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18:26:32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

파일:네덜란드 국장.svg
네덜란드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사립대학, 이외 공립대학
개신교 신학대학 나이에로데 경영대학 네덜란드 개방대학교 네덜란드 왕립사관학교 델프트 공과대학교
랏바우트 대학교 레이던 대학교 마스트리흐트 대학교 바헤닝언 대학교 아펠도른 신학대학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에라스뮈스 대학교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위트레흐트 대학교
인문학 대학교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 퀴라소 대학교 트벤테 대학교 틸뷔르흐 대학교
미네르바 예술대학교 흐로닝언 대학교 디자인 아카데미 아인트호벤
네덜란드 해양대학교 등은 대학(Universiteit)이 아님
네덜란드의 교육 · 네덜란드 소재 대학교 일람 }}}}}}}}}

<colbgcolor=#F2561D> Hanze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

Hanzehogeschool Groningen

파일:Screenshot 2025-03-31 at 4.05.52 PM.png

<colcolor=#fff> 대학정보
개교 1986년 ([age(1986-01-01)]주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총장 Dr.h.c. D. Pouwels
캠퍼스 Zernike Campus[1]
학생수 28,432명 (2019년 기준)
교원수 3,280명 (2019년 기준)
분류 공립대학
소재 네덜란드 흐로닝언주
교색
Hanze Oranje (#F2561D)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위치
1. 개요2. 역사3. 위치4. 단과대학5. 개설 전공6. 특징7. 유학8. 입학


1. 개요

파일:Screenshot 2025-03-31 at 4.24.20 PM.png
Zernike캠퍼스 전경
Share your talent. Move the world.

네덜란드 흐로닝언주에 위치한 주립 응용과학대학(기능대학)이다.

2. 역사

한제 응용과학대학교(Hanze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Hanze UAS)**는 1986년, 여러 지역 직업교육기관들의 통합을 통해 설립된 네덜란드의 공립 응용과학대학교이다. 그 뿌리는 1798년에 설립된 미네르바 예술대학교(Academie Minerva)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네덜란드 최초의 다분야 실용 고등교육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미네르바 아카데미의 설립 목적은 “사회 전 계층, 특히 소외된 계층의 기술 향상을 위해, 미술, 건축, 항해 과학 및 이와 관련된 예술과 과학을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1986년, 네덜란드 정부의 고등교육 개편 권고안인 “고등교육 체제의 확대 및 역할 분담 및 집중화”에 따라, 흐로닝언 지역 내 24개 직업학교 중 16개가 통합되면서 Hanze UAS가 출범했다. 이로 인해 한제는 네덜란드에서 가장 큰 응용과학대학교 중 하나로 빠르게 성장했으며, 현재도 매년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989년에는 유럽연합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인 에라스무스 프로그램(Erasmus Programme)에 참여하였으며, 2014년에는 2014–2020 고등교육을 위한 에라스무스 헌장(Erasmus Charter of Higher Education)을 획득하였다.

대학교 명칭의 'Hanze'는 중세 북유럽의 상업 동맹체였던 한자동맹(Hanseatic League)에서 유래하였다. 이는 흐로닝언이 1282년부터 1669년까지 한자동맹의 회원 도시였던 역사적 배경을 반영한 것이다.

3. 위치

한제 응용과학대학교의 주요 시설 대부분은 네덜란드 흐로닝언에 위치해 있다. 이 외에도 소규모 캠퍼스들이 암스테르담(댄스 아카데미), 아선(Hanze Institute of Technology), 레이우아르던(대중문화 전공) 등에 분산되어 있다.

총 16개의 단과대학은 흐로닝언 시에 위치해 있으며, 그 중 가장 오래된 시설인 미네르바 예술대학교(Academie Minerva)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건물은 제르니케 캠퍼스(Zernike Campus)에 집중되어 있다. 이 캠퍼스는 노르트베스트(Noordwest)구역, 즉 도시 북쪽에 위치한 대규모 교육 단지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프리츠 제르니커(Frits Zernike)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지역에는 한제 응용과학대학교의 시설뿐만 아니라 흐로닝언 대학교(University of Groningen)의 연구 중심 캠퍼스도 함께 자리하고 있으며, 전체 캠퍼스까지 확장한다면 약 60,000명의 학생이 공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르니케 캠퍼스는 네덜란드 내 최대 규모의 교육 클러스터로써 기능하고 있다.

4. 단과대학

다음은 본교가 소재중인 단과대학의 목록이다.
  • 미네르바 예술대학교 (Academy Minerva, School for Fine Art and Design)
  • 흐로닝언 대중문화교욱원 (Academy for Pop Culture)
  • 한제 공과대학교 (Hanze Institute of Technology, HIT)
  • 흐로닝언 국제경영대학원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Groningen)
  • 루시아 마르타스 무용교육원 (Lucia Marthas Institute of Performing Arts)
  • 프린스 클라우스 음악원 (Prince Claus Conservatoire)
  • 한제 건설환경공학대학 (School of Architecture, Built Environment and Civil Engineering)
  • 한제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 (School of Communication, Media and IT, SCMI)
  • 한제 경영재무대학 (School of Business, Marketing & Finance)
  • 한제 교육대학교 (School of Education)
  • 흐로닝언 시설경영대학원 (School of Facility Management Groningen)
  • 한제 공학대학 (School of Engineering)
  • 한제 보건전문대학 (School of Health Care Studies)
  • 흐로닝언 법학전문대학원 (School of Law Groningen)
  • 생명과학기술연구소 (Institute for Life Science and Technology)
  • 한제 간호전문대학 (School of Nursing)
  • 한제 체육대학 (School of Sport Studies)

5. 개설 전공

다음은 개설 전공 목록이다.
  • 학사
    • 센서기술학과 | Sensor Technology
    • 디자인학과 (미네르바 예술대학교 수학) | Design
    • 순수미술학과 (미네르바 예술대학교 수학) | Fine Art
    • 클래식음악학과 | (프린스 클라우스 음악원 수학) Classical Music (Prince Claus Conservatoire)
    • 실용음악학과 | (프린스 클라우스 음악원 수학) School Music
    • 작곡과 | (프린스 클라우스 음악원 수학) Composition Music and Studio Productions (Prince Claus Conservatoire)
    • 지휘학과 | (프린스 클라우스 음악원 수학) Conducting (Prince Claus Conservatoire)
    • 전자설계공학과 | Electronic Product Design and Engineering (EPDE)
    • 통합제품개발학과 | Integral Product Development
    • 국제경영학과 (독어강의과정) | Internationale Betriebswirtschaft (German taught programme)
    • 국제생물의공학과 | International Biomedical Engineering
    • 국제경영학과 | International Business
    • 국제토목관리학과 | International Civil Engineering Management
    •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과 | Global Communication
    • 국제건설관리학과 |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 국제시설경영학과 | International Facility Management
    • 글로벌재무회계통제학과 | Global Finance and Control
    • 국제전력망배선학과 | International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 재즈전공 (프린스 클라우스 음악원 수학 ) | Jazz (Prince Claus Conservatoire)
    • 마케팅경영학과 | Marketing Management
    • 영상의학&방사선종양학과 (네덜란드어강의과정) | Medical Imaging and Radiation Oncology (Dutch taught programme)
    • 간호학과 (네덜란드어강의과정) | Nursing (Dutch taught programme)
    • 식품영양학과 (네덜란드어강의과정) | Nutrition and Dietetics (Dutch taught programme)
    • 치위생학과 (네덜란드어강의과정) | Oral Hygiene (Dutch taught programme)
    • 물리치료학과 | Physiotherapy
    • 대중문화전공 | Popular Culture
    • 언어치료학과 (네덜란드어강의과정) | Speech Therapy (Dutch taught programme)
    • 체육학과 | Sport Studies
  • 석사
    • 국제관계학 | Master i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MIC)
    • 국제경영관리학 | Master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Management (MIBM)
    • 경영전문대학원 |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MBA) (full-time and part-time)
    • 순수미술석사-인터랙티브 미디어환경학 | Master of Fine Arts Interactive Media and Environments
    • 순수미술석사-페인팅전공 | Master of Fine Arts Painting
    • 순수미술석사-무대미술전공 | Master of Fine Arts Scenography
    • 미디어아트테크놀로지 | Master of Media, Art, Design & Technology (MADtech)
    • 음악학 | Master of Music
    • EU-지속가능에너지관리학 | European Master in Sustainable Energy System Management (EUREC)
    • EU-신재생에너지학 | European Master in Renewable Energy (EUREC)
    • 생명과학데이터학 | Master Data Science for Life Sciences
    • 스마트시스템공학 | Master Smart Systems Engineering
    • 비즈니스학 | MSc in Business Studies (Interdisciplinary Business Professional)
    • 사회에너지학 | Master Energy for Society
    • 건축학 | Master in Architecture (part-time)

6. 특징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교는 이론 중심의 연구 대학과는 달리, 실무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는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응용과학대학교(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이다. 산업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지식과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하며, 현장 실습(Internship)과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매우 활발하게 운영된다.

특히 국제화에 강점을 가진 학교로, 앞에서 서술했듯 유럽 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인 에라스무스 프로그램(Erasmus Programme)에 초기부터 참여해 왔으며, 매년 다수의 국제 학생들이 등록하고 있다. 영어로 진행되는 학사 및 석사 과정도 다양하게 개설되어 있어, 네덜란드어를 못해도 학위 취득이 가능한 전공이 많다.

한제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예술 및 디자인, 공학, 에너지 관련 전공에서 특히 강세를 보이며, 흐로닝언 대학교(University of Groningen)와 인접해 있어 두 학교 간 협업 프로젝트도 이루어진다.

7. 유학

위에서 서술한 이유에 따라서 자연스럽게도 한국인 유학생의 비율도 높으며,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를 자랑한다. 학교 및 도시 내 영어 사용이 보편적이며, 영어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 많아 네덜란드어를 몰라도 학업과 생활에 큰 지장은 없다.

흐로닝언 자체가 젊은 인구 비율이 매우 높은 학생 도시이며, 도시 인구의 약 25%가 학생이기 때문에 한국인 유학생도 비교적 빠르게 지역 분위기에 적응할 수 있다. 네덜란드인들은 영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행정 업무나 일상 대화는 영어로 해결 가능하다. 또한 도시 규모가 크지 않아 자전거로 어디든 이동할 수 있는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유학생 커뮤니티도 존재하며, 특히 국제 교류학생들이 많은 전공[2]을 중심으로 다양한 국적의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다만 한국인 유학생 수 자체는 네덜란드 내 타 도시[3]에 비해 적은 편이기 때문에, 현지 적응을 위한 자발적인 노력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한편, 네덜란드 전역의 공통적인 문제로 학생 숙소 구하기가 쉽지 않다. 기숙사 배정은 매우 제한적이며[4] 사설 숙소나 쉐어하우스를 구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입학 확정 후 가능한 빨리 숙소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유학생은 자취 형태로 생활하며, 월세는 지역과 시설에 따라 €400~€700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5]

식생활은 자취에 익숙하다면 큰 불편은 없으나, 한식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조금 힘들 수 있다. 시내엔 한식당이 단 세 개에 불과하고, 한인마트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6]. 또한 학생들이 많은 도시이기에 방학 기간이 되면 유령도시가 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상권이 크게 발달하지 못한 도시라고 평가받는다. 본인이 서울 혹은 그 외 도시에서의 생활이 익숙한 사람이라면 적응 기간이 조금 필요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치안이 매우 안정적이고, 인종차별 사례도 드문 편이라 한국인 유학생이 장기적으로 지내기에 적합한 도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8. 입학

모든 해외 대학교들이 그렇겠지만, 유학생 전형으로 입학하려면 당연하게도 공인영어 점수가 필요로 한다. 유럽 내 국가이기에 IELTS가 디폴트이며, 물론 토플도 수용한다. IELTS 기준 Overall 6.5 이상을 요구하며, 토플은 80점 이상을 요구한다.

이외에도 당연히 국내 고등학교 졸업증명서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고등학교 졸업을 하지 못했을 경우, 그에 상응하는 최종학력이 필요하다. 이는 아포스티유를 통해 점수를 환산하고 영어로 번역하여 공증을 받은 뒤 제출하면 된다. 또한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마다 요구할 수 있는 서류(포트폴리오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은 학교 홈페이지를 찾아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1] 메인 캠퍼스[2] 국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등[3] 암스테르담, 헤이그[4] 학교에서 운영하는 것이 아닌 사설 업체가 지자체와 협업하여 제공하는 'hollan2stay'라는 학생 전용 숙소 제공 플랫폼이 존재한다. 다만 이곳은 추첨제이기에 나의 방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이 극악무도하다.[5] Housing Allowance라는 제도가 있는데, 이는 정부에서 유학생들에게 지급하는 거주 보조금이다. 이 제도를 통해 네덜란드에서 유학하는 유학생이라면 누구든(월세 1000유로 이하라는 조건) 매 월 200~300유로 가량의 거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네덜란드의 경제 사정으로 인해 이 보조금이 많이 줄어드는 추세이다.[6] Oriental Shop이라는 중국 식료품점만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