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고 인기 가요상 | ||||
| 김범룡 〈바람 바람 바람〉 (1985년) | ▶ | 조용필 〈허공〉 (1986년) | ▶ | - (1987년) |
| 대상 | ||||
| 신설 | → | 조용필 〈허공〉 (1986년) | → | 이문세 〈사랑이 지나가면〉 (1987년) |
| * 2006부터 음반 대상과 디지털 음원 대상으로 나뉨 | ||||
| <colbgcolor=#45362f,#45362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e9c96e, #f2a037, #ce2c13 60%, #fae4bc 60%, #e9c96e); background-clip: text; color: transparent" 虛空 | In the Air | ||
| <colcolor=#fff> 가수 | 조용필 | |
| 발매일 | 1985년 11월 15일 | |
| 장르 | 트로트 | |
| 작사 | 정욱 | |
| 작곡 | 정풍송 | |
| 재생 시간 | 3분 2초 | |
| 수록 음반 | [[조용필 8집|''' 조용필 VOL.8''']] | |
| 노래방 | 776 | |
| 781 | ||
1. 개요
| 1986 KBS 가요대상 (KBS 1TV | 1986년 12월 30일 방영) |
조용필의 트로트 곡 중에서 가장 많은 인지도를 가진 노래로 북한의 김정일과 조용필의 모친도 생전 애창한 곡이라고 한다.
2. 가사
| 꿈이었다고 생각하기엔 너무나도 아쉬움 남아 가슴 태우며 기다리기엔 너무나도 멀어진 그대 사랑했던 마음도 미워했던 마음도 허공 속에 묻어야만 될 슬픈 옛이야기 스쳐버린 그날들 잊어야 할 그날들 허공 속에 묻힐 그날들 잊는다고 생각하기엔 너무나도 미련이 남아 돌아선 마음 달래 보기엔 너무나도 멀어진 그대 설레이던 마음도 기다리던 마음도 허공 속에 묻어야만 될 슬픈 옛이야기 스쳐버린 그 약속 잊어야 할 그 약속 허공 속에 묻힐 그 약속 |
3. 그 외
1979년, 10.26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이 막을 내리자, 정풍송은 민주화가 열릴 줄 알았으나, 허무하게도 12.12 쿠데타 사건으로 인해서 민주화는 물거품이 되어 버렸다. 그래서 정풍송은 이러한 허탈한 마음을 담아 이 노래를 작사 작곡하였다. 가사는 원래 "너무나도 멀어진 민주" 였으나, 검열에 걸리는 바람에 "너무나도 멀어진 그대"로 가사를 바꿨다고 한다. 이 노래를 만든 정풍송도 "가사를 '민주'로 해서 냈었다면 그 당시에는 히트쳤을 수도 있지만, 지금까지 사랑받는 노래가 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조용필은 이 노래로 1986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수상, 제 1회 대한민국 영상 음반 대상(현 골든디스크어워즈) 대상을 수상하였다. 그리고 조용필은 1987년부터 가요대상을 수상하지 않는다고 했기 때문에 조용필이 마지막으로 가요대상을 수상하였던 노래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이 노래는 조용필이 가요톱텐에서 마지막으로 골든컵[2]을 수상한 노래이다.[3]
우리나라 최초의 뮤직비디오가 나온 노래이다. 이 뮤직비디오에는 조용필과 김혜수가 출연했다.[4]
[1] 동일인물이다. 정풍송이 본명이고, 정욱은 작사가로서 필명이다.[2] 한 노래가 5주 연속으로 1위를 했을때 그 노래를 차트에서 명예 졸업 시키는 제도다. 참고로 가요톱텐에서 최초로 골든컵을 수상한 노래는 그의 노래인 4집 타이틀곡 "못찾겠다 꾀꼬리"다.[3] 그 후로도 바람이 전하는 말(3주 연속 1위), 그대 발길 머무는 곳에(1주 1위), 서울 서울 서울(1주 1위), Q(1주 1위)가 1위를 했으나, 5주 연속으로 1위를 하지는 못 했기 때문에 이 곡이 조용필의 마지막 골든컵 수상 곡이 되는 것.[4] 1980년대 그 당시 방송사에서 직접 제작해 주는 형식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당시에는 뮤직비디오가 아니라 '영상음악'이라고 했다. 실제로 가장 먼저 시작을 알린 뮤직비디오가 허공이 최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