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1:46:03

남해선

황주홍 철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암-순천\에 대한 내용은 남해고속도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건설 중
}}}}}}}}} ||

<colcolor=#fff><colbgcolor=#0054a6> 남해선(가칭)
南海線 | Namhae Line
파일:남해선.png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노선번호 미정
노선명 미정
종류 미정, 일반철도[1]
영업거리 82.5㎞
궤간 1,435㎜
역수 7
기점 보성역
종점 임성리역[2]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 ATP (ERTMS/ETCS Level 1)
선로최고속도 200㎞/h
선로 수 1
개업일 2025년 6월 예정
1. 개요2. 역 목록
2.1. 일러두기2.2. 목록
3. 역사4. 기대 효과

[clearfix]

1. 개요

파일:보성 임성리 단선전철.jpg
역명 확정 전의 공사 계획도
경전선의 전철화 계획에 따라 보성역 - 임성리역 구간에 추진되는 신선.

2. 역 목록

2.1. 일러두기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

2.2. 목록

※ 관할 지역본부
 ¶ 광주본부 : 보성 ↔ 임성리
※ 전 구간 전라남도 소재.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보 성[3] 寶 城 MN 경전선 보성군
장 동 長 東 장흥군
장 흥 長 興
강 진 康 津 강진군
해 남 海 南 해남군
영암월출 靈巖月出 영암군
82.5 임성리[4] 任城里 m 호남선
호남고속선
목포시

3. 역사

2015년 11월 12일, 보성역 ~ 장동역 ~ 장흥역 ~ 강진역 ~ 해남역 ~ 영암월출역 ~ 임성리역 구간 약 82.5km가 단선비전철로 추진하는 착공식을 가졌다. #

2019년 11월 14일, 강진 출신이자 민주평화당황주홍 국회의원이 임기 당시 본 구간 예산 확보에 노력을 많이 해서, 다른 국회의원들이 "황주홍 철도"라 불렀다. 황주홍이 밝히길 맨 처음 드립을 만든 사람은 이춘석 의원이라고. #

2019년 11월 27일, 단선전철로 사업을 수정하여, 2022년 완공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20년 12월 16일, 무안공항역으로 경유하는 호남고속선과 연결선 부설 추진이 시작되었다. 연결선이 없다면 임성리(목포)역에서 내려서 다시 호남고속선으로 환승을 해야 했을 것이다. #

2022년 6월 12일 기준, 공사가 예정보다 지연되어 2023년 12월로 개통이 연기됐다가 철도 시설물로 인한 통행단절과 공사로 인한 소음에 대한 주민들의 민원으로 공사가 또 지연되어 개통이 1년 더 연기됐다. #1, #2

2023년 9월 23일, 유출된 내부 문서에 따르면, 보성역에서 임성리역 간 철도 노선에 남해안선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계획으로 보인다. 다만 이후 국토부에서 이를 고시하진 않았기 때문에 공식적인 이름은 아니다. # 한편으로는 2024년 2월 목포시 관보에 남해선으로 표기했다.#

2024년 2월 14일, 완도군/해남군/영암군 3개 지자체장들이 정치권에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제주-서울 고속철도(제주 해저터널)' 사업 반영을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을 발표했다. 경전선 상 영암월출역에서 분기를 내어 제주도로 잇자는 구상이다. 해남군은 기존 경전선 해남역 남쪽에 해남의 실제 중심지인 해남군청이 있는 남외리에 역 신설을 주장했으나, 경전선을 우회시켜 해남역과 일치시키자는 주장까진 하지 않았다. #

4. 기대 효과

  • 영암월출역은 영암읍, 삼호, 독천 어느 곳에서도 접근성이 좋지 않다. 영암군에서 인구가 많은 삼호와, 영암군의 교통요충지인 독천 사이에 지어지는데, 국도 변도 아니고 애먼 산쪽 고속도로IC 옆에 역을 놓아서 차후 연계 버스노선 마련이 어렵다.
  • 해남역은 해남읍에서 타 시군 나가는 길목에 역이 놓이지만, 읍내와 최소 12km는 떨어져 택시비가 상당할 예정이다.
  • 장흥역, 강진역이 그나마 시가지에서 1km, 읍내 중앙까지 도보 15분 가량이지만, 읍 반대쪽 끝이라면 걸어가기 애매. 시가지에 버스터미널이 있는데 철도 개통 후 얼마나 승객을 끌어모을지 과제.
  • 목포시에서 보성군까지 기존 교통수단으로 135분이 걸리던 것이 64분까지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 남해고속도로 서영암 - 순천 구간의 수요를 분산할 수 있다.
  • 목포행/순천행 운행계통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5] 이 노선은 단선전철로 건설되지만 보성-순천 구간의 전철화는 2030년으로 예정되어 있어 개통 후 당분간은 보성역에서 환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 광주행 운행계통은 목포나 보성으로 둘러가는 선형이 되어 시외버스 대비 경쟁력이 없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전행은 장거리고 선형도 괜찮아서 경쟁력이 있다.
  • 보성-임성리를 경전선 본선으로 할지, 보성-광주송정을 경전선 본선으로 할지는 미정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남해선이라는 가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쪽이 지선이 될 확률이 높다.[2] 호남선으로 직결하여 목포역까지 운행할 확률이 높다.[3] 경전선만 영업중[4] 호남선만 영업중[5] 서울행 운행계통은 현재 서울에서 남해안선 연선을 잇는 고속/시외버스 노선들이 꽤 있다는 점으로 보아 수요는 어느 정도 있겠지만, 남해안선 자체의 선형이 서울로 향하기에 좋은 선형도 아니고, 현재 계획대로라면 보성역과 임성리역에서 선로가 각각 순천, 목포 방향으로만 연결되기 때문에 따로 삼각선을 건설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열차 진행 방향을 바꿔야 하는 문제가 있어 쉽지 않아 보인다. 예전에 계획되었던 나주-완도간 철도나 제주고속철도를 건설하지 않는 이상 서울 방향으로 향할 때의 노선 우회는 필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