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제2중간기 제13왕조 6대 혹은 9대 파라오 호테피브레 Hotepibre | ||
에블라에서 발견된 호테피브레의 이름이 새겨진 의식용 철퇴 손잡이의 그림 | ||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휘 | 호테피브레 케마우 시하르데제리테프 (Hotepibre Qemau Siharnedjheritef)[1] | |
부왕 | 아메니 케마우[추정] | |
선대 | 아메니 케마우 | |
후대 | 유프니 | |
묘지 | 불명 | |
재위 | 이집트 파라오 | |
기원전 1791년~기원전 1788년 재위기간 1~5년으로 추정 |
1. 개요
이집트 제2중간기 13왕조의 6대 파라오이다. 재위 기간과 연도에 대해 논란이 있으며, 일부 학자는 9대 파라오로 보기도 한다.2. 가계
케마우 시하르네드제리테프(Qemau Siharnedjheritef)라는 완전한 이름의 의미는 “케마우의 아들, 호루스가 아버지를 보호하노라”로 해석되며, 이를 통해 그는 선왕 아메니 케마우의 아들이자 아메넴헤트 5세의 손자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킴 라이홀트(Kim Ryholt)는 그가 이후 유프니에게 왕위를 계승했으며, 유프니는 그의 형제 또는 삼촌이었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유프니의 짧은 통치 이후, 아메넴헤트 5세의 또 다른 손자인 아메넴헤트 6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호테피브레는 1~5년 정도 밖에 안 되는 짧은 통치기간을 가졌기에 남은 기록이 거의 없다. 하지만 아메니 케마우의 아들이자 아메넴헤트 5세의 아들로 즉위했을 가능성이 크고, 그의 형제 또는 삼촌으로 추측되는 유프니가 그를 계승했다고 추측된다. 또한 에블라[3]에서 호테피브레의 이름이 새겨진 의식용 철퇴 손잡이가 발견된 것[4]을 보아 호테피브레때까지는 무역 활동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하이집트 지역의 카타나 지역에서는 프타에게 바쳐진 조각상이[5], 엘-아타울라 지역에서는 호테피브레의 이름이 새겨진 신전 벽 조각[6]이 발견되었다. 또한 최근에 발굴된 텔 엘-다바의 궁전을 호테피브레가 지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입증
호테피브레의 존재는 하이집트와 북레반트와의 교류를 보여주는 여러 고고학적 자료에서 확인된다.3.1. 하이집트
3.1.1. 카타나(Khatana)
프타에게 헌정된 왕좌에 앉은 호테피브레의 이름이 새겨진 좌상이 카타나에서 발견되었으나, 이 조각상이 원래 어디에서 온 것인지는 불명이다.3.1.2. 엘-아타울라(el-Atawla), 신전 벽돌
상이집트의 드주-페트 놈[7] 에 위치한 아시유트 근처의 페르 넴티[8]에서 그의 이름이 새겨진 신전 벽돌이 발견되었으며, 이 벽돌은 현재 카이로 박물관[9]에 보관되어 있다.3.1.3. 텔 엘-다바(Tell el-Dab'a), 궁전
호테피브레는 최근 재발견된 고대 아바리스(Avaris)의 궁전을 건립한 인물로 여겨지기도 한다.3.2. 레반트(Levant)
호테피브레는 현대의 시리아 북부 지역에 위치한 에블라의 "염소의 군주 무덤(Tomb of the Lord of the Goats)" 내부에서 발견된 의식용 철퇴로도 알려져 있다. 이 철퇴는 에블라의 왕 임메야(Immeya)에게 보내진 선물로, 호테피브레와 임메야가 동시대 인물이었음을 시사한다.4. 학설
이집트학자 킴 라이홀트(Kim Ryholt)와 대럴 베이커(Darrell Baker)는 호테피브레를 13왕조의 여섯 번째 파라오로 보며, 기원전 1791년부터 기원전 1788년까지 약 1~5년 정도 재위하였다고 추정한다.[10] 반면, 위르겐 폰 베케라트(Jürgen von Beckerath)와 데틀레프 프랑케(Detlef Franke)는 그를 13왕조의 아홉 번째 파라오로 본다.[1] 뜻은 '케마우의 아들, 그의 권력을 받는 호루스'라는 뜻이다.[추정] [3] 시리아 북부에 위치해있다.[4] 당시 에블라 지역의 통치자였던 임메야에게 준 선물인 것으로 보인다.[5] 해당 조각상은 현재 분실되었다.[6] 카이로 박물관이 소장중이다.[7] 이집트의 행정구역. 드주-페트는 상이집트의 12번째 놈이며, 주도는 히에라콘이다.[8] 현재는 엘-아타울라[9] 임시 번호 Temp 25.4.22.3[10] 가장 가능성이 높은 재위기간은 3년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