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font-size: 0.8em" | | | ||
| | | ||
| | | ||
◀ | |
|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 |
1. FC Kaiserslautern | |
<colbgcolor=#e0091d><colcolor=#fff> 정식 명칭 | 1. Fußball-Club Kaiserslautern e. V. |
별칭 | Rote Teufel (붉은 악마) |
창단 | 1900년 6월 2일 ([age(1900-06-02)]주년)[1] |
소속 리그 | 2. 분데스리가 (2. Bundesliga) |
연고지 | 라인란트팔츠 주 카이저슬라우테른 (Kaiserslautern) |
홈구장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Fritz-Walter-Stadion) (49,327명 수용) |
라이벌 | SV 발트호프 만하임 - 쥐트베스트더비 |
회장 | |
단장 | |
감독 | |
수석 코치 | |
주장 | |
역대 한국인 선수 | |
공식 웹사이트 | |
지난 시즌 성적 (2022-23 시즌) | 2. 분데스리가 9위 |
약칭 | FCK[2] |
우승 기록 | |
분데스리가 (1부) (2회) | 1990-91, 1997-98 |
2. 분데스리가 (2부) (2회) | 1996-97, 2009-10 |
DFB-포칼 (2회) | 1989-90, 1995-96 |
DFL-슈퍼컵 (1회) | 1991 |
★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3] (2회) | 1950-51, 1952-53 |
오버리가 쥐트베스트 (1부)[4] (11회 / 최다 우승) | 1946-47, 1947-48, 1948-49, 1949-50, 1950-51, 1952-53, 1953-54, 1954-55, 1955-56, 1956-57 1962-63 |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 (2004년, From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400만 €) |
최고 이적료 방출 | (2004년, To SV 베르더 브레멘, 500만 €) |
최다 출장 | |
최다 득점 |
2022-23 시즌 골송 |
1. 개요
|
|
Die roten Teufel |
독일 라인란트팔츠주 카이저슬라우테른 연고지로 한 프로 축구단. 현재 2. 분데스리가에 소속되어있다.
2. 스쿼드
2.1. 1군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군 스쿼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2024-25 시즌[1] | |||||
<rowcolor=#e0091d> 등 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4 | | MF | 아페즈 아레무 | Afeez Aremu | ||
5 | | DF | 케빈 크라우스 | Kevin Kraus | ||
6 | | DF | 알마미 투레 | Almamy Touré | ||
7 | | MF | 마를론 리터 | Marlon Ritter | ||
8 | | MF | 장 치머 | Jean Zimmer | 주장 | |
9 | | FW | 라그나르 아헤 | Ragnar Ache | ||
10 | | MF | 필리프 클레멘트 | Philipp Klement | ||
11 | | MF | 케니 프린스 레돈도 | Kenny Prince Redondo | ||
14 | | DF | 니콜라 솔도 | Nikola Soldo | [a] | |
16 | | MF | 율리안 니휘스 | Julian Niehues | ||
17 | | MF | 에런 오포쿠 | Aaron Opoku | ||
18 | | GK | 율리안 크랄 | Julian Krahl | ||
19 | | FW | 다니엘 한슬리크 | Daniel Hanslik | ||
20 | | MF | 토비아스 라슐 | Tobias Raschl | ||
21 | | MF | 헨드리크 추크 | Hendrick Zuck | ||
23 | | DF | 필리프 헤르허 | Philipp Hercher | ||
24 | | FW | 바무아카 시마칼라 | Ba-Muaka Simakala | [a] | |
25 | | GK | 시몬 시모니 | Simon Simoni | [c] | |
26 | | MF | 필리프 칼로치 | Filip Kaloč | [d] | |
27 | | DF | 프랑크 론슈타트 | Frank Ronstadt | ||
29 | | FW | 리치몬드 타치 | Richmond Tachie | ||
30 | | GK | 압도 스파히치 | Avdo Spahic | ||
31 | | FW | 벤 촐린스키 | Ben Zolinski | ||
32 | | GK | 로빈 히멜만 | Robin Himmelmann | ||
33 | | DF | 얀 엘베디 | Jan Elvedi | ||
35 | | GK | 니클라스 헤거 | Niklas Heeger | ||
39 | | MF | 에런 바제나흐 | Aaron Basenach | ||
40 | | DF | 딕슨 아비아마 | Dickson Abiama | ||
41 | | FW | 요코타 다이스케 | Daisuke Yokota | [6] | |
<colbgcolor=#e0091d> 구단 정보 | ||||||
회장: 라이너 케슬러 / 감독: 토르스텐 리버크네히트 / 홈 구장: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 ||||||
출처: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1월 16일 |
[1]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간략화된 틀도 수정해주세요.[a] 1. FC 쾰른에서 임대[a] [c]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임대[d] FC 바니크 오스트라바에서 임대[6] KAA 헨트에서 임대
}}}}}}}}} ||
3. 역사
1900년 여러 클럽들의 통합으로 인해 탄생했다. 그 뒤로도 꾸준히 동네 축구 팀들을 하나로 끌어모아서 1931년에 비로소 최종적으로 현재의 외형을 갖추게 되었다. 그때부터 독일 전국 리그에 도전장을 내밀었으나, 이 당시 위세를 떨치던 샬케 04에 밀려 우승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그래도 우승권에 도전하는 강호로서 이름을 날리는 데는 성공했다.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1950년대 클럽의 전성기를 맞게 된다. 특히 1950년대 초반 카이저슬라우테른은 1951년과 1953년에 우승을 차지하고 분데스리가의 전성기를 열며 서독 최고의 축구팀으로 부상했다. 팀의 주축 선수들은 대거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 대표팀으로 차출되었는데, 당시 우승 멤버 중 다섯 명이 카이저슬라우테른 소속이었다. 특히 프리츠 발터는 독일 대표 팀의 주장으로서 당시 무적의 팀이었던 헝가리를 결승에서 격파하는 베른의 기적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이런 위세 덕분에 1963년 분데스리가 출범 당시 첫 16개 클럽으로 초청받아 리그에 합류했고, 꾸준하게 활동했다. 그러나 우승 컵과는 인연이 없었는데, DFB 포칼 결승에 1972년과 1976년, 1981년 결승에 올랐지만 우승에는 실패했다. 리그에서 역시 마찬가지로 우승과 인연을 맺지 못했다.
어느 정도 팀의 운이 풀린 것은 1990년대의 일이었다. 1990년 DFB 포칼 우승을 달성하더니, 1990-91 시즌 마침내 분데스리가 출범 후 첫 우승의 감격을 안았다. 그리고 1996년 두 번째 DFB-포칼 우승에도 성공했다. 그러나 해당 시즌인 1995-96 시즌 충격적인 강등을 맛보면서 2부 리그로 추락했다.[5][6]
|
마이스터샬레를 들어올리는 오토 레하겔 감독 |
|
DEUTSCHER MEISTER 1997-98 분데스리가 우승팀 |
하지만, 팀의 감독인 오토 레하겔은 오히려 이 시기에 자신의 능력을 보여줬다. 1996-97 시즌 2부 리그 우승으로 1부 리그에 복귀하더니, 1997-98 시즌 치리아코 스포르차, 마르틴 바그너 등의 활약으로 충격적인 우승을 차지한다. 분데스리가 역사상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승격 팀이 우승을 차지한 기록으로[7] 이 기록은 다시는 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8]
그러나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리노베이션 과정에서 많은 빚을 지고, 여기에 선수 영입에도 실패하면서 나락으로 빠지게 되었다. 많은 부채로 인해 선수 영입이 어려워졌고, 그나마 있던 선수들도 팔아야 했다. 결국 과거의 영광을 뒤로 하고 2005-06 시즌에 강등되었으며, 그로부터 4시즌을 2부 리그에서 보냈다.
3.1. 요약
- 1부/분데스리가: 1963-1996, 1997-2006, 2010-2012 (44시즌)
3.2. 역대 팀 엠블럼
| | | |
1955~1969 | 1969~2010 | 2010~2012 | 2012~ |
4. 최근 시즌
4.1. 분데스리가
4.1.1. 2010-11 시즌
2010-11 시즌부터 1부 리그로 다시 복귀했다. 최종순위는 7위로 마무리했다.4.1.2. 2011-12 시즌
2011-12 시즌 31라운드까지 겨우 3승을 거두며 승점 20점(11무 17패), 18위 꼴지로 강등을 거의 확정지었다. 21연속 무승에 7연패 부진 속에 다음 경기는 강등 탈출에 작은 희망을 남겨둔 17위 헤르타 BSC(28점) 원정 경기. 올리버 키르히와 앤드루 우튼의 골로 2대1 승리를 챙겼다. 하지만 다음경기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전 5대2로 패하면서 강등이 확정되었다.4.2. 2. 분데스리가
4.2.1. 2012-13 시즌
2012-13 시즌 2부 리그에서 31차전까지 52점으로 3위를 지키면서 승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1, 2위가 확정되었으므로 남은 3경기에서 마지막 승격권인 3위를 두고 다투게 되었다. 그리고 승점 1점 차로 추격 중인 1. FC 쾰른(51점)과 FSV 프랑크푸르트(50점)와 혈투를 벌인 끝에 2경기를 이기면서 58점이 된 카이저슬라우테른이 남은 1경기와 상관없이 3위를 확정지었다.[9]분데스리가에서 막판에 극적으로 16위로 오른 TSG 1899 호펜하임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1차전 원정에서 1:3으로 패하면서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가 2차전 안방 경기에서도 1:2로 패하면서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며 다음 시즌에도 2부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4.2.2. 2013-14 시즌
13-14 시즌에는 16차전까지 1. FC 쾰른과 승점 2점 차이인 2위를 기록하며 승격 분위기를 높이는 중이다. 다만 6위와 승점 차가 겨우 3점이라서 언제라도 바뀔지 모르는 상황. 결국 23차전 종료 시점에서 7위까지 추락해버렸다. 그나마 3위와 승점 차가 3점이라 승격 희망이 남아 있긴 하다. 심기일전하여 27차전까지 4위로 올라서면서 그나마 승격 희망을 남겨뒀다. 하지만 막판 33차전까지 그 3점 차를 좁히지 못하고 4위를 기록하면서 사실상 승격은 물거품이 되었다.한편 DFB-포칼은 4강전까지 진출했고, 디펜딩 챔피언 FC 바이에른 뮌헨과 맞붙어 1-5로 졌다.
4.2.3. 2017-18 시즌
17-18 시즌에는 30라운드를 치른 상황에서 최하위를 기록중이며 3. 리가로의 강등 위험이 큰 상태. 결국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하며 클럽 역사상 첫 3부리그 강등이 확정되었다. 분데스리가 역사상 유일한 승격팀 자격으로 우승했던 1997-98 시즌 우승의 20주년이라 더 씁쓸한 상황이다.4.3. 3. 리가
4.3.1. 2018-19 시즌
3.리가에서의 첫 시즌인 18-19 시즌 9위에 그치며 과거의 영광을 뒤로 한채 기약없이 3부 리그에 머물게 되었다.4.3.2. 2019-20 시즌
19-20 시즌에는 초반은 부진하였지만 이후 6경기 4승 2무로 무패행진 중이며 21라운드 현재 8승6무7패로 10위이다. 포칼은 16강에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게 5대2로 패하며 탈락.후반기엔 다시 부진하며 27라운드가 끝난 현재 8승 10무 9패로 14위에 쳐져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모든 축구가 멈췄고 몇달뒤 다시 재개되었지만 구단 재정에 입은 타격이 큰듯 하다. 거기다 예전에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리노베이션 과정에서 발생한 부채까지 겹쳐지며 파산이 임박했다는 오피셜이 나왔다.# 창단 120주년이라 더욱 씁쓸한 상황. 보통 분데스리가의 빅클럽들이 파산을 막기 위해 돈을 빌려주는 경우도 많았지만 현재는 상황이 상황이다보니...
그러나 코로나로 인한 일시적 파산 완화법의 수혜를 입어 다행히 파산은 면하였고, 3. 리가에 잔류를 확정지었다.
4.3.3. 2020-21 시즌
9월 13일 포칼컵 1라운드에서 SSV 얀 레겐스부르크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배해 탈락했다. 리가에서도 초반 2연패를 당했고, 승격팀 튀르크귀쥐 뮌헨에게 3-0 완패 후 보리스 쇼머스 감독이 경질되었다.2020년 10월 2일 제프 자이베네 감독을 선임했으나 강등권을 벗어나지 못했고, 결국 2021년 1월 30일 자이베네 감독도 경질되었다. 자이베네 감독의 경기 기록은 총 3승 12무 5패. 후임 감독은 지난 시즌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를 2. 분데스리가로 승격시켰던 마르코 안트베르펜이다.
시즌이 끝나고 남서독일 축구협회(Südwestdeutscher Fußballverband)는 쥐트베스트포칼을 개최하는 것을 포기하고 대신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을 DFB-포칼 참가팀으로 결정했다.
4.3.4. 2021-22 시즌
코로나가 불러온 재정난으로 인해 선수단이 공중분해되고 있다. 주전 골리였던 레나르트 그릴, 플로리안 피크, 크리스티안 퀼베터, 티미 틸레, 만프레트 스카르케, 크리스토프 헴라인, 기노 페흐너, 야니크 바흐만 등 총 23명의 선수들이 팀을 떠났다.시즌 초반, 여러 노장 선수들과 어린 선수들을 자유계약으로 데려왔으나 한계를 보여주며 하위권에 쳐져있었으나 9라운드 SC 페를전 승리를 시작으로 4연승을 기록하더니 이후에도 승승장구하며 시즌 종료를 앞두고 2위까지 치고 올라왔다. 하지만 마지막 3경기에서 모두 패하면서 2위 자리를 브라운슈바이크에 내주고 3위로 시즌을 마치면서 승강 플레이오프에 참가했다. 마지막 리그 경기가 끝난 후 구단은 분위기 반전을 위해 마르코 안트베르펜 감독을 경질하고, 디르크 슈스터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승강 플레이오프 상대는 2. 분데스리가에서 16위를 기록한 SG 디나모 드레스덴이었다. 1차전 홈에서 경기 내내 주도권을 가져갔으나 0대0 아쉬운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전망이 밝지 않았는데, 2차전 원정 경기에서 다니엘 한슬리크의 선제골과 경기 막판 필리프 헤르허의 쐐기골을 바탕으로 2대0 승리를 거두면서 4년만에 2부 리그로 복귀했다.
한때 코로나로 인해 팀이 파산직전까지 갔으나 선수들과 감독의 노력으로 2부리그 복귀를 해내며 팬들의 찬사를 받고 있다.
4.4. 2. 분데스리가
4.4.1. 2022-23 시즌
지난 시즌 3.리가 2위를 달리다 마지막 3연패로 3위까지 떨어지고 끝내 SG 디나모 드레스덴과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고 어렵사리 2.분데스리가로 복귀한 카이저슬라우테른.카이저슬라우테른은 지난 시즌 맹활약한 골키퍼 유망주 마테오 라프가 함부르크 SV로 이적하였고 전방 공격 자원 엘리아스 후트가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로 자유 이적하였다. 이외 서브 골리 로렌츠 오토와 공격 자원 루카스 뢰저는 나란히 SSV 울름 1846으로 자유 이적하였으며 공격수 마리우스 클라인소르게는 SV 메펜으로 자유 이적하였다.
한편, 라우턴은 분데스리가 1. FC 우니온 베를린의 주전 골키퍼 프레데리크 뢰노우에 밀린 안드레아스 루테를 87만 유로에 영입하며 골문을 보강하였으며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서는 공격수 렉스타이거 로빙거를 20만 유로에 영입하였다.
또한 좌우 풀백이 가능한 에리크 두름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영입하였으며 레프트윙어 아론 오포쿠를 함부르크 SV에서 영입하며 공격력을 보완하였다. 이외 2. 분데스리가 경험이 많은 벤 촐린스키를 FC 에르츠게비르게에서 영입하였으며 중앙 미드필더와 공격형 미드필더가 가능한 필리프 클레멘트를 VfB 슈투트가르트에서 자유 계약으로 영입하며 중원을 보강하였다.
다시 돌아온 2.분데스리가에서 어떠한 모습을 보일지 기대와 걱정이 공존하는 시즌.
4.4.1.1. 2.분데스리가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2022-23 2.분데스리가 | |||||||||||||||||
전반기 | |||||||||||||||||
R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팀 | H96 | KSV | STP | SCP | SGF | FCM | SVS | SVD | HDH | EBS | HSV | REG | FCH | FCN | DSC | KSC | F95 |
구장 | H | A | H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득 | 2 | 2 | 2 | 0 | 3 | 4 | 0 | 3 | 2 | 1 | 1 | 0 | 2 | 0 | 3 | 2 | 2 |
실 | 1 | 2 | 1 | 1 | 1 | 4 | 0 | 3 | 2 | 1 | 1 | 3 | 0 | 0 | 2 | 0 | 1 |
결과 | 승 | 무 | 승 | 패 | 승 | 무 | 무 | 무 | 무 | 무 | 무 | 패 | 승 | 무 | 승 | 승 | 승 |
승점 | 3 | 4 | 7 | 7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6 | 19 | 20 | 23 | 26 | 29 |
TD[Td] | +1 | +1 | +2 | +1 | +3 | +3 | +3 | +3 | +3 | +3 | +3 | 0 | +2 | +2 | +3 | +5 | +6 |
순위 | 7 | 5 | 2 | 9 | 4 | 6 | 6 | 7 | 7 | 7 | 8 | 9 | 7 | 7 | 7 | 7 | 4 |
후반기 | |||||||||||||||||
R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팀 | H96 | KSV | STP | SCP | SGF | FCM | SVS | SVD | HDH | EBS | HSV | REG | FCH | FCN | DSC | KSC | F95 |
구장 | A | H | A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득 | 3 | 2 | 0 | 0 | 3 | 0 | 2 | 0 | 2 | 0 | 2 | 0 | 0 | 3 | 1 | 0 | 0 |
실 | 1 | 1 | 1 | 1 | 1 | 2 | 2 | 2 | 2 | 1 | 0 | 0 | 1 | 3 | 2 | 2 | 3 |
결과 | 승 | 승 | 패 | 패 | 승 | 패 | 무 | 패 | 무 | 패 | 승 | 무 | 패 | 무 | 패 | 패 | 패 |
승점 | 32 | 35 | 35 | 35 | 38 | 38 | 39 | 39 | 40 | 40 | 43 | 44 | 44 | 45 | 45 | 45 | 45 |
TD[Td] | +8 | +9 | +8 | +7 | +9 | +7 | +7 | +5 | +5 | +4 | +6 | +6 | +5 | +5 | +4 | +2 | -1 |
순위 | 4 | 4 | 5 | 5 | 5 | 6 | 6 | 7 | 7 | 7 | 7 | 7 | 7 | 7 | 7 | 8 | 9 |
2017/18 시즌 이후 4년만에 맞이한 2.분데스리가 첫 경기로 하노버 96을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를 가졌다.
전반 10분만에 분데를리히의 득점으로 앞서 나갔으나 후반 34분 H96의 닐센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무승부의 분위기가 높아졌다. 그러나 후반 46분 크라우스의 결승골이 터지며 2:1로 어렵사리 승리하였다.
2라운드에서는 원정에 나서 홀슈타인 킬과 2:2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어 FC 장크트파울리에 승리하였으나 4라운드에서는 SC 파더보른 07전에서는 무득점의 행진이 진행되던 후반 초반 헨드릭 죽이 퇴장당하며 수적 열세에 놓였고 후반 36분 플라테에게 실점하며 0:1로 패하며 시즌 첫 패배를 안았다.
5라운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원정에서는 전반 28분 SGF 아스타의 퇴장을 기회로 삼아 헤르허의 역전골과 크라우스의 추가 득점이 나오며 그로이터 퓌르트에 3:1의 승리를 거두었다. 다음 경기였던 1. FC 마그데부르크와의 홈 경기는 난타전을 벌여 4:4의 기록적인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다시 승격한 2.분데스리가 초반 6경기 3승 2무 1패의 나쁘지 않은 성적.
이후 SV 잔트하우젠과의 원정 경기에서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하고 다시 홈으로 돌아와 이번에는 SV 다름슈타트 98과 난타전을 다시 벌여 3:3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멀티 득점을 올린 레돈도의 후반 41분 득점으로 3:2로 앞서며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후반 45분 SVD의 제델에게 실점하며 통한의 무승부를 기록를 기록하였다. 8경기 3승 4무 1패의 중간 성적.
2.분데스리가 9라운드에서는 리그 상위권을 달리고 있는 1. FC 하이덴하임 원정에 나서 다시 2:2의 무승부 경기를 벌였다. 벌써 4경기 연속 무승부. 이어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와 무승부를 거두고 리그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는 함부르크 SV와 1:1의 무승부를 거두며 6경기 연속 무승부라는 흔치 않은 기록과 함께 시즌 7번째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12라운드 SSV 얀 레겐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REG의 알버스에게 멀티 득점을 허용하며 0:3의 완패를 기록하였다. 이어 원정에서 FC 한자 로스토크에 2:0으로 승리하였으나 1. FC 뉘른베르크와 다시 무승부를 거두었다. 패배한 경기가 적기에 나쁜 순위는 아니지만 공격으로 나서고 있는 레돈도와 보이드의 경기력 편차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
15라운드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전반전 DSC 라슴의 퇴장으로 수적 우세의 상황이 발생하였고 후반 클레멘트와 오포쿠의 득점으로 2:0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연이어 실점하며 경기가 2:2의 원점으로 돌아갔으나 후반 43분 한슬라크의 결승골에 힘입어 3:2로 어렵게 승리하였다.
이어 카를스루어 SC와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연이어 승리를 거두며 전반기를 마쳤다. 3연승 덕분에 전반기 전적은 7승 8무 2패(승점 29)의 전적으로 마감하였으며 중간 순위 4위까지 상승하였다. 선두는 승점 36점의 SV 다름슈타트 98.
후반기 초반에는 하노버와 홀슈타인 킬을 상대로 연이어 승리하고 승점을 35점까지 끌어올렸다. 그러나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는 SV 다름슈타트와 함부르크 SV, 1. FC 하이덴하임과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는 편.
2.분데스리가 20라운드에서는 함부르크로 원정에 나서 FC 장크트파울리를 상대하였으나 후반 26분 멧카프에게 실점하며 0:1의 아쉬운 패배를 기록하였다. 다시 SC 파더보른 07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SCP 호이르에게 실점하며 0:1의 패배를 기록하며 시즌 첫 연패를 기록하였다.
이어 전반기 3:1로 승리하였던 그로이터 퓌르트를 똑같은 스코어로 승리하며 5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다시 복귀한 분데스리가에서 승격까지 도전하고 있는 위치.
그러나 1. FC 마그데부르크에 패하고 다시 리그 선두를 달리던 SV 다름슈타트(25R)에 패하며 승점이 40점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24라운드에서는 리그 하위권인 SV 잔트하우젠을 상대로 무승부.
이어 리그 2위로 올라선 이번 시즌 돌풍의 주역 1. FC 하이덴하임과의 26라운드 홈 경기에서는 후반 29분 HDH 플로리안 픽에게 추가 실점을 내주며 0:2로 뒤쳐지며 패배를 눈앞에 두었으나 후반전 추가 시간 프리빌과 헤르히의 연이은 득점으로 극적인 2:2의 무승부를 거두고 승점 40점(10승 10무 6패) 고지를 돌파하였다. 그러나 리그 선두를 달리고 있는 다름슈타트의 승점은 55점으로 15점 차.
이후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원정에서 패하였으나 함부르크 SV에 2:0으로 승리하며 중간 순위 7위를 유지하고 있다. 분데스리가 승격은 어렵지만 안정적인 승점을 유지.
이어 SSV 얀 레겐스부르크 원정에서 무승부를 거두었으나 FC 한자 로스토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전반 41분 프뢰거에게 실점하며 0:1의 패배를 기록하였다.
31라운드, 1. FC 뉘른베르크와의 경기에서는 3:2로 끌려가며 패색이 짙었으나 후반 49분 클레멘트의 동점골에 힘입어 3:3의 무승부를 기록하고 승점을 추가하였다. 31라운드까지 전적은 11승 12무 8패로 승점 45점.
그러나 리그 마지막 페이즈인 32라운드 DSC 빌레펠트와의 홈 경기에서 패하더니 다시 카를스루어 SC와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승리를 내어주며 최후반부 3연패로 시즌을 마쳤다.
지난 시즌 최후반부 승강 플레이오프부터 팀을 맡아온 디르크 슈스터감독의 지도 아래 다시 돌아온 2.분데스리가에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던 전반기였으나 후반전 패배가 많아지며 결국 상위권으로 도약하지 못하였던 시즌의 모습이었다.
다음은 2022/23 시즌 2.분데스리가 7~10위 팀의 명단과 승점.
[7위 = 카를스루어 SC] (13승 7무 14패 승점 46점, GF 56 - GA 53, GD +3)
[8위 = 홀슈타인 킬] (12승 10무 12패 승점 46점, GF 58 - GA 61, GD -3)
[9위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1승 12무 11패 승점 45점, GF 47 - GA 48, GD -1)
[10위 = 하노버 96] (12승 8무 14패 승점 44점, GF 50 - GA 55, GD -5)
[8위 = 홀슈타인 킬] (12승 10무 12패 승점 46점, GF 58 - GA 61, GD -3)
[9위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1승 12무 11패 승점 45점, GF 47 - GA 48, GD -1)
[10위 = 하노버 96] (12승 8무 14패 승점 44점, GF 50 - GA 55, GD -5)
4.4.1.2. DFB-포칼
DFB-포칼 1라운드에서 만난 상대는 분데스리가 소속의 SC 프라이부르크.전반 31분 리터의 득점으로 앞서 나갔으나 후반 36분 SCF 셜러이에게 실점하며 경기가 원점으로 돌아갔고 결국 연장 후반 도안 리츠에게 실점하며 1:2의 역전패를 기록하며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4.4.1.3. 시즌 성적 요약
2. 분데스리가 | 9위 34전 11승 12무 11패 (47득점 48실점, GD -1) |
DFB-포칼 | 1라운드 탈락 1전 1패 (1득점 2실점, GD -1) |
합산 성적[PS/N] | 승률 31.43% 35전 11승 12무 12패 (48득점 50실점, GD -2) |
4.4.2. 2023-24 시즌
지난 시즌 다시 복귀한 2.분데스리가에서 11승 12무 11패의 전적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확인한 카이저슬라우테른.여름 이적 시장에서 중앙 공격수로 부족한 활약을 보였던 테렌스 보이드를 SV 발트호프 만하임으로 10만 유로에 이적시켰으며 프랑스 출신의 공격 자원 니콜라 드 프레빌은 고국인 프랑스의 트루아 AC로 자유 이적하였다.
한편, 공격 자원 렉스타이거 로빙거는 VfL 오스나브뤼크로 임대 이적하였으며 율리안 크륄에 밀려난 서브 골리 안드레아스 루테는 VfL 보훔으로 이적하였다.
카이저슬라우테른은 BVB 유스 출신으로 지난 시즌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에서 활약하였던 토비아스 라슐을 50만 유로에 영입하여 중원을 보강하였으며 센터백 니콜라 솔도를 1. FC 쾰른에서 임대 영입하였다. 또한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는 레프트백 티모테우시 푸하치을 임대하였으며 공격 자원 필립 스토질코비치를 SV 다름슈타트 98에서 임대 영입하였다.
다시 돌아온 2.분데스리가에서 가능성을 확인했던 지난 시즌에 이어 다시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여 옛 영광을 되찾을지 기대되는 시즌.
4.4.2.1. 2.분데스리가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2023-24 2.분데스리가 | |||||||||||||||||
전반기 | |||||||||||||||||
R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팀 | STP | S04 | ELV | SCP | FCN | KSC | FCH | OSN | H96 | F95 | HSV | SGF | WIE | KSV | FCM | BSC | EBS |
구장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H | A | H | A | H | A |
득 | 1 | 0 | 3 | 2 | 3 | 1 | 3 | 2 | 3 | 3 | 3 | 0 | 1 | 0 | 1 | 1 | 1 |
실 | 2 | 3 | 2 | 1 | 1 | 1 | 1 | 2 | 1 | 4 | 3 | 2 | 2 | 3 | 4 | 2 | 2 |
결과 | 패 | 패 | 승 | 승 | 승 | 무 | 승 | 무 | 승 | 패 | 무 | 패 | 패 | 패 | 패 | 패 | 패 |
승점 | 0 | 0 | 3 | 6 | 9 | 10 | 13 | 14 | 17 | 17 | 18 | 18 | 18 | 18 | 18 | 18 | 18 |
TD[Td] | -1 | -4 | -3 | -2 | 0 | 0 | +2 | +2 | +4 | +3 | +3 | +1 | 0 | -3 | -6 | -7 | -8 |
순위 | 13 | 18 | 15 | 10 | 6 | 7 | 4 | 6 | 3 | 6 | 6 | 7 | 10 | 11 | 13 | 15 | 15 |
후반기 | |||||||||||||||||
R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팀 | STP | S04 | ELV | SCP | FCN | KSC | FCH | OSN | H96 | F95 | HSV | SGF | WIE | KSV | FCM | BSC | EBS |
구장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A | H | A | H | A | H |
득 | 0 | 4 | 1 | 1 | 1 | 0 | 3 | 3 | 1 | 1 | 1 | 1 | 1 | 3 | 4 | 1 | 5 |
실 | 2 | 1 | 2 | 2 | 1 | 4 | 0 | 2 | 1 | 3 | 2 | 2 | 1 | 1 | 1 | 3 | 0 |
결과 | 패 | 승 | 패 | 패 | 무 | 패 | 승 | 승 | 무 | 패 | 패 | 패 | 무 | 승 | 승 | 패 | 승 |
승점 | 18 | 21 | 21 | 21 | 22 | 22 | 25 | 28 | 29 | 29 | 29 | 29 | 30 | 33 | 36 | 36 | 39 |
TD[Td] | -10 | -7 | -8 | -9 | -9 | -13 | -10 | -9 | -9 | -11 | -12 | -13 | -13 | -11 | -8 | -10 | -5 |
순위 | 15 | 14 | 15 | 16 | 16 | 16 | 15 | 15 | 15 | 16 | 17 | 17 | 17 | 15 | 14 | 15 | 13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에서 열린 개막전에서 FC 장크트파울리에 1:2로 아쉽게 패하며 시즌을 출발하더니 다음 경기였던 FC 샬케 04와의 펠틴스 아레나 원정에서 0:3의 완패를 당하였다. 상당히 좋지 않은 출발.
3라운드에서는 SV 07 엘버스베르크를 상대로 시즌 첫 승을 기록하였고 이어 SC 파더보른 07과 1. FC 뉘른베르크(5R)를 연이어 잡아내며 6위까지 도약하였다. 초반 무승부 없는 3승 2패의 전적.
2.분데스리가 6라운드에서는 카를스루어 SC를 상대로 전반 초반 아체의 득점으로 앞서 나갔으나 전반전 종료 직전 페널티 킥을 내주더니 KSC 바니체크에 실점하며 결국 1:1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후 FC 한자 로스토크에 3:1로 완승을 거두었으며 VfL 오스나브뤼크에 무승부를 거두며 초반 2연패에서 벗어나 중상위권으로 도약하였다.
9라운드에서는 하노버 96을 홈으로 불러 들여 H96 닐센에게 실점하였으나 전반 추가 시간 얻어낸 페널티 킥을 토미악이 성공시키며 1:1로 전반을 마쳤고 후반 33분 오포쿠의 결승골에 힘입어 3:1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 대결을 펼친 10라운드에서는 타키에와 리터의 득점과 자책골에 힘입어 3:0으로 앞서갔으나 전반 35분 다나카에게 실점한데 이어 후반 치머만과 클라우스에게 연속 실점하며 3:3을 허용하였고 후반 17분 다나카 아오에게 역전 중거리 슈팅을 허용하며 3:4의 역전패를 당하였다. 상당한 데미지를 입은 경기의 결과. https://www.youtube.com/watch?v=kBb2AMXnEcE
11라운드에서는 상위권에 올라있는 함부르크 SV를 홈으로 불러들여 3:3의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11라운드까지의 전적은 5승 3무 3패로 승점 18점으로 여전히 중간 순위는 6위.
그러나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를 상대한 12라운드에서 SGF 기드온 융과 그린에게 실점하며 0:2로 패하였으며 다음 경기였던 SV 베헨 비스바덴 원정에서도 1:2로 패하며 연패를 기록하였다.
이어진 경기는 리그 상위권을 달리고 있는 홀슈타인 킬과의 홈 경기.
그러나 KSV 피클러에게 전반 15분 실점하더니 전반 43분 아르프에게 다시 실점하며 전반을 0:2로 끝냈고 후반전에는 피클러에게 다시 실점하며 0:3의 완패를 기록하였다.
홀슈타인 킬과의 경기에서 패하며 3연패를 기록한 카이저슬라우테른의 보드진은 디르크 슈스터감독을 경질하고 U-19 팀 감독을 맡고 있던 올리버 셰퍼에게 임시 감독을 맡겼다.
이어 새로운 감독으로 SV 다름슈타트 98과 FC 샬케 04의 감독을 맡았던 디미트리오스 그라모지스가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그라모지스의 선임 이후 첫 경기였던 1. FC 마그데부르크 원정에서는 1:4의 대패를 당하며 4연패를 기록하였다. 이와 동시에 한때 3위까지 올랐던 중간 순위가 강등을 걱정해야 하는 15위까지 떨어졌다.
전반기 후반부였던 16라운드 헤르타 BSC와의 홈 경기에서는 1:1의 균형을 이루던 후반 13분 아피즈가 퇴장 당하며 수적 열세에 몰렸고 결국 BSC 켐프에게 결승골을 내어주며 5연패를 기록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0E0smbuWBds
전반기 마지막 경기였던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원정 경기에서는 전반 13`, 비차크치치의 자책골로 앞서 갔으나 필립에게 동점골을 허용한 데 이어 후반 16분 고메즈에게 역전골을 허용하며 1:2로 역전패하였다. 기록적인 6연패를 기록하고 있는 FCK.
전반기 합산 성적은 5승 3무 9패로 승점은 18점이며 중간 순위는 강등권 바로 윗 순위인 15위.
후반기 첫 경기는 리그 상위권에 올라있는 FC 장크트파울리 원정에서 다시 패하며 7연패에 빠졌다.
다행히 19라운드 FC 샬케 04와의 홈 경기에서 승리하며 연패의 사슬을 끊었다. 1:1로 맞선 후반 14분 아체의 결승골 이후 스토이일코비치의 추가 득점과 오포구의 득점으로 4:1로 완승. https://www.youtube.com/watch?v=B395cvdyfWE
그러나 20 & 21라운드인 SV 07 엘버스베르크와 SC 파더보른 07에 연이어 패하며 다시 강등권에 위치에 있다.
그리고 SC 파더보른 07전 패배의 책임을 물어 그라모지스 감독을 다시 해임하고 프리트헬름 풍켈을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임시 감독이었던 올리버 세페를 포함하면 이번 시즌 4번째 감독.
풍켈은 2020/21 시즌 최악의 부진을 겪고 있었던 1. FC 쾰른에게 분데스리가 잔류라는 선물을 안겨주고 일선에서 떠나있던 상태였는데 이번에 카이저슬라우테른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풍켈 감독이 처음으로 지도하였던 22라운드 1. FC 뉘른베르크 원정에서는 전반 33분 타키에의 득점으로 앞서나갔으나 후반 18분 뉘른베르크의 유망주인 잔 우준에게 실점하며 1:1의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이어 카를스루어 SC와의 홈 경기(23R)에서 0:4로 완패하며 16위까지 중간 순위가 떨어졌다.
다행히 다음 경기에서 리그 하위권인 FC 한자 로스토크와 VfL 오스나뷔르크(25R)를 연이어 잡아내며 시즌 8승(4무 13패)째를 수확. 동시에 중간 순위 역시 FC 한자 로스토크를 제치고 한 계단 상승한 15위가 되었다.
26라운드에서는 리그 중상위권을 달리는 하노버 96을 상대로 하인츠 폰 하이덴 아레나 무승부를 벌이며 귀중한 승점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27라운드에서는 후반기 상승세를 타고 있는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완패하더니 다시 함부르크 SV와의 원정 경기(28R)에서 1:2로 패하며 https://www.youtube.com/watch?v=00jJuahW5lE 여전히 강등권에서 머무르고 있다.
28라운드까지의 전적은 8승 5무 15패로 승점 29점이며 중간 순위는 17위.
다만 최하위 VfL 오스나브뤼크(승점 24점)의 위로 12위 1. FC 마그데부르크의 승점 32점 부터 17위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의 승점은 불과 승점 3점차에 불과하므로 남은 경기에 따라 반등의 가능성도 충분한 편.
29라운드 SpVgg 그로이터와의 경기에서는 아체의 선취 득점으로 앞서 나갔으나 바그너에게 멀티 득점을 허용하며 1:2로 다시 역전패하였다. 유독 역전패가 많은 이번 시즌의 모습.
다음 경기였던 30라운드 SV 베헨 비스바덴과의 경기에서는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였다. 결국 중간 순위 역시 최하위 오스나뷔르크 위인 17위까지 추락하였다. 연승을 펼치며 결승전에 진출한 DFB-포칼과는 180도 다른 리그의 상황.
31라운드에서는 리그 선두 경쟁 중인 홀슈타인 킬과의 원정 경기에서 3:1로 승리하며 반전을 이루어내었다. 한슬라크의 선취골로 앞서 나갔으며 전반 25분 베르하르드손에게 동점을 내주었으나 칼로츠가 전반 추가 시간에 앞서나가는 득점을 기록하며 승리할 수 있었던 경기.
다음 경기였던 1. FC 마그데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전반 이른 시간 멀티 득점을 올린 한슬라크의 활약으로 FCM에 4:1로 완승을 거두며 전반기 패배를 그대로 갚아주었다.
동시에 어느덧 시즌 10승(6무 16패, 승점 36점)고지에 도달하며 중간 순위 14위로 도약하였다. 단, 15위 브라운슈바이크의 승점은 35점이며 16위 SV 비스바덴 역시 승점 32점을 기록 중이기에 남은 경기에 따라 강등권에 몰릴 수 있다.
리그 33라운드에서는 헤르타 원정에서 1:3으로 패하며 다시 위험에 처했으나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전반기 역전패를 안긴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를 홈으로 불러들여 5:0의 완승을 거두며 시즌을 마감하였다.
시즌 합산 성적은 11승 6무 17패로 승점 39점이며 같이 승점 38점을 기록한 1. FC 마그데부르크와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에 승점 1점이 앞서며 최종 순위 13위를 기록하였다.
리그 16위는 승점 32점을 기록한 SV 베헨 비스바덴이며 17위는 승점 31점의 FC 한자 로스토크.
다음은 2023/24 시즌 2.분데스리가 중하위권의 성적과 명단.
[10위 = FC 샬케 04] (12승 7무 15패 승점 43점, GF 53 - GA 60, GD -7)
[11위 = SV 07 엘버스베르크] (12승 7무 15패 승점 43점, GF 49 - GA 63, GD -14)
[12위 = 1. FC 뉘른베르크] (11승 7무 16패 승점 40점, GF 43 - GA 64, GD -21)
[13위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1승 6무 17패 승점 39점, GF 59 - GA 64, GD -5)
[14위 = 1. FC 마그데부르크] (9승 11무 14패 승점 38점, GF 46 - GA 64, GD -8)
[15위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11승 5무 18패 승점 38점, GF 37 - GA 53, GD -16)
전반기 10라운드까지 상위권에 오른 FCK였으나 전반기 후반부의 충격적인 6연패로 하위권으로 쳐졌으며 이후 동력을 잃어버렸던 시즌이었다. [11위 = SV 07 엘버스베르크] (12승 7무 15패 승점 43점, GF 49 - GA 63, GD -14)
[12위 = 1. FC 뉘른베르크] (11승 7무 16패 승점 40점, GF 43 - GA 64, GD -21)
[13위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1승 6무 17패 승점 39점, GF 59 - GA 64, GD -5)
[14위 = 1. FC 마그데부르크] (9승 11무 14패 승점 38점, GF 46 - GA 64, GD -8)
[15위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11승 5무 18패 승점 38점, GF 37 - GA 53, GD -16)
이후 후반기 중반부였던 FC 한자 로스토크와 VfL 오스나브뤼크(25R)를 잡아내며 강등권에서 탈출할 동력이 만들어졌으며 리그 상위권을 달리던 홀슈타인 킬 원정에서의 승리와 다음 경기였던 1. FC 마그데부르크전 승리가 3.리가로의 강등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시즌이었다.
그러나 부진한 성적으로 여러 명의 감독을 선임 및 해임하는 촌극을 빛었으며 프리트헬름 풍켈 감독이 시즌을 마치고 사임하며 다시 감독을 구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4.4.2.2. DFB-포칼
1라운드에서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남서부) 소속인 FC 로트바이스 코블렌츠를 만나 보이드의 선취골과 니에후에스의 추가골에 힘입어 5:0으로 완파하며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2라운드 상대는 1.분데스리가 소속의 1. FC 쾰른.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에서 펼쳐진 이번 경기에서 전반 18분만에 타키에의 슈팅이 KOE의 휘바스의 발에 맞고 들어가며 기분 좋은 선제 득점에 성공하며 전반을 1:0으로 앞서며 마무리지었다. 이어 후반전에는 시작 2분만에 마를론 리터의 방향을 돌려놓는 영리한 로빙 패스로 벌어진 공간으로 레돈도가 쇄도하며 드리블에 이은 슈팅으로 2번째 득점에 성공하며 2:0으로 점수차를 벌렸다.
그리고 후반 20분에는 휘바스의 파울로 얻어낸 프리킥을 리터가 원바운드 슈팅으로 성공시키며 3:0으로 앞서나가며 승기를 잡았다.
그러나 KOE의 마르텔이 퇴장당한 가운데 쾰른의 카인츠의 프리킥에 이은 혼전 상황에서 틸만에게 만회골을 허용하였고 이어 우트의 헤더로 3:2로 추격을 허용하고 말았다. 결국 마르텔이 퇴장당한 가운데 분전을 펼친 쾰른의 추격을 막아내며 3:2로 승리,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DFB-pokal 2023/24 2R VS KOE
3라운드에서는 같은 2.분데스리가 소속의 1. FC 뉘른베르크를 만나 후반 중후반 연이어 나온 타키에와 아체의 득점에 힘입어 뉘른베르크를 2:0으로 제압하고 4라운드(8강)에 진출하였다. DFB-pokal 2023/24 3R VS FCN
8강(4라운드) 상대는 같은 2.분데스리가 소속의 헤르타 BSC.
전반 5분만에 얻은 프리킥 기회에서 헤르타의 클리어링을 다시 크로스로 이으며 엘베디가 선취골을 만들어냈으며 전반 37분 BSC의 게르스베크의 골킥을 속공으로 연결하며 타키에가 추가골을 넣으며 승세를 굳혔다. 이후 후반에는 칼로스의 득점까지 나오며 리즈가 후반 추가 시간 1골을 만회하는데 그친 헤르타에 3:1로 승리하며 4강을 확정지었다. DFB-pokal 2023/24 4R VS BSC
4강(5라운드)에서는 돌풍의 팀이며 3.리가 소속의 1. FC 자르브뤼켄을 상대하게 되었다.
루트비히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펼쳐진 이번 4강전에서 후반 8분, 투레의 크로스를 리터가 헤더로 마무리 지으며 선취골을 기록하였고 후반 30분에는 이번에는 투레가 푸하치의 프리킥을 헤더로 결정지으며 2:0의 완승을 거두었다. DFB-pokal 2023/24 semi finale VS SBR
2002/03 DFB-포칼에서 SV 베르더 브레멘를 3:0으로 완파하고 결승에 진출한지 21년만의 결승 진출.
결승 상대는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를 4강전에서 4:0으로 완파하고 결승에 올라온 바이어 04 레버쿠젠.
풍켈 감독은 4-1-4-1을 내세웠다. 크랄이 골문을 지켰고 푸하치-토미악-엘베디-졸린스키가 4백을 이루었다. 미드필더는 칼로츠(CDM)의 위로 레돈도(LM)-라슐(LAM)-리터(RAM)-짐머(RM)의 조합. 원톱은 한슬라크.
전반 17분, 자카에게 선취골을 내주었으나 전반 44분 LEV 코수누의 퇴장을 기회로 반전을 노렸으나 결국 0:1로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만족해야했다. 점유율 39%:61%, 슈팅(유효) 7(2):14(4)의 기록. DFB-pokal 2023/24 finale VS LEV
4.4.2.3. 시즌 성적 요약
2. 분데스리가 | 13위 34전 11승 6무 17패 (59득점 64실점, GD -5) |
DFB-포칼 | 준우승 6전 5승 1패 (15득점 4실점, GD +11) |
합산 성적[PS/N] | 승률 40% 40전 16승 6무 18패 (74득점 68실점, GD +6) |
4.4.3. 2024-25 시즌
지난 시즌 리그 13위에 그쳤으며 4명의 감독이 팀을 지도했던 카이저슬라우테른.또한 시즌을 끝으로 프리트헬름 풍켈 감독이 지휘봉을 내려놓았기에 다시 새로운 감독을 선임하게 되었다. 새로운 감독은 SV 다름슈타트 98, SV 베르더 브레멘 및 SG 디나모 드레스덴의 감독을 맡았던 마르쿠스 안팡.
카이저슬라우테른은 수비형 미드필더 율리안 니위스가 분데스리가의 1. FC 하이덴하임으로 자유 이적하였으며 라이트백 필리프 헤르처는 1. FC 마그데부르크로 이적하는 전력 공백이 발생하였다. 또한 1. FC 우니온 베를린 소속으로 임대 영입하여 지난 시즌 13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한 레프트백 티모테우시 푸하치도 원 소속팀으로 돌아갔다.
이외 서브 골리 로빈 히멜만이 카를스루어 SC로 이적하였으며 중앙 공격수 렉스 타이거 로비저는 3.리가 빅토리아 쾰른으로 자유 이적하였다.
이와 같은 전력 공백을 극복하기 위해 FC 잉골슈타트 04에서 공격 자원 야니크 마우제를 60만 유로에 영입하였으며 센터백 야니스 호이어와 막시밀리안 바우어를 SC 파더보른과 FC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영입하며 수비력을 보강하였다.
또한 체코 출신의 중앙 미드필더 필리프 칼록을 FC 바니크 오스트라바에서 약 43만 유로에 영입하였으며 라이트백 얀 가마라와 레프트백 에릭 베케서를 나란히 1. FC 뉘른베르크에서 영입하여 풀백을 보강하였다.
이외 수비형 미드필더 유망주인 팀 브라이트하우프트를 FC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임대 영입하였으며 윙어 요코타 다이스케를 벨기에 KAA 헨트에서 임대하였다.
지난 시즌의 부진을 딛고 부상할 수 있을지 기대와 걱정이 공존하는 시즌.
4.4.3.1. 2.분데스리가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2024-25 2.분데스리가 | |||||||||||||||||
전반기 | |||||||||||||||||
R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팀 | ULM | SGF | PRM | BSC | H96 | HSV | REG | ELV | SCP | F95 | FCM | FCN | EBS | S04 | KSC | SVD | KÖE |
구장 | A | H | A | H | A | H | A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득 | 2 | 2 | 1 | 3 | 1 | 2 | 0 | 0 | 3 | 4 | 2 | 0 | 3 | 3 | 3 | 1 | 0 |
실 | 1 | 2 | 0 | 4 | 3 | 2 | 0 | 1 | 0 | 3 | 2 | 0 | 2 | 0 | 1 | 5 | 1 |
결과 | 승 | 무 | 승 | 패 | 패 | 무 | 무 | 패 | 승 | 승 | 무 | 무 | 승 | 승 | 승 | 패 | 패 |
승점 | 3 | 4 | 7 | 7 | 7 | 8 | 9 | 9 | 12 | 15 | 16 | 17 | 20 | 23 | 26 | 26 | 26 |
TD[Td] | +1 | +1 | +2 | +1 | -1 | -1 | -1 | -2 | +1 | +2 | +2 | +2 | +3 | +6 | +8 | +4 | +3 |
순위 | 8 | 6 | 5 | 10 | 10 | 10 | 11 | 12 | 11 | 10 | 10 | 10 | 9 | 3 | 2 | 6 | 10 |
후반기 | |||||||||||||||||
R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팀 | ULM | SGF | PRM | BSC | H96 | HSV | REG | ELV | SCP | F95 | FCM | FCN | EBS | S04 | KSC | SVD | KÖE |
구장 | H | A | H | A | H | A | H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득 | 2 | 4 | 2 | 1 | 0 | 0 | 3 | 1 | 3 | 3 | 0 | 1 | 0 | 2 | |||
실 | 1 | 2 | 1 | 0 | 0 | 3 | 0 | 1 | 5 | 1 | 2 | 2 | 2 | 1 | |||
결과 | 승 | 승 | 승 | 승 | 무 | 패 | 승 | 무 | 패 | 승 | 패 | 패 | 패 | 승 | |||
승점 | 29 | 32 | 35 | 38 | 39 | 39 | 42 | 43 | 43 | 46 | 46 | 46 | 46 | 49 | |||
TD[Td] | +4 | +6 | +7 | +8 | +8 | +5 | +8 | +8 | +6 | +8 | +6 | +5 | +3 | +4 | |||
순위 | 6 | 4 | 4 | 3 | 3 | 3 | 2 | 3 | 4 | 3 | 4 | 6 | 7 | 7 |
개막전 상대는 지난 시즌 3.리가 우승 팀인 SSV 울름 1846.
안팡 감독은 4-3-3으로 나섰다. 골리 크랄을 시작으로 베케서-호이어-엘베디-치머가 4백을 이루었고 리터-토미악-칼로치가 미드필더에 나섰다. 공격은 오포쿠-한슬라크-타치가 나섰다.
그러나 시작은 좋지 않아 전반을 득점 없이 마쳤으나 후반 초반 ULM 히글에게 먼저 실점하였다. 이후 후반 30분 얻어낸 페널티 킥을 토미악이 성공시키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고 오포쿠의 후반 37분 역전골이 나오며 울름에 2:1로 어렵게 승리하고 개막전 승리를 거두었다.
홈으로 돌아온 2라운드에서는 지난 시즌 중상위권을 기록한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와 경기를 펼쳐 2:2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전반 SGF의 그린과 푸트케우에게 연이어 실점하였으나 전반전 추가 시간 한슬라크가 추격골에 성공하며 전반을 마쳤고 후반 38분 아체의 동점골로 무승부를 만들었다.
3라운드에서는 다시 이번 시즌 2.분데스리가로 승격한 SC 프로이센 뮌스터를 상대로 1:0으로 어렵게 승리하였다.
4라운드 헤르타 BSC와의 홈 경기에서는 난타전을 벌였으나 루카 슐러에게 멀티 실점하더니 후반 33분 퀴장스에게 결승골을 내어주며 3:4의 패배를 기록하였다. 이어진 5라운드 하노버 96 원정에서는 1:1의 동점을 만들었으나 후반 크리스티안센과 몬주 모룰루에게 실점하며 1:3의 완패를 기록하였다.
6라운드 함부르크 SV와의 홈 경기에서는 2:1로 앞서며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후반 48분 다비 젤케에게 실점하며 아쉬운 2:2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a3hsxpNa54
승격팀 SSV 얀 레겐스부르크와의 7라운드 원정 경기에서는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
8라운드 SV 07 엘버스베르크 원정에서는 전반을 실점없이 마쳤으나 후반 20분 ELV의 다마르에게 실점하며 0:1로 아쉽게 패하였다.
홈으로 돌아온 9라운드 SC 파더보른 07과의 경기에서는 전반 29분 아체의 득점으로 앞섰고 후반전 지르히와 리터의 추가 득점이 나오며 SCP에 3:0의 완승을 거두었다. 다시 10라운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의 홈 경기에서는 난타전을 벌여 4:3으로 승리하였다. 한슬라크의 멀티 득점과 요코타 및 아체의 득점이 나오며 승리.
이어 1. FC 마그데부르크와 1. FC 뉘른베르크에 연이어 무승부를 기록하며 중반부로 접어들고 있다. 12라운드까지의 전적은 4승 5무 3패로 승점 17점이며 중간 순위는 10위. 지난 시즌보다는 좋아진 성적이었다.
13라운드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와의 홈 경기에서는 칼로치와 아체, 한슬라크로 이루어진 3득점이 전반전에 나오더니 추반전에는 2실점하였으나 끝내 역전을 허용하지 않고 3:2로 승리하고 시즌 5승째를 거두었다.
이어 이번 시즌 중하위권으로 처진 FC 샬케 04 원정에 나서 아체의 전반 11분 선제 득점으로 앞서나갔으며 후반 한슬라크와 요코타의 추가 득점이 연이어 나오며 샬케에 3:0의 완승을 거두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8lDD0wdmMU
카를스루어 SC와의 2.분데스리가 15라운드에서는 3:1로 승리하고 3연승을 달렸다. 승점 26점을 확보하였으며 중간 순위 2위까지 순위가 올랐다.
그러나 16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 원정에서는 SVD 코레도르와 혼비에게 멀티 골을 내어주며 1:5의 완패를 기록하였다. 후반 38분 한슬라크가 뒤늦은 추격골을 터트렸으나 역부족이었던 경기.
전반기 마지막 경기였던 지난 시즌 1.분데스리가 강등 팀 1. FC 쾰른과의 경기에서는 전반 32분 쾰른의 류비치치에게 실점하며 0:1의 아쉬운 패배를 기록하였다. 전반기 성적은 7승 5무 5패로 승점 26점이며 중간 순위 10위까지 떨어졌다.
다만 선두 1. FC 쾰른의 승점 31점과는 불과 5점차이며 3위 함부르크 SV와는 2점차이기에 상위권 도약의 가능성은 충분한 편.
한편, 겨울 이적 시장에서 센터백 보리스 토미악이 하노버 96으로 이적하였다. 당초 계약 기간은 2024/25 시즌 종료까지 였으나 계약기간 6개월을 남기고 자유 계약으로 풀릴것을 염려한 보드진이 하노버로 30만 유로에 이적 시킨 것.
하노버 96은 현재 2.분데스리가에서 가장 많은 주급을 주는 팀 중 하나인데 팀의 중심으로 활약하던 자원의 이러한 유출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오는 중.
또한 공격 자원 리치몬드 타치가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로 이번 시즌 끝까지 임대를 떠났다.
이러한 어수선한 분위기가 발생하였으나 후반기 첫 경기에서 SSV 울름 1846을 상대로 2:1로 승리하였다.
19라운드에서는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원정에 나서 전반 5분만에 실점하였으나 리터의 동점골로 승부를 원점으로 돌리고 전반을 마쳤다. 그리고 후반전에는 요코타와 칼로치의 득점이 나오더니 후반 추가 시간 아체의 쐐기골로 4:2로 승리하고 2연승을 달렸다.
2.분데스리가 20라운드, SC 프로이센 뮌스터를 상대로는 1:1로 맞선 후반 46분 지르히의 극적인 결승골에 힘입어 PRM에 2:1로 승리하고 3연승을 달렸다. 10위까지 떨어졌던 중간 순위도 어느덧 4위까지 도약하였다.
이어 헤르타 BSC 원정에서는 후반 11분 지르히가 다시 결승골을 만들어내며 1:0으로 신승을 거두고 4연승과 함께 3위에 올랐다.
21라운드까지 11승 5무 5패로 승점 38점을 쌓았으며 선두 1. FC 쾰른과는 단 2점차.
22라운드 하노버 96과의 홈 경기에서는 아쉬운 0:0의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후 리그 선두권을 달리던 함부르크 SV를 상대로 원정에 나섰으나 HSV의 다비 젤케에게 멀티 득점을 허용하며 0:3의 완패를 기록하고 후반기 첫 패배를 안았다.
이어 리그 최하위를 달리던 SSV 얀 레겐스부르크를 상대로 승리하고 이번 시즌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SV 07 엘버스베르크와 무승부를 거두었다. 아체의 득점으로 앞서나갔으나 후반 29분 ELV의 다마르에게 실점하며 1:1로 종료된 경기.
26라운드에서는 SC 파더보른과 난타전을 벌인 끝에 3:5로 패하며 리그 4위로 내려 앉았다. 아체의 후반 15분 3:3 동점골로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으나 연이어 실점하며 패했던 경기. 26라운드까지의 전적은 12승 7무 7패로 승점 43점 이며 선두 1. FC 쾰른과는 승점 4점 차.
2.분데스리가 27라운드에서는 순위 경쟁을 펼치고 있는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를 상대로 1:1로 맞선 후반 28분 아체의 결승골로 앞서 나갔고 후반전 추가 시간 지르히의 추가골로 포르투나에 3:1로 승리하고 다시 4위로 올랐다.
그러나 1. FC 마그데부르크 원정에서 FCM 아틱에게 연이어 실점하며 0:2로 패하였으며 다시 1. FC 뉘른베르크에 1:2로 패하며 중간 순위 6위까지 떨어졌다.
2.분데스리가 30라운드에서는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로 원정에 나섰으나 후반 초반 팀펠만과 필립에게 후반 초반 실점하며 0:2의 패배를 기록하며 3연패의 부진에 삐졌다. 1. FC 쾰른과 함부르크 SV가 여전히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가운데 1. FC 마그데부르크와 SV 07 엘버스베르크, SC 파더보른 07과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밀린 7위.
결국 분데스리가 승격이 점차 위태로워지자 보드진은 마르쿠스 안팡 감독을 경질하고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를 오랫동안 이끌었으며 SV 다름슈타트 98의 분데스리가 승격을 이끌었던 토르스텐 리버크네히트를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하였다.
리버크네히트 감독이 이끌고 첫 경기에서 리그 중하위권을 달리고 있는 FC 샬케 04를 홈으로 불러들여 경기를 가졌다.
전반 34분 요코타의 선제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S04 실라에게 실점하며 경기가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후 후반 31분 아체의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하고 승점 49점을 확보하였다.
31라운드까지의 전적은 14승 7무 10패로 중간 순위는 7위이며 3위 마그데부르크에 승점 단 1점차로 접근하였기에 남은 경기 결과에 따라 분데스리가 승격의 가능성은 충분한 편.
다음은 2.분데스리가 31라운드 종료 시점 상위권 팀들의 명단과 승점. 1위는 승점 54점의 1. FC 쾰른이며 2위는 승점 53점의 함부르크 SV.
[3위 = 1. FC 마그데부르크] (13승 11무 7패 승점 50), GF 59 - GA 43, GD +16 =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4위 = SV 07 엘버스베르크]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6 - GA 35, GD +21
[5위 = SC 파더보른 07]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2 - GA 42, GD +10
[6위 =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1 - GA 46, GD +5
[7위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4승 7무 10패 승점 49), GF 52 - GA 48, GD +4
[8위 = 카를스루어 SC] (13승 8무 10패 승점 47), GF 50 - GA 51, GD -1
[9위 = 하노버 96] (12승 10무 9패 승점 46), GF 37 - GA 33, GD +4
[10위 = 1. FC 뉘른베르크] (13승 6무 12패 승점 45), GF 54 - GA 51, GD +3
[4위 = SV 07 엘버스베르크]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6 - GA 35, GD +21
[5위 = SC 파더보른 07]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2 - GA 42, GD +10
[6위 =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13승 10무 8패 승점 49), GF 51 - GA 46, GD +5
[7위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14승 7무 10패 승점 49), GF 52 - GA 48, GD +4
[8위 = 카를스루어 SC] (13승 8무 10패 승점 47), GF 50 - GA 51, GD -1
[9위 = 하노버 96] (12승 10무 9패 승점 46), GF 37 - GA 33, GD +4
[10위 = 1. FC 뉘른베르크] (13승 6무 12패 승점 45), GF 54 - GA 51, GD +3
4.4.3.2. DFB-포칼
지난 시즌 DFB-포칼 결승까지 진출하였으나 레버쿠젠에 패하며 우승이 좌절된 카이저슬라우테른.이번 시즌 1라운드 상대는 3.리가 소속의 FC 잉골슈타트 04.
원톱으로 나선 마우제의 멀티 득점 활약으로 전반을 2:0으로 앞섰으나 후반전 초반 자마라의 경고 누적 퇴장이라는 변수가 발생하였다. 결국 FCI 말론에게 후반 42분 실점하였으나 더 이상의 실점없이 2:1로 경기를 마치며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024/25 DFB-pokal round 1 vs FCI
DFB-포칼 2라운드에서는 분데스리가 소속의 VfB 슈투트가르트와 만났다.
골리 크랄을 시작으로 베케서-호이어-엘베디-치머가 4백으로 나섰고 리터와 토미악에 3선에 배치되었다. 2선은 레돈도-요코타-지르히의 조합. 원톱은 아체가 선발로 출전하였다.
그러나 전반 초반부터 퓌리히-크레치히-카라초어-리더로 이루어진 VFB 미드필더진 파훼에 어려움을 겪었고 전반 13분 볼테마데에게 실점하고 말았다.
이후 전반 41분 코너킥 상황에서 VFB 리더의 페널티 박스 내 반칙으로 얻은 페널티 킥을 토미악이 성공시키며 전반을 1:1로 마쳤다. 그러나 후반 중반 퓌리히에게 실점하며 결국 1:2의 패배를 기록하며 포칼 일정을 마무리하였다. 점유율 31%:69%, 슈팅(유효)갯수 7(1):17(7)의 경기 기록. 2024/25 DFB-pokal round 2 vs VFB
4.4.3.3. 시즌 성적 요약
2. 분데스리가 | 위 34전 승 무 패 (득점 실점, GD ) |
DFB-포칼 | 2라운드 탈락 2전 1승 1패 (3득점 3실점, GD 0) |
합산 성적[PS/N] | 승률 % 36전 승 무 패 (득점 실점, GD ) |
5. 울트라스
Westkurve에서의 열성적인 응원
얼마전까지만 해도 3. 리가 소속이었지만 한때 분데스리가 우승 팀답게 팬층이 두텁다.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이라는 3부 리그팀 답지않은 약 5만석의 대규모 구장을 홈구장으로 쓰고 있는데, 이때문인지 3부 리그 시절도 약 3만~4만명에 달하는 관중들이 경기마다 들어선다.
전 세계적으로 약 320개의 팬클럽을 보유하고 있으며 회원 수는 14,000명 이상이다. 그중에서도 Generation Lucifer 라는 그룹이 가장 큰 그룹이며 Frenetic Youth와 Pfalz Inferno 역시 대규모 그룹이다. 이들은 모두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의 서쪽 스탠드인 Westkurve에서 응원을 치르며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 급의 대규모 응원도 심심찮게 보여진다. 특히 이 Westkurve는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에 이어 독일에서 두번째로 큰 입석 스탠드이다.
경기 시작전 You'll Never Walk Alone을 부르는데, YNWA를 부르는 다른 구단들과는 다르게 밴드의 연주없이 팬들의 떼창으로만 이루어진다.
VfB 슈투트가르트 울트라스들과 사이가 좋다. 반대로 TSG 1899 호펜하임과 RB 라이프치히를 굉장히 싫어하는데, 돈으로 성적을 샀다는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 그래서 라우턴에서 라이프치히로 이적한 빌리 오르반이 경기장에 나올때면 야유가 나온다.
6. 라이벌
- SV 발트호프 만하임: 인접한곳에 위치한 만하임과도 라이벌리가 형성되어 있다. 오랫동안 만날일이 없었다가 2019-20 시즌 만하임이 승격하며 만나게 되었다. 라이벌팀 답게 승격하자마자 SVW라고 적힌 훼손된 돼지 시체가 만하임 경기장에서 발견되고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이 있는 베첸베르크에선 동상의 머리가 날라가는 일도 일어났다.
- 그 외에도 카를스루어 SC, 1. FC 자르브뤼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FC 바이에른 뮌헨, 1. FSV 마인츠 05와 라이벌리가 형성되어 있다.
7. 여담
- 팀의 홈 구장인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은 팀의 전설이자, 1954년 서독의 월드컵 우승 당시 주장인 프리츠 발터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이다.[19] 1920년에 지어져 2002년 리모델링해서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도 쓰였다. 참고로 이 양반은 커리어를 이 팀에서만 보낸 걸로도 유명해서 이 동네에는 이 사람의 이름을 딴 맥주가 있을정도. 요즘에 홈플러스 등 수입 맥주를 많이 취급하는 곳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팀명이 너무 길어서 현지에서도 흔히 줄여서 라우테른, 라우턴이라고도 한다.
8. 과거 주요 선수
- 프리츠 발터
- 오트마어 발터
- 베르너 멜처
- 클라우스 토프묄러
- 베르너 리프리히
- 베르너 콜마이어
- 한스페터 브리겔
- 호르스트 에켈
- 미로슬라프 클로제
- 미하엘 발락
- 빌리 오르반
- 케렘 데미르바이
- 케빈 트랍
- 안드레아스 브레메
- 치리아코 스포르차
- 마르틴 바그너
- 올라프 마르샬
- 레나르트 그릴
- 크리스티안 퀼베터
- 플로리안 피크
- 유리 조르카에프
- 코스타스 포르투니스
9. 같이 보기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 | | |
| | | | |
| | | |
[1] #[2] '에프체카'라고 읽는다.[3]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각 지역 리그의 우승자들끼리 경기를 해서 전국 챔피언을 가려내는 방식이었다.[4]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5] 최종전 이기면 살아남을 수 있었던 레버쿠젠과의 단두대매치에서 1-1로 비겨 강등이 확정되자 안드레아스 브레메의 눈물과 독일 국가대표 동료였던 루디 푈러가 그를 위로하는 모습은 보는 이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했다.[6] 이 시즌부터 바뀐 승점 3점제의 희생양이 됐다고 볼 수 있는데 카이저슬라우테른의 6승18무10패는 3점제에서는 36점이지만 2점제에서는 30점으로 9승11무14패, 승점 38점의 성적으로 15위로 턱걸이로 잔류한 FC 장크트파울리보다 높다. 장크트 파울리의 승점을 2점제로 계산하면 29점으로 카이저슬라우테른보다 낮아진다.[7] 다른 유럽 주요 리그를 보면 2차대전 이후 잉글랜드와 프랑스에서 각각 세 번씩 나왔다.[8] 2016-17 시즌 RB 라이프치히가 이 기록에 도전했지만 2위를 기록하였다.[9] 프랑크푸르트는 53점, 쾰른은 50점.[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Td]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PS/N]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19] 클로제도 발터를 본인의 우상으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