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플레이오프]]{{{#!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6F4ACC> |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경기 일정 |
스위스 (2/20~2/24) | R1 | R2 | R3 | |
플레이오프 (2/27~3/2) | 플레이오프 | 결승 | ||
결산 |
{{{+1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우승}}} | ||||
| ||||
T1 | ||||
첫 번째 우승 ★ |
1. 개요
G2 Esports | T1 |
| |
2. 경기 전 정보
G2 Esports | <colbgcolor=#6F4ACC><colcolor=#fff> | T1 |
매치 4승 1패 세트 9승 2패 | 전적 | 매치 5승 2패 세트 10승 6패 |
<rowcolor=#000,#fff> 순위 | 요원 | 선택률 |
1 | 테호 | 58% |
2 | 오멘 | 53% |
3 | 브리치 | 46% |
4 | 요루 | 42% |
레이즈 | ||
6 | 바이퍼 | 36% |
7 | 바이스 | 35% |
8 | 브림스톤 | 30% |
결승 시작 전 기준, 데드록, 레이나, 세이지, 피닉스, 하버가 등장하지 못했다.
2.1. 관련 영상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결승 티저 |
3. 경기 전 전망
G2는 센티널을 두 차례나 잡아내고 킥오프 우승과 함께 마스터스 방콕에 상륙했고 TE를 가지고 놀면서 시작했다. 잠시 EDG에게 패배하기도 했지만 정신을 차리고 TL을 잡고 플레이오프를 마지막으로 진출했으며, 바이탈리티와 EDG를 연속으로 꺾고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결승에 올라왔다.T1은 킥오프에서 처음에는 삐걱거렸지만 정신을 차리고 올라왔고, DRX에게 2번이나 패배했지만 퍼시픽 2시드로서 마스터스 방콕에 합류했다. 대회 시작부터 바이탈리티에게 패배하면서 역시는 역시라는 평가를 피하지 못했으나, TE를 잡은 것에 이어 자신들이 유독 이기지 못했던 DRX를 잡고 마침내 플레이오프에 올랐다. 그리고 EDG에게 패배했지만 특유의 위닝 멘탈리티와 강한 무력 등을 장점으로 살려 강한 1시드 팀들이자 자신들을 이미 잡은 경험이 있는 바이탈리티와 EDG를 차례대로 잡으면서 미라클 런의 끝을 맺기 위해 결승전에 도착했다.
두 팀의 공통점으로는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TE를 잡았고, 2승 1패로 진출했으며, 바이탈리티와 EDG를 차례로 잡고 올라왔다는 점이 있다. 현재로서는 당연하게도 G2가 우세할 것으로 점쳐지지만 T1도 엄청난 저력을 발휘하면서 온 만큼 결과는 알 수 없다.
두 팀의 최근 맞대결은 Red Bull Home Ground 5 스위스 스테이지 2라운드에서 만난 것으로, 당시에는 T1이 승리를 거둔 바 있다.
3.1. G2 Esports
G2가 우승할 시 | |
팀 | 1. 창단 이후 첫 마스터스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2. 어센션에서 승격한 팀이 처음으로 VCT 국제 대회를 우승하게 된다. |
개인 | 1. 조시 리 감독, 페테르 벨레이 코치, 조나피, 트렌트, 발린, 리프, 조그모는 첫 마스터스 우승 커리어를 기록한다. 2. 조그모는 사시에 이어 마스터스와 챔피언스를 모두 우승한 두 번째 선수가 된다. |
3.2. T1
T1이 우승할 시 | |
팀 | 1. 창단 이후 첫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2. VCT Pacific 소속 팀이 2연속 마스터스 우승을 차지하게 되며, 이는 마스터스 최초로 권역 리그가 연속 우승을 한 사례가 된다. 3. 국제 리그 창설 이후 최초로 마스터스가 개최된 권역의 리그가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
개인 | 1. 메테오는 VCT 역사상 최초로 마스터스 2연속 우승을 기록하며, 두 번의 마스터스 우승을 각각 다른 팀에서 기록하게 된다. 2. 윤으뜸 감독, 이일호, 설도훈 코치, 이주, 카르페, 실반, 버즈는 첫 마스터스 우승 커리어를 기록한다. |
4. 경기 내용
<rowcolor=#83F2F8> 방콕 UOB 라이브 | |||||||||||
| 2 | 3 | | ||||||||
G2 Esports | T1 | ||||||||||
○ | × | ○ | × | × | × | ○ | × | ○ | ○ | ||
준우승 | 결과 | 우승 | |||||||||
| |||
<rowcolor=#83F2F8> 캐스터 | 해설자 | 인터뷰어 | |
채민준 | 정인호 | 유정선 | 이정현 |
<nopad> | ||
| <colbgcolor=#6F4ACC> | |
G2 Esports | T1 | |
<colbgcolor=#fff><colcolor=#ed2025> 알렉산더 모어 (JAWGEMO) | <colbgcolor=#000><colcolor=#fff> 함우주 (iZu) | |
트렌트 케언스 (trent) | 유병철 (BuZz) | |
제이콥 바티오 (valyn) | 김구택 (stax) | |
조나 풀리체 (JonahP) | 고영섭 (Sylvan) | |
네이선 오프 (leaf) | 김태오 (Meteor)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결승, bgcolor=6F4ACC, color=ECE8E1, ateam=G2, bteam=T1,
ban1=프랙처, ban2=바인드,
p_apic=로터스, p_bpic=헤이븐, p_apic2=어비스, p_bpic2=스플릿, p_cpic=펄,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공격, 4attack=수비, 5attack=수비)]
FINAL MVP |
<rowcolor=black> 김태오 (T1 Meteor) |
4.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로터스, set=1, teamD=T1, teamA=G2 Esports, dplayer1=iZu,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Sylvan, dplayer5=Meteor
, aplayer1=JAWGEMO, aplayer2=trent, aplayer3=valyn, aplayer4=JonahP, aplayer5=leaf
, dpic1=사이퍼, dplayer1kda=14 / 13 / 2, dplayer1acs=209
, dpic2=레이즈, dplayer2kda=13 / 14 / 3, dplayer2acs=241, dplayer2mvp=
, dpic3=소바, dplayer3kda=8 / 15 / 2, dplayer3acs=116
, dpic4=오멘, dplayer4kda=8 / 15 / 9, dplayer4acs=159
, dpic5=아이소, dplayer5kda=11 / 16 / 3, dplayer5acs=184
, apic1=요루, aplayer1kda=16 / 12 / 7, aplayer1acs=236
, apic2=테호, aplayer2kda=17 / 11 / 10, aplayer2acs=296, aplayer2mvp=
, apic3=오멘, aplayer3kda=10 / 11 / 8, aplayer3acs=167
, apic4=브리치, aplayer4kda=9 / 10 / 3, aplayer4acs=123
, apic5=바이퍼, aplayer5kda=21 / 10 / 2, aplayer5acs=279)]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1, dscore=5, ateam=G2, ascore=13
, dfirstk=8, dthrift=0, dpostpwin=1, dpostp=2, dclutch=0
, afisrtk=10, athrift=1, apostpwin=8, apostp=9, aclutch=1)]
1라운드, G2는 C로 향했고, 이에 실반 피해망상을 절묘하게 날렸다. 이에 메테오가 즉시 문을 열고 오프닝 킬을 만들었고, 치열한 트레이드 싸움 끝에 리프가 2킬을 한 이주를 잡으면서 버즈와 1:1 상황을 만들었다. 그러나 버즈가 빠르게 뒤를 돌았고, 리프가 이를 파악하지 못하면서 피스톨을 T1이 가져간다.
2라운드에서는 G2가 스팅어 5개를 들고 싸운다는 초강수를 두었고, 이에 제대로 T1이 말려들면서 G2가 거의 손실도 없이 승리했다.
3라운드, T1은 이코를 선택했고, 이에 G2가 초반부터 실반과 버즈를 잡으면서 시작했다. 메테오가 리프를 잡고, 이주가 C에서 버티면서 발린까지 잡았으나, 바로 트레이드 당했다. 그러나 메인에서 스택스가 조나피를 잡고, 절묘한 화살까지 날렸으나, 트렌트가 이를 부수고, 메테오를 잡고, 조그모도 바로 호응하면서 결국 G2가 승리한다.
4라운드, G2는 T1이 B를 덫 하나만 사용하고, 안 막는다는 것을 파악해서 역으로 B를 빠르게 공략했고, A 링크에서 아마겟돈을 사용해 버즈가 무리하도록 만들어 버즈를 잡는다. 그러나 실반이 B 링크에서 조그모와 조나피를 잡았고, 스택스가 사이트에 있던 리프를 정리했다. 발린이 이주를 잡았으나, 메테오가 바로 트레이드를 내면서 1:3 상황을 만들었다. 그러나 메인에 있던 트렌트가 가디언으로 스택스와 실반을 월샷으로 정리해버렸고, 트렌트를 메테오가 잡기는 했으나, 시간이 이미 늦어버리면서 결국 트렌트의 활약으로 G2가 승리를 가져간다.
5라운드, 조그모가 차원 표류로 B를 가는 척 연기하고, G2는 C로 향한다. 이때 조그모가 수비팀 베이스에 보낸 텔을 메테오가 기다렸다가 잡았다. 또한 C에서 실반의 피해망상과 이주의 버티기로 T1이 잘버텨내자, G2는 B로 향한다. 그러나 버즈가 대미장식으로 발린을 잡았고, 리프가 트레이드를 내준다. 메테오가 청부계약을 통해 트렌트를 잡았고, 독성 연기 안에 숨어 있다가 튀어 나와 전부 잡아버리면서 메테오의 활약으로 T1이 승리한다.
6라운드, G2는 2개의 스팅어와 1개의 밴달로 구성된 이코를 했다. 초반 잔해 싸움에서 T1이 우위를 점했고, 이에 G2는 B 입구 함정을 부수고, 다시 A로 가면서 인원을 분산시킨다. 그리고 다시 잔해 싸움에서 버즈가 2킬을 만들었지만, 곧바로 트렌트가 버즈와 실반을 정리했다. 이후 사이트에서 양각으로 스택스를 정리하고, 경사에 있던 메테오도 조나피가 잡는다. 이후 메인에서 온 이주를 잡으면서 절약왕을 만들면서 G2가 승리한다.
7라운드는 T1의 이코와 더불어 G2가 침착한 운영과 독사의 구덩이를 활용해 무난하게 가져갔다.
8라운드, T1은 처음으로 그냥 잔해를 내주는 판단을 한다. 이에 트렌트가 드론으로 나무까지 클리어했고, 아마겟돈과 함께 진입했으나, 스택스가 사냥꾼의 분노로 진입을 막았고, 실반이 꼬리인 리프를 잘라버리면서, G2를 궁지로 몰았다. 이후 메테오가 발린을 잡고, 조그모가 바로 트레이드를 만들었다. 또 이주가 조나피를 정리하자마자 트렌트가 바로 트레이드를 하면서 3:2가 되었고, 스택스가 나머지 2명을 잡으면서 연패를 끊고, 다시 T1이 승리한다.
9라운드, G2는 조그모의 차원 표류와 함께 C로 향했으나, 트렌트가 설치를 하는 것을 이주가 연막샷으로 잡아버렸다. 이어서 메테오가 청부 계약으로 발린까지 잡아낸다. 이후 G2는 그다지 큰 흐름 변화를 만들지 못하면서 리프가 스택스라도 잡고, 만족하는 선에서 T1이 승리를 한다.
10라운드는 조그모와 조나피의 활약으로, 11라운드는 리프의 변수플레이로 다시 G2가 승리했고, 12라운드에서는 조그모의 차원 표류로 A에 혼란을 준 뒤 B로 향해서 T1을 박살내버렸다. 결국 전반을 8:4로 G2가 리드한다.
13라운드, 꼬리인 이주를 조그모가 보았고, 결국 유도 일제 사격에 이주가 잘린다. 다급해진 T1은 A로 향했으나, 조그모의 2킬을 시작으로, 조나피와 리프까지 응수하면서 G2가 피스톨을 가져간다.
14라운드, G2는 3개의 스팅어와 아웃로를 준비했다. 메테오가 절묘하게 B에서 트렌트를 잡으려고 했으나, 리프가 좋은 커버를 보여주었고, 조그모가 미친 에임으로 점픽하는 이주를 A에서 잡는다. 이후 리프가 실반까지 자르면서 T1은 설치라도 만족해야 하는 상황이였으나, 버즈가 A 링크에서 클래식으로 둘을 잡는다. 그러나 희망도 잠시 조그모가 바로 버즈와 스택스를 잡으면서 G2가 결국 승리한다.
15라운드, T1은 과감한 잔해 싸움을 걸었으나, 이 과정에서 유도 일제 사격에 버즈가 많이 긁혔다. 그래서 버즈가 뒤를 봤고, 여기서 리프를 자르면서 좋은 시작을 알린다. 이어서 조나피마저 이주가 정리한다. 그리고 T1은 여기서 허를 찔러서 C로 향한다. 그러나 트렌트의 유도 일제 사격으로 스택스가 설에 실패하고, 다시 설치하려다가 튀어나온 리프에게 짤리면서 사고가 발생했고, T1이 좋은 모습을 보였음에도 결국 시간 부족으로 G2가 라운드를 가져간다.
16라운드는 G2가 T1이 잔해 싸움을 할 것을 예상하고, 아예 4스택을 만들었고, 발린과 조나피의 활약으로 G2가 매치포인트를 만든다.
17라운드, T1은 천천히 A를 나무를 통해 밀었고, 리프가 숨어있다가 메테오를 잘랐다. 그래도 실반이 바로 커버해주었고, 버즈가 대미장식으로 트렌트를 정리하고, 한편 발린이 실반을 잡는다. 그러나 발린이 에임이 꼬이면서 버즈가 킬을 만들었고, 이어서 이주가 뒤를 돌아 조나피마저 정리하고, 버즈의 마무리로 T1 후반전 첫 승리를 가져간다.
18라운드, T1은 또다시 A를 공략했다. 그러나 조나피가 연막샷으로 버즈를 잡았고, 이에 T1은 B로 향하지만 트렌트가 메테오와의 교전에서 승리한다. 이어서 이주마저 정리당했고, 실반이 그나마 트렌트를 잡았으나, 리프가 다시 실반을 잡았고, 이어서 조나피가 균열을 날렸고, 혼자 남은 스택스마저 정리하면서 1세트를 G2가 승리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G2가 굉장히 뛰어난 분석으로 오히려 로터스를 밴하지 않고 준비해온 것이 이해가 될 정도로 그냥 압살해버렸다. T1은 지난 바이탈리티전과 같이 다소 단조로운 공격과 수비 패턴을 보여주면서 1세트를 내주었다. 반면 G2는 트렌트, 리프, 조그모 3인방의 엄청난 활약과 발린, 조나피의 깔끔한 백업으로 무난한 승리를 가져갔다.
4.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헤이븐, set=2, teamD=T1, teamA=G2 Esports, dplayer1=iZu,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Sylvan, dplayer5=Meteor
, aplayer1=JAWGEMO, aplayer2=trent, aplayer3=valyn, aplayer4=JonahP, aplayer5=leaf
, dpic1=사이퍼, dplayer1kda=14 / 17 / 15, dplayer1acs=210
, dpic2=요루, dplayer2kda=19 / 14 / 5, dplayer2acs=226
, dpic3=소바, dplayer3kda=14 / 17 / 12, dplayer3acs=199
, dpic4=오멘, dplayer4kda=18 / 13 / 13, dplayer4acs=235, dplayer4mvp=
, dpic5=아이소, dplayer5kda=16 / 15 / 5, dplayer5acs=200
, apic1=요루, aplayer1kda=13 / 18 / 11, aplayer1acs=205
, apic2=테호, aplayer2kda=20 / 14 / 5, aplayer2acs=245, aplayer2mvp=
, apic3=아스트라, aplayer3kda=16 / 16 / 3, aplayer3acs=203
, apic4=브리치, aplayer4kda=15 / 18 / 10, aplayer4acs=174
, apic5=바이스, aplayer5kda=12 / 15 / 9, aplayer5acs=170)]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1, dscore=13, ateam=G2, ascore=9
, dfirstk=14, dthrift=0, dpostpwin=7, dpostp=9, dclutch=1
, afisrtk=8, athrift=0, apostpwin=6, apostp=9, aclutch=0)]
T1은 요루, 아이소 2엔트리를 기용했고, G2는 요루까지는 같으나, 테호를 들고 왔다.
1라운드, G2는 전원 클래식에 4명이 경갑을 샀으며, T1은 4개의 고스트를 꺼냈다. G2는 차근차근 A를 밀었고, 발린이 실반을 잡으면서, 오프닝 킬을 만든다. 스택스가 트렌트를 잡기는 했으나, 조그모와 조나피가 한 명씩 정리하면서 사이트가 열린다. 버즈가 뒤를 돌아서 조나피를 잡았으나, 이주가 CT에서 잘렸고, 이어서 다시 조그모를 버즈가 잡았다. 그러나 결국 버즈마저 정리되면서 G2가 피스톨을 가져간다.
2라운드는 리프의 컨트롤과 더불어 무결점으로 G2가 승리했다.
3라운드, G2는 A로 향했으나, 이번에는 T1이 수싸움에서 승리했다. 스택스가 여진에 죽기 직전에 트렌트를 잡았고, 빠르게 뒤를 돈 메테오가 발린을 잡는다. 그러나 사이트에 들어온 조그모가 실반을 잡고, 조나피가 뒤로온 메테오도 잡으면서, 다시 어려워진 상황. 그러나 버즈가 다시 2킬을 만들었다. 조나피가 버즈를 잡았으나, 이주가 과감하게 찌르면서 T1이 승리한다.
4라운드, A 메인에서 스택스 월샷헤드를 해버리면서, 조그모가 안죽고 오히려 스택스가 죽는 상황이 일어난다. 이후 버즈가 발린을 잡고, 다시 조그모가 트레이드를 만든다. 리프가 숏을 파서 메테오마저 정리해버렸고, 실반이 세이브를 하면서 G2가 다시 승리한다.
5라운드, G2는 C로 향하고, 조그모가 사이트로 텔을 타서 실반을 잡는다. 그러나 이주가 연막 안에서 조나피를 잡고 죽었다. 그 사이 조그모가 메테오마저 사이트에서 정리한다. 그럼에도 버즈가 또다시 클래식으로 리프와 발린을 잡았다. 그러나 이후 버즈도 죽고, 스택스가 1:2 클러치에 실패하면서 G2가 승리한다.
6라운드, 버즈는 오퍼를 들었고, 이에 쎄함을 느낀 G2는 C로 향한다. 그러나 이주가 조그모를 잡았고, 신경 절도와 스택스의 사냥꾼의 분노까지 사용한다. 이후 이주가 결국 연막샷에 죽었다. 실반이 이후 가라지에 있던 리프를 잡았다. 한편 버즈는 정원까지 밀었으나, 한 발을 놓쳤고, 이에 바로 차원 표류를 사용한다. 이어서 실반, 스택스, 버즈가 한 명씩 잡으면서 T1이 승리한다.
7라운드, G2는 우주장벽과 지진 강타까지 사용하면서 B를 밀었으나, 사이트를 정리하지 못했고, 일단 설치는 했으나, 스택스가 조그모를 잡는다. 발린이 둘을 잡았으나, 이주가 여기서 그냥 깡해체를 해버렸다. G2도 당황했고, 결국 이주의 깡해체로 T1이 승리한다.
8라운드, 가라지에 숨어 있던 리프의 총구가 보였고, 꼼꼼히 체크하던 실반이 잡는다. 그러나 버즈가 트렌트와 싸움에서 지면서 A가 열림과 동시에 오퍼가 떨어진다. 그리고 사이트에서의 난전에서 실반이 조그모를 잡고, 바로 트레이드를 당한다. 그 사이 뒤를 돈 메테오가 트렌트를 정리했다. 그러나 숏에 잘 숨어 있던 스택스가 에임 미스를 내면서 결국 죽었다. 이주가 체력이 없어 드리블로 버텼지만, 조나피가 꼼꼼한 체크로 CT에 있던 이주마저 잡으면서 1:2 상황. 나머지 둘은 B로 향하고 설치를 한다. 그러나 메테오가 설치를 하던 발린을 청부 계약으로 끌고 가서 잡았다. 그 사이 조나피가 0.2초를 남기고 설치에 성공하면서 1:1 상황. 그리고 메테오가 B 메인에서 미친 플릭샷으로 조나피를 잡으면서 T1이 승리한다.
동점이 된 상황에서 9라운드, 실반이 가라지에서 2명을 잡았고, 이주와 실반이 더블로 기다렸다가 또 둘을 잡는다. 이후 조나피가 최대한 버텨보려고 했으나, 버즈가 마무리하면서 T1이 역전에 성공한다.
10라운드, A 숏에서 오던 트렌트의 드론을 버즈가 부수지 못했고, 텔을 타려고 했으나, 드론에 걸려 텔을 못타면서 오퍼가 떨어지는 사고가 일어난다. 이어서 G2가 매우 꼼꼼한 플레이로 이주와 메테오마저 정리했고, 나머지 2명이 오퍼 세이브를 하면서 다시 G2가 승리한다.
11라운드, G2가 이번에도 침착하게 A를 밀면서 우주장벽과 함께 진입해 설치까지 성공했다. 그러나 실반이 순간이동으로 가지치기를 넘어서 왔고, 메인에 있던 조그모를 잡는다. 이어서 메테오가 헤븐에서 빠르게 튀어나와서 발린도 정리했고, 버즈가 언더에 있던 조나피마저 쇼티로 정리했다. 사이트에 혼자 남아있던 리프는 버즈 한 명을 잡고 죽었고, 숏에 있던 트렌트가 이주를 잡고, 스택스마저 잡으면서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T1이 해체에 성공하면서 다시 승리한다.
12라운드, 버즈가 오퍼로 발린을 잡으면서, 좋은 시작을 알렸으나, 조그모의 2킬을 시작으로 리프와 조나피마저 응수하면서 순식간 T1은 전멸했고, 이주가 2명을 잡으면서 클러치를 노렸으나, 결국 조나피가 잡으면서 6:6으로 전반전이 종료된다.
13라운드, 이주가 A메인에서 조나피를 잡고, 트렌트마저 딸피로 만들고 죽었다. 이에 T1은 곧바로 C에서 A로 향했다. 조그모를 실반이 잡고, 스택스가 화살로 트렌트까지 잡았다. 발린도 메테오에게 죽었고, 결국 리프마저 실반이 정리하면서 T1이 깔끔하게 피스톨을 가져간다.
14라운드는 G2가 이코를 했고, 클래식에 생각보다 많이 고전했지만, T1이 우여곡절 끝에 결국 승리했고, 15라운드는 G2가 특유의 꼼꼼함을 앞세워 승리했다. 그리고 16라운드는 꼬리인 이주가 잘리면서 선택지가 좁아진 T1이 무리하게 C에 설치했고, G2가 무난하게 해체하면서 결국 다시 동점이 되었다.
17라운드, T1은 이코와 함께 컨택으로 A를 미는 판단을 한다. 이어서 설치까지 진행했다. G2는 안전하게 하기 위해 강철 정원과 우주 장벽, 아마겟돈까지 사용했으나, T1은 이코였기에 강철 정원은 무쓸모였다. 그러나 버즈가 셰리프로 조그모를 잡은 것에 이어서 스택스의 절묘한 리콘을 통해 발린까지 잡는다. 이어서 팬텀을 주워서 리프까지 잡았고, 나머지를 팀원들이 마무리하면서 거의 절약왕[1]에 가까운 승리를 가져간다. G2 입장에서 궁을 3개나 사용했음에도 상대의 이코라운드에 졌기에 상당히 뼈 아픈 라운드였고, 사실상 2세트의 분수령이였다.
18라운드, 버즈의 차원 표류로 가라지로 향했고, 실반이 리프를 잡았다. 이어서 이주가 신경 절도를 사용하고, C로 향한다. 스택스가 조나피를 잡았으나, 발린이 버즈와 이주를 잡으면서 다시 인원수가 맞춰졌으나, 메테오가 나머지 셋을 잡으면서 T1이 승리를 거둔다.
19라운드, T1은 C 속공을 선택했고, 메테오가 청부 계약을 사용했으나, 조그모의 요루 분신을 데려가버렸다. 그래도 실반이 사이트에 있던 리프를 잡았다. 그러나 조나피가 월샷으로 버즈를 잡았고, 조그모가 연막샷으로 스택스를 잡는다. 실반이 조그모를 잡았으나, 발린이 다시 트레이드를 만들면서 2:3인 상황. 일단 이주가 조나피를 잡았으나, 메테오가 트렌트한테 지면서, 모두가 지는 줄 알았으나, 이주가 침착하게 판자에 있던 트렌트를 잡고, 바로 이어서 발린마저 잡으면서 1:2 클러치를 한다. 결국 이주의 클러치로 T1이 라운드를 가져간다.
20라운드, G2는 3개의 스팅어를 꺼낸다. 일단 무리해서 전진하던 리프를 메테오가 잡았고, 발린이 분신에 속았고, 이마저도 메테오가 잡는다. 이후 메테오가 조그모마저 잡으면서 3킬을 달성했고, 스텍스도 가라지에서 1킬을 하면서 결국 T1이 지독한 G2의 스팅어라는 징크스를 부수고, 매치포인트를 가져간다.
21라운드, T1은 A로 향했다. 그러나 조나피가 텔을 탄 버즈를 잡았고, 조나피의 삥을 맞은 상황에서 트렌트가 아마겟돈을 사용해 스텍스와 메테오를 잡는다.
22라운드, T1은 초반 B를 컨트롤하다가 A로 향했고, 사이트에서 버티던 조나피와 트렌트를 정리한다. 조그모가 차원 표류로 들어가보려고 했지만 결국 스택스가 조그모와 발린을 잡았고, 마지막으로 남은 리프마저 정리하면서 2세트는 T1이 가져간다.
T1은 이주가 중요한 순간마다 깡해체나 클러치로 버텨주었고, 메테오가 한 번의 중요한 클러치에 성공. 버즈와 실반, 스택스가 좋은 백업을 해주면서 2세트를 승리한다.
4.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어비스, set=3, teamD=G2 Esports, teamA=T1, dplayer1=JAWGEMO, dplayer2=trent, dplayer3=valyn, dplayer4=JonahP, dplayer5=leaf
, aplayer1=iZu, aplayer2=BuZz, aplayer3=stax, aplayer4=Sylvan, aplayer5=Meteor
, dpic1=요루, dplayer1kda=19 / 16 / 8, dplayer1acs=232
, dpic2=소바, dplayer2kda=20 / 16 / 9, dplayer2acs=245, dplayer2mvp=
, dpic3=아스트라, dplayer3kda=17 / 15 / 14, dplayer3acs=198
, dpic4=브리치, dplayer4kda=15 / 16 / 11, dplayer4acs=154
, dpic5=체임버, dplayer5kda=13 / 16 / 5, dplayer5acs=179
, apic1=페이드, aplayer1kda=15 / 16 / 8, aplayer1acs=169
, apic2=제트, aplayer2kda=16 / 21 / 4, aplayer2acs=199
, apic3=테호, aplayer3kda=18 / 15 / 6, aplayer3acs=214, aplayer3mvp=
, apic4=오멘, aplayer4kda=15 / 18 / 19, aplayer4acs=175
, apic5=레이나, aplayer5kda=12 / 19 / 7, aplayer5acs=149)]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G2, dscore=13, ateam=T1, ascore=11
, dfirstk=9, dthrift=0, dpostpwin=6, dpostp=7, dclutch=0
, afisrtk=15, athrift=0, apostpwin=7, apostp=9, aclutch=2)]
세트 스코어 1:1로 중요한 순간에서의 3번째 맵은 무려 어비스로 T1은 어비스를 무려 6번이나 밴을 하면서 절대 피하는 모습을 보였기에 하루 동안 어떻게 깎아 왔는지가 중요해졌다.
그리고 T1은 무려 Meteor가 마스터스 방콕 첫 레이나라는 조커픽을 꺼내들면서 모두를 놀라게 했다.
1라운드, T1은 A를 빠르게 공격했고, 사이트에 빠르게 들어온 버즈가 사이트를 채우려던 조나피와 리프를 잡는다. 이어서 나머지 팀원들이 들어오면서 설치를 했고, 스택스가 뒤로 오던 조그모를 잡는다. 트렌트가 CT에서 빽사에 있던 메테오와 버즈를 잡았지만, 이주가 발린을 잡은 것에 이어서 실반이 트렌트를 마무리하면서 피스톨을 T1이 가져간다.
2라운드, G2는 어차피 돈도 없는 거 그냥 A에서 한 번 붙어보자를 시전했으나, 바로 스택스가 리프를 잡았고, 이에 G2는 과감하게 전부다 추락을 결정하면서 손쉽게 T1이 승리한다.
3라운드, 이번에도 T1은 빠른 A 속공을 선택했고, 버즈가 빠르게 들어와 스킬을 쓰려던 조나피를 잡는다. 그러나 트렌트가 버즈를 잡고, 카운터 리콘을 날린 뒤 바로 피킹을 해서 스택스까지 잡는 원맨쇼를 보여준다. 한편 메테오가 헤븐에 있던 리프를 잡았고, 발린도 잡았으나, 발린이 간발의 차로 실반까지 데려간다. 이어서 메테오가 샷싸움에서 조그모를 이겼고, 이주가 트렌트를 마무리하면서 T1이 3연승을 달린다.
4라운드, T1은 조용히 있다가 B를 공략했고, 버즈가 발린을 잡고 죽는다. 이어서 트렌트가 사냥꾼의 분노로 메테오를 잡았고, 이에 이주가 조그모를 잡지만, 리프가 바로 트레이드를 만든다. 스택스가 조나피를 잡자마자 다시 리프가 그를 잡으면서 어느덧 2:1 상황. 그러나 T1에게는 실반이 있었다. 침착하게 트렌트를 잡은 후 반해체를 하려던 리프마저 잡으면서 클러치를 만들었다. 이렇게 T1이 4연승을 질주한다.
5라운드, T1은 A 메인에서 전진을 나오는 리프를 잡으려고 기다렸으나, 나오지 않자 그대로 A를 공략한다. 실반의 깔끔한 피해망상으로 버즈가 조나피를 잡았고, 이어서 조그모마저 잡는다. 리프가 실반을 잡았으나, 다시 버즈가 트렌트를 잡는다. 이어서 쇼티로 리프를 잡으려고 했으나, 실패해 죽었다. 대신 메테오가 바로 트레이드를 만들었고, 발린마저 죽으면서 T1이 5연승을 만든다.
6라운드, T1은 아마겟돈, 황혼과 함께 A 사이트에 들어갔고, 이번에도 실반의 피해망상 + 버즈 조합으로 조나피를 잡는다. 이어서 트렌트가 버즈를 잡자마자 바로 실반이 트레이드를 만든다. 조그모가 메테오를 잡았지만, 실반이 양각을 이용해서 그를 잡으면서 사이트를 뚫어낸다. 그러나 리프가 꼼꼼한 체크를 통해 역작으로 이주를 잡았고, 이어서 연막샷으로 실반까지 잡았으나, 스택스가 오히려 역심리로 다시 연막샷 당한 자리로 이동했고, 이 수가 적중하면서 스택스의 클러치로 T1이 6연승을 질주한다.
7라운드, 버즈의 칼날 폭풍을 통해 다시 한 번 A 속공을 해봤지만, 조그모가 빠르게 버즈를 잡았고, 조나피가 연막샷으로 무려 3명을 잡는 사고를 내버리면서 결국 G2가 첫 승리를 거두었다.
8라운드, T1은 버즈와 메테오를 제외한 전부 이코를 결정했고, G2의 리프는 오퍼를 꺼내들었다. T1은 오멘의 기습을 통해 A인것처럼 연기를 하고 B로 향했다. 그리고 리프가 샷 미스를 내버리면서 사이트가 열린다. 실반이 헤븐에 텔을 탄 후 기습적으로 피킹을 해 성운을 설치하던 발린과 놀라서 오퍼를 놓쳐버린 리프를 고스트로 잡아낸다. 이어서 차원 표류로 들어온 조그모를 버즈가 잡았다. 트렌트가 실반을 잡았지만, 버즈가 조나피를 정리했다. 이어서 무리한 버즈가 트렌트에게 잡혔고, 메테오가 트렌트를 잡으면서 T1이 다시 승리한다.
그리고 버즈가 2115킬로 더크의 기록을 넘어서서 세계대회에서 가장 많은 킬을 기록한 선수 1위를 가져갔다.
9라운드는 G2의 발린이 절묘하게 뒤를 돌아서 T1을 정리하고, 리프가 오퍼로 2명을 잡으면서 G2가 라운드를 무난하게 가져갔다.
10라운드, T1은 시간을 태우다가 아마겟돈과 함께 A에 진입했으나, 트렌트가 사냥꾼의 분노로 메테오를 잡았다. 버즈가 헤븐에서 트렌트를 잡았으나, 바로 리프가 트레이드를 만들었고, 조그모가 실반을 정리하고 바로 죽었다. 마지막으로 남은 스텍스가 끝까지 저항했고, 이에 G2는 우주 장벽까지 사용해서 라운드를 가져간다.
11라운드, 초반 신경전이 이어지던 상황에서 이주가 리프를 A 메인에서 초살해버렸다. 이에 T1은 A로 빠르게 들어갔고, 버즈가 연막샷으로 조그모를 잡는다. 조나피의 균열과 트렌트의 합작으로 버즈를 잡았으나, 스텍스가 뒤를 돌던 발린을 잡고, 메테오가 트렌트를 잡는다. 이어서 실반이 1대1 트레이드를 해주면서 T1이 다시 라운드를 가져간다.
12라운드는 발린의 3킬과 조나피의 플랭킹을 통한 2킬로 다시 G2가 승리하면서 전반전은 8:4로 T1이 앞서면서 마무리된다.
13라운드에서는 조그모가 미드에서의 난전에서 3킬을 내면서 활약했고, G2가 승리했으며, 14라운드는 T1도 그냥 전부 낙사를 결정하면서 G2가 또다시 승리한다.
15라운드, G2는 미드를 다시 공략하면서 혼란을 주고자 했으나, 조나피가 무리해버리면서 버즈에게 짤린다. 이에 G2는 A로 향하지만 실반이 깔끔한 피해망상 + 순간 이동 콤보로 조그모를 잡았다. 일단 발린이 실반을 잡았으나, 이주가 리프를 정리했고, 버즈가 나머지 둘을 정리하면서 T1이 승리를 가져간다.
16라운드는 T1이 메테오의 3킬에 힘입어 큰 손실 없이 가져갔고, 이에 G2도 17라운드에서 조그모의 차력쇼로 라운드를 가져간다.
18라운드, T1은 5자루의 셰리프를 선택했다. 메테오가 시작과 동시에 빠른 B 전진으로 발린을 잡으면서 좋은 시작을 알렸고, A로 들어오려던 G2의 멤버들에게 포박 + 유도 일제 사격 콤보로 리프와 트렌트를 보냈고, 조그모가 스택스를 잡기는 했으나, 실반이 조나피를 잡으면서, 모두가 T1의 절약왕인줄 알았으나... 조그모가 실반과 이주를 차례로 잡더니, 텔을 보내서 어그로 끌자마자 피킹을 나가서 메테오와 버즈를 모두 잡아버렸다. 조그모의 미친 에이스 클러치로 G2가 승리한다.[2] 이로 인해 어느덧 라운드 스코어는 10:8로 2점차가 되어버렸다.
19라운드는 T1이 다시 저력을 발휘해서 큰 손실 없이 라운드를 가져갔으나...
20라운드, T1은 버즈의 오퍼와 함께 B를 막아보려 했으나, G2가 우주 장벽과 함께 그대로 돌진했고, 발린이 버즈를 잡는다. 그러나 스택스의 아마겟돈이 발린에게 적중하면서 스파이크가 떨어졌다. 이어서 스택스가 조나피를 정리했고, 이에 조그모가 바로 스택스를 잡는다. 실반이 이어서 조그모를 잡자마자 바로 트렌트가 정리하면서 트레이드가 계속되는 난전이 일어났다. 이주가 황혼을 사용했고, 리프를 잡았으나, 트렌트가 바로 이주를 잡으면서 1:1 상황. 메테오가 가까이 붙었고, 올라가서 잡으려고 했지만, 트렌트가 미친 플릭샷으로 그를 잡으면서 G2가 역전의 불씨를 계속 지핀다.
21라운드는 버즈가 칼날 폭풍을 사용해 조그모를 잡았으나, 발린과 조나피가 활약하면서 11:10이 되었고, 다음 라운드에서도 리프와 조그모의 활약으로 또다시 라운드를 쉽게 가져가면서 기어코 11:11 동점이 되었다.
그리고 23라운드에서는 G2가 아예 모든 교전에서 승리하면서 완승 거두고, 오히려 매치 포인트를 먼져 가져가게 되었다.
24라운드, G2는 B를 우주 장벽과 차원 표류를 통해 진입했고, 메테오를 발견한 조그모가 삥을 통해 잡는다. 스택스가 트렌트라도 잡으면서 뭐라도 해보려고 했지만, 거기까지였고, 이후 모든 교전에서 G2가 승리하면서 G2가 3세트를 가져간다.
사실 사전 예상으로도 G2는 어비스 맵에서 압도적인 승률을 보유했기에 T1에겐 매우 절망적인 상황이었고 결과적으로도 G2의 승리로 마무리된 세트였다. 다만 그 과정을 들여다 보면 T1이 준비해 온 레이나라는 조커픽의 효과가 제대로 들며 G2 입장에서도 유효타를 제대로 먹은 간담이 서늘한 세트였다. T1 입장에선 레이나라는 카드의 공격성의 우수함을 통해 공격을 계속 이기는 것은 좋았으나, 조그모와 트렌트의 슈퍼 플레이와 다소 공격에 치중된 조합이라는 단점이 겹치는 바람에 결국 수비에서 무너지면서 3세트를 내주는 것은 물론 다시금 궁지에 몰리게 되었다.
4.4. 4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스플릿, set=4, teamD=G2 Esports, teamA=T1, dplayer1=JAWGEMO, dplayer2=trent, dplayer3=valyn, dplayer4=JonahP, dplayer5=leaf
, aplayer1=iZu, aplayer2=BuZz, aplayer3=stax, aplayer4=Sylvan, aplayer5=Meteor
, dpic1=요루, dplayer1kda=26 / 21 / 7, dplayer1acs=265
, dpic2=테호, dplayer2kda=16 / 20 / 5, dplayer2acs=159
, dpic3=오멘, dplayer3kda=26 / 20 / 13, dplayer3acs=270, dplayer3mvp=
, dpic4=브리치, dplayer4kda=16 / 22 / 8, dplayer4acs=162
, dpic5=바이퍼, dplayer5kda=17 / 22 / 11, dplayer5acs=188
, apic1=요루, aplayer1kda=20 / 21 / 13, aplayer1acs=217
, apic2=레이즈, aplayer2kda=10 / 23 / 3, aplayer2acs=108
, apic3=페이드, aplayer3kda=20 / 17 / 9, aplayer3acs=199
, apic4=오멘, aplayer4kda=25 / 17 / 7, aplayer4acs=228
, apic5=바이퍼, aplayer5kda=30 / 23 / 9, aplayer5acs=308, aplayer5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G2, dscore=13, ateam=T1, ascore=15
, dfirstk=13, dthrift=0, dpostpwin=4, dpostp=5, dclutch=2
, afisrtk=15, athrift=0, apostpwin=5, apostp=11, aclutch=0)]
T1은 3세트를 잘 준비했음에도 결국 G2를 넘지 못하면서 이제 궁지에 몰리게 되었다. 그리고 4세트는 바로 스플릿. EDG에게 압도당한 적도 있었으나 보기 좋게 복수에도 성공한 맵인 만큼 분위기 반전을 노릴 것이다.
1라운드, 버즈와 이주가 조용히 있다가 기습적으로 미드를 밀었지만 조그모가 난전 상황에서 이 둘을 모두 잡어버렸다. 이후 약간의 소강 상태가 이어지다가 미드에서 실반이 리프를 잡았고, T1은 벤트를 통해 A로 간다. 그러나 그곳에는 이미 트렌트와 조나피가 기다리고 있었던 상황. 메테오가 트렌트에게 잡혔으나, 실반과 스택스가 각각 한명씩 잡으면서, 일단 2:2로 인원수를 맞추는데는 성공했다. 이후 설치를 했고, 스택스가 드리블로 시간을 끌었다. 이후 연막 안에서 발린을 잡고 그대로 사망. 이어서 실반이 조그모를 잡으면서 T1이 극적으로 피스톨라운드 승리를 가져갔고, 이어서 2라운드까지 무난하게 가져간다.
3라운드, 미드를 스택스가 교전하는 동안 나머지 T1의 본대는 B사이트로 진입했고, 리프가 버즈를 잡으면서 시작했지만, 이주가 발린과 리프를 잡는다. 이후 조그모가 실반을 잡았고, 이에 메테오가 조나피를 잡고 빠진다. 그러나 트렌트와 조그모가 사이트에 있던 메테오와 이주를 모두 잡았고, 스택스가 트렌트를 잡았으나, 하필 총기가 고스트였고, 조그모가 1:1 싸움에서 승리하면서 G2가 승리한다.
4~7라운드는 G2가 T1의 공격을 잘 분석했고, 난전에서 버즈를 먼저 잡으면서 T1을 어렵게 만든뒤 서서히 말려죽이는 방식으로 5연승을 가져간다. 이로 인해 스코어는 2:5로 벌려졌다.
8라운드, T1은 사이트를 정석적으로 뚫는 것은 통하지 않는다고 생각했고, 미드를 공략한다. 버즈의 대미장식으로 B사이트를 열었고, 이에 G2도 전원 리테이크 준비를 한다. 그 사이 메테오가 몰래 B를 팠고, 조그모를 잡는다. 메테오가 합류하기 전에 G2는 빨리 사이트를 먹기로 판단했고, 아마겟돈과 함께 사이트에 진입한다. 한편 버즈가 헤븐에 있던 리프를 잡았고, 발린도 실반을 잡으면서 맞받아친다. 그러나 발린이 이주를 잡은 것에 이어서 버즈까지 잡아버리면서 사이트를 털어버린다. 메인에 있던 스택스마저 조나피에게 죽었고, 뒤늦게 메테오가 조나피라도 잡아보지만, 해체는 이미 되버렸고, 발린이 마무리하면서 발린의 4킬로 G2가 승리한다.
9라운드, G2는 꼬리였던 메테오를 A에서 드론으로 발견했고, 결국 트렌트가 잡는다. 이어서 헤븐으로 진입하려던 버즈를 리프가 쇼티로 잡고, 실반이 바로 트레이드를 한다. 실반이 조그모까지는 잡았으나, 조나피가 지진 강타를 사용했고, 이어서 발린이 실반을 잡는다. 메인에 남아 있던 스택스와 이주가 간을 보다가 사이트에 진입했고, 이주가 조나피를 잡지만, 즉시 트렌트에게 트레이드당한다. 스택스가 설치까지는 했으나, 발린이 잡으면서 G2가 무려 7연승을 질주하는 것은 물론 점수를 2:7로 더욱 큰 격차로 만든다.
10라운드, 조그모는 오퍼를 들고 전진을 나갔으나, 이주가 차원 표류를 통해 조그모의 위치를 파악했고, 조그모는 즉시 텔로 도망친다. 한편 스택스가 미드와 헤븐쪽으로 황혼을 날렸고, 발린과 리프가 즉시 사이트에서 빠지면서 T1이 사이트를 뚫는데는 성공한다. 한편 메테오가 미드에서 트렌트를 잡았고, 이어서 헤븐에서 조나피까지 잡는다. 이후 이주가 2킬을 만들고, 메테오가 1킬을 추가하면서 T1이 G2의 연승 흐름을 끊고 승리를 가져간다.
T1에게 승리가 여전히 매우 절실한 상황에서 11라운드, 리프가 미드에 구덩이를 올렸고, 초반 미드 싸움이 일어나는 동안 메테오가 조용히 A를 가려다가 걸려버렸다. 이미 T1의 멤버들은 A로 합류한 상황이였고, 결국 무리해서 버즈가 들어간다. 그러나 곧바로 트렌트에게 죽었고, 조나피가 유도 일제 사격이 깔린 상태에서 그냥 들어가서 실반을 잡고, 메테오에게 죽는다. 이어서 텔은 탄 이주마저 조그모에게 죽는다. 한편 메테오가 A 헤븐을 밀어서 리프를 잡고, 즉시 벤트를 통해 B로 돌린다. 그러나 조그모가 속도에서 안밀리기 위해 차원 표류까지 쓰면서 달렸고, 구덩이가 올라가는 절묘한 타이밍에 스택스를 잡는다. 그리고 남은 것은 구덩이 안에 있는 메테오. 일단 메테오는 설 페이크로 유도 일제 사격을 빼고, 기습적으로 튀어나와 조그모를 잡는다. 이어서 한 번 더 설 페이크를 내어서 쇼티 들고 들어온 트렌트를 잡았고, 계속해서 설 페이크를 주다가, 발린을 미친 반응속도로 잡아버리면서 메테오의 에이스 클러치로 T1이 승리한다.[3]
12라운드, T1은 역시나 다시 한 번 미드를 밀었고, 트렌트가 메테오를 A 메인에서 드론으로 발견하자, 메테오는 즉시 뒤로 뺀다. 한편 T1의 멤버들은 벤트를 통해 A 헤븐으로 향했으나, 트렌트가 유도 일제 사격으로 벤트에서 강제로 나오게 만들었고, 조나피가 여기서 버즈와 이주를 잡는다. 이후 트렌트가 특별 배송을 조나피에게 쏴버리면서 실반이 조나피를 잡는다.
13라운드는 이주와 실반이 활약하면서 T1이 승리했고, 14라운드는 예상보다 G2가 크게 저항하면서 3자루나 잃고나서야 T1이 승리했다.
15라운드, T1은 미드를 과감하게 연막만 사용하고 막지 않는 판단을 했고, 양 팀이 엄청나게 시간을 소요한 끝에 결국 G2가 헤븐을 통해 A로 향한다. 무려 1분 20초동안 단 한명도 안죽은 상황에서 스택스가 사이트에 들어오려던 발린과 트렌트를 잡았다. 버즈가 버키로 조그모를 잡으려고 했지만, 조나피가 빠른 커버를 하면서 실패한다. 한편 스택스가 조그모를 마무리해주었고, 리프에게 메테오가 죽었지만, 스택스가 바로 트레이드로 그를 잡았고, 실반이 스크린에서 조나피를 잡으면서, 스택스의 가디언 4킬로 T1이 승리한다.
16라운드, 자금이 꼬인 G2는 5개의 스팅어를 다시 한 번 꺼내들었다. T1은 이번에도 미드를 그냥 내주는 판단을 했고, G2는 B 메인과 헤븐 두 방향으로 B를 공략한다. 이주가 서까래에서 트렌트를 잡았고, 실반이 메인에서 조나피에게 잡혔지만, 이주가 분신을 통해 리프까지 잡고 죽는다. 메테오가 조그모를 잡고 죽으면서 2:2 상황이 되었고, 버즈가 조나피를 잡으면서 1:2 상황. 발린이 페인트탄에 약간 긁혔고, 헤븐에 있던 스택스를 잡았지만, 버즈가 1:1 싸움에서 승리하면서 T1이 기어코 동점을 만든다.
17라운드, G2는 미드에 본대를 두고, 리프를 꼬리로 A에 배치한다. 조나피의 균열과 조그모의 텔로 벤트에 있던 메테오를 잡으려고 했으나, 메테오가 진탕을 맞은 상황에서도 조그모를 잡아버린다. 이후 메테오가 미드에서 최대한 버텨주고, 리프가 먹은 A 영역을 토대로 A를 밀어보지만, 스택스가 황혼을 사용한 것에 이어서 발린을 잡는다. 이어서 메테오가 연막샷으로 2명을 잡아버렸다. 그리고 혼자 남은 조나피를 실반이 정리하면서 T1이 역전에 성공한다.
18라운드, 약이 바짝 오른 G2는 다시 한 번 5개의 스팅어를 꺼내들었고, 그 위용을 과하듯 발린이 미드에서 버즈를 잡는다. 그러나 스택스 헤븐에서 조그모와 리프를 차례대로 잡았고, 이후 이주가 차원 표류로 나머지 인원의 위치를 알려주었고, 메테오가 트렌트를 잡는다. 발린이 텔을 통해 메테오를 잡았지만, 바로 실반이 잡아주었고, 조나피가 실반을 잡으면서 발악해보지만, 이마저도 이주가 잡으면서 T1이 6연승을 질주한다. 또한 스코어를 10:8로 벌린다.
19라운드는 G2가 도저히 안되겠다 싶었는지 그냥 A 사이트로 돌진해서 5개의 궁극기를 다 사용해버리는 초강수를 써버렸고, 이에 T1도 5개의 궁극기만큼은 감당 못하면서 G2가 승리한다.
20라운드, G2가 다시 A로 오자 버즈가 대미장식을 사용했지만, 빗맞았다. 한편 메테오가 수로를 통해 플랭킹을 햇고, 버즈의 페인트탄에 조나피가 죽은 것을 시작으로 메테오가 트렌트와 발린을 잡는다. 그러나 조그모가 버즈와 스택스를 잡았고, 리프가 메테오를 잡았다. 그러나 일단 이주가 바로 복수하면서 남은 것은 또다시 조그모. 조그모는 빠르게 B로 돌렸고, 이주와 실반이 CT에서 정확히 일자로 있을 때 피킹을 나와 잡으면서, 조그모의 클러치로 다시 G2가 동점을 만든다.
21라운드, 조그모의 차원 표류를 통해 A 사이트로 진입했고, 이주를 조그모가 쇼티로 잡는다. 이후 포스트 플랜트 상황에서 조나피가 기습적으로 스크린에 들어와 버즈를 잡고 즉시 트레이드당했고, 실반이 발린을 잡고, 리프가 바로 다시 실반을 잡으면서 난전이 일어난다. 그 사이 사이트에 몰래 흘러들어간 메테오가 조그모를 잡으면서, 2:2 상황이 되었고, 트렌트가 유도 일제 사격으로 시간을 끄는 동안 리프가 빠르게 헤븐으로 향한다. T1이 반해체에 성공한 것에 이어서 메테오가 리프까지 잡았으나, 트렌트가 빠르게 피킹을 나와 메테오와 스택스를 차례대로 잡아버리면서 G2가 역전에 성공한다.
22라운드, 돈이 없는 T1은 스팅어, 저지, 스펙터, 셰리프로 준비했다. 초반 B 싸움에서 저지 사운드에 최소 2이상이 있다는 것을 파악한 G2는 A로 돌렸으나, 포박 + 페인트탄 콤보로 조그모를 잡았다. 리프가 연막 안에 숨어 있던 버즈를 잡았으나, 벤트를 통해 다시 A로 가려던 조나피를 메테오가 잡는다. 그러나 다시 리프가 메테오를 잡으면서 3:3인 상황. 그러나 A 헤븐에서 기다리던 것은 다름아닌 저지를 들고 있던 실반이였고, 발린, 트렌트, 리프 순으로 저지로 잡으면서 실반의 저지 3킬로 T1이 다시 동점을 만든다.
23라운드는 T1이 초반부터 과감하게 A에 구덩이를 올려버리면서 B를 강요했고, 실반이 또다시 3킬을 만들면서 T1이 먼저 매치포인트를 가져간다.
그러나 24라운드에서 초반부터 이주가 오퍼레이터 미스샷으로 죽었고, 메테오마저 미드에서 잘리더니 트렌트에 아마겟돈에 죽는 사고등, T1에게 여러 악재가 덮치면서 결국 G2의 승리로 연장전을 가게 되었다.
그리고 25라운드에서는 조그모와 발린의 활약과 G2 특유의 꼼꼼하고 변수를 안주는 플레이로 깔끔하게 B 리테이크에 성공하면서 G2가 챔피언십 포인트에 도달했다.
26라운드, G2는 미드로 향했고, 이에 메테오가 우편실에 숨어 있는 이주를 위해 어그로를 끌면서 베이팅을 해주었고, 이에 이주가 들어온 조그모를 잡았고, 연막에 살짝 쏜 것이 조나피까지 잡아버렸다. G2는 결국 벤트를 밀었고, A 헤븐에서 리프가 버즈를 잡는다. 이어지는 난전 상황에서 트렌트에게 이주가 죽었으나, 스택스가 피가 얼마 안 남은 상황에서도 리프와 트렌트를 잡는다. 발린이 일단 스택스를 잡으면서 1:2상황. 발린은 설치를 한 뒤 실반의 원웨이를 역으로 이용해 실반을 잡았고, 메테오만 남았으나, 메테오가 승리하면서 간발의 차로 다시 T1이 동점을 만들고, 지옥에서 걸어나온다.
27라운드, T1과 G2의 치열한 초반 신경전에서 메테오가 램프에 있던 트렌트를 잡았고, 4세트에 죽을 쑤던 버즈가 쇼티로 사이트에 있던 조나피를 잡는다. 메테오가 벤트에서 오던 리프마저 잡고, 나머지 두 명의 위치까지 알린 뒤 죽는다. 이어서 스택스가 나머지 둘을 잡으면서, T1이 매치포인트를 가져간다.
28라운드, 미드에서 메테오가 낚시 자리에서 조그모를 잡고 살아나온다. 그리고 버즈가 램프에서 꼬리인 리프를 자르면서 G2를 압박한다. 그리고 메테오가 또다시 연막에서 질러 헤븐에 있던 트렌트까지 잡고 죽었다. 이주가 이어서 오퍼레이터로 조나피까지 잡았고, 발린이 이주를 잡기는 했으나, 연막 안에서 기다리던 실반이 발린을 잡으면서 T1이 기어코 연장전까지 가는 혈투 끝에 5세트로 가는 운명을 만들었다.
T1은 괜히 EDG를 이긴 것이 아니라는 듯 또다시 스플릿에서 분석의 대가 G2를 상대로 증명해냈다. G2를 상대로 메테오가 집중력을 잘 지켜내어 여러 클러치를 만들었고, 이주와 실반이 중요한 때마다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스택스도 가디언 4킬등 명장면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버즈가 4세트에서 저점을 띄우면서 T1에게 있어서 버즈의 저점은 뼈 아플 것이다.
반면 G2는 정말 분석을 잘하고, 꼼꼼한 플레이에도 T1 선수들의 차력쇼에 무너지면서 결국 5세트로 가는 승부가 되어버리면서 조기 우승의 꿈을 놓쳤다.
4.5. 5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펄, set=5, teamD=T1, teamA=G2 Esports, dplayer1=iZu, dplayer2=BuZz, dplayer3=stax, dplayer4=Sylvan, dplayer5=Meteor
, aplayer1=JAWGEMO, aplayer2=trent, aplayer3=valyn, aplayer4=JonahP, aplayer5=leaf
, dpic1=요루, dplayer1kda=15 / 20 / 4, dplayer1acs=143
, dpic2=네온, dplayer2kda=26 / 24 / 7, dplayer2acs=250
, dpic3=소바, dplayer3kda=22 / 20 / 5, dplayer3acs=194
, dpic4=아스트라, dplayer4kda=16 / 21 / 18, dplayer4acs=159
, dpic5=킬조이, dplayer5kda=25 / 23 / 6, dplayer5acs=255, dplayer5mvp=
, apic1=요루, aplayer1kda=29 / 22 / 11, aplayer1acs=275, aplayer1mvp=
, apic2=소바, aplayer2kda=19 / 18 / 11, aplayer2acs=176
, apic3=아스트라, aplayer3kda=25 / 20 / 13, aplayer3acs=212
, apic4=바이스, aplayer4kda=21 / 21 / 9, aplayer4acs=198
, apic5=체임버, aplayer5kda=14 / 23 / 4, aplayer5acs=134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T1, dscore=16, ateam=G2, ascore=14
, dfirstk=14, dthrift=1, dpostpwin=5, dpostp=13, dclutch=2
, afisrtk=16, athrift=0, apostpwin=4, apostp=8, aclutch=0)]
승부가 갈리는 5세트에서 T1는 네온-요루로 이어지는 2타격대를 들고 나왔으며 킬조이를 꺼냈다. 반면 G2는 요루로 1타격대에 체임버와 바이스로 수비가 단단한 2감시자를 들고 나왔다. 특이점으로 G2는 2025년에 펄에서 5전 5승을 기록하고 있다.
1라운드, G2와 T1은 A 메인에서 약간씩 주고 받다가 G2가 돌린척하고 다시 A로 향한다. 버즈가 무리하다가 조그모에게 위치가 걸려 연막샷 당했지만, 스택스의 충격 화살 2개가 모두 발린과 트렌트에게 적중하면서 2명을 잡아버린다. 이어서 백업을 온 실반이 조그모를 잡고, 스택스가 조나피마저 잡는다. 마지막으로 남은 리프마저 플랭킹으로 온 메테오에게 죽으면서, T1이 피스톨라운드를 가져간다.
이어지는 2라운드에서는 G2가 미드로 A를 공략했지만, 버즈와 실반이 완벽하게 막아버리면서 큰 손실 없이 T1이 승리했다.
3라운드, G2는 미드에서 정보 싸움을 걸었고, 이에 메테오가 응하지 않았고, 이에 G2는이스로 수비가 단단한 2 감시자를 들고 나왔다. 특이점으로는 G2는 2025년에는 펄에서 5전 5승을 기록하고 있다.
1라운드, G2와 T1은 A 메인에서 약간씩 주고 받다가 G2가 돌린척하고 다시 A로 향한다. 버즈가 무리하다가 조그모에게 위치가 걸려 연막샷 당했지만, 스택스의 충격 화살 2개가 모두 발린과 트렌트에게 적중하면서 2명을 잡아버린다. 이어서 백업을 온 실반이 조그모를 잡고, 스택스가 조나피마저 잡는다. 마지막으로 남은 리프마저 플랭킹으로 온 메테오에게 죽으면서, T1이 피스톨라운드를 가져간다.
이어지는 2라운드에서는 G2가 미드로 A를 공략했지만, 버즈와 실반이 완벽하게 막아버리면서 큰 손실 없이 T1이 승리했다.
3라운드, G2는 미드에서 정보 싸움을 걸었고, 이에 메테오가 응하지 않았고, 이에 G2는 A 링크로 향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A 사이트에서의 난전에서 트렌트가 버즈를 잡고, 스택스가 조그모를 잡는다. 리프가 스택스를 잡으면서 사이트가 열렸다. 또한 실반이 벙커라는 것까지 G2가 파악했으며, A 링크에서 메테오마저 잡히면서 T1에게는 절망적인 상황. 실반은 피가 9 남은 상황에서 리프를 잡았고, 연막을 깔고 해체를 시도한다. 발린의 연막샷이 빗나갔고, 트렌트가 이주를 잡고, 연막샷을 시도하나, 실반이 그냥 무시하고 깡해체를 해버린다. 뒤늦게 들어간 발린이 실반을 잡았지만, T1의 재활용 라운드를 깡해체때문에 져버리면서 G2에게는 절망을 T1에게는 기적이 나타난 3라운드는 T1이 승리한다.
4라운드는 G2가 최대한 머리를 굴려서 돌린 끝에 A를 공략했지만, T1이 철벽 수비로 방어하면서 T1이 4연승을 달린다.
5라운드, G2는 셰리프와 스팅어로 이코를 했고, 이에 버즈는 미드를 민다. 그러나 위치가 걸려버리면서 버즈가 죽는다. 스택스가 최대한 아트에서 드리블을 했으나, 트렌트에게 죽었고, B 링크에서 메테오가 조그모를 잡았지만, 트렌트가 다시 트레이드를 내준다. 이후 B로 G2는 향했고, 이주가 오퍼로 조나피를, 실반이 리프를 잡으면서 인원수를 맞췄으나, 결국 발린에게 2명 모두 정리당했고, G2가 T1의 연승 흐름을 끊고, 이코로 라운드를 가져간다.
6라운드, G2 또다시 미드를 컨택으로 밀었고, 트렌트가 드론으로 B 링크를 확인하려고 했으나, 그곳에는 저지를 들고 기다리던 버즈가 있었다. 버즈가 진탕으로 트렌트를 맞춘뒤 빠르게 튀어나와 잡았고, 이어서 오버드라이브를 사용해 조그모, 조나피, 리프순으로 다 잡아버린다. 이후 A 메인에 있던 발린을 잡으려고 했으나, 발린이 절묘하게 숨어 있어서 에이스는 실패했고, 메테오가 마무리하면서 버즈의 4킬로 T1이 절약왕을 만들면서 승리한다.
7라운드, G2는 B를 천천히 밀었고, 사냥꾼의 분노를 사용한다. 이에 스택스도 사냥꾼의 분노를 사용했고, T1의 백업이 온 것을 느낀 G2는 돌린다. 그 사이 실반이 B 메인에서 리프를 잡고, 이주가 오퍼로 조그모까지 잡으면서 T1이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B 링크에서 버즈의 진탕을 맞은 트렌트마저 실반이 잡으면서, T1이 매우 유리한 상황을 만든다. 일단 발린이 버즈를 잡았으나 메테오의 위치도 모르고, 시간도 부족한 상황. 그러나 메테오가 Y자에서 타이밍이 안맞으면서 발린에게 죽었고, G2는 설치에 성공하고, 발린이 CT를 민다. 이에 T1도 이주의 차원 표류로 발린의 위치를 확인했으나, 스택스가 오퍼 미스샷을 냈고, 이에 발린이 스택스와 실반을 잡아버린다. 이주가 차원 표류를 풀고, 발린을 잡았으나, 조나피가 마무리하면서 G2가 3명이 죽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발린의 4킬로 승리한다.
8라운드는 G2가 우주 장벽과 함께 A를 깔끔하게 밀었고, T1이 교전에서 거의 패배하면서 G2가 승리했다.
9라운드, T1은 이코를 했고, G2는 근거리 교전을 피하기 위해 디폴트를 하다가 B로 향한다. 이주가 월샷으로 리프에게 죽으면서 안좋은 시작을 알렸으나, 실반이 셰리프로 트렌트를 잡고, 메테오가 마샬로 리프마저 잡는다. 그러나 다시 조나피와 발린이 각각 마무리하면서 2:3이 된 상황에서 버즈가 B 링크에서 빠르게 튀어나와 팬텀을 줍고 바로 발린을 잡는다. 조나피가 스택스를 잡은 사이 버즈가 조나피를 잡으면서 1:1 상황. 총알이 없었기에 빠르게 마샬을 줍고, 조그모와 교전을 시도했으나, 조그모가 마무리하면서 T1이 이코인 상황에서도 저력을 발휘했음에도 불구하고 G2가 승리한다.
10라운드, G2는 조그모의 차원 표류와 함께 B 링크를 밀었으나, 메테오와 버즈가 리프와 조나피를 잡으면서, 스파이크까지 떨어트린다. 조그모가 다시 스파이크를 줍고, A에 장벽을 발린이 사용한 후 G2는 설치를 한다. 이후 메테오가 봉쇄를 사용했고, 이에 G2는 모두 빠진다. 조그모가 버즈를 잡은 사이 메테오가 A 링크까지 밀어서 아트에 있던 트렌트를 잡는다. 이에 조그모가 삥을 쓰고 다시 나와 메테오를 잡았고, 발린이 메인에서 해체하던 이주를 잡았으나, 실반이 다시 발린을 잡았고, 조그모가 다시 해체하던 스택스를 잡았으나, 바로 옆에 있던 실반이 마무리하면서 T1이 매서운 G2의 추격을 뿌리치고 승리한다.
11라운드는 T1이 메테오와 버즈의 오버드라이브로 깔끔하게 리테이크에 성공하면서 승리했다.
12라운드, G2는 컨택으로 A를 밀었고, 조그모의 차원 표류와 조나피의 강철 정원으로 밀어냈으나, T1이 다시 빠르게 땅을 회복했고, 스택스의 카운터 리콘으로 트렌트가 실반에게 월샷으로 긁힌다. 또한 충격 화살이 제대로 조나피에게 맞으면서 G2 멤버들의 피가 너덜너덜해졌고, 이에 메테오가 트렌트와 조나피를 잡는다. 발린이 메테오를 잡았으나 이마저도 스택스가 즉시 트레이드를 만들었다. 남은 것은 조그모와 리프. 조그모가 메인에서 오퍼로 기다리던 이주를 잡았으나, 버즈가 바로 다시 그를 잡았고, 리프가 가디언을 주워서 스택스까지는 잡았으나, 버즈가 엇박으로 슬라이딩으로 리프를 잡으면서 전반전은 T1 8:4로 리드하면서 종료된다.
13라운드이자 후반전 피스톨라운드에서는 G2가 2 감시자의 위용을 보여주듯이, B에서 무결점으로 방어하면서 승리했고, 이어지는 14라운드에서는 T1이 A에 설치까지는 성공했으나, G2가 변수를 차단하면서 꼼꼼한 플레이를 보여주면서 완벽한 리테이크에 성공했다. 이렇게 8:6으로 어느정도 다시 G2가 따라간다.
그리고 15라운드에서는 G2가 재활용라운드였기에 T1이 A를 컨택으로 밀었고, 메테오가 발린을 잡은 것을 시작으로 이주가 트렌트까지 잡고 설치에 성공. 리프가 버즈와 메테오를 잡았지만, 이후 이주와 스택스가 마무리하면서 T1이 G2의 재활용라운드는 승리했다.
16라운드, G2가 A를 단단하게 막자, 이주가 차원 표류를 사용해 사이트를 확인한다. 그 사이 메테오가 B 링크를 밀었으나, 리프가 잡았다. 그러나 버즈가 A 사이트로 진입해서 트렌트를 잡으면서, 다시 인원수를 맞춘다. 그리고 스택스가 뒤를 보는데 간발의 차로 리프를 보지 못했고, 발린이 사이트에 있던 버즈를 잡은 것에 이어서 리프가 실반을 잡는다. 이주가 발린을 잡기는 했으나, 곧바로 조그모와 조나피가 마무리하면서 G2가 9:7로 추격한다.
17라운드는 이전 라운드와 비슷한 흐름이였고, 버즈가 엄청난 끌어치기로 리프를 잡은 것 이외에는 T1이 전혀 힘을 쓰지 못하면서 G2가 승리한다. 또한 18라운드에서는 B를 우주 장벽과 함께 밀어 설치를 했지만, 또 G2가 깔끔하게 리테이크해버리면서 결국 동점인 9:9가 되었다.
19라운드, 동점이 되었기에 T1 입장에서도 절대 지면 안됐지만, 하필 돈이 없어 오히려 T1이 4개의 스팅어를 든다. 그리고 빠르게 미드를 통해 아트를 버즈가 밀었으나, 조나피가 가지치기로 생긴 벽 위에 올라가는 변수 플레이로 메테오와 이주를 잡고 죽는다.
20라운드에서는 T1이 2명이 죽은 상황에서 메테오의 2킬로 다시 인원수를 맞추고, 끝까지 저항했음에도 G2가 우주 장벽을 통한 꼼꼼한 리테이크로 9:11로 격차를 벌리면서 승리한다.
21라운드, 사실상 패배하면 거의 끝인거나 다름 없기에 중요한 상황. T1은 어느정도의 포스바이를 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A를 뚫어내지 못했기에 B로 향한다. 버즈가 현란한 무빙으로 리프가 오퍼를 미스내도록 만들었고, T1이 사이트에 진입한다. 그리고 메테오의 봉쇄로 시간을 끈다. 버즈가 리프에게 오퍼로 죽었고, 조나피가 빽사에 있던 이주마저 정리한다. 메테오가 연막 안에서 조그모를 잡았으나, 트렌트의 리콘에 걸리면서 리프에게 죽는다. 그러나 실반이 연막 안에서 리프와 조나피를 정리한다. 그러나 트렌트의 연막샷으로 결국 메인에 스택스만 남게 된다. 스택스는 리콘을 날리고 바닥에 있던 팬텀을 줍는다. 그 사이 트렌트가 연막 안에서 반해체까지 완성한 상황, 스택스는 조준을 한 후 점사로 실각으로 트렌트에게 최대한 총을 쐈고, 간발의 차로 트렌트를 잡고 죽는다. 그리고 발린이 0.8초를 남기고, 해체에 실패하면서 T1이 극적으로 라운드를 승리한다. 메테오의 봉쇄를 통해 G2가 생각보다 시간을 많이 소비했고, 실반의 연막에서의 크랙과 스택스의 마지막 레전드 조준샷으로 T1이 극적으로 10:11로 따라간다.
그러나 22라운드에서 생각보다 많이 투자를 했음에도 무결점으로 패배해버리면서 결국 G2에게 매치포인트이자 챔피언십 포인트를 내주는 것은 물론 10:12로 절망적인 상황에 T1이 처한다.
23라운드, T1은 실반을 B로 보내고 A를 향했고, 실반이 먹은 B 메인 영역을 바탕으로 B로 향한다. 이후 즉시 진입했고, 리프는 즉시 랑데뷰를 통해 빠진다. 조그모가 텔을 탄 이주를 잡은 것에 이어서 실반마저 잡는다. 이후 설치는 된 상황. 이대로 끝나는 줄 알았으나, 메테오가 벤트를 밀어 발린을 잡고, 조나피에게 죽었고, 이어서 버즈가 조그모를 정리. 스택스가 헤븐에서 떨어지던 리프와 트렌트를 가디언으로 잡는다. 이후 버즈가 조나피를 마무리하면서 T1이 승리한다.
이제 스코어는 11:12, 연장이냐 아니면 G2의 첫 우승이냐로 갈리는 상황.
24라운드, T1은 전라운드랑 비슷한 운영으로 실반이 B를 컨택으로 밀고, A로 향해 있는 포지션을 잡았고, 실반이 메인에 연막을 깔고, 가지치기를 빼려고 시도하는 것을 눈치챈 리프가 연막샷으로 실반을 긁는다. 한편 이주가 차원 표류를 사용해 A에 인원 2명을 묶어두고, 텔레포트로 빠졌고, B를 T1이 빠르게 민다. 그리고 메테오가 리프를 잡았고, G2의 필사적인 설치 방해를 뚫고 설치에 성공한다. 발린이 B 링크에 있는 메테오를 잡기 위해 향했으나, 이주가 커버를 통해 잡았고, 스택스가 연막샷으로 트렌트를 잡고, 메테오가 나머지 2명을 잡아버리면서 기어코 T1이 연장전을 만든다.
25라운드, G2는 B를 밀었고, 메테오의 연막샷이 리프의 머리에 맞으면서, 리프는 피가 없어진 상황이 되었다. 그럼에도 G2가 들어오려고 하자, 즉시 나노 스웜으로 또 한 턴 막았고, 이어서 들어오던 트렌트를 메테오가 잡고, 조그모가 쇼티로 메테오를 잡았지만, 버즈가 리프, 발린, 조나피순으로 다 잡아버린다. 그리고 오버드라이브로 조그모까지 잡으려고 했으나, 조그모가 역으로 그를 잡았고, 차원 표류를 통해 스파이크를 줍고, 즉시 A로 달린다. T1은 수도없이 조그모에게 클러치를 당했기에 이번에는 막고자했고, 조그모는 그 사이 설치에 성공하고, CT를 밀어 실반을 잡으면서 다시 T1에게는 악몽이 떠오르는 상황. 그러나 스택스에 리콘에 조그모가 그냥 피하려다가 걸려버렸고, 이주와의 링크에서의 교전에서 35데미지를 받았고, 이어서 스택스의 충격 화살로 조그모를 잡으면서, T1이 조그모의 클러치라는 악몽을 극복하고, 챔피언십 포인트에 도착한다.
그러나 26라운드에서 트렌트에게 B에서 2명이 죽으면서, T1이 불리해졌고, A 설치까지는 했으나, 다시 리테이크당하면서 13:13이 되었다.
27라운드, 이주 A 메인을 밀어서 오퍼로 발린을 잡는다. 이후 A로 들어온 리프가 메테오에게 죽었고, 실반이 메테오를 잡으려던 조나피를 잡으면서 커버해준다. 조그모가 뒤늦게나마 메테오를 잡았지만, 벙커에서 나온 스택스가 나머지 2명을 잡아버리면서 T1이 다시 승리를 따내고, 14:13으로 다시 챔피언십 포인트에 도달한다.
28라운드, 리프도 이주와 마찬가지로 오퍼를 들었고, 트렌트가 드론으로 미드에서 메테오를 발견해버린다. 그리고 리프가 오퍼로 메테오를 잡으면서, T1이 다시 플랜이 꼬여버렸고, 무리해서 B를 민다. 조그모가 이주를 빽사에서 잡고, 버즈가 다시 트레이드한 것에 이어서 발린까지 잡았다. 조나피에게 실반이 잡히면서 아직 설치도 못한 상황. 스택스가 조나피를 잡고, 그 사이 버즈가 죽으면서 1:2인 상황. 리프는 B 링크에, 트렌트가 헤븐에 있다는 것까지는 스택스도 알고 있는 상황. 스택스는 그냥 B 링크를 밀어 리프를 잡고, 그 시점에서 남은 시간은 단 12초. 스택스 계속해서 설 페이크를 주다가, 트렌트가 계속 반응을 안해주자 설치를 시도했으나, 트렌트가 그제서야 나와서 잡으면서 G2가 지옥에서 살아돌아온다. 그리고 스코어는 다시 동점인 14:14가 되었다.
29라운드, G2는 아트와 A 메인을 통해 A로 향했으나, A 메인에서 오던 조그모를 스택스가 잡았고, 절묘한 연막샷으로 리프를 잡는다. 메테오도 벙커쪽에서 트렌트와 발린을 잡았고, 조나피가 연막에 들어와 스택스를 잡은 뒤 엄청난 끌어치기로 실반과 메테오를 잡았지만, 버즈가 빠르게 나와 사고를 막으면서 T1이 다시 15:14로 챔피언십 포인트를 가져간다.
그리고 대망의 30라운드, T1은 공격에서 자주하던 포지션인 실반을 B로 보내고 A로 향해있는 포지션을 잡는다. 리프가 실각을 통해 오퍼각을 째고 있는 상황. 실반이 엄청난 집중력으로 A 메인에서의 신경전 속에서 B 메인에서 가지치기를 빼버렸고, 이에 리프가 흔들린다. 그리고 이주가 피킹을 나왔고, 이에 리프가 오퍼 미스샷을 내버린다. 그러자 즉시 버즈가 진탕을 날리고 사이트에 진입해 리프를 잡아버린다. 이어서 CT까지 밀려고 했으나 버즈는 무리하지 않고 빠졌고, 메테오가 스파이크 설치를 한다.
한편 이주가 벙커 쪽에 있던 발린을 메인에서 잡아냈다. 조그모가 버즈를 잡았으나 메테오가 트렌트가 보고 있는 상황에서 짧은 피킹으로 A 링크에 있던 트렌트를 잡는다. 그리고 조나피마저 메테오가 정리하면서 조그모가 남게 되었고, 메테오가 절묘한 드리블로 조그모에게 압박을 가한 뒤 봉쇄를 깐다. 이에 조그모는 메인과 링크와 사이트에 봉쇄까지 신경써야 하는 미친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메테오를 잡으려다가 놓치자 봉쇄를 부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메인에서 스택스가 튀어나와 그를 잡으면서...
채민준: T1!!! 버즈와 스택스가 새로운 유니폼을 입고, 메테오와 이주, 실반과 함께 트로피를 들어올립니다!
정인호: 드디어 스택스와 버즈가 트로피에 손을 가져다 댑니다. T1 창단 이래 첫 우승!
마침내 T1이 우승을 거두게 된다. 또한 과거 VS 시절부터 활약했던 스택스와 버즈의 트로피라는 감동적인 서사도 완성되었다.정인호: 드디어 스택스와 버즈가 트로피에 손을 가져다 댑니다. T1 창단 이래 첫 우승!
5. 총평
WHO'S THE BEST TEAM IN THE WORLD NOW?[4]
양 팀 모두 결승 진출이 운이 아니었다는 듯, 5세트까지 가는 접전을 보여주는 끝에 T1이 마스터스 우승을 차지했다.
T1은 퍼시픽 킥오프 첫날부터 BME를 상대로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자신들의 상성 PRX와 강호 탈론을 잡으면서 올라왔고 DRX에게 졌지만 젠지를 잡으면서 마스터스 방콕 티켓을 따냈다. 그러나 킥오프 결승에서 또다시 DRX에게 패배하고, 파워랭킹 8위로 평가받으면서, 첫날 바이탈리티에게 2:0 완패를 당하는 듯.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잊혀진 줄 알았으나, TE를 잡은 것에 이어서 퍼시픽의 1시드이자, 자신들의 상성 DRX를 잡으면서 기어코 플레이오프에 올라왔고, EDG를 상대로도 실반의 에이스를 기반으로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비록 패배하긴 했으나, 이후 패자조에서 자신들에게 절망을 안겨주었던, EMEA의 1시드 바이탈리티와 CN의 1시드이자 2024 챔피언스의 우승팀 EDG에게 복수를 안겨주고, 결승에 올라왔다. 그리고 마침내 결승에서 AMER의 1시드인 G2를 잡으면서 T1은 기어코 모든 역경을 이겨내고 마스터스 우승이라는 값진 결과와 함께 기적의 끝에 도달했다.
5.1. 우승 | T1
|
비록 팀합에서 아쉬운 모습은 보였을지언정 압도적인 공격력의 메테오, 미스 플레이가 있었어도 팀의 운영과 오더를 압도한 스택스, 게릴라전을 중요할 때마다 성공시킨 빅게임 헌터 버즈, 대회 중 교체 투입에도 클러치 플레이를 톡톡히 보여준 실반, 팀이 위기에 빠질 때마다 슈퍼 세이브를 해준 이주의 압도적인 개인 기량으로 우승할 수 있었다.
카르페는 이번 결승에서는 식스맨으로 게임을 하지는 못했지만 작전타임 때마다 윤으뜸 감독과 함께 적재적소의 피드백을 해주는 등, 고참으로서의 품격을 보여주며 프로게이머 데뷔 이후 7년 만에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5.2. 준우승 | G2 Esports
G2는 바이탈리티와 함께 슈퍼팀으로 사전 예상되었고, 실제로 이번 마스터스에서 모든 팀을 상대로 상대적 우위를 보이며 가장 먼저 결승전에 진출할 정도로 매우 강력한 포스를 보여주며 가장 우승에 근접하였다. 이것은 결승전에서도 유효하였으며 T1을 상대로 스팅어를 이용한 이코 스틸, 클러치, 무결점 플레이를 선보이며 전방위로 T1의 숨통을 조였다. 하지만 T1은 하위조부터 올라오며 변화하였고 거기서 생긴 뒷심과 저력, 그리고 막판 집중력으로 게임을 이겨나가 결국 G2는 우승컵을 눈앞에서 놓치게 되었다.G2로서는 이번 대회 내내 믿을맨으로 게임을 주도하고 다른 선수들의 포지션이나 실수를 케어해주던 리프가 5세트에서 무너져 내리면서 균열이 생기게 되었다.[5] 결국 G2에게는 리프가 무너졌을 때 팀합을 통해 조그모, 트렌트와 같은 클러치 플레이어가 충분히 받쳐줘야 한다는 새로운 과제가 생기게 되었다.
6. 여담
- This is the first Global Grand Final without a previous finalist team since Masters Copenhagen 2022. Map 1 Fun Fact이 경기는 2022년 마스터스 코펜하겐 이후로 이전 결승 진출 팀이 없는 최초의 국제 대회 최종 결승전입니다.A VCT Ascension team has never won a Global Event. Map 4 Fun FactVCT 어센션을 거친 팀이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사례가 없습니다.
이번 결승전은 2022 발로란트 마스터스 코펜하겐 결승전[6] 이후 처음으로 국제 대회[7] 결승 진출 경험[8]이 없는 팀끼리의 국제 대회 결승전이다. 특히 G2의 경우, VCT 어센션을 통해 올라온 팀이 우승하는 최초의 팀이 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 T1 BuZz is 10 kills away from overtaking VIT Derke as the Global Kill Leader. Map 3 Fun FactT1 BuZz가 국제 대회 킬 리더인 VIT Derke의 기록을 경신하기까지 10킬 남았습니다.T1 BuZz has broken the record for most kills of any player across Global Events (2,115 kills). Map 3 Record UpdatesT1 BuZz가 국제 대회 통산 최다 킬 수를 경신했습니다. (2,115 킬)
BuZz는 결승전 3세트 8라운드에서 Derke의 기록을 넘어서면서 국제 대회 킬 리더 자리에 올랐다.
- In 2025, G2 are undefeated on Pearl (5-0). Map 5 Fun Fact2025년에 G2가 펄에서 전승 중입니다. (5승 0패)
G2는 이전까지 펄에서 2025년 전적이 5전 전승이었으나, 이번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연승이 끊기게 되었다.
- Meteor는 마스터즈를 2연속 우승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으며 국제대회에서 첫 MVP를 받았다.
- 여담으로 G2는 이날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도 LEC 결승이 있었는데, 여기서는 아예 KC에게 처참하게 패배하면서 G2는 하루에 2연속 2위(...)라는 G2 게임단 최악의 하루가 되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결승전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2021 S2 | 2021 S3 | 2022 S1 | 2022 S2 | 2023 |
2024 MA | 2024 SH | 2025 BK | 2025 TR | }}}}}}}}} |
[1] T1은 전원 셰리프에 메테오의 가디언으로 풀이코는 아니였기에 약간의 차이로 절약왕 달성이 안됐다.[2] 이후 해당 장면은 T1이 3세트를 패배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역할이 되었다.[3] 이후 결승전의 결과를 생각해보면 정말 중요한 라운드가 아닐 수 없다.[4] 원문은 BuZz가 DRX전 중 외친 "Who's the best team in Korea now?(이제 누가 한국 최고의 팀이지?)"[5] 특히나 리프는 2월 2일 어머니가 암 투병 끝에 돌아가셨는데, 대회 연습 때문에 모친상을 당했음에도 어머니를 찾아가지 못했다고 한다. 때문에 플레이에도 조금씩 멘탈이 흔들리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6] PRX vs FPX[7] 마스터스, 챔피언스[8] EDG(2024 챔피언스), SEN(2021 마스터스 레이캬비크, 2024 마스터스 마드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