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00:10:16

해리 콜린슨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e0e0e0> 해리 콜린슨
Harry Collinson
파일:해리 콜린슨.jpg
출생 1944~1945년
사망 1991년 6월 20일 (향년 46세)
잉글랜드 더럼주 버츠필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가족 로이 콜린슨
배우자 (이혼)
자녀 2명
직업 공무원
소속 더웬트사이드 지방 의회

1. 개요2. 생애3. 사망4. 사후

1. 개요

영국의 공무원이자 해리 콜린슨 살인사건의 피해자.

2. 생애

더웬트사이드 지방 의회[1]의 최고 계획 책임자였고 사건 당시 건물 철거 당시에도 작전의 총책임자였다.# 또한 이혼하였었지만, 두 아이를 키우는 아버지 이기도 했다.

주변 인물들에 따르면 콜린슨은 사람들에게 존경받고 시골을 정말 좋아하여 지역 보호에 헌신을 다하는 사람, 또 의견의 방향성을 바꾸지 않는 사람이였다고.

3. 사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리 콜린슨 살인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리 콜린슨 살인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리 콜린슨 살인사건#|]][[해리 콜린슨 살인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사후

파일:해리 콜린슨 자연보호구역.jpg
해리 콜린슨 자연 보호 구역
지역 사회 구성원의 요구로 수행해야 했던 일을 해낸 그에게 비극적인 대가가 따르다.
1991년 6월 20일

이후 더웬트사이드 지방 의회에서는 콜린슨을 기리기 위해 사건이 발생한 거리를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고 명패를 설치했다.#

2011년, 콜린슨의 사망 20주기를 맞아 제1차 세계대전제2차 세계대전 헌정기념관 옆으로 명패가 옮겨졌다.#

2017년, 콜린슨을 살해한 앨버트 드라이든뇌졸중으로 출소한 뒤에도 그가 반성하는 기미를 보이지 않자 콜린슨의 형 로이는 "개인적으로, 저는 앨버트 드라이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든 전혀 신경 쓰지 않습니다. 그가 천천히 죽어간다면 다행이죠. 정말 기쁠 겁니다." 라고 말했다.


[1] 현재는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