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국토지주택공사 | 주택관리공단 | 한국도로공사 | 한국도로공사서비스 |
한국철도공사 | 코레일관광개발 | 코레일네트웍스 | 코레일로지스 | |
코레일유통 | 코레일테크 | 주식회사 SR | 한국공항공사 | |
인천국제공항공사 | 제주국제자유 도시개발센터 | 주택도시보증공사 | 한국부동산원 | |
새만금개발공사 | 한국해외인프라· 도시개발지원공사 | 한국교통안전공단 | 한국국토정보공사 | |
국토안전관리원 | 국가철도공단 | 국토교통과학 기술진흥원 | 항공안전기술원 | |
대한건설기계 안전관리원 | 건설기술교육원 | 공간정보품질관리원 | 국립항공박물관 | |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 ||||
| }}}}}}}}} |
<colcolor=#fff> 한국교통안전공단 韓國交通安全公團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 |
| |
<colbgcolor=#2d82cf> 설립일 | 1981년 7월 1일[1] |
설립목적 |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 및 교통체계 운영, 관리 지원을 통해 안전한 교통환경과 효율화를 도모하여 국민의 생명과 신체 및 재산의 보호 한국교통안전공단법 |
업종 | 기술 시험, 검사 및 분석업 |
전신 | 교통안전진흥공단 (1981년 7월 1일 ~ 1995년 4월 4일) 교통안전공단 (1995년 4월 5일 ~ 2017년 12월 31일) |
대표자 | 정용식 |
주무기관 | 국토교통부 |
주요 주주 | 해당사항 없음 |
기업구분 |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1,921명(2024년 12월 31일 기준)[2] |
자본금 | 해당사항 없음(2023년 기준) |
매출액 | 4,399억 3,047만 9,742원(2023년 기준) |
영업이익 | -3억 4,768만 7,462원(2023년 기준) |
순이익 | 10억 7,576만 1,778원(2023년 기준) |
자산총액 | 3,529억 9,634만 1,009원(2023년 기준) |
부채총액 | 1,267억 8,346만 1,160원(2023년 기준) |
부채비율 | 56.05%(2023년 기준) |
미션 |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환경 조성으로 국민이 행복한 세상을 만든다. |
비전 |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열어갑니다. |
소재지 | 경상북도 김천시 혁신6로 17 (율곡동) |
| |
홈페이지 | |
SNS | 한국교통안전공단 웹진 (TS매거진) |
캐릭터 | 마스코트 '탠젤주니어' |
전화번호 | 대표전화: 1577-0990 |
| |
|
▲ 한국교통안전공단 공식 홍보영상 |
|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열어갑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슬로건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슬로건
1. 개요
한국교통안전공단법 제1조(목적)
이 법은 한국교통안전공단을 설립하여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 및 교통체계 운영·관리 지원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고, 교통안전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한국교통안전공단을 설립하여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 및 교통체계 운영·관리 지원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고, 교통안전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교통사고 예방 사업 및 교통체계 운영·관리 지원 사업을 하는 국토교통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1981년 7월 1일 교통안전진흥공단이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1995년 4월 5일 교통안전공단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2018년 1월 1일 지금의 명칭이 되었다.
2. 상세
이름이 비슷한 경찰청 산하 도로교통공단과 헷갈리기 쉬운데,교통 관련 행정 및 자동차 검사소를 비롯해 관련 서비스와 자격증도 담당하고 차량 주행이나 충돌 실험도 하며, 관련 사건 사고에 대해서도 자문도 맡고 있다.
여담으로 근래 들어선 급발진 관련 EDR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아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지만# 2015년 이후에는 이것이 의무로 적용되기에 관련 업체들에게 보상금과 관련해 적잖은 피바람이 몰아칠 듯하다.
3. 역대 이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한국교통안전공단 역대 이사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조영길 | 2-3대 이필조 | 4대 이창구 | 5대 하소곤 | |
6대 강동석 | 7대 김창원 | 8대 홍철 | 9대 유직형 | |
10대 이승일 | 11대 김종희 | 12대 박남훈 | 13대 정상호 | |
14대 정일영 | 15대 오영태 | 16대 권병윤 | 17대 권용복 | |
18대 정용식 | }}}}}}}}} |
초기에는 군 장성 출신이 주로 임명되었다. 문민정부 이후로는 건설·교통(국토교통부) 분야 전문 행정관료들이 임명되고 있다.
- 조영길 (1981)[5]
- 이필조 (1981~1988)
- 이창구 (1988~1990)[6]
- 하소곤 (1990~1993)[7]
- 강동석 (1993~1994)[8]
- 김창원 (1994~1997)
- 홍철 (1997)
- 유직형 (1997~1999)
- 이승일 (1999~2002)
- 김종희 (2002~2005)
- 박남훈 (2005~2008)
- 정상호 (2008~2011)
- 정일영 (2011~2014)[9]
- 오영태 (2014~2017)
- 권병윤 (2017~2020)
- 권용복 (2021~2024)
- 정용식 (2024~현재)
4. 사업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한국교통안전공단법 제6조 제1호 내지 제6호, 제9호 내지 제14호).- 교통안전에 관한 교육·계몽 및 홍보. 다만, 도로교통안전의 경우에는 자동차운송사업의 교통안전 관리 및 자동차 관리에 관한 사항만을 수행한다.
- 교통안전에 관한 기술의 개발·보급·지원 및 외국 기술의 도입. 다만, 도로교통안전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성능 및 안전에 관한 사항만을 수행한다.
- 교통안전에 관한 자료의 수집, 조사·연구 및 국제협력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위탁하는 교통안전에 관한 업무
- 교통안전에 관한 연구 용역의 수탁(受託)
- 자동차의 성능 및 안전도에 관한 시험·연구
- 교통안전 점검 및 진단에 관한 사업
- 교통 및 자동차 정보시스템 운영과 정보 제공에 관한 사업
- 다른 법률에 따른 수탁 업무
- 예: 경량항공기 조종사 자격증명, 초경량비행장치 신고의 수리,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 증명업무 등
- 그 밖에 공단의 목적에 적합한 사업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거나 승인하는 사업
- 교통안전 및 이용자 편익을 증진하기 위한 공단 부지 및 시설 활용사업
- 이상의 사업에 딸린 사업
제6조 제1호, 제2호에 단서 규정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도로교통안전에 관한 나머지 사업은 도로교통공단 소관이기 때문이다.
4.1. 담당 자격증 및 면허
4.1.1.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 항공기 조종사(운송용, 사업용, 자가용, 부조종사)
- 항공사
- 항공기관사
- 항공교통관제사
- 항공정비사
- 운항관리사
- 경량항공기 조종사
-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
4.1.2. 철도종사자 자격시험
- 철도차량 운전면허
- 고속철도차량
- 디젤차량
- 제1종 전기차량
- 제2종 전기차량
- 철도장비차량
- 노면전차(2025년부터 시행)
-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 도시철도 관제자격증명
2024년 10월경 철도종사자 자격시험장이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내에서 서대전네거리역 인근으로 이전하였다. 제2종 전기차량, 노면전차(2025년부터), 철도교통·도시철도 관제자격증명 기능시험은 서대전 자격시험장에서 시행하고, 디젤차량, 고속철도차량 등 기타 면허는 별도 지정장소에서 시행한다.
- 한국교통안전공단 철도종사자 자격시험장 (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876(오류동) 메종드메디컬빌딩 11~12층)[11]
- 제2종 전기차량
- 노면전차
-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 도시철도 관제자격증명
-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12]
- 의왕본원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57(월암동))
- 고속철도차량
- 철도장비차량
- 대전분원(본사교육장)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0(소제동))
- 제1종 전기차량
- 디젤차량
4.2. 버스정보시스템
전국 업체 중 가장 많은 57곳의 시내버스 버스정보시스템이 이 곳에서 제공한 버스정보시스템을 쓰고 있다. 사용하는 지자체를 보면 대부분 중소도시나 군 지역인 경우가 많은데, 아무래도 독자적으로 BIS를 개발해서 구축하려면 예산이 더 필요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5. 노동조합 현황
2023년 3월 기준- 한국교통안전공단노동조합(제1노조):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소속.
- 한국교통안전공단통합노동조합(제2노조): 미가맹.
6. 기타
- 항공/철도산업 종사자들이나 차량 관련 직종을 가진 사람들의 입에서 '공단'이라는 단어가 나온다면 아주 높은 확률로 이곳을 지칭하는 것이다.[13] 이름이 길다 보니 소속 공무원들과 위의 법령에서도 공단이라고 칭한다.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이름과 역할이 비슷하지만, 이쪽은 해상교통을 전담한다.
- 과속과 급정거, 급회전 등 버스의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작은 단말기 사업을 진행한다.
- 1995년에는 케이블 방송국인 TTN교통관광TV(현 리빙TV)도 운영했다. 당시 고정 채널 번호는 28번. 1998년 초 건설 및 부동산 분야로 방송 영역을 확장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했으며 2000년 민간에 매각했다.
[1]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의 사명 변경일은 2018년 1월 1일이다.[2] 정규직 현원 1,562명, 무기계약직 현원 293명, 비정규직 현원 66명.[3] 도로교통공단은 원래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이었다. 매우 길고 실제로 교통안전공단과 헷갈리기 쉬운 이름이었기에 2008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4] 항공안전을 담당하기 때문에 담당업무도 유사한 면이 있다.[5] 前 한국관광공사 사장[6] 前 조달본부장[7] 12.12 군사반란 당시 중상을 입고 보안사에 의해 가택연금 되었던 인물이다.[8] 제12대 건설교통부장관. 인천국제공항의 건설을 진두지휘한 인물로 인천국제공항공사 초대 사장과 한국전력공사 사장을 지냈다.[9] 제7대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제21·22대 국회의원[10] 본래 각 지자체별 택시운송사업조합에서 주관하다가 2021년에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 이관되었고 시험 방식도 PBT에서 CBT로 바뀌었다.[11] 주차장이 협소하고 차종별로 출입 제한이 있으므로 대중교통 이용 권장[12] 인재개발원의 교육훈련장비를 공단에서 임대하여 시험 진행[13] 반드시는 아니다. 철도업계에서는 그냥 공단이라고만 하면 이곳보다는 국가철도공단을 의미할 때가 많으며, 산업재해가 일어났을 때 언급되는 '공단'은 이곳이 아닌 근로복지공단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다. 이 때문인지 영문 약칭인 TS라고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