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대전의 동맹국 항공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2e2e2e> 전투기 | <colbgcolor=#ffffff,#191919>포커 아인데커, 알바트로스 D시리즈, 할버슈타트 시리즈, 포커 Dr.1, 지멘스-슈케르트 DDr.I, 포커 D.VII |
폭격기 | 타우베, 고타 G.IV, AEG G.IV, 한자-브란덴부르크 G.I(오-헝), 로이드 40.08 루프트크로이저(오-헝) | |
정찰기 | 로너 B.II, 쉬테란츠 C.I, LFG 슈트랄준트 V.19 푸트부스 | |
공격기 | AGO S.I, 알바트로스 J.1 | |
수상기 | 프리드리히샤펜 FF.60 | |
기타 항공병기 | 체펠린 비행선, M.III 코르팅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과테말라 항공병기| 과테말라 ]]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틀:현대전/바트주의 시리아 항공병기| | 레바논 | |||||||
요르단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
오만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개요
한자-브란덴부르크 G.I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개발한 쌍발 중폭격기이다.2. 제원
- 승무원: 3명
- 길이: 9.80m
- 날개길이: 18m
- 비었을 때 무게: 1,776kg
- 최대 적재시 무게: 2,740kg
- 최대 항속: 133km/h (87 mph)
- 상승 속도: 1.7 m/s (330 ft/분)
- 날개 면적: 70.0 m2 (753 ft2)
- 엔진: 오스트로-다임러 6사이쿨 수랭식 인라인 엔진 x2 (각각 160 마력)
- 무장: 2 x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폭탄
3. 상세
대형기였고, 3개의 베이로 된 복엽기였으며, 약간 엇갈린 날개를 지니고 있었다. 조종사와 폭격수는 항공기 기수의 넓은 조종석에 앉아 있었고, 날개 뒤의 지느러미 위치에 포수를 위한 두 번째 열림 조종실이 있었다. 특이한 점은 트윈 트랙터 엔진의 배치였다. 하루 중 정상적인 연습은 직접 또는 스트럿에 날개를 장착하는 것이었지만 G.I에는 강철 스트럿의 격자에 동체 측면에 엔진이 장착되어있었다. 이 배열은 항공기에 상당한 무게를 추가하고 기체에 많은 진동을 전달했다.1917년 3월까지 6대의 소형 초기 생산 배치가 인도되었지만, 이후 제조업체와 Flars (Imperial and Royal Aviation Arsenal) 간의 계약 분쟁으로 인해 곧바로 지상에 배치되어 창고에 저장되었다. 이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 주문 댓수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배달이 재개되었고 폭격기는 이탈리아 전선의 Divača 비행장으로 보내지기 전에 Flars에 의해 수정되었다. 12 대의 항공기가 UFAG에 의해 생산됐으며 독일에서 제작된 기체와는 약간 다른점이 있었다.
G.I에는 최후에 3개의 비행 대대와 승무원이 있었지만, 조종사들의 평가는 좋지 않았다. 특히 고타 G.IV가 즉시 사용이 가능했던 반면 이 기체는 조종을 위한 교육이 따로 필요했었다. 이 항공기가 3개월 후에 전장에 출격했을 당시 오직 딱 한 번 출격임무를 성공시켰을 뿐이다.
참고로 이 폭격기는 항공기에 대구경 대포를 장착하는 실험에서 시험대로도 사용되었다. 앞부분에 한50mm (2 인치) 및 (별도) 70mm (2.75 인치) 스코다제 포와 37mm (1.46 인치) 스코다제 포를 등 사수의 위치에 장착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