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9:05:24

현대백화점/점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현대백화점
파일:현대백화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백화점
천호점
신촌점 미아점 목동점
중동점 판교점 킨텍스점 부산점
울산점 충청점
유플렉스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3%> 판교점 ||<width=33.3%> 신촌점 ||<width=33.3%> 중동점 ||
충청점 디큐브시티
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 송도점 대전점
시티아울렛
동대문점 가산점 대구점
* 공식 웹 사이트 기재순
}}}}}}}}} ||



[clearfix]

1. 개요

현대백화점의 점포를 정리한 문서.

2. 점포

  • 문화 시설은 문화 시설란에 아래와 같이 표시
    문화 센터: [문화]
    공연 시설: [공연]
    갤러리: [갤러리]
    미술관: [미술관]
  • 전문 매장은 전문 매장란에 아래와 같이 표시
    유플렉스: [U]
    면세점: [D]
  • 대중교통란에는 도시철도역, 광역철도역, 철도역, 버스터미널, 공항 등을 표시
  • 대중교통 시설 내에 있거나 연결 통로가 있는 경우, [연결]로 표시

2.1. 서울특별시

||<-5><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48665a><bgcolor=#48665a><color=#fff> [[서울특별시|{{{#fff 서울특별시}}}]]의 현대백화점 점포 ||
<rowcolor=#48665a> 지점명 주소 문화시설 전문매장 대중교통
<colbgcolor=#48665a><colcolor=#fff> 더현대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여의도동) [문화][공연][갤러리] 파일:Seoulmetro5_icon.svg파일:Seoulmetro9_icon.svg여의도역[연결]파일:Seoulmetro5_icon.svg여의나루역[12]
압구정본점 강남구 압구정로 165 (압구정동) [문화][공연] 파일:Seoulmetro3_icon.svg압구정역[연결]
무역센터점 강남구 테헤란로 517 (삼성동) [문화][공연] [D] 파일:Seoulmetro2_icon.svg삼성역[연결]
천호점 강동구 천호대로 1005 (천호동) [문화][공연] 파일:Seoulmetro5_icon.svg파일:Seoulmetro8_icon.svg천호역[연결]
신촌점 서대문구 신촌로 83 (창천동) [문화][공연] [U] 파일:Seoulmetro2_icon.svg신촌역[연결]
미아점 성북구 동소문로 315 (길음동) [문화][공연][갤러리] 파일:Seoulmetro4_icon.svg미아사거리역
목동점 양천구 목동동로 257 (목동) [문화][공연][갤러리] 파일:Seoulmetro5_icon.svg오목교역[연결]
디큐브시티 구로구 경인로 662 (신도림동) [문화] [U]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Seoulmetro2_icon.svg신도림역[연결]

2.1.1. 더현대 서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현대 서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더현대서울.png
더현대 서울

서울 최대 단일 규모의 백화점으로, 현대백화점이 플래그십 점포로 야심차게 밀고 있는 핵심 점포이다. 코로나 시기에 개점 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점한 해의 폭발적인 초기매출 추이와 성과를 거두며 역대 최단기 백화점 매출 1조 기록과 역대 최초 3대 명품 미입점 백화점 매출 1조 달성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1.2. 압구정본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압구정본점(현대백화점).jpg
압구정본점

현대백화점 2호점이자 본점. 현대에서 유일하게 에르메스, 샤넬, 루이 비통이 모두 입점한 핵심 점포압구정동에 위치해있다.

2.1.3. 무역센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무역센터점(현대백화점) 야간.jpg
무역센터점

코엑스 내에 자리잡은 현대백화점의 핵심 점포로, 합작법인인 한무쇼핑이 운영하고 있다. 샤넬을 제외한 에르메스루이 비통을 포함한 어지간한 명품 브랜드는 다 자리를 잡고 있다.

2.1.4. 천호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천호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천호점(현대백화점).jpg
천호점

2.1.5. 신촌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신촌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신촌점(현대백화점).png
신촌점

2.1.6. 미아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미아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현백미아.jpg
미아점

2.1.7. 목동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목동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목동점(현대백화점).jpg
목동점

2.1.8. 디큐브시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0405dcube.jpg
디큐브시티점

2.2. 경기도

||<-5><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48665a><bgcolor=#48665a><color=#fff> [[경기도|{{{#fff 경기도}}}]]의 현대백화점 점포 ||
<rowcolor=#48665a> 지점명 주소 문화시설 전문매장 대중교통
<colbgcolor=#48665a><colcolor=#fff> 중동점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180 (중동) [문화][공연] [U] 파일:Seoulmetro7_icon.svg 부천시청역[연결]
판교점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146번길 20 (백현동) [문화][공연][미술관] [U]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판교역[연결]
킨텍스점 고양시 일산서구 호수로 817 (대화동) [문화][공연][갤러리] 파일:Seoulmetro3_icon.svg 주엽역킨텍스역

2.2.1. 중동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중동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중동점(현대백화점).jpg
중동점

매출 5000억원대를 꾸준히 유지하는 경기 서부권 핵심 점포. 2022년 기준 4942억원을 기록하며 경인권에서는 롯데백화점 인천점 다음으로 매출이 높은 핵심 점포이다.

2.2.2. 판교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판교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현대백화점 판교점_1.jpg
판교점

2020년 기준 현대백화점의 매출 1위, 1조원을 넘긴 핵심 점포이다. 루이비통, 에르메스가 입점되어 있으며, 샤넬은 입점 협의 중이다.

2.2.3. 킨텍스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킨텍스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현대백화점킨텍스점_NEW.png
킨텍스점

2.3. 경상도

||<-5><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48665a><bgcolor=#48665a><color=#fff> [[경상도|{{{#fff 경상도}}}]]의 현대백화점 점포 ||
<rowcolor=#48665a> 지점명 주소 문화시설 전문매장 대중교통
<colbgcolor=#48665a><colcolor=#fff> 부산점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로 125 (범일동) [문화] 파일:Busan1.svg 범일역[연결]
더현대 대구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77 (계산동2가) [문화][공연][갤러리] 파일:Daegu1.svg 파일:Daegu2.svg 반월당역[연결]
울산점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261 (삼산동) [문화][공연][갤러리]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태화강역
울산동구점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899 (서부동) [문화]

2.3.1. 부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부산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부산점(현대백화점).jpg
부산점

1995년 오픈한 부산의 첫 대형 유통사 백화점. 하지만 백화점 위치가 부산시내와는 멀리 있고 그마저도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가 오픈하고 난 이후부터는 이 곳으로 몰리다보니 이 곳을 찾는 고객은 대부분 고령층의 단골고객이다. 이로인해 매출이 거의 맨 뒤를 기록하고 있으며 폐점설이 간간히 나돌기도 했지만 적자를 감수하고도 계속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 곳의 미래는 그렇게 밝지 않은 상황이다.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에 부지를 매입하였으며 아직 확정이 되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부산점을 이 곳으로 옮긴다는 이야기가 나돌고 있다.

결국 2024년 3월, 현대백화점 측에서는 7월을 기해 영업을 중단 및 리뉴얼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

2.3.2. 더현대 대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현대 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더현대 대구1.jpg
더현대 대구

2011년에 오픈한 현대백화점의 대구 지점. 2016년 신세계백화점 대구점 오픈 전까지 대구/경북지역 매출 1위를 달리던 백화점으로, 대구 신세계 오픈 이후부터는 밀려 지역 내 매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백화점 측에서는 꾸준히 리뉴얼과 매장 MD 구성에 공을 들이고 있으며, 2022년 12월 더현대 대구로 전환하여 개장한 핵심 점포이다.

현대백화점이 대구점에 이렇게 힘을 들이는 이유는, 해당 매장의 매출 자체는 2022년 기준 5,955억원으로 현대백화점 내에서 6위이며, 영업면적도 현대백화점 점포 중 5위로 큰 축에 들기 때문이다. 즉 여전히 지역 대표 백화점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3.3. 울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울산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현대백화점울산점.jpg
울산점

2.3.4. 울산동구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울산동구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현대백화점울산동구점.jpg
울산동구점

1977년 오픈한 현대백화점의 1호점.

2.4. 충청도

||<-5><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48665a><bgcolor=#48665a><color=#fff> [[충청도|{{{#fff 충청도}}}]]의 현대백화점 점포 ||
<rowcolor=#48665a> 지점명 주소 문화시설 전문매장 대중교통
<colbgcolor=#48665a><colcolor=#fff> 충청점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308 (복대동) [문화][공연][갤러리] [U]

2.4.1. 충청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백화점 충청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현백충청.jpg
충청점

2012년에 오픈한 현대백화점의 청주 및 충청권 지점.

2.5. 개점 준비 지점

||<-5><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48665a><color=#ffffff><bgcolor=#48665a> 개점 예정인 현대백화점 점포 ||
<rowcolor=#48665a> 지점명 주소 문화시설 전문매장 대중교통
<colbgcolor=#48665a><colcolor=#fff> 더현대 광주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 100-3 일대

2.5.1. 더현대 광주 (가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현대 광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폐점 지점

||<-4><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48665a><bgcolor=#48665a><color=#fff> 폐점된 현대백화점 점포 ||
<rowcolor=#48665a> 지점명 주소 폐점 일자 폐점 사유
<colbgcolor=#48665a><colcolor=#fff> 반포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23 (반포동) 2005년 1월 20일 매출부진
광주점 광주광역시 북구 경열로 249 (신안동) 2013년 6월 계약종료 및 더현대 광주로 재진출
부평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원대로 1277 (산곡동) 2003년 7월 30일 중동점으로 이전
울산성남점 울산광역시 중구 시계탑거리 20 (성남동) 2003년 3월 매출부진

상세정보
  • 반포점 지도보기
    이수교차로와 동작역에서 가깝고, 구반포역 앞에 있었으며 엘루체 쇼핑몰로 바뀌었다가 컨벤션홀로 변경되었다. 건물은 거의 그대로 쓰고 있어서 현대백화점 고유의 건축양식이 남아 있다. 나름 고급 백화점으로 시작했으나 규모가 원래 작고 1997년 외환 위기까지 오면서 아울렛 형태로 운영하다가 폐점되었다. 식품관과 식당가는 현대백화점 특성상 쏠쏠했으나[63], 부촌인 반포 지역 소재임에도 이상하게 동네 장사가 안됐다. 구반포 상권이 1990년대 초반 이후로 죽었기도 하고, 특히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개점한 이후로 대부분의 반포 사람들은 구반포 신반포 할 것 없이 고속터미널의 센트럴시티와 신세계로 놀러갔지 구반포 삼거리의 현대백화점에 잘 가지 않았다.[64] 해당 건물 1층과 2층에는 암웨이가 입점해있다.
  • 광주점 지도보기
    지난 1995년 개점한 송원백화점[65]1997년 외환 위기로 운영이 어려워지자 마침 호남 진출에 눈독 들이던 현대백화점에 위탁운영을 맞기면서 1998년 6월 12일 현대 광주점으로 재개장했다. 광주역이 가까운 역세권이었고 규모도 작지 않았으며 10층에 수영장과 헬스클럽이 있는 스포츠센터와 문화센터가 매우 유명했다.[66] 하지만 갈수록 상권이 금남로유스퀘어 쪽으로만 발전하고 광주역 쪽은 오히려 상권이 쇠퇴하는 바람에 해가 갈수록 매출은 쪼그라들었고[67] 해외명품 매장도 롯데백화점 광주점이나 광주신세계백화점으로 전부 뺏기는 바람에 현대백화점 특유의 고급 이미지조차 제대로 보여주질 못했다. 결국 기본 10년에 추가 5년의 계약기간이 만료되자 2013년 계약 연장없이 광주에서 철수했다. 이후 NC백화점이 들어와 있는 상태.[68] 2015년에는 광주를 재진출하고자 서구 광천동[69]에 땅을 보유하고 있는 한 건설업체와 토지매입을 협의중이라는 보도까지 나왔지만#, 현백의 경영전략 변경으로 수도권 이외에 신규출점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면서 흐지부지되었다. 그러나 2022년 임동 전남방직 - 일신방직 재개발 사업에 참여하면서 다시 광주로 재진출이 예고되었다. 자세한 것은 더현대 광주 문서 참조.
  • 부평점 지도보기
    1987년 부평현대아파트 단지 준공과 함께 정식 백화점은 아닌 '현대타운'이란 이름으로 개점했다가 1991년에 정식으로 백화점 간판을 달고 개장하였다. 2003년에 폐점되어[70] 이후 현대부평몰로 전환되었다가 이랜드그룹에 인수되어 2001아울렛 부평점으로 영업하고 있다.
  • 울산성남점 지도보기
    본래 울산 지역 향토백화점으로 1982년 오픈한 주리원백화점이었다. 해당점은 1990년대 전성기를 구가하였으나, 이후 상권이 구 도심에서 남구 삼산동 지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쇠퇴했으며 이후 삼산동 아트리움점 공사와 울산방송 개국 투자로 인한 부채를 감당하지 못했고 결국 부도가 나게 된다. 이를 1998년 (주)금강개발산업(현 현대백화점(주))에서 인수하였다. 신규점포 주리원 아트리움은 현대백화점 울산점, 구점포 주리원백화점은 현대백화점 울산성남점, 운영법인인 (주)주리원백화점은 (주)현대DSF가 된다. 울산성남점은 상권의 쇠퇴화를 막을수 없어 매출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2003년 3월 폐점하고, 패션아울렛 메이라는 이름으로 아울렛으로 운영하다가 2005년 스타시티라는 업체에 해당부동산이 매각되어 완전히 주리원-현대의 손을 떠나게 된다. 이후 인수업체에서 아울렛 스타로 운영하던 중 2006년 이랜드그룹에서 인수, 뉴코아아울렛 울산성남점을 운영 중이다. 뉴코아 아울렛이 임대형식으로 운영 중이고, 건물 자체는 현대백화점 소유며, 내부적으로는 리빙관으로 칭한다.

2.7. 계획 취소 지점

  • 부산 센텀시티
    벡스코 맞은편 자리로, 신세계, 롯데보다 먼저 부지까지 매입하였다. 그런데도 공사를 계속 미루더니,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세계 최대 규모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에 제대로 발리는 현장을 목격하였다. 그래서, 영플라자로 선회했으나, 부지도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부지보다 협소하고, 출혈 경쟁이 우려되어 출점을 취소하고, 결국 부지를 매각하였다. 위치는 해운대구 우동 1502인데, 세가 사미 홀딩스에서 인수하여 개발을 추진중이나 오랫동안 진척이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에코델타시티 內 상업시설 부지 4곳을 3,213억원에 사들여, 부산 상권 선점을 다시 노리고 있는 상황이다.
  • 수원 광교신도시
    광교 에콘힐 개발 사업에 참여하려 하였으나 사업이 무산되면서 자연스럽게 진출 계획도 무산되었다.
  • 서울 양재
    파이시티 개발사업에 참여하려 하였으나 역시 사업 자체가 무산되어 진출 계획도 무산되었다.
  • 화성 동탄신도시
    롯데백화점 동탄점 부지는 원래 롯데 뿐 아니라 현대도 차지하려 한 곳이다. 현대가 더 높은 입찰가를 제시했으나, 현대와 달리 롯데는 모두 자사의 계열사가 참여한다는 점을 인정받아 롯데백화점이 됐다.
  • 한남 3구역
    현대건설이 한남 3구역 재개발 수주를 위해 현대백화점그룹과 협의를 맺고 디에이치 한남 구상안에 현대백화점 한남점(가칭)을 상가로 넣겠다고 선언하며 대대적으로 홍보를 했다. 결국 한남 3구역을 현대건설이 수주하게 되었다. 한남동이 여러 재벌회장, 유명 연예인들의 거주지들과 여러 공관, 대사관 등이 몰려있는 부촌 지역이라 충분한 매출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예상도 있었으나, 30분도 안걸리는 거리인 명동에 강북 상권의 양대 축인 롯데백화점 본점, 신세계백화점 본점이 떡하니 버티는데다가, 같은 범 현대가인 HDC그룹이 용산역에서 운영중인 아이파크몰 역시 부촌 지역인 용산에서 백화점 사업을 하다 그저 그런 성과를 내면서 쇼핑몰과 면세점으로 방향을 튼걸 생각하면 현대 입장에선 상당한 레드오션에 진입하는 셈이였고 거기다 한남대교를 건넌 뒤 조금만 가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73]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이 있다. 갤러리아백화점나인원 한남에 입점시킨 고메이 494, 신세계그룹이 타워팰리스와 피엔폴루스에 입점시킨 SSG 푸드마켓처럼 슈퍼마켓(마트) + 일부 패션 및 생활용품 복합식품관 정도에서 그칠 가능성이 많다는 예상이 많았다. 지리적인 위치 자체도 도시철도역에서 먼 거리이기도 하고, 지형 자체가 산지형이라, 도저히 백화점 입지가 아니다. 하지만 현대백화점그룹 입장에서 오랜 기간 강북 상권 진출을 타진해 왔다는 소문이 꽤 돌고 있었고[74] 여러 보도자료에서 정식지점인걸 꽤나 강조했으나, 2024년 5월 2일, 결국 공식적으로 입점 불발 통보하였다. 이주가 시작된 이후 개최된 총회에서 '사업성 부족'을 근거로 백화점 입점을 취소했기 때문에, 사실상 현대건설이 한남3구역 수주를 따내기 위해 조합원들을 상대로 가짜 미끼를 던진 꼴이 되버렸다.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본래 춘천터미널 부지는 현대백화점 소유로, 1997년 현대백화점 측에서 터미널과 함께 중소도시에 특화된 소형 점포[75]를 건축하려 했으나 IMF가 터지며 쇼핑시설이 지어지지 못하였고, 이후 부지를 신세계 측에 매각하여 2005년 이마트 춘천점이 건설되었다.

2.8. 지점별 매출 등급 분류

  • 현대백화점그룹은 롯데백화점과 달리 회사 내부에서 백화점별 매출등급을 매기지는 않는다. 지점이 많지 않은 편이라 굳이 등급을 나누지 않아도 관리가 되기 때문이다. 다만 2021년 전국 백화점 매출 순위 같은 것을 보면 매출이 큰 지점과 작은 지점이 확연히 갈리는 편이다.#
    • 최상위(1조 이상): 판교점, 무역센터점, 압구정본점, 더현대 서울
    • 상위(5,000억 이상): 목동점, 더현대 대구
    • 중위(3,000억 이상): 중동점, 울산점, 천호점, 신촌점, 킨텍스점, 충청점
    • 하위(3,000억 미만): 미아점, 디큐브시티점, 부산점, 울산동구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화] 문화 센터[공연] 문화홀 현대백화점의 문화 공연장[갤러리] 갤러리H 현대백화점 갤러리[미술관] 현대어린이책미술관[U] 현대 유플렉스 현대백화점의 영패션 특화 점포[D] 현대백화점 면세점 현대백화점그룹의 면세점[연결] 점포가 해당 교통 시설 건물내에 있거나 직접 연결되는 연결통로 있음[문화] [공연] [갤러리] [연결] [12] 연결통로는 없으나 거리가 더 가깝다.[문화] [공연] [연결] [문화] [공연] [D] [연결] [문화] [공연] [연결] [문화] [공연] [U] [연결] [문화] [공연] [갤러리] [문화] [공연] [갤러리] [연결] [문화] [U] [연결] [문화] [공연] [U] [연결] [문화] [공연] [미술관] [U] [연결] [문화] [공연] [갤러리] [문화] [연결] [문화] [공연] [갤러리] [연결] [문화] [공연] [갤러리] [문화] [문화] [공연] [갤러리] [U] [63] 특히 헬급식으로 매스컴도 몇번 탔던 세화/세화여고 학생들이 급식 대신 학교 개구멍을 넘어서 많이 왔다. 지하 식품관 닭꼬치가 유명했다.[64] 고가품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중저가품은 뉴코아아울렛 강남점이 상권을 분담하고 있다.[65] 송원대학교의 그 송원이 맞다.[66] 특히 수영장이 당시 광주에서 가장 크고 좋았기 때문에 매우 인기있었다. 또한 수영장이 딸린 백화점은 광주에서 현대가 유일했기 때문에 부자들이 놀러가는 백화점으로 알려지기도 했었다.[67] 특히 매출 대비 순이익이 처참한 수준이었다. 현대백화점 입장에서는 사실상 운영대행 수수료나 따먹는 곳이나 마찬가지였을 정도.[68] NC백화점을 운영하는 이랜드는 가치를 높게 샀는지 그 다음해에 아예 건물을 사버렸다.[69] 광주 1등 백화점인 광주신세계백화점이 자리잡은 곳으로 현대도 이곳에 자리를 잡는다면 상당히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예측됐다.[70] 그 대신 폐점하고 한 달 후에 인근 중동신도시에 중동점을 개장했다. 사실상 폐점보다 이전이 맞다. 현대백화점에서 폐점 당시 이전이라고 표현했기 때문이다.[71] 당시엔 충청점[72] 현대백화점은 꿩 대신 닭 격으로, 천안 대신 청주에 충청점을 개장했고, 결국 충청권 2위 백화점에 안착했다.[73] 국내는 물론 전 세계 매출 1위의 백화점이다.[74] 코로나19 사태에도 두타면세점을 인수해 현대백화점 면세점 동대문점으로 리뉴얼하기도 했다.[75] 현재의 울산동구점과 비슷한 개념아었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