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9 01:42:23

FC 장크트파울리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파일:VfL 볼프스부르크 로고.svg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파일:1. FC 쾰른 로고.svg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체코 국기.svg 포트발로바 리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슈퍼 리그파일:헝가리 국기.svg 넴제티 버이녹샤그 I파일:폴란드 국기.svg 엑스트라클라사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수페르리가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프르바리가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컵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Fußball-Club St Pauli von 1910 e. V.
FC 장크트파울리 FC 장크트파울리 II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FC 장크트파울리
FC St. Pauli
<colbgcolor=#624839><colcolor=#fff> 정식 명칭 Fußball-Club St Pauli von 1910 e. V.
별칭 Kiezkicker (이웃의 팀)
Freibeuter der Liga (분데스리가의 해적선)
창단 1910년 5월 15일 ([age(1910-05-15)]주년)[1]
소속 리그 분데스리가 (Bundesliga)
연고지 독일 함부르크 장크트파울리 (Hamburg, St. Pauli)
홈구장 밀레른토어 슈타디온 (Millerntor-Stadion)
29,546명 수용
라이벌 - 함부르크 더비
- 폴리티셰스 더비
회장 파일:독일 국기.svg 오케 괴틀리히 (Oke Göttlich)
단장 파일:독일 국기.svg 안드레아스 보르네만 (Andreas Bornemann)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 알렉산더 블레신 (Alexander Blessin)
수석 코치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페테르 네메트 (Peter Németh)
주장 파일:호주 국기.svg 잭슨 어바인 (Jackson Irvine)
역대 한국인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이영 (2015~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경록 (2014~20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원 (2015~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광인 (2022~2024)
공식 웹사이트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지난 시즌 성적
(2024-25 시즌)
분데스리가 14위
약칭 STP
우승 기록
2. 분데스리가
(2부)

(2회)
1977[2], 2023-24
3. 리가
(3부)

(4회)
1980-81, 1982-83, 1985-86, 2006-07
레기오날리가
(4부)

(4회)
1963-64, 1965-66, 1971-72, 1972-73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타 조엘 치마 (Joel Chima Fujita)
(2025년, From 신트트라위던 VV, 35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독일 국기.svg 필리프 트로이 (Philipp Treu)
(2025년, To SC 프라이부르크, 550만 €)
최다 출장 파일:독일 국기.svg 위르겐 그로나우 (Jürgen Gronau) - 476경기 (1984~1997)
최다 득점 파일:독일 국기.svg 피터 오스터호프 (Peter Osterhoff) - 178골 (1958~1970)
<colbgcolor=#fff,#191919>
골송

1. 개요2. 역사3. 팬 문화
3.1. 반(反)인종주의, 반(反)파시즘3.2. 컬트와 펑크3.3. 라이벌리
4. 홈 구장5. 스쿼드
5.1. 1군5.2. 유소년
6. 여담7. 기타 주요 선수

1. 개요

파일:fc-st-pauli-v-eintracht-frankfurt-dfb-cup-scaled.jpg
Die Freibeuter der Liga(분데스리가의 해적선)
파일:12_St-Pauli_tifo_LGBT_WITTERS_1056265-scaled.jpg
Kiezkicker (이웃의 팀)
파일:20180519-D75_6413.jpg
Kiezkicker and Freibeuter der Liga
독일의 함부르크를 연고로 하는 괴짜 스포츠 클럽. 그러나 그 괴짜성 때문에 인기는 상당하다.

장크트파울리(Sankt Pauli)는 영어 Saint Pauli의 독일어 발음으로 영어 발음은 당연히 세인트 파울리. 이는 기독교의 성인 바울의 이름에서 따왔으며 이후 독일어 발음인 파울리로 변형되어 사용되었으며 함부르크의 한 지역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3] 자세한 내용은 세인트함부르크미테 구의 구역 참고.

여담으로 비슷한 방식으로 이름을 가진 도시는 미국의 세인트루이스(St. Louis)와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 브라질의 상파울루(São Paulo), 오스트리아의 장크트푈텐(St. Pölten) 등 많은 도시가 있으며 특히 브라질의 상파울루는 포르투갈어로 쓰고 발음되는 차이를 제외하면 장크트파울리와 같은 의미를 가진 도시.

장크트파울리는 축구 부서가 가장 유명하지만 축구 뿐 아니라 핸드볼, 미식축구, 럭비, 소프트볼, 사이클, 체스, 탁구, 복싱, 볼링 등 다양한 종목을 운영하는 종합 스포츠 클럽이며 해당 문서에서는 축구 클럽 위주로 서술한다.

이러한 FC 장크트파울리의 연고 지역은 함부르크미테區[4]장크트파울리(Sankt Pauli)로 함부르크의 공창(국가가 허가한 매춘) 구역인 레퍼반(Reeperbahn)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테구의 중심가인 슈피탈슈트라세(Spitalerstraße) 및 함부르크 시청 등과도 가까이에 있다.

장크트파울리의 홈 구장인 밀레른토어 슈타디온에서 가까운 하일리겐가이스트펠트(Heiligengeistfeld)에서는 일명 함부르크 돔이라고 하는 유원지가 생기며 주변 지역은 대학생과 젊은 예술가 및 패션, 음악, 디자인 관련 종사자가 많이 사는 동네.
치안도 안정되어 있으며 유동 인구가 많은 번화가이기에 집세도 꽤 비싸다. 다시 말해 장크트파울리가 연고로 하는 지역은 함부르크 젊은이들의 문화의 중심지인 것과 같으며 한국의 경우로 말하자면 홍대신촌을 연고로 하는 팀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장크트파울리는 공식 1910년 창단되었으나 1907년부터 스포츠 클럽의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축구 부서인 FC 장크트파울리는 현재는 분데스리가 소속으로 경기하고 있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C 장크트파울리/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장크트파울리/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장크트파울리/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팬 문화

3.1. 반(反)인종주의, 반(反)파시즘

이 팀을 독일 축구를 다루면서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는 이유는 이 팀의 독특한 색깔 때문이다.
파일:FC 장크트파울리5.jpg
Wir Lassen Uns Das Dagegensein Nicht Verbieten![5]
이 팀은 독일에서도 유명한 좌파 클럽이다. 이 팀의 목표는 우승보다 사회적인 변혁에 있다. 팀 수뇌부와 서포터가 꿈꾸는 목표는 축구장에 만연한 인종주의와 파시즘을 몰아내는 것이다.

지금도 여전한 곳이 있지만, 1970년대까지만 해도 축구장에는 인종주의와 파시즘이 들끓는 경우가 많았는데, 장크트파울리는 이들과 대적해서 축구장에 평화를 가져오는 것이 궁극적인 팀의 목표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네오 나치, 울트라스, 훌리건을 추종하는 클럽과는 전쟁도 불사한다.
서포터들이 공공연하게 하는 말은 "우리가 거대한 자본에 대항하는 약자로 느껴지는 것이 좋다. 우리는 반(反) 인종주의, 반(反) 파시스트이자 인터내셔널리스트다." 이다. 실제로 구장 바로 옆에 구 나치 시설이 존재하며 현재는 갤러리 및 작업실, 클럽으로 이용하고 있는 중. 이를 K리그의 성남 팬인 샤다라빠가 소개한 적이 있다.

이렇게 모든 종류의 편견과 압제를 적대시하는 구단이며 팬들 또한 강성이라 파시즘적인 분위기의 구단을 상대로 경기를 할때는 육탄전까지 불사한다. 특히 팀이 원하던 원하지 않았던 간에 강성 팬들 대다수가 네오나치인 FC 한자 로스토크와의 경기는 경찰들까지 긴장할 정도로 격렬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경기 결과를 떠나서 경기가 끝나면 양 팀 훌리건이 대치하여 주먹다짐을 벌이고 인명피해가 일어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체 게바라의 사진을 팀 깃발에 넣고 다닐 정도로 대놓고 좌파 성향을 드러내는 클럽.

하지만 팀 로고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육망성 때문에 유대인 구단이라는 오명으로 나치 시절에 엄청난 탄압을 받아왔다. 사실 VfB 슈투트가르트(초창기 이 구단은 아예 육망성기가 크게 그려진 로고였다)나 FC 바이에른 뮌헨도 당시부터 유태인들이 주축인 구단이라 나치에서 엄청 탄압했었다. 그리고 지금도 육망성 로고[6]로 유대인 구단이라는 소리도 듣는다.

그러나 장크트파울리는 정작 유대인 자본의 투자는 거부하고 있는데 이는 거대 자본에 대항하는 이들이 (유대인의 막대한) 돈을 받아들인다는 게 클럽의 정체성과는 맞지 않는 일이기 때문.

FC 장크트파울리는 1910년 창단되었으나 이러한 클럽의 특성상 자연히 자본이 많이 유입되기는 어려웠으며 분데스리가 소속이었던 시즌도 있었으나 2. 분데스리가나 하부 리그에서 있었던 시간이 더 길었다. 클럽 재정상 전력 보강도 쉽지 않았기 때문.
그러나 서포터들의 충성 어린 지원과 함부르크 지역 기반 기업의 후원으로 계속 팀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2. 분데스리가 또는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되었을 때에는 팬들이 모금 운동을 해서 팀을 구원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러한 모금으로 얻은 수익금 일부를 쿠바의 우물 건설 비용으로 보태기도 하였다.

3.2. 컬트와 펑크

아울러 컬트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펑크의 전성기였던 1970~1980년대에는 아예 펑크의 전도사 역할도 자처했다. 덕분에 펑크 밴드들이 그들에게 노래를 헌정한 적도 있다. 응원가 중에서도 펑크 밴드의 노래를 수용하기도 했다. 이들이 입장할 때 울려퍼지는 노래는 AC/DCHells Bells.

그리고 그런 펑크적인 분위기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이 바로 응원 깃발이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라. 모든 독일 서포터들의 공포를 가져오는 포스를 자랑한다.
파일:FC 장크트파울리6.jpg
St Pauli Totenkopf
이러한 특성 때문에 역시 비슷한 성향인 셀틱 FC 서포터들과 친한 편이고, 좌파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빈약한 홈 구장 수용 인원에도 불구하고 서포터는 독일 전역에 걸쳐 11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성적에 비해 독특한 개성 덕분에 그 인지도가 상당한 수준.

같은 연고지를 두고 있는 함부르크 SV[7]와 라이벌이고, 근래 네오 나치들이 서포터의 다수를 점하고 있는 FC 한자 로스토크와도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함부르크 공항 면세점에서도 HSV를 제쳐놓고 장크트파울리의 상품을 취급하는 매대가 있다.

2001/02 시즌에는 분데스리가 21라운드에서 FC 바이에른 뮌헨를 상대로 2:1로 승리했던 전적이 있었다. 당시 바이에른 뮌헨은 인터컨티넨탈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었다. 장크트파울리는 이 경기 승리 이후 자신들을 세계 챔피언을 물리친 자들(Weltpokalsiegerbesieger)이라 칭하며 이를 기념했으며, 기념 티셔츠도 제작했다.Weltpokalsiegerbesieger T-Shirt

3.3. 라이벌리

3.3.1. vs 함부르크 SV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FC 장크트파울리
FC St. Pauli
함부르크 SV
Hamburger SV
  • 앞서 언급한 과와 같이 같은 함부르크를 연고로 하는 함부르크 SV와는 함부르크의 대표 축구팀의 자존심을 걸고 라이벌리를 갖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함부르크 더비 참고.

3.3.2. vs FC 한자 로스토크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FC 장크트파울리
FC St. Pauli
FC 한자 로스토크
FC Hansa Rostock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로스토크를 연고로 하는 FC 한자 로스토크와는 일명 Politisches Derby(정치적 더비)로 묶인다.

    FC 장크트파울리는 반 인종주의, 반 파시즘, 친 LGBT를 적극적으로 지향하는데 반해 FC 한자 로스토크는 구 동독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지역적 배경을 기반으로 네오나치가 울트라스의 다수를 점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비슷한 배경과 환경을 가진 SG 디나모 드레스덴이나 1. FC 마그데부르크 등도 마찬가지.

    다만 이들 구단 자체는 네오나치를 배척하며, 강경파 울트라스로 인해 골머리를 썩는다는 점에서 FC 장크트파울리와 속성이 다르다. 그 중 로스토크가 FC 장크트파울리의 연고지 함부르크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만큼 두 클럽의 서포터는 빈번히 충돌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폴리티셰스 더비 참고.

3.3.3. FC 장크트파울리 + 셀틱 FC + PSV 에인트호번 vs 함부르크 SV + 레인저스 FC + AFC 아약스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파일:셀틱 FC 로고.svg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FC 장크트파울리
FC ST. Pauli
셀틱 FC
Celtic F. C.
PSV 에인트호번
PSV. Eindhoven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파일:레인저스 FC 로고.svg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함부르크 SV
Hamburger SV
레인저스 FC
Rangers FC
AFC 아약스
AFC Ajax

4. 홈 구장

홈 구장은 밀레른토어 슈타디온으로 밀레른토어(Millerntor)는 함부르크에서 가장 서쪽에 있었던 성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이전 명칭은 당시 클럽 회장을 역임하였던 빌헬름 코흐의 이름을 딴 빌헬름 코흐 위키피다아 참고 빌헬름 코흐-슈타디온(Wilhelm-Koch-Stadion).

자세한 내용은 밀레른토어 슈타디온 참고.

5. 스쿼드

5.1. 1군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FC 장크트파울리 1군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FC 장크트파울리 2025-26 시즌
등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독일 국기.svg GK 벤 폴 Ben Voll
2 파일:그리스 국기.svg DF 마놀리스 살리아카스 Manolis Saliakas
3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DF 카롤 메츠 Karol Mets
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DF 다비드 네메트 David Nemeth
5 파일:독일 국기.svg DF 하우케 발 Hauke Wahl
6 파일:미국 국기.svg MF 제임스 샌즈 James Sands [a]
7 파일:호주 국기.svg MF 잭슨 어바인 Jackson Irvine 주장
8 파일:스웨덴 국기.svg DF 에리크 스미스 Eric Smith
9 파일:감비아 국기.svg FW 압둘라이 시세이 Abdoulie Ceesay
10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FW 다넬 시나니 Danel Sinani
11 파일:폴란드 국기.svg DF 아르카디우시 피르카 Arkadiusz Pyrka
14 파일:웨일스 국기.svg DF 핀 스티븐스 Fin Stevens
16 파일:일본 국기.svg MF 후지타 조엘 치마 Joel Chima Fujita
1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MF 다포 아폴라얀 Dapo Afolayan
18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FW 스콧 뱅크스 Scott Banks
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W 마르테인 카르스 Martijn Kaars
20 파일:스웨덴 국기.svg MF 에리크 알스트란드 Erik Ahlstrand
21 파일:독일 국기.svg DF 라르스 리츠카 Lars Ritzka
22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GK 니콜라 바실 Nikola Vasilj
23 파일:독일 국기.svg DF 루이스 오피 Louis Oppie
24 파일:호주 국기.svg MF 코너 멧칼프 Connor Metcalfe
25 파일:폴란드 국기.svg DF 아담 주비가와 Adam Dźwigała
2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FW 리키제이드 존스 Ricky-Jade Jones
27 파일:베냉 국기.svg FW 앙드레아스 우통디 Andréas Hountondji [b]
2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마티아스 페레이라 라즈 Mathias Pereira Lage
3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GK 지몬 슈파리 Simon Spari
3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DF 야닉 로바치 Jannik Robatsch
38 파일:독일 국기.svg FW 로메오 아이그베카엔 Romeo Aigbekaen
42 파일:독일 국기.svg MF 마르빈 슈미츠 Marwin Schmitz
<colbgcolor=#624636> 구단 정보
회장: 오케 괴틀리히 / 감독: 알렉산더 블레신 / 홈 구장: 밀레른토어 슈타디온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8월 22일

[a] 뉴욕 시티 FC에서 임대[b] 번리 FC에서 임대

}}}}}}}}} ||

5.2. 유소년

파일:csm_149847-Logo-Junioren-Bundesliga_ea1f00879c.png
2022-23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파일:베를린 AK 07 로고.svg
파일:VfL 볼프스부르크 로고.svg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파일:FC 빅토리아 1889 베를린 로고.svg
파일:SV 메펜 1912 로고.svg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파일:헤르타 첼렌도르프 로고.svg
파일:FC 에네르기 코트부스 로고.svg
파일:하노버 96 로고.svg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 ||

6. 여담

  • 2025/26 시즌 기준으로 분데스리가 소속으로 10 시즌 소속되었으며 2. 분데스리가 소속으로는 32시즌에 걸쳐 경기하여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에 이은 2. 분데스리가 누적 승점 2위 및 경기 수 2위(1130 경기)를 기록하고 있다. 승점 및 경기 수 3위는 30시즌에 걸쳐 1056 경기를 가진 하노버 96.
  •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깊은 클럽으로 함부르크 외곽 지역에 거주하는 불법 거주자 및 이민자들은 함부르크 SV 대신 FC 장크트파울리를 응원하는 경우가 많다.
  • 밀레른토어 슈타디온에는 팬들이 그린 수 많은 그래피티가 그려져 있으며 항구 도시 함부르크의 특징에 걸맞에 경기장 입구에는 큰 닻이 입구에 있다. 또한 세계대전 기간인 1914~1918년과 1939~1945년이 쓰여진 대형 석조물이 있다.
jahr100elf St. pauli

LS
프란츠 게르버(Franz Gerber)
Wp 참고
RS
피터 오스터호프(Peter Osterhoff)
Wp 참고
LM
하랄트 스텐더(Harald Stender)
Wp 참고
LCM
위르겐 그로나우(Jürgen Gronau)
Wp 참고
RCM
토마스 메글(Thomas Meggle)
Wp 참고
RM
미셸 마징구-딘제이(Michél Mazingu-Dinzey)
Wp 참고
LB
디르크 다만(Dirk Dammann)
Wp 참고
LCB
칼 밀러(Karl Miller)
Wp 참고
RCB
월터 프로쉬(Walter Frosch)
Wp 참고
RB
앙드레 트룰센(André Trulsen)
Wp 참고
GK
클라우스 톰포데(Klaus Thomforde)
Wp 참고

7. 기타 주요 선수


[1] #[2] 2.분데스리가 북부 시절[3] ~i로 끝나는 어미는 라틴어 문법에서 소유격으로 사용되었는데 세인트 파(바)울리는 성 바울의 ~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해당 이름을 가진 교회가 건립되었으며 수호성인으로 기독교가 뿌리를 내린 여러 지역의 지명에도 사용되었다.[4] Hamburg-Mitte로 직역하면 함부르크 중구(中區).[5] 누구도 우리가 이에 반대하는 것을 막지 못하게 할 것이다.[6] 육망성 하면 무작정 유대교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이슬람교 마스지드(모스크) 유리창이나 건물에 새겨진 문양에도 얼마든지 6망성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아프리카 부룬디는 6망성을 3개나 넣은 국기를 쓰고 있듯이 많이 쓰이고 있다. 미국 연방보안청 로고도 육망성을 모델로 하고 있다.[7] 얄궂게도 HSV의 홈구장은 함부르크 중심가에서 장크트파울리를 지나 알토나 구 외곽에 빠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