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4:56:33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A0522D,#1f202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하이집트 <colbgcolor=#fff,#1f2023>헤주호르 니호르 흐세큐 카유 티우 테시 네헵 와즈너 하트호르 니네이스 | 메크 더블팔콘 워시
상이집트 | 핑거 스네일 피시 엘리펀트 스톡 전갈왕 1세 크로커다일 아이리 호르 전갈왕 2세 나르메르 메네스
제1왕조 나르메르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제트 메르네이트 아네지브 세메르케트 카아 스네페르카 호루스 바
제2왕조 헤텝세켐위 네브라 니네체르 누브네페르 호루스 사 웨네그 와제네스 세네지 세트 페리브센 세케리브 페렌마아트 네페르카레 1세 네페르카소카르 후제파 카세켐위
제3왕조 조세르 세켐케트 사나크테 네브카 카바 세제스 카하제트 후니
제4왕조 스네프루 쿠푸 제데프레 카프레 비케리스 멘카우레 솁세스카프 탐프티스
제5왕조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네페레프레 솁세스카레 니우세르레 멩카우호르 제드카레 우나스
제6왕조 테티 우세르카레 페피 1세 메렌레 1세 페피 2세 메렌레 2세 니토크리스 네체르카레 네페르카 네페르
제7왕조 멩카레 네페르카레 2세 네페르카레 3세 제드카레 셰마이 네페르카레 4세 메렌호르 네페르카민 니카레 네페르카레 5세 네페르카호르
제8왕조 네페르카레 6세 네페르카민 아누 카카레 이비 네페르카우레 네페르카우호르 네페리르카레 와지카레 쿠이케르 쿠이 이체누
제9왕조 케티 1세 네페르카레 7세 네브카우레 케티 세투트 임호텝
제10왕조 메리하토르 네페르카레 8세 와카레 케티 메리카레
제11왕조 멘투호테프 1세 인테프 1세 인테프 2세 인테프 3세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4세
누비아 왕조 세게르세니 카카레 이니 이이브켄트레
제12왕조 아메넴헤트 1세 세누스레트 1세 아메넴헤트 2세 세누스레트 2세 세누스레트 3세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헤트 4세 소베크네페루 세앙크히브타위 세앙크히브라
제13왕조 세켐레 쿠타위 소베크호테프 손베프 네리카레 세켐카레 아메니 케마우 호테피브레 유프니 아메넴헤트 6세 세멘카레 네브누니 세헤테피브레 세와지카레 네제미브레 카앙크레 소베크호테프 렌세네브 호르 세켐레쿠타위 카바우 제드케페레우 세브카이 세제파카레 카이 아메넴헤트 7세 웨가프 켄제르 이미레메샤우 세헤테프카레 인테프 세트 메리브레 소베크호테프 3세 네페르호테프 1세 시하토르 소베크호테프 4세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와히브레 이비아우 메르네페르레 아이 이니 1세 상켄레 세와지투 메르세켐레 이네드 세와지카레 호리 소베크호테프 7세 이니 2세 세와헨레 세네브미우 메르케페레 메르카레 세와자레 멘투호테프 세헤켄레 산크프타히
제14왕조 야크빔 세카엔레 야아무 누부세르레 카레흐 아아호테프레 셰시 네헤시 카케레우레 네베파우레 세헤브레 메르제파레 세와지카레 3세 네브제파레 웨벤레 아위브레 2세 헤리브레 네브센레 셰케페렌레 제드케레우레 산키브레 2세 카케무레 네페리브레 카카레 아카레 아나티 제드카레 베브눔 아페피 누야 와자드 셰네흐 셴셰크 카무레 야카레브 야쿠브-하르
제15왕조 샤렉 셈켐 아페라나트 살리티스 사키르-하르 키얀 야나시 아페피 카무디
제16왕조 제후티 소베크호테프 8세 네페르호테프 3세 멘투호테피 네비리라우 1세 네비리라우 2세 세멘레 베비앙크 세켐레 셰드와스트 데두모세 1세 데두모세 2세 몬투엠사프 메란크흐레 멘투호테프 세누스레트 4세 페피 3세
[[아비도스 왕조|{{{#A0522D 아비도스 왕조}}}]] 세네브카이 웨프와웨템사프 판트제니 스나아이브
제17왕조 라호테프 네브마아트레 소베켐사프 1세 소베켐사프 2세 인테프 5세 인테프 6세 인테프 7세 세나크텐레 아모세 세케넨레 타오 카모세
제18왕조 아흐모세 1세 아멘호테프 1세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멘호테프 2세 투트모세 4세 아멘호테프 3세 아케나톤 스멘크카레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아이 호렘헤브
제19왕조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메르넵타 아멘메세스 세티 2세 십타 투스레트
제20왕조 세트나크테 람세스 3세 람세스 4세 람세스 5세 람세스 6세 람세스 7세 람세스 8세 람세스 9세 람세스 10세 람세스 11세
제21왕조 스멘데스 1세 아메넴니수 프수센네스 1세 아메네모페 대 오소르콘 시아문 프수센네스 2세
제22왕조 셰숑크 1세 오소르콘 1세 셰숑크 2세 타켈로트 1세 오소르콘 2세 셰숑크 3세 셰숑크 4세 파미 셰숑크 5세 오소르콘 4세
제23왕조 하르시에세 A 타켈로트 2세 페디바스테트 1세 셰숑크 6세 오소르콘 3세 타켈로트 3세 루다멘 이니
제24왕조 테프나크트 바켄레네프
제25왕조 피이 셰비쿠 샤바카 타하르카 타누타멘
제26왕조 네코 1세 프삼티크 1세 네코 2세 프삼티크 2세 와히브레 아흐모세 2세 프삼티크 3세
제27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캄비세스 2세 바르디야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2세 소그디아누스 다리우스 2세
제28왕조 아미르타이오스
제29왕조 네파루드 1세 하코르 프삼무테스 네파루드 2세
제30왕조 넥타네보 1세 테오스 넥타네보 2세
제31왕조
(아케메네스 왕조)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세스 카바쉬 | 다리우스 3세
아르게아스 왕조 알렉산드로스 3세 필리포스 3세 알렉산드로스 4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제32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1세 프톨레마이오스 2세 · 아르시노에 2세 프톨레마이오스 3세 · 베레니케 2세 프톨레마이오스 4세 · 아르시노에 3세 프톨레마이오스 5세 · 클레오파트라 1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 클레오파트라 1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프톨레마이오스 6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복위) · 프톨레마이오스 7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클레오파트라 2세 프톨레마이오스 8세 (복위) · 클레오파트라 2세 · 클레오파트라 3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9세 · 클레오파트라 3세 프톨레마이오스 10세 · 클레오파트라 3세 · 베레니케 3세 프톨레마이오스 9세 (복위) 베레니케 3세 · 프톨레마이오스 11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 클레오파트라 5세 베레니케 4세 · 클레오파트라 6세 프톨레마이오스 12세 (복위) 프톨레마이오스 13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아르시노에 4세 프톨레마이오스 14세 · 클레오파트라 7세 프톨레마이오스 15세 · 클레오파트라 7세
파라오 · 아이깁투스 · 사산 · 정통 칼리파
우마이야 · 아바스 · 파티마 · 아이유브
맘루크 · 오스만 · 무함마드 알리 · 이집트
}}}}}}}}}}}}}}}

이집트 제2중간기 28대 혹은 30대 혹은 31대 파라오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6세
Khahotepre Sobekhotep VI
파일:KneelingStatueOfSobekhotepV-AltesMuseum-Berlin.png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6세의 무릎을 꿇은 동상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Khahotepre Sobekhotep)[1]
부왕 소베크호테프 4세로 추정
선대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후대 와히브레 이비아우
묘지 불명
왕비 누브호텝티(Nubhotepti)[추정]
카에노우브(Khaenoub)[추정]
재위 이집트 파라오
기원전 1719년~기원전 1715년
재위기간 4년 8개월 29일
1. 개요2. 가계3. 증명4. 비동시대 증명5. 학설
5.1. 정체성


1. 개요

이집트 제2중간기 13왕조의 30대 파라오이다. 일부 학자들은 그를 25, 31대 파라오로 주장하고 있다.

2. 가계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6세의 부친은 소베크호테프 4세였을 가능성이 있다. 와디 엘 후디(Wadi el-Hudi)에서 발견된 비문에 소베크호테프 4세에게 ‘소베크호테프’라는 아들이 있었다고 나오며, 이 아들이 곧 소베크호테프 6세일 수 있다는 가설에 근거한다. 이 경우 모친은 소베크호테프 4세의 배우자인 탄(Tjan)일 가능성이 있다. 소베크호테프 6세의 왕비는 카에노우브(Khaenoub)[4] 혹은 누브호텝티(Nubhotepti)로 추정된다.

3. 증명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의 재위기간은 4년으로 추정된다. 그 치세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은 많지 않다.
  • 아비도스 출토의 스캐럽 인장.
  • 케르마(Kerma)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릎을 꿇은 자세의 동상 한 점.
  • 아비도스에서 출토된 웨프와웨트에게 바친 비석 파편. 비석에는 ‘[카]호테프레’가 언급되나 메르호테프레 이니에게 배정되기도 한다.
  • 엘레판티네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 사티스에게 헌정된 무릎꿇은 동상. 케르마의 투물루스 X(Tumulus X)에서 발견되었다.
  • 제리코에서 출토된 카호테프레의 즉위명을 새긴 스캐럽. 묘지에서 출토되었고 Group III(MB IIB/C) 토기군과 연관되며, 13왕조레반트 사이 교역 관계의 간접적인 증거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출처 불명의 스캐럽 인장 6점, 원통형 인장 1점, 인장 자국 1점이 출토되었다.

4. 비동시대 증명

투트모세 3세 시대에 만들어진 카르나크 파라오 목록에 즉위명 ‘카호테프레’가 기재되었다.

람세스 2세 시대에 만들어진 토리노 파피루스 8:01에 카호테프레가 기재되며, 재위 4년 8개월 29일로 기록되었다. 토리노 파피루스에서는 소베크호테프 4세의 뒤를 파라오로 적혀져 있으나 소베크호테프 4세 항목 바로 아래 한 줄이 소실되어 있으며, 킴 라이홀트(Kim Ryholt)는 이 소실된 줄에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의 이름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5. 학설

킴 라이홀트(Kim Ryholt)에 따르면 그는 13왕조의 제31대 파라오이고, 대럴 베이커(Darrell Baker)는 제30대로 본다. 반면, 위르겐 폰 베케라트(Jürgen von Beckerath)와 데틀레프 프랑케(Detlef Franke)는 제25대로 본다. 라이홀트는 그의 재위를 기원전 1719~1715년으로 지정하였다.

5.1. 정체성

라이홀트의 제2중간기 연구 이전에는 소베크호테프 6세의 즉위명이 메르호테프레(Merhotepre)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고고학 자료의 재검토 결과, 라이홀트는 메르호테프레를 소베크호테프 5세에게, 카호테프레를 소베크호테프 6세에게 각각 배정하였다. 이 변경이 이루어지기 전의 과거 연구들에서는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와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가 각각 소베크호테프 6세와 소베크호테프 5세로 뒤바뀌어 불리기도 하였다.


[1] 소베크호테프 5세로도 불린다.[추정] [추정] [4] 카에스네보우(Khaesnebou)로도 표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