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제2중간기 28대 혹은 30대 혹은 31대 파라오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6세 Khahotepre Sobekhotep VI | ||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6세의 무릎을 꿇은 동상 | ||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휘 |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Khahotepre Sobekhotep)[1] | |
부왕 | 소베크호테프 4세로 추정 | |
선대 |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 |
후대 | 와히브레 이비아우 | |
묘지 | 불명 | |
왕비 | 누브호텝티(Nubhotepti)[추정] 카에노우브(Khaenoub)[추정] | |
재위 | 이집트 파라오 | |
기원전 1719년~기원전 1715년 재위기간 4년 8개월 29일 |
1. 개요
이집트 제2중간기 13왕조의 30대 파라오이다. 일부 학자들은 그를 25, 31대 파라오로 주장하고 있다.2. 가계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 6세의 부친은 소베크호테프 4세였을 가능성이 있다. 와디 엘 후디(Wadi el-Hudi)에서 발견된 비문에 소베크호테프 4세에게 ‘소베크호테프’라는 아들이 있었다고 나오며, 이 아들이 곧 소베크호테프 6세일 수 있다는 가설에 근거한다. 이 경우 모친은 소베크호테프 4세의 배우자인 탄(Tjan)일 가능성이 있다. 소베크호테프 6세의 왕비는 카에노우브(Khaenoub)[4] 혹은 누브호텝티(Nubhotepti)로 추정된다.3. 증명
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의 재위기간은 4년으로 추정된다. 그 치세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은 많지 않다.- 아비도스 출토의 스캐럽 인장.
- 케르마(Kerma)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릎을 꿇은 자세의 동상 한 점.
- 아비도스에서 출토된 웨프와웨트에게 바친 비석 파편. 비석에는 ‘[카]호테프레’가 언급되나 메르호테프레 이니에게 배정되기도 한다.
- 엘레판티네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 사티스에게 헌정된 무릎꿇은 동상. 케르마의 투물루스 X(Tumulus X)에서 발견되었다.
- 제리코에서 출토된 카호테프레의 즉위명을 새긴 스캐럽. 묘지에서 출토되었고 Group III(MB IIB/C) 토기군과 연관되며, 13왕조와 레반트 사이 교역 관계의 간접적인 증거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출처 불명의 스캐럽 인장 6점, 원통형 인장 1점, 인장 자국 1점이 출토되었다.
4. 비동시대 증명
투트모세 3세 시대에 만들어진 카르나크 파라오 목록에 즉위명 ‘카호테프레’가 기재되었다.람세스 2세 시대에 만들어진 토리노 파피루스 8:01에 카호테프레가 기재되며, 재위 4년 8개월 29일로 기록되었다. 토리노 파피루스에서는 소베크호테프 4세의 뒤를 파라오로 적혀져 있으나 소베크호테프 4세 항목 바로 아래 한 줄이 소실되어 있으며, 킴 라이홀트(Kim Ryholt)는 이 소실된 줄에 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테프의 이름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