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 | 1873년 MDCCCLXXIII 千八百七十三年 | 一八七三年 | |||
← 1872년 | 1874년 → | |||
태세 | 계유년 癸酉年 | |||
← 1813년 | 1933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조선 | 고종 10년 | ||
단기 | 4206년 | |||
불기 | 2417년 | |||
청나라 | 동치 12년 | |||
일본 | 메이지 6년 | |||
황기 2533년 | ||||
베트남 | 뜨득 26년 | |||
이슬람력 | 1289년~1290년 | |||
힌두력 | 4973년~4974년 | |||
콥트 정교회력 | 1589년~1590년 | |||
아시리아력 | 6623년 | |||
히브리력 | 5633년~5634년 | |||
페르시아력 | 1251년~1252년 | |||
에티오피아력 | 1865년~1866년 | |||
인류력 | 11873년 | |||
탄소측정연대 | BP[1] 77년 | }}}}}}}}} | ||
<colbgcolor=#1d1e23,3d3e42><colcolor=#fff>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19세기 | |||
연대 | 1870년대 | |||
양력 1873년 | 음력 1872년 12월 3일 ~ 1873년 11월 12일 | |||
음력 1873년 | 양력 1873년 1월 29일 ~ 1874년 2월 16일 | |||
일수 | 365일(평년) |
1. 개요
187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토요일부터 시작하는 달력의 경우 이 경우에 2월이 딱 4주로 떨어진다.2. 사건
2.1. 실제
- 3월 4일: 율리시스 그랜트가 재선 취임식을 열어 두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 5월 9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주가 폭락.
- 5월 27일: 하인리히 슐리만이 트로이 유적 발굴 발표.
- 8월 23일 ~ 8월 28일: 스리랑카 파나두라에서 불교 승려 그나난다와 기독교 선교사 데이비드 드 실바가 공개 토론을 벌였고, 불교 측이 논쟁에서 승리함.
- 9월 16일: 프랑스 제3공화국의 전쟁 배상금 지불 완료, 독일군이 프랑스 제3공화국에서 철수.
- 9월 18일: 뉴욕증권거래소 주가 폭락.[2]
- 10월 1일: 세계 공황 발생.[3]
- 10월 22일: 삼제동맹이 체결되었다.[4]
- 11월 17일: 부더와 오부더, 페슈트가 부다페스트로 통합됨.
- 12월 16일: 맥주회사 하이네켄이 암스테르담에서 창립.
2.2. 가상
3. 탄생
3.1. 실제
- 1월 2일 - 리지외의 테레사: 가톨릭 수도자, 성인
- 2월 16일 - 라도예 도마노비치: 세르비아의 작가
- 3월 19일 - 장쭤린[5]: 중국의 군벌, 중화민국의 군인
- 4월 1일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 8월 29일 - 이동휘: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임시정부 초대 국무총리.
- 9월 15일 - 오토 벨스: 바이마르 공화국의 정치인. 사회민주당의 전 당수.
- 10월 30일 - 프란시스코 마데로: 멕시코의 대통령
- 11월 4일
- 이즈미 쿄카: 일본의 소설가
- 조지 에드워드 무어: 영국의 철학자
- 12월 27일 - 윤덕영: 대한민국의 친일반민족행위자.
- 날짜 미상
3.2. 가상
- 날짜 미상
4. 사망
4.1. 실제
- 1월 9일 - 나폴레옹 3세: 프랑스 제2공화국의 대통령이자 프랑스 제2제국의 황제
- 1월 26일 - 로이히텐베르크의 아멜리: 브라질 제국 황제 페드루 1세의 두 번째 황후
- 2월 9일 - 바이에른의 카롤리네 아우구스테 공주: 바이에른 왕국의 공주,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후
- 5월 1일 - 데이비드 리빙스턴: 스코틀랜드의 탐험가
- 5월 8일 - 존 스튜어트 밀: 공리주의 철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