소모품 · 장비
개발자 니키타 부야노프



1. 개요2. 목록
2.1. 7.62x51mm NATO2.2. 7.62x54mmR2.3. .366 TKM
2.3.1. VPO-215
2.4. .338 Lapua Magnum

1. 개요

게임내 카테고리는 Sniper rifles

2. 목록

장거리 정밀 사격에 특화된 무기군. 사냥용 엽총인 VPO-215를 제외하면 모두 저격소총답게 1.0 MOA 이하의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어, 장거리에 있는 표적을 정확히 노릴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저격을 포함한 대부분의 상황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총기군이다. 타르코프에서 총의 대미지와 방어구 관통력은 총기가 아닌 사용하는 탄약에 따라 정해지는데, 모든 저격소총은 돌격소총 또는 지정 사수 소총과 탄약을 공유한다. 즉, 돌격소총/지정사수소총은 저격소총과 똑같은 위력의 탄을 반자동/자동으로 뿌릴 수 있다. 당연히 이들과 화력에서 전혀 상대가 되지 않으며, 근거리 대응도 불가능해 범용성이 극히 낮다는 것이 게임 내 저격소총의 가장 큰 단점이다.

물론 정확도와 탄속 등 장거리 저격에 중요한 일부 수치는 AR/DMR 보다 우수하지만, 이 게임에서 절대 다수의 교전은 50m 내외의 근거리에서 벌어지며 장거리 교전이라 해 봐야 기껏해야 200m 내외에 불과하다. 이 정도 거리에서는 2.0 MOA를 넘나드는 정도의 정확도를 가진 AR로도 상대의 원하는 부위를 정확히 노려 쏠 수 있다. 빗맞은 상황에서도 차이는 극명한데 볼트액션 소총은 한발한발에 사활을 걸어야하지만 자동/반자동 화기는 바로 차탄을 쏴 제압하면 그만이며 MOA가 낮다하더라도 제압사격으로 충분히 기회를 잡을 수 있기에 생존율 자체가 다르다. 때문에 저격소총의 유일한 장점은 전혀 빛나지 않고, 낮은 범용성이라는 단점만 부각되는 경우가 많아 주력 무장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나마 유의미한 장점은 바로 저렴한 총기 가격이다. 저격소총 자체가 천대받는 무기라 시세가 비교적 저렴하며, 플리마켓 거래 제한도 대부분 걸려 있지 않아 수급도 쉽다. 마지막으로 상인이 저렙부터 판매하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저렴한 편이다. 또한 단발 무기 특성 상 반동 수치를 낮출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적당한 스코프, 좀 더 돈을 바른다 해도 소음기 정도만 달면 모딩이 끝이다.[1] 덕분에 제한적인 상황에서 가성비 무장으로 활용된다. 특히 저렴한 모신나강은 쌀먹충 핵쟁이들의 단골 무장이다. 그 외에는 강력한 .338 Lapua Magnum 탄으로 흉부 원샷이 가능한 AXMC 정도만 Mk.18의 대용품으로써 제한적으로 쓰인다.

사용 시 팁으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눌러 격발한 뒤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볼트를 당기지 않고 대기하며 조준경을 계속 볼 수 있다. 격발 후 탄착점을 확인하는 등 목표물에 대한 시야를 계속 확보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한 기능. 이 상태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에서 손을 떼면 볼트를 당겨 차탄을 장전한다.

이렇듯 게임 시스템 상 한계가 아주 뚜렷하여 비주류에 머무르는 무기군이지만, The Tarkov shooter - Part 4, Wet Job - Part 6, Psycho Sniper까지 저격소총 숙련도 레벨을 요구하는 악질 퀘스트가 총 3개나 되는데다, 각각 3, 7, 9레벨을 요구하기 때문에 퀘스트를 밀고 싶다면 울며 겨자 먹기로 사용해야만 하는 무장이다.[2] 물론 저 스킬 레벨 올리겠다고 저격소총을 주무장으로 꾸역꾸역 쓰다간 파산하거나 인내심의 한계를 넘어 정신병 걸리기 딱 좋으니 우드나 쇼어라인 등 넓은 맵에서 퀘스트나 파밍을 할 때, 권총형 모신나강과 싸구려 탄을 따로 들고 와서 계속 재장전하면서 미리 레벨을 올려 두는 게 좋다.

2.1. 7.62x51mm NATO

서방권 소총에 많이 쓰이는 대구경 탄환. 주력 탄환인 M80이 피스키퍼 퀘스트 '개정 작업-등대'를 클리어하면 상인 판매가 해금되는데, 이 시점이 꽤나 빠른 편이다. 그러나 사용하는 총들이 대부분 모딩이 많이 필요한 총기들이어서 실제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점은 늦는 편이다.
  • M80
    피해량 80, 4클래스까지 확정 관통하는 탄종이다. 볼트액션 소총 특성상 거의 무조건 헤드샷을 노려야 하고, 머리 보호구는 알틴같이 사플을 도외시한 극한의 방어를 추구할 게 아니라면 4클래스가 가장 높은 등급이라 높은 가성비를 자랑해 시즌 후반까지 쓸 수 있다.
  • M61
    피해량 75, 5클래스까지 확정 관통하는 구 최종탄. 과거엔 6클래스까지 확정 관통이라 M993을 제외한다면 실질적으로 쓰이는 최종탄이었으나, M80A1이 추가됨과 동시에 관통력이 너프되어 최종탄 자리에서는 내려왔다. 하지만 이보다 상위 탄종들은 전부 필드드랍으로만 얻을 수 있어 제작으로 수급 가능한 M61의 위상은 아직도 공고하다. 피스키퍼 퀘스트 '청부 살인-파트6'을 클리어하면 작업대 3레벨에서 제작할 수 있다.
  • M80A1
    피해량 73, 5클래스까지 확정 관통하는 탄환. 대신 위의 M61과 다르게 6클래스를 차탄에 관통한다. 군즈의 나이트가 스카에 삽탄하고 스폰될 수 있으며, 필드 드랍으로도 먹을 수 있다.
  • M993
    피해량 70, 6클래스까지 전부 확정 관통하는 최상위 탄종이다. 오직 필드 드랍으로만 획득할 수 있어 사용률은 매우 낮다. 더군다나 한발한발이 치명적인 볼트액션 소총 특성상 헤드샷 위주로 플레이한다면 오히려 오버스펙인 탄종이라 저격소총에 사용하는 유저들은 더더욱 적다.

2.1.1. DVL-10

로바예프 암즈 DVL-10 사보추어/우르바나
파일:EFT_DVL-10.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10발
탄속 794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5.068 kg 반동 세로: 130
가로: 65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러시아의 저격총 전문 회사인 로바예프 암즈 사에서 만들어진 군경용 저격 소총.

인게임에서 등장하는 DVL-10은 기본형인 "우르바나(Urbana)" 모델과, 전용 소음 총열이 적용된 "사보추어(Saboteur)" 모델로 나뉜다. 서방권 탄종인 7.62x51mm NATO를 사용하는 러시아제 볼트액션 저격총으로, 현재 게임 내에 몇 안 되는 실용적으로 쓸 만한 볼트액션 저격소총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기본형인 우르바나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평범한 저격소총이지만[3], 소음 총열 버전인 사보추어는 50m만 떨어져도 상대가 위치를 특정하지 못할 만큼 발포음이 작아 저격에 특화되어 있다. 덕분에 정말 조준경만 얹어서 사용해도 될 정도의 뛰어난 기본 성능을 자랑하여 저격소총 관련 퀘스트에 자주 쓰인다. 단점은 가격이 꽤나 비싸고, 개머리판을 접으면 4x2라는 컴팩트한 사이즈가 되기 때문에 보험 회수율이 낮다는 것. 또한 우르바나는 비교적 빨리 열리지만 핵심인 사보추어는 매우 늦게 풀리는데다, 소음 총열 등의 관련 부품 역시 플리마켓 시세가 매우 비싼 편이다.

사보추어의 경우 특유의 두툼한 총열과 색상 때문에 대나무라고 불린다.

}}} ||

2.1.2. M700

레밍턴 M700
파일:EFT_M700.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5발
탄속 825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4.050 kg 반동 세로: 234
가로: 84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7.62x51mm를 사용하는 미제 저격소총. 실총 모델은 레밍턴 "M700 SPS 택티컬" 중 탄창 삽입형 모델이다. 탄창식이지만 원본의 원형이 일체식 탄창을 사용하기때문에 여분 탄창 없이 탄약만 가지고 운용할 수 있어 주머니 공간 절약이 가능하다. 기본 사양은 에르고도 낮고 외형도 후줄그레하지만, 서구권 저격소총답게 PRO 700이나 MOD-X등의 각종 커스텀 섀시들을 가지고 있어서 총몸을 갈아준다면 미래적인 외형으로 변신도 가능하다.

다른 총몸, 개머리판 일체형 총기와 비슷하게 개머리판에 따라 확장성이 달라지지만 M700은 어떤 개머리판을 쓰느냐에 따라 여러 탄창중에 호환되는 탄창이 다르므로 이를 확인하고 모딩을 해야한다. [4]

Hogue Overmolded Ghillie stock은 기본 총몸으로 Wyatt's Outdoor 5발, 10발 탄창만 사용이 가능하다. 기본 총몸답게 확장성은 작지만 하부에 레일이 달려 있으므로 바이포드를 여러 부착물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큰 문제가 되진 않는다.

M700 AB Arms MOD*X GEN 3 chassis와 M700 AI AT AICS polymer chassis 그리고 M700 Magpul Pro 700 chassis는 AI AICS 5발, 10발 탄창과 Magpul PMAG AC 5발, 10발 탄창 그리고 MDT AICS 12발 탄창을 사용 가능하다.

M700 AB Arms MOD*X GEN 3 chassis는 현대식 총몸으로 전용 핸드가드와 AR 권총 손잡이, AR 버퍼튜브로 세분화되어있고 전용 핸드가드는 키모드 규격으로 조각 레일을 부착하면 바이포드를 포함한 다양한 여러 개 부착물을 장착할 수 있다. AR 부착물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확장성은 뛰어나지만 반대로 말하면 모딩을 위해선 부품을 일일히 찾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하며 종결 모딩은 다른 총몸에 비해 가격이 비싸질 수 밖에 없다. 특히 볼트액션 소총은 이러한 잠재력을 살리기 어려운 총기군이라 넓은 확장성은 큰 의미가 없다는 점이 치명적이다.

M700 AI AT AICS polymer chassis는 총몸, 개머리판 일체형으로 단일 부착물로 인체공학을 가장 높게 올려준다. 확장성은 하부에 조각 레일을 달아 여러 부착물을 부착할 수 있으나 조각레일의 길이에 따라 전술장비 호환성이 갈릴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호환성을 확인하고 모딩할 필요가 있다.

M700 Magpul Pro 700 chassis은 총몸과 권총 손잡이, 개머리판이 세분화되어있지만 권총 손잡이와 개머리판이 전용이라 확장성엔 별 의미가 없고 주요 부품으로 분류되어있기에 이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장착할 필요가 있다. 다만, 전용 부품의 성능 수치가 매우 높은 편으로 합산 치수만 따지면 모든 부품 중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총몸엔 M-LOK 규격으로 조각 레일을 장착하여 하부와 측면에 전술장비를 부착할 수 있으며 전용 상부 마운트를 달면 상부에도 부착할 수 있어 거리측정장비를 달기에 적합하다.

M700 ProMag Archangel chassis은 M700 7.62x51 ProMag AA-70 10발, 20발 탄창을 사용 가능하다. 총몸, 개머리판 일체형 임에도 불구하고 성능 수치가 애매하다. 거기다 기본적인 레일이 존재하지 않고 조각 레일이 부착되지 않아 전술 장비는 커녕 바이포드도 부착하지 못하여 확장성이 없는 수준이지만 전용 탄창으로 20발 탄창을 쓸 수 있다는 점으로 이 모든 것을 커버한다. 이는 볼트액션 소총 분류에서 가장 큰 장탄량으로 헤드샷에 자신이 있다면 레이드 한번 뛰면서 장전을 한번도 안해도 되는 말도 안되는 상황까지 나올 수 있다. 탄환만 들고 가서 약실을 통해 단발 장전 시 탄 관리가 매우 편해지며 장탈식으로 운용한다쳐도 탄창을 하나만 더 챙겨도 중간중간 탄창 탄삽입으로 별다른 공간 소모 없이 효율적으로 탄 관리를 할 수 있다.

볼트액션 자체의 한계가 있다보니 웬만해선 쓸 일이 없는 총이지만, 예거의 퀘스트 중 이 총에 12배율 FFP 스코프를 붙이고 슈트르만을 처치하는 임무가 있어서 해당 퀘스트를 밀려고 한다면 상당히 오랫동안 붙잡게 될 것이다.

}}} ||

2.1.3. T-5000

오르시스 T-5000
파일:T-5000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1mm
5발
탄속 826m/s 크기 5x2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6.348kg 반동 세로:165
가로:63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7.62x51mm NATO 탄을 사용하는 러시아제 최신형 저격소총. 순정 상태를 기준으로 볼트액션 저격소총들 중 가장 높은 인체공학 수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DMR이나 SA-58을 필두로 7.62x51mm을 반자동/자동으로 뿌릴 수 있는 무기가 이미 많아서 가뜩이나 DVL조차 잘 쓰이지 않는 상황이다 보니, 이 총 또한 그다지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저격 컨셉 플레이 영상에서 자주 모습을 비치는 총기인데, 조준 상태에서 볼트 왕복 시 시야 흔들림이 가장 적어 조준선 정렬 유지가 용이하기 때문. 다른 저격소총들은 볼트를 당기는 순간에 스코프 시야가 심하게 요동쳐서 목표를 시야에서 완전히 놓치는 순간이 존재하고, 그나마 M700이 불편하게나마 시야 유지가 가능한 정도이다.

한 때 개머리판을 접어도 부피가 줄어들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 ||

2.2. 7.62x54mmR

동구권 소총에 주로 쓰이는 대구경 탄환. 사용하는 두 저격소총의 성능이 극과 극을 달리는데, 모신은 싼 가격과 매우 빠른 해금 시점으로 인한 압도적인 접근성, 그에 비례한 처참한 에르고를 보여주는 반면 SV-98은 괜찮은 에르고에 적당한 해금시점이지만 꽤나 비싼 가격에 SV-98이 풀릴 때쯤엔 이미 7.62x51mm를 사용하는 다른 저격소총들의 해금이 완료된 시점이라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 LPS
    4클까지 확정으로 관통할 수 있는 탄환. 작업대 2레벨에서 70발씩 제작이 가능하다. 초반에 그나마 쉽게 구할 수 있는 탄환이고, 관통력도 괜찮아 모신에 넣은 죽창으로 많이 쓰인다.
  • PS
    LPS와 동일하게 4클까지 확정으로 관통할 수 있는 탄환. 대신 5클에 대한 관통 확률이 LPS보다 소폭 높다. 우드의 보스 슈트르만과 그 부하들이 삽탄하고 스폰할 수 있으며, 프라퍼의 '퍼니셔-파트 6' 클리어 이후 구매 가능하다. 5클 확정 관통이 아니고, 얻는 노력에 비해 관통력이 낮지만 SNB가 제작에서 필드드랍으로 변경되며 상당히 많이 쓰이게 되었다. 예거 퀘스트 '타르코프 슈터-파트 7' 클리어 이후 BT탄의 제작재료로 활용할 수 있지만, BT탄이 예광탄이라 비선호되어 제작 수요는 높지 않다.
  • BT
    5클래스까지 확정 관통하는 예광탄. '타르코프 슈터-파트 7' 클리어 이후 작업대 3레벨에서 50발씩 제작이 가능하다. 관통력은 높지만, 예광탄이라 사격 시 위치가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어 PKM 기관총이나 AVT, SVT같은 소총에만 사용할 수 있고, 저격소총이 아니더라도 위치가 노출되는 건 똑같아 오히려 PS나 LPS보다 기피되는 탄환.
  • SNB, BS
    6클래스까지 전부 확정 관통하는 탄환. 두 탄종 모두 판매하지 않고 제작이 불가능하며, SNB는 슈트르만이나 파르티잔 또는 필드드랍, BS는 필드드랍 또는 파르티잔에게서 얻을 수 있다. 과거엔 작업대에서 SNB 제작이 가능해 모신에 물려놓으면 정말 죽창이라는 말이 아깝지 않았으나, 현재는 파밍만으로만 얻을 수 있어 접근성이 매우 낮아졌다.

2.2.1. Mosin

Mosin Nagant 저격소총
파일:Mosin.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5발
탄속 927m/s 크기 6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4.93 kg 반동 세로: 338
가로: 97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러시아 제국군과 소련군에 의해 사용되었던 구식 볼트액션 소총이지만 엄청난 생산량에서 비롯된 저렴한 가격과 접근성으로 스캐브가 많이 가지고 나오는 무기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기본 탄 취급이던 LPS나 T-46M 탄도 4클래스 방탄을 완전 관통이 가능한 뛰어난 관통력과 구경에 걸맞은 높은 피해량으로 죽창으로 각광 받았으나, 현재는 고효율 저격용 탄이던 PS나 SNB는 커녕 LPS 탄마저 구하기가 쉽지 않아지며 인기가 식었다. 또한 구식 소총답게 인체공학 수치가 매우 낮아 조준 속도가 극악이고 지향 사격 명중률도 매우 떨어져 근거리 교전에서는 상당히 취약해진다.

저격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효율이 그다지 좋지 않은데, 개조폭 자체는 볼트액션 소총치고 제법 넓은 편이나 시즌 초반에는 개조 부품들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상인 레벨이 높아지고 플리마켓이 열린 중반 이후에는 훨씬 성능이 좋은 다른 저격소총들을 크게 차이나지 않는 가격에 운용 가능해 밀린다. 싸구려 탄에 싸구려 조준경만 개조해 사용하기에도 탈부착식 탄창을 사용하는 VPO-215가 훨씬 나은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과거와 다르게 사용자가 정말 줄어든 비운의 소총이다.

다양한 개조를 통해 탈착식 탄창이나 레일마운트를 달아 다양한 스코프를 사용해보거나 아크엔젤 개조바디를 통해 상당히 현대적인 외관으로 탈바꿈이 가능하다. 반대로 총열을 극단적으로 줄인 권총형인 오브레즈(Obrez)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 ||
Mosin Nagant 보병용
파일:EFT_Mosin_Inf.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5발
탄속 927m/s 크기 6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4.93 kg 반동 세로: 338
가로: 97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모신 나강의 보병용 버전. 동구권 마운트가 존재하지 않아서 PU 스코프 부착이 불가능하다.
모신 나강에 스코프가 달리지 않는다면 보병형 버전이 아닌지 확인해보자. 노리쇠 장전손잡이가 수평으로 나오면 보병용. 직각으로 꺾여있으면 저격용이다. 레일마운트를 부착해서 다른 스코프를 달 수 있긴 하지만 배율 조준경의 경우 종류를 막론하고 가시성이 쓰레기가 된다. 제한된 개조폭으로 인해 보험회수율이 높다.

}}} ||

2.2.2. SV-98

이즈마쉬 SV-98
파일:EFT_SV-98.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10발
탄속 880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6.2 kg 반동 세로: 156
가로: 520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7.62x54mm R를 사용하는 저격소총.
모신나강처럼 볼트액션이고 사용하는 탄종도 동일한데, 상단 레일이 기본 사양으로 부착되어 있어 다양한 스코프를 쉽게 부착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10발들이 탈착식 탄창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신의 상위호환에 해당하는 무장이다. 플리마켓 기준으로 모신보다 싼 값에 거래된다. 총성이 굉장히 크며 소음기로도 크게 잡히지 않는다.

이후 패치로 OV 옵션 파츠가 추가되어 이를 이용하면 반동을 줄이고 인체공학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예거 우호도 3레벨에 교환 조건 없이 바로 구매할 수 있으므로 접근성도 괜찮은 편이다. 다만, 가격대가 비교적 높은 편이라 투자 대비 성능이 좋다보기도 어렵고 볼트액션 끝판왕 취급 받는 T-5000과 DVL-10도 비슷한 레벨에서 스키어의 퀘스트만 클리어 한다면 바로 구매가 해금되므로 선택할 메리트가 떨어지는 편이다. 다만 앞서 언급했듯이 모신나강과 같이 7.62x54mm R탄을 쓰는 유이한 볼트액션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한다면 SV-98말고 더 나은 선택지는 없으며 7.62X51mm에 비해 안정적으로 흉부 원탭이 가능한 PS와 LPS의 존재 때문에 나름의 강점이 있다.

과거 클릭과 격발 사이에 딜레이가 존재하는 버그로 인해 평이 굉장히 나쁜 총기였다. 이 버그가 유난히 오랫동안 수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선 실총의 방아쇠압을 구현한 고증이라는 이야기가 돌았으나, 12.8 패치 노트의 버그 수정사항으로 올라오며 수정되었다.[5]

유캐브로 종종 착용하고 나와 플리마켓에서의 수급도 어렵지 않고, 스캐브 총의 내구도가 패치된 이후 노획 후 수리하면 아주 약간의 MOA 증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
아주 낮은 확률로 트리지콘사의 REAP-IR 열화상 스코프가 장착된 SV-98이 유캐브 장비로 뜨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유캐브 로또 중 하나이니 떴다면 바로 탈출하자.

}}} ||

2.2.3. MP-18

바이칼 MP-18 단발식 소총
파일:Tarkov_MP-18.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7.62x54mm
1발
탄속 875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600m
무게 2.876kg 반동 세로: 930
가로:385
연사 속도 없음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12.13에서 추가된 민수용 중절식 엽총.
모신나강, SVD와 같은 7.62x54mm 탄을 사용하는 총인데, 민수용인데다 중절식이라는 점이 반영된 것인지 분류도 산탄총이고 스킬도 산탄총 스킬이 적용된다. 따라서 웃기지만 '산탄총'으로 해야 하는 퀘스트를 이 총으로 클리어 할 수 있다.
또한 중절식이지만 게임 내부적으로는 볼트액션 무기로 취급되는지 '볼트 액션 소총'을 사용해야 하는 타르코프 슈터 퀘스트 등도 이 총으로 클리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딱 1발만 장전이 가능한 엽총이라 초탄이 빗나가면 희망이 없는 절망적인 성능을 가졌다. 싼 맛에 어차피 초탄 헤드를 노려야 하는 로그작에 쓰는 유저도 가끔 있으나, 5.0이 넘어가는 처참한 MOA 때문에 로그가 좀 멀리 있으면 머리를 쏜 게 빗나가거나 몸에 박혀 로그작이 꼬이기 십상이라 효율은 영 아니다.
}}} ||

2.3. .366 TKM

사용하는 볼트액션 총기가 단 한 종류뿐인 산탄. 탄 구조 자체는 산탄이지만 타르코프 특성상 현실에 가깝게 산탄의 교전거리가 타 게임에 비해 길고, 무엇보다 총기 가격이 매우매우 저렴해 볼트액션 퀘스트들에 이 총을 드는 유저들이 꽤나 있다.
  • AP-M
    4클래스까지 확정관통, 5클래스도 차탄에 뚫는 최종탄. 산탄 주제에 7.62x51mm M80과 관통력이 1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플리마켓 거래가 불가능하며, 예거 퀘스트 '타르코프 슈터-파트3' 완료 후 작업대 3레벨에서 제작할 수 있다.

2.3.1. VPO-215

몰롯 VPO-215
파일:VPO-215_EFT.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366 TKM
4발
탄속 818m/s 크기 5x1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100
무게 3.3kg 반동 세로:245
가로:585
연사 속도 30 사정거리 1000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366 TKM 탄환을 사용하는 러시아제 민수용 볼트액션 소총. 스캐브의 스폰 장비로 자주 등장한다. 상단 레일이 기본으로 달려 있어 고성능 조준경을 얹을 수도 있지만 총 자체가 가격으로나 성능으로나(...) 워낙에 저렴하다 보니 이 경우엔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다.

MOA도 1.5 수준으로 볼트액션답지 않게 크고, 사용 탄환인 .366 TKM 탄은 낙차가 꽤 크고 탄속도 느려서 저격용으로는 성능이 아주 좋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MOA는 그렇게 문제가 되는 수준으로 낮은 편이 아니고, 이 총을 낙차를 진지하게 고려하면서 백수십미터 이상 저격용으로 쓰는 사람도 없는데다 적어도 모신나강보단 다루기 편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저격 퀘스트 클리어 용도로 사용하는 플레이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366 AP탄이 추가된 이후로는 3클래스까지 흉부 원탭 가능한 화력에 4클래스까지 확정 관통이 가능해져 주로 팩토리에서 타르코프 슈터3 퀘스트를 깨는 용도로 사용된다.

유캐브 기본 장비로 당첨 시 대부분 싸구려 러시아제 스코프를 장착한 상태로 지급받는다. 이 스코프는 배율이 4.0x로 고정에 시야각도 좁아 성능이 다소 애매하긴 하지만, 저렴한 가격을 생각하면 그럭저럭 쓸 만한 가성비를 가지고 있다.

}}} ||

2.4. .338 Lapua Magnum

소수의 총기만 사용하는 대구경 대인저격용 탄환. 거치화기와 폭발성 무기를 제외하면 타르코프에서 가장 강력한 탄환이며, 그만큼 총기 해금 난이도와 탄 수급 난이도 둘 다 매우 높다. 원래 저격소총이 한발한발이 소중한 무기군이라지만, 이 쪽은 위의 특징 때문에 한 발 빗나갈 때의 손실이 매우 크며, 도중에 죽는다면 그 손실은 말할 것도 없다.
  • FMJ
    4클래스까지 확정 관통하는 탄환. 대구경 탄약이라 깡뎀 자체는 높지만, 그 구경에 비해 낮은 관통력이 단점인 탄환이다. 그러나 밑의 AP탄은 매우매우 얻기 어렵기 때문에 사실상의 최종탄 역할을 하고 있다. 예거 4레벨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작업대 3레벨에서 제작도 가능하다.
  • AP
    피해량 115에 6클래스까지 전부 자비없이 뚫어버리는 최종탄. 오직 필드드랍으로만 획득할 수 있다. 상대가 어떤 방어구를 입든 무시하고 또락스 원탭을 낼 수 있는 탄종이지만, 매우 얻기 어렵고 빗나갔을 때 손해 또한 막심해 '가진 자의 죽창'이라 불린다.

2.4.1. AXMC

애큐러시 인터내셔널 AXMC
파일:Tarkov_AXMC.png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338 라푸아 매그넘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영국제 볼트액션식 저격소총. Mk.18 묠니르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한 .338 Lapua Magnum 사용 총기이다.

같은 탄종을 사용하는 묠니르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슈트르만 1회 사살 퀘스트를 완수하면 예거 4레벨에서 바로 판매하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다. 덕분에 훨씬 더 부담 없는 4클래스/6클래스 대응 죽창으로 운용할 수 있다. 단점은 묠니르보다 저렴하다 뿐이지 고가인 것은 매한가지이고, 결국엔 이 게임에서 푸대접을 받는 무기군인 볼트액션 소총이라 한계가 뚜렷하다는 것. 심지어 소음기 장착 시 안 그래도 길쭉한 총의 전장이 엄청나게 길어져 지형지물에 잘 걸린다는 것도 흠이다.

}}} ||

2.4.2. TRG

Sako TRG M-10
{{{#!folding【무기 스탯 (접기 / 펼치기)】 사용 탄약
장탄수
.338 라푸아 매그넘
탄속 m/s 크기
발사 모드 단발 시야범위
무게 kg 반동 세로:
가로:
연사 속도 사정거리 m

}}} ||
{{{#!folding【설명 (접기 / 펼치기)】 핀란드산 볼트액션식 저격소총. 본작의 세번째 .338 Lapua Magnum 사용 총기이다. 마찬가지로 퀘스트를 진행해야 스키어가 판매하게 되지만 .338 저격총 중에서는 유일하게 버드아이가 드랍하기 때문에 군즈를 잡다보면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다.

AX와는 달리 단축총열을 달아 인체공학을 꽤 높게 챙겨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그만큼 총이 작아지므로 노획 위험도 높은 편이다.
}}} ||
[1] 물론 스코프와 소음기는 성능이 썩 좋지 않은 파츠라도 기본적으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마냥 저렴하게 모딩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스코프와 소음기 말고도 더 모딩해야 하는 부품이 산더미인 DMR보다 저렴하다는 것이며 볼트액션 소총은 다른 총기류와 달리 수치보단 후술할 고유 모션과 숙련도에 따른 모션 변화, 약실을 통한 단발 장전 등 인게임 히든 스펙같은 사용자 편의성에 따라 성능이 크게 갈린다.[2] 그나마 피스키퍼의 Wet Job - Part 4를 완료한 뒤 열리는 Mentor 퀘스트를 완수하면 숙련도 3레벨을 올려주기는 하나, 퀘스트 완수를 위해 50,000 유로(약 900만 루블)라는 무지막지한 돈을 요구하는데다, 멘토를 완료할 것이라 해도 결국 저격소총 6레벨까지는 울며 겨자먹기로 쓰면서 올려야 한다.[3] 가성비까지 감안하면 오히려 사용할 메리트가 적은 편이다.[4] 이는 타르코프 시스템 상 탄창의 호환성은 개머리판이 아닌 총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총몸, 개머리판 일체형 총기들은 개머리판을 바꿔도 모든 탄창이 호환되거나 장탈식 탄창만 쓸 수 있는 총몸은 많아봤자 1~2종류만 존재하기에 구분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지만, M700은 기본적으로 약실을 통한 단발 장전과 장탈식 탄창을 통한 장전을 지원하고 기본형을 포함하여 5개의 총몸이 존재하여 인게임의 검색 기능을 쓰더라도 어떤 총몸에 어떤 탄창이 호환되는지 알아내기가 어렵다.[5] 사실 유저들 사이에서 돌던 방아쇠압 이야기는 낭설뇌피셜이다. 실제 SV-98의 방아쇠는 전혀 무겁지 않고 오히려 매우 민감한 축에 속하며, 방아쇠압을 사수가 1.0~1.5kgf사이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까지 있다. SV-98의 단점으로 지적되던건 노리쇠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