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16:33:13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파일:CR 플라멩구 심볼.svg
CR 플라멩구 2025 시즌 스쿼드
1 로시 · 2 바렐라 · 3 L. 오르치스 · 4 레오 페레이라 · 5 에리크 · 6 아이르통 루카스 · 7 L. 아라우주
8 사울 · 9 페드루 · 10 데 아라스카에타 · 11 에베르통 · 13 다닐루 · 16 S. 리누 · 17 비냐 · 18 데 라 크루스
19 로항 · 20 마테우스 G. · 21 조르지뉴 · 22 E. 로얄 · 23 주니뉴 · 25 마테우스 쿠냐 · 26 [[알렉스 산드루|산드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2232a; font-size: .8em"]]
27 [[브루누 엔히키|B. 엔히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2232a; font-size: .8em"]] · 29 알랑 · 30 미샤에우 · 33 클레이통 · 42 산티아고 · 50 플라타 · # 파블루
파일:CA2021 Brazil.png 필리페 루이스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히오르히안 데아라스카에타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브라질레이루 세리 A 로고.svg
2018 · 2019 · 2022 · 2023
2018 FIFA 푸스카스상
수상
모하메드 살라
2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3위
히오르히안 데아라스카에타
2020 FIFA 푸스카스상
수상
손흥민
2위
히오르히안 데아라스카에타
3위
루이스 수아레스
}}} ||
파일:1756835991.webp
<colbgcolor=#c3281e><colcolor=#ffffff> CR 플라멩구 No. 10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Giorgian de Arrascaeta
본명 조르잔 다니엘 데아라스카에타 베네데티
Giorgian Daniel de Arrascaeta Benedetti
출생 1994년 6월 1일 ([age(1994-06-01)]세)
우루과이 리오네그로주 누에보베를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루과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루과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
신체 172cm / 체중 67kg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3],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c3281e><colcolor=#fff> 유스 데펜소르 스포르팅 (2007~2012)
선수 데펜소르 스포르팅 (2012~2014)
크루제이루 EC (2015~2018)
CR 플라멩구 (2019~ )
국가대표 56경기 12골[4] (우루과이 / 2014~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3281e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3281e><colcolor=#fff> 후원사 나이키
등번호 데펜소르 스포르팅 - 10번, 27번
크루제이루 EC - 11번, 10번
CR 플라멩구 - 10번[5], 14번[6]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10번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우루과이 국적의 CR 플라멩구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2. 클럽 경력

우루과이의 명문 데펜소르 스포르팅 유스 출신으로 실력을 인정받아 브라질 리그로 건너갔고, 크루제이루 EC에서도 좋은 활약을 바탕으로 명문팀 CR 플라멩구로 이적하였다.

2023시즌 52경기 11골 10도움을 기록하였다.
2024시즌 43경기 10골 10도움을 기록하였다.
2025시즌 8월 14일 기준으로 38경기 14골 9도움을 기록중이다.

현재 플라맹구에서 뛴 7시즌중[7] 무려 5시즌이나 10-10을 기록하며 매우 좋은 활약을 하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우루과이 U-20에 출장하여 2013년 U-20 월드컵 준우승과 남아메리카 U-20 챔피언십에서 3위를 하고 2014년 9월 A대표팀에 데뷔했다. 2018년 월드컵 엔트리에 포함되어 러시아에 가기도 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예선에서 중요한 득점을 기록하여 조국을 본선에 올려놓았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8] H조 1차전, 2차전에는 웬일인지 선발 출전을 하지 못했고, 3차전 가나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멀티골을 기록하였지만 팀의 16강 진출을 돕지는 못하였다.[9][10]

4. 플레이 스타일

남미 리그 탑급의 온더볼 퀄리티를 보유한 우루과이산 플레이메이커. 공을 다루는 능력이 좋고 기본기가 상당히 잘 잡혀있어, 공을 가지고 있을 때의 드리블링, 키패스, 슈팅 등을 바탕으로 공격 상황에서의 영향력이 상당하다. 압박이 삼한 2선 중앙에서 뛰어난 드리블 스킬과 민첩한 턴 동작을 바탕으로 압박을 벗겨내고 스루패스를 보내줄 수 있다.

무엇보다,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데 아라스카에타에게 가장 돋보이는 것은 그의 매우 뛰어난 킥 퀄리티가 꼽힌다. 페널티 박스 안팎을 가리지 않고 강력한 슈팅을 구사할 수 있으며, 세트피스 키커를 맡을 만큼 정교함도 갖추고 있다. 여담에서 서술했듯이 아크로바틱한 골을 자주 만들어내는 원더골 제조기인데, 푸스카스상 후보에 2번 올라와 2번 모두 순위권을 차지했을 정도. 기회를 창출하는 것에 주력하는 공격형 미드필더임에도 박스 안으로 침투해 득점을 받아먹는 움직임도 상당히 좋다.

5. 여담

  • 원더골 제조기로, 푸스카스상 순위권에 2번이나 들었다. 2018년에 3위, 2020년엔 2위를 기록했다. 2020년에는 페널티 라인에서 터뜨린 오버헤드킥으로 팬 투표에서는 1위를 기록했으나 전문가 투표에서 3위에 그치며, 팬 투표 2위, 전문가 투표 1위를 기록한 손흥민에게 밀려 수상에 실패했다.
  • 에이전트는 대표팀 선배인 다니엘 폰세카이다.

6. 같이 보기

파일:CR 플라멩구 로고.svg
CR 플라멩구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CR 플라멩구 2025 시즌 스쿼드
등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비고
1 GK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구스틴 로시 Agustín Rossi 1995.08.21.
2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기예르모 바렐라 Guillermo Varela 1993.03.24.
3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레오 오르치스 Léo Ortiz 1996.01.03.
4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레오 페레이라 Léo Pereira 1996.01.31.
5 MF 파일:칠레 국기.svg 에릭 풀가르 Erick Pulgar 1994.01.15.
6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이르통 루카스 Ayrton Lucas 1997.06.19.
7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이스 아라우주 Luiz Araújo 1996.06.02.
8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사울 니게스 Saúl Ñíguez 1994.11.21.
9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드루 Pedro 1997.06.20.
10 M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Giorgian de Arrascaeta 1994.06.01.
11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에베르통 소아리스 Everton Soares 1996.03.22.
13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다닐루 Danilo 1991.07.15.
16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사무엘 리누 Samuel Lino 1999.12.23.
17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마티아스 비냐 Matías Viña 1997.11.09.
18 M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니콜라스 데라크루스 Nicolás de la Cruz 1997.06.01.
19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로항 Lorran 2006.07.04.
20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테우스 곤사우베스 Matheus Gonçalves 2005.08.18.
21 M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르지뉴 Jorginho 1991.12.20.
22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에메르송 로얄 Emerson Royal 1999.01.14.
23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주니뉴 Juninho 1996.11.21.
25 GK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테우스 쿠냐 Matheus Cunha 2001.05.24.
26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알렉스 산드루 Alex Sandro 1991.01.26.
27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누 엔히키 Bruno Henrique 1990.12.30.
29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알랑 Allan 1997.03.03.
30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이클 Michael 1996.03.12.
33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레이통 Cleiton 2003.04.25.
50 FW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곤살로 플라타 Gonzalo Plata 2000.11.01.
52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에베르통 아라우주 Evertton Araújo 2003.02.28.
61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주앙 빅토르 João Victor 2007.01.01.
64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월리스 얀 Wallace Yan 2005.02.08.
<colbgcolor=#d2232a> 구단 정보
회장: 루이즈 에두아르도 밥티스타 / 감독: 필리페 루이스 / 홈구장: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출처: 영어 위키피디아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7월 30일

}}}}}}}}} ||
<rowcolor=#373a3c>
파일: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65353 5%, #212329 5%, #212329 95%, #565353 9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ddd
<rowcolor=#302a27>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세르히오 로셰트
Sergio Rochet
1993년 3월 23일 ([age(1993-03-23)]세) 29 0 파일:브라질 국기.svg SC 인테르나시오나우
12 프랑코 이스라엘
Franco Israel
2000년 4월 22일 ([age(2000-04-22)]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23 산티아고 멜레
Santiago Mele
1997년 9월 6일 ([age(1997-09-06)]세) 2 0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
DF 2 호세 히메네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José Giménez
1995년 1월 20일 ([age(1995-01-20)]세) 90 8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3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José Luis Rodríguez
1997년 3월 14일 ([age(1997-03-14)]세) 2 0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바스쿠 다 가마
6 마르셀로 사라치
Marcelo Saracchi
1998년 4월 23일 ([age(1998-04-23)]세) 7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13 기예르모 바렐라
Guillermo Varela
1993년 3월 24일 ([age(1993-03-24)]세) 19 0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
16 마티아스 올리베라
Mathías Olivera
1997년 10월 31일 ([age(1997-10-31)]세) 24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18 산티아고 부에노
Santiago Bueno
1998년 11월 9일 ([age(1998-11-09)]세) 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산티아고 무리뇨
Santiago Mouriño
2002년 2월 13일 ([age(2002-02-13)]세) 0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야레알 CF
MF 4 니콜라스 폰세카
Nicolás Fonseca
1998년 10월 19일 ([age(1998-10-19)]세) 4 0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레온
5 마누엘 우가르테
Manuel Ugarte
2001년 4월 11일 ([age(2001-04-11)]세) 2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7 니콜라스 데라크루스
Nicolás de la Cruz
1997년 6월 1일 ([age(1997-06-01)]세) 32 5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
8 나이탄 난데스
Nahitan Nández
1995년 12월 28일 ([age(1995-12-28)]세) 64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카디시야 FC
10 히오르히안 데아라스카에타
Giorgian de Arrascaeta
1994년 6월 1일 ([age(1994-06-01)]세) 53 10 파일:브라질 국기.svg CR 플라멩구
14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Emiliano Martínez
1999년 8월 17일 ([age(1999-08-17)]세) 4 0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15 페데리코 발베르데
Federico Valverde
1998년 7월 22일 ([age(1998-07-22)]세) 65 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20 막시밀리아노 아라우호
Maximiliano Araujo
2000년 2월 15일 ([age(2000-02-15)]세) 18 3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 파쿤도 베르날
Facundo Bernal
2003년 8월 21일 ([age(2003-08-21)]세) 0 0 파일:브라질 국기.svg 플루미넨시 FC
- 마르코 오로나
Marco Oroná
2005년 8월 6일 ([age(2005-08-06)]세) 0 0 파일:칠레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 루카스 사나브리아
Lucas Sanabria
2003년 12월 26일 ([age(2003-12-26)]세) 0 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나시오날
FW 9 다르윈 누녜스
(Darwin Núñez)
1999년 6월 24일 ([age(1999-06-24)]세) 31 1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11 파쿤도 펠리스트리
(Facundo Pellistri)
2001년 12월 20일 ([age(2001-12-20)]세) 30 2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17 호아킨 라베가
Joaquín Lavega
2005년 2월 3일 ([age(2005-02-03)]세) 0 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CA 리버 플레이트
19 루시아노 로드리게스
(Luciano Rodríguez)
2003년 7월 16일 ([age(2003-07-16)]세) 4 0 파일:브라질 국기.svg EC 바이아
21 파쿤도 토레스
(Facundo Torres)
2000년 4월 13일 ([age(2000-04-13)]세) 19 1 파일:브라질 국기.svg SE 파우메이라스
22 마티아스 아발도
(Matías Abaldo)
2004년 4월 2일 ([age(2004-04-02)]세) 0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힘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라플라타
- 크리스티안 올리베라
(Cristian Olivera)
2002년 4월 17일 ([age(2002-04-17)]세) 10 0 파일:브라질 국기.svg 그레미우
- 파블로 수아레스
(Pablo Suárez)
2005년 11월 14일 ([age(2005-11-14)]세) 0 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몬테비데오 원더러스 FC
일정 2026 월드컵 지역예선 2024년 10월 11일(금) 원정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2024년 10월 15일(화)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


1 로셰트 · 2 히메네스 · 3 카세레스 · 4 R. 아라우호 · 5 우가르테 · 6 벤탄쿠르 · 7 데라크루스 · 8 난데스 · 9 수아레스 · 10 데아라스카에타
11 펠리스트리 · 12 멜레 · 13 바렐라 · 14 카노비오 · 15 발베르데 · 16 M. 올리베라 · 17 비냐 · 18 로드리게스
19 누녜스 · 20 M. 아라우호 · 21 마르티네스 · 22 마리찰 · 23 이스라엘 · 24 올라사 · 25 C. 올리베라 · 26 오캄포
파일:UEFA ARG.png 마르셀로 비엘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12329; font-size: 0.8em;" 파일:UEFA ARG.png 루카스 우비냐 · 파일:UEFA ARG.png 파블로 퀴로가 · 파일:UEFA CHI.png 디에고 레예스

[1] 아버지가 이탈리아계[2] 어머니가 스페인계[3] 메짤라로도 뛸 수 있다.[4] 2025년 9월 5일 기준[5] 2023-24~[6] 2018-19~2022-23[7] 2025시즌 포함[8] 32개국 본선 진출[9] 당시 우루과이한국포르투갈이 경기하는 도중 같은 시간대에 가나와 경기를 치렀고 2:0으로 승리했지만 동일한 골득실에서 다득점이 대한민국에 밀리는 결과가 나와서 조별리그에서 탈락(20등)했다. 참고로 우루과이가 32강 조별리그 통과에 실패한 것은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2무 1패 대회 26등으로 탈락과 이후 20년 만의 일이었다. (그전에 우루과이는 2006월드컵 32개국 본선에 진출 실패한 적도 있었다.)[10] 여담으로 이 멀티골을 기록한 데 아라스카에타는 이번 대회 우루과이의 유일한 득점자다. 어시스트를 해준 선수 역시 루이스 수아레스로 2도움을 기록하며 우루과이는 공격 포인트를 쌓은 선수가 고작 2명에 불과했을 만큼 공격이 빈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