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11:42:54

2025 BNK금융 박신자컵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박신자컵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2025 BNK금융 박신자컵
파일:2025 BNK금융 박신자컵 엠블럼.jpg
<colbgcolor=#b73f91><colcolor=#ffffff> 기간 2025년 8월 30일 ~ 9월 7일
참가 구단 한국여자프로농구 부산 BNK 썸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청주 KB 스타즈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부천 하나은행
해외 초청 후지쯔 레드 웨이브 (일본)
덴소 아이리스 (일본)
카사데몬트 사라고사 (스페인)
DVTK 훈테름 (헝가리)
스폰서 BNK
개최지 부산광역시 사직동 부산사직실내체육관
중계 방송 KBS N SPORTS, 네이버 스포츠, SOOP, 유튜브 여농티비[1]

1. 개요2. 조별예선
2.1. A조2.2. B조
3. 결선 토너먼트
3.1. 4강3.2. 3·4위전3.3. 결승
4. 시상5. 기타

1. 개요

2025년 부산광역시 사직실내체육관에서 개최한 박신자컵.

2. 조별예선

조 편성
A조: 우리은행, 삼성생명, BNK, 후지쯔, 사라고사
B조: 신한은행, 하나은행, DVTK, 덴소, KB

2.1. A조

1위 사라고사 3승 1패 타이브레이크 우위
2위 후지쯔 3승 1패 타이브레이크 열세
2위 우리은행 2승 2패
4위 삼성생명 1승 3패 타이브레이크 우위
5위 BNK 1승 3패 타이브레이크 열세

1경기 BNK(1패) 52 : 62 후지쯔(1승)
2경기 삼성생명(1패) 70 : 77(OT) 사라고사(1승)
3경기 우리은행(1승) 66 : 55 BNK(2패)
4경기 후지쯔(2승) 68 : 57 삼성생명(2패)
5경기 사라고사(2승) 86 : 63 우리은행(1승 1패)
6경기 BNK(3패) 66 : 68 삼성생명(1승 2패)
7경기 후지쯔(2승 1패) 67 : 80 사라고사(3승)
8경기 삼성생명(1승 3패) 69 : 81 우리은행(2승 1패)
9경기 BNK(1승 3패) 69 : 58 사라고사(3승 1패)
10경기 후지쯔(3승 1패) 64 : 63 우리은행(2승 2패)

A조에선 초청팀인 카사데몬트 사라고사가 3승을 하며 가장 먼저 4강에 진출하였다. 전년도 대회에서 4강까지 갔던 BNK는 3패를 하며 가장 먼저 조별 예선 탈락을 확정지었으나 마지막 경기에서 이미 4강 진출을 확정지은 사라고사를 격파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게 되었다.

2.2. B조

1위 KB스타즈 3승 1패 타이브레이크 우위
2위 덴소 3승 1패 타이브레이크 열세
3위 DVTK 2승 2패
4위 하나은행 1승 3패 타이브레이크 우위
5위 신한은행 1승 3패 타이브레이크 열세

1경기 KB스타즈(1패) 83 : 87 DVTK(1승)
2경기 신한은행(1패) 51 : 96 덴소(1승)
3경기 하나은행(1패) 50 : 84 KB스타즈(1승 1패)
4경기 DVTK(1승 1패) 63 : 70 신한은행(1승 1패)
5경기 덴소(2승) 92 : 59 하나은행(2패)
6경기 KB스타즈(2승 1패) 72 : 52 신한은행(1승 2패)
7경기 DVTK(1승 2패) 58 : 80 덴소(3승)
8경기 신한은행(1승 3패) 47 : 51 하나은행(1승 2패)
9경기 KB스타즈(3승 1패) 83 : 82 덴소(3승 1패)
10경기 DVTK(2승 2패) 96 : 82 하나은행(1승 3패)

B조에서도 초청팀 덴소가 3연승을 거두며 4강행을 조기 확정했다. KB는 첫 경기에서 DVTK에 석패했으나, 이후 2연승을 거둔다. 조 1위를 두고 벌어진 KB와 덴소의 최종전에서는 강이슬이 38점을 터뜨리며 KB가 1점차로 승리했다.

3. 결선 토너먼트

4강 진출팀
카사데몬트 사라고사(A조 1위), 후지쯔 레드웨이브(A조 2위), 청주 KB 스타즈(B조 1위), 덴소 아이리스(B조 2위)
4강 진출팀 중에서 WKBL팀은 KB 스타즈가 유일하고 나머지 3팀은 초청팀이다.

3.1. 4강

4강 1경기 카사데몬트 사라고사 64 : 70 덴소 아이리스

4강 2경기 KB스타즈 73 : 78 후지쯔 레드웨이브

4강에서 일본 초청팀인 덴소와 후지쯔가 결승에 진출하면서 박신자컵은 2년 연속으로 일본 초청팀 간의 결승전이 치러지게 되었다.

3.2. 3·4위전

카사데몬트 사라고사 83 : 78 KB스타즈

초청팀 카사데몬트 사라고사가 KB스타즈를 꺾고 3위를 차지하였다.

3.3. 결승

덴소 아이리스 65 : 77 후지쯔 레드웨이브

박신자컵 첫 참가에 우승까지 노리는 덴소와 박신자컵 2연패에 도전하는 후지쯔가 결승전에서 맞붙는다.

후지쯔 레드웨이브가 덴소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박신자컵 2연패에 성공하였다.

대회 MVP는 후지쯔 레드웨이브의 후지모토 아키 선수가 수상하였다.

4. 시상

상금

우승 후지쯔 레드웨이브 1500만 원

준우승 덴소 아이리스 1000만 원

3위 카사데몬트 사라고사 500만 원

MVP

후지모토 아키(후지쯔 레드웨이브) 기자단 투표 11표 중 6표 상금 2백만 원

대회 평균(6경기) 27:05 / 13.0점/ 8.0 리바운드 / 1.0 어시스트

특별상

이디야커피 최다득점상

강이슬(청주 KB 스타즈) 6경기 146점(평균 24.33점) 부상 이디야카드 30만원

5. 기타

  • K리그2부산 아이파크와 콜라보를 해 박신자컵 입장권 소지자는 부산의 2025년 8월 30일 27라운드 청주, 9월 6일 28라운드 수원, 9월 21일 30라운드 전남경기 프리미엄/일반석 50% 할인, 부산의 입장권 소지자는 부산실내체육관 박신자컵 2층 일반석 무료, 1층 익사이팅석 50% 할인 혜택을 받는다.[2]

[1] 8월 30일 14시 BNK 썸 vs 후지쯔, 8월 31일 14시 신한은행 vs 덴소 경기만 KBS N SPORTS에서 생중계되며 나머지 경기는 모두 포털 사이트나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된다.[2] 작년에는 충남 아산 FC와도 협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