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한국철도공사 393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93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일반열차 | 광역전철 | 화물열차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편성번호 ·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편성번호 | 차량번호 | 차량번호여섯 자리 | SR 임대·소유 차량번호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
간선열차 | |||||
관광열차 | 200000호대(8호기 한정) | ||||
광역전철 | |||||
도입 예정 | [[KTX(차량)#s-5|{{{#ffffff EMU-370}}}]] 연구중 | ||||
개번 전 | 2030호대(1993~2011) | ||||
전량 퇴역 | 1000호대(상세)(1974~2020)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속열차 | <colbgcolor=#fff,#1c1d1f> | |||
간선열차 | |||||
관광열차 | |||||
광역전철 | |||||
도입 예정 | |||||
개번 전 | 2030호대/현황 | ||||
전량 퇴역 | 1000호대/현황 | ||||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현황 보기 · 디젤동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 |
대전권 광역전철 전동차 (열차번호 · 차량번호 · | ||
| | |
1000호대 (현황) | (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93000호대 전동차의 현황을 정리한 문서이다.- 소유기관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1차분
- 차량기지
- 미정
- 충청권 광역철도(2량): 393I01~393I08편성
- 회색 바탕은 현재 휴/폐차 혹은 운행중단 상태
- 회색 바탕 + 굵은 글씨체는 미반입 상태
2. 현황
<rowcolor=#fff> 편성번호 | 인버터 소자 | 전조등 | 제작회사 | 제작년도 | 도입 목적 | 비고 | |
<colbgcolor=#aecc54><colcolor=#fff> 393I01 | <colbgcolor=#81f781,#147d56> 현대로템 IGBT [M][IPM] | LED | 현대로템 | 1차분 | 2025년 예정 | 충청권 광역철도 신탄진역 ~ 계룡역 개통분 | |
393I02 | |||||||
393I03 | |||||||
393I04 | |||||||
393I05 | |||||||
393I06 | |||||||
393I07 | |||||||
393I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