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5:41:28

한성대학교/학부/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한성대학교/학부|한성대학교/학부]]

파일:한성대학교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캠퍼스
상징 역사 사건 사고
||<-4><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4f9f>
학생 정보
||
학사 제도 학교생활 커뮤니티 동아리
입학 기구/언론 출신 인물
기타 정보
교통 (셔틀버스) 한성학원 설립자
}}}}}}}}}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의 단과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디자인대학 IT공과대학
창의융합대학 미래플러스대학 상상력교양대학 글로벌인재학부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A4DA1> 파일:한성대학교 시그니처 화이트.svg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人文藝術大學
College of Humanities and Arts
}}}
<colbgcolor=#d9d9d9> 연혁 <colbgcolor=#fff>1973년 한성여자대학 문학부
1993년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2017년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FM 순수인예
학장 이은희
학부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 예술학부
웹사이트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1. 개요

<nopad> 파일:jiseongwan.jpg 파일:낙산관.jpg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한성대학교인문대학이자 예술대학.

1973년 한성여자대학 문학부로 설립되어 1993년 인문대학으로 승격하였다. 한성대 설립과 함께 출범한 학부로, 가장 역사 깊은 단과대학이다.

예술대학이 디자인대학으로 개편되면서 디자인계열이 아닌 학과가 인문대로 넘어와 인문예술대학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하지만 전체 인원 중 인문계열 비중이 훨씬 높기 때문에 학내에서 보통 인문대라고 하면 인문학부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구)인문대 학과와 (구)예술대 학과는 사실상 접점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예술계열은 지선관과 낙산관을 사용하고, 인문학부는 사회과학대학과 함께 탐구관, 상상관을 사용한다.

2. 역사

<colbgcolor=#0A4DA1> 1973
한성여자대학 문학부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신설
1974
한성여자대학 문리학부

불어불문학과 신설
1977 불어불문학과 폐과
국사학과 신설
1978
한성대학 문리학부

국사학과 → 사학과 개편
1983
한성대학 인문과학부
1993
한성대학교 인문대학
2000 국어국문학과 → 한국어문학부, 문헌정보학과 → 지식정보학부, 사학과 → 역사문화학부, 영어영문학과 → 영어영문학부 개편
2016 지식정보학부, 한국어문학부 통합(응용인문학부)
2017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역사문화학부, 영어영문학부, 응용인문학부 통합(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무용학과, 회화과 통합(예술학부)

3.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rowcolor=#ffffff>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Division of Creative Humanities
영미문화콘텐츠트랙 영미언어정보트랙 한국어교육트랙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역사콘텐츠트랙 지식정보문화트랙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3.1. 영미문화콘텐츠트랙

영미문화콘텐츠트랙
English Culture Contents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진보영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3 문학부 영어영문학과
1974 문리학부 영어영문학과
1983 인문과학부 영어영문학과
1993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00 인문대학 영어영문학부 영문학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문학트랙
2018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문학문화트랙
2023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문화콘텐츠트랙 }}}}}}

영문학, 영미문화, 영어콘텐츠 등을 다룬다.

3.2. 영미언어정보트랙

영미언어정보트랙
English Language Studies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진보영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3 문학부 영어영문학과
1974 문리학부 영어영문학과
1983 인문과학부 영어영문학과
1993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00 인문대학 영어영문학부 영어학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글로벌언어정보트랙
2018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영미언어정보트랙 }}}}}}

언어학으로서 영어를 다룬다.

3.3. 한국어교육트랙

한국어교육트랙
Korean Language Education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자유국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3 문학부 국어국문학과
1974 문리학부 국어국문학과
1983 인문과학부 국어국문학과
1993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00 인문대학 한국어문학부 한국어문화교육전공
2016 인문대학 응용인문학부 국어국문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한국어교육트랙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그에 대한 교육을 다루는 전공. 국어교육과와는 다르다. 원래 국어국문학과로 시작했으나 2017년 전공트랙제 도입으로 산하 세부전공이었던 한국어교육 분야가 독립 전공으로 빠져나왔다. 영역별 필수 교과목을 모두 이수하면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3.4.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Historical and Cultural Curation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열정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7 문리학부 국사학과
1978 문리학부 사학과
1993 인문대학 사학과
2000 인문대학 역사문화학부(한국역사문화전공·아시아역사문화전공·유럽 및 아메리카문화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글로컬역사트랙
2022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역사문화큐레이션트랙 }}}}}}

한국정신의 고취라는 건학이념과 애국정신 학풍에 따라 불어불문학과를 폐지하고 사학과를 설치하였다. 특히 응용학문과 실용학문 비중이 높은 학내에서 눈에 띄는 순수학문 전공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취업 문제 등으로 여느 다른 대학들처럼 인문대 전공 개조가 이루어졌고 그 대상 중 하나로 현재는 역사문화학/콘텐츠 계열로 개편되었다.

3.5. 역사콘텐츠트랙

역사콘텐츠트랙
Historical Contents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열정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7 문리학부 국사학과
1978 문리학부 사학과
1993 인문대학 사학과
2000 인문대학 역사문화학부(한국역사문화전공·아시아역사문화전공·유럽 및 아메리카문화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역사문화콘텐츠트랙
2022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역사콘텐츠트랙 }}}}}}

3.6. 지식정보문화트랙

지식정보문화트랙
Knowledge and Information Culture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자주지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80 상경학부 도서관학과
1983 사회과학부 도서관학과
1988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과
1993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2000 인문대학 지식정보학부(문헌정보전공·기록관리학전공)
2016 인문대학 응용인문학부 문헌정보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정보문화트랙
2018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도서관정보문화트랙
2024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지식정보문화트랙 }}}}}}

신설 당시에는 사회과학대학이었으나 학부로 개편되면서 인문대학으로 옮겨졌다. 졸업 시 정사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3.7.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Digital Humanities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자주지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80 상경학부 도서관학과
1983 사회과학부 도서관학과
1988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과
1993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2000 인문대학 지식정보학부(문헌정보전공·기록관리학전공)
2016 인문대학 응용인문학부 문헌정보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라키비움비즈니스트랙
2018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

문헌정보학과에서 파생된 전공으로, 기록학을 중점으로 디지털 기술 및 콘텐츠 기획, 개발, 관리 등의 분야를 다룬다. 역시 졸업 시 정사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4. 예술학부

<rowcolor=#ffffff> 예술학부
Division of Arts
동양화전공 서양화전공 한국무용전공 현대무용전공 발레전공

4.1. 동양화전공

동양화전공
Major in Oriental Paintin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최강회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3 가정학부 생활미술학과
1979 예술학부 생활미술학과
1982 예술학부 미술학과
1993 예술대학 미술학과
1994 예술대학 회화과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동양화전공 }}}}}}

4.2. 서양화전공

서양화전공
Major in Western Paintin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최강회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3 가정학부 생활미술학과
1979 예술학부 생활미술학과
1982 예술학부 미술학과
1993 예술대학 미술학과
1994 예술대학 회화과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서양화전공 }}}}}}

4.3. 한국무용전공

한국무용전공
Major in Korean Dance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4 가정학부 무용학과
1979 예술학부 무용학과
1993 예술대학 무용학과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

4.4. 현대무용전공

현대무용전공
Major in Modern Dance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4 가정학부 무용학과
1979 예술학부 무용학과
1993 예술대학 무용학과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현대무용전공 }}}}}}

4.5. 발레전공

발레전공
Major in Ballet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4 가정학부 무용학과
1979 예술학부 무용학과
1993 예술대학 무용학과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발레전공 }}}}}}

5. 폐지된 학과

===# 불어불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4 문리학부 불어불문학과
1977 폐과 }}}}}}
===# 이민·다문화트랙 #===
이민·다문화트랙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2018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다문화예술복지트랙
2019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예술학부 이민·다문화트랙
2021 모집중지 }}}}}}

트랙 중 유일하게 이전의 학과에서 파생되지 않고 새롭게 개설된 트랙이었다. 예술학부 소속이었지만 교육과정상 딱히 관련은 없고 인문대나 사회과학대학과의 연관성이 더 컸다.
===# 문학문화콘텐츠트랙 #===
문학문화콘텐츠트랙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 Trac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M: 자유국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3 문학부 국어국문학과
1974 문리학부 국어국문학과
1983 인문과학부 국어국문학과
1993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00 인문대학 한국어문학부 한국어문학전공·언어문화컨텐츠전공
2016 인문대학 응용인문학부 국어국문전공
2017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문학문화콘텐츠트랙
2022 모집중지 }}}}}}

2022년 학과로 분리, 독립하면서 기존 트랙은 폐지되었다. 학과 개편 이후의 정보는 한성대학교/학부/창의융합대학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