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21:26:46

하야시바라 메구미/생애 및 활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하야시바라 메구미
1. 개요2. 데뷔 이전3. 활동
3.1. 성우3.2. 가수3.3. 라디오


1. 개요

일본의 성우 및 가수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생애와 활동을 정리한 문서.

2. 데뷔 이전

파일:유치원 때 찍은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사진.jpg 파일:시치고산 때 찍은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사진.jpg
1967년 3월 30일 일본 도쿄도 키타구에서 1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1] 할아버지는 의사였고 아버지는 도쿄대학 출신 변호사, 9살 연상인 오빠는 치과의사에다가 초-중-고도 개신교계 미션스쿨 학교[2]를 나온 그야말로 부잣집 엘리트 집안의 막내딸이다. 초등학교 시절 왕따를 당했지만 이를 이겨내면서 긍정적이고 밝은 때로는 직구적인 성격으로 변했다고 한다. 초등학교 때 《우주전함 야마토》를 보면서 성우라는 직업이 있다는 것을 인지했다고 한다.

중학교 1학년 때 친구 아버지가 신문사에 다녀서 얻은 표로 친구와 같이 호텔 디너쇼에 갔는데, 전설적인 성우 노자와 마사코가 이벤트 진행을 했다고 한다. 이벤트의 일환으로 《은하철도 999》에서 철이 역할을 했던 노자와가 당시 현장에 없던 이케다 마사코메텔 연기를 해줄 사람을 찾았고 여기에 하야시바라가 자원했다. 같이 연기를 한 노자와는 하야시바라에게 연기를 잘한다고 칭찬했고 하야시바라는 이 경험이 매우 인상 깊게 남아 이후에 성우를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데뷔한 이후 노자와 마사코와 같이 녹음하게 되었을 때 이때의 이야기를 하면서 매우 감사하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파일:간호학교 시절의 하야시바라 메구미.jpg
간호학교 시절의 하야시바라 메구미. 가장 맨 뒤 오른쪽에 있다.
중학교 3학년 때 아버지가 병으로 쓰러지면서 반신불수가 되었고 진로를 간호사로 결정하게 된다. 고등학교 3학년 때 간호학교[3]에 원서접수를 하러 갔는데, 접수원인 간호사가 너무 불친절해서 화가 난 상태로 집에 돌아오는 길에 들린 편의점에서 아트비전일본 내레이션 연기연구소 제1기 선발 오디션 공고를 보았다고 한다. 홧김에 충동적으로 오디션에 지원했다가 덜컥 특별우대생으로 합격해버렸다고.[4] 이때 오디션에서 좌판의 귤을 사가지고 가서 심사위원에게 1개씩 나눠주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고 하는데 정작 본인은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 일본 내레이션 연기연구소 시절 동기로 아마노 유리, 와타나베 쿠미코, 이시하라 신이치[5] 등이 있다.

안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간호사를 포기하고 당시 인식이 안 좋고 미래가 불안정한 성우의 길을 선택하는 것을 집안에서는 매우 심하게 반대했다고 한다. 오랜 설득 끝에 간호대를 졸업하고, 국가고시를 합격해 면허를 따고, 졸업 후 3년 안에 생계가 안정되지 않으면 성우를 포기한다는 조건으로 성우 활동을 겨우 허락받는다. 1985년부터 1988년 졸업할 때까지 학업과 성우 활동을 병행했고, 졸업 후 적은 성우 출연료로 생활이 어려워 병원에서 파트타임 간호사로 1년간 일한 경험이 있다.[6] 간호대를 다니며 성우활동을 하는 것이 특이했는지 선배들은 신인이었던 하야시바라를 '간호학교를 동시에 다니는 성실한 애'로 기억했고, 카미야 아키라는 주위 성우들에게 "간호사인 애가 있어"라고 말하고 다녔다고 한다.

3. 활동

3.1. 성우

하야시바라 메구미대표작

1986년 성우양성소 2년차에 《메종일각 TVA》 1화에서 유치원생B로 애니메이션 데뷔[7]했고 최종화까지 이런저런 단역으로 출연한다. 양성소를 다닌지 1년밖에 안된 생초짜여서 선배들에게 이리저리 깨지고 혼나는 상황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성우도 아니라는 악평까지 들을 정도였는데 잠도 자지 않고 인간이길 포기할 정도로 연습에 매진했고 지금의 연기력을 쌓게 된다. 한마디로 독종. 당시 성우 양성소 선생님이었고 메종일각 출연진이었던 치바 시게루는 하야시바라에게 발성, 발음, 연기 모두 하나하나 가르쳐줬고 부모님의 반대로 진로를 고민하던 하야시바라와 진지하게 상담을 해준 선배이자 은사로 하야시바라는 치바 시게루를 성우계의 스승님이라고 부르며 존경하고 있다.

학업과 병행하며 여러 작품에서 단역으로 출연하다가 1988년 4월 간호대 졸업 직후 《마신영웅전 와타루》에서 자신의 첫 레귤러 캐릭터 시노비베 히미코와 《오소마츠 군》의 마츠노 토도마츠를 연기하며 주목받기 시작하고, 1989년 4월 《란마 1/2》의 여자 란마로 발탁되며 하야시바라의 전설이 시작된다. 최고의 인기 캐릭터인 여자 란마를 데뷔 4년차에 완벽히 소화했고 이후 다른 작품들에서 주연이나 레귤러로 캐스팅되기 시작한다. 덧붙여 당시 신인이 많았던 《란마 1/2》의 성우진은 시간이 흐른 지금에는 전설의 성우진으로 회자되는데[8] 성우들끼리 사이가 매우 좋아 종영한지 20년이 넘은 현재까지도 자주 모이고 회식을 한다고 한다. 자신을 스타덤에 올려줬고 기라성 같은 선배들에게 배우고 같은 나이 또래의 성우들과 교류를 한 '란마'를 하야시바라는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들 중 하나로 항상 꼽는다.
2013년 헬로 키티 X フコク生命 TV CM [9]
1990년 4대째 헬로 키티 성우로 발탁되어 역대 최장수 키티 성우로 키티 관련 CM, 애니메이션, 산리오 퓨로랜드 및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이벤트(퍼레이드, 인형극, 뮤지컬 등), 어린이 방송 등 모든 매체와 이벤트의 키티 목소리를 담당하고 있었다. 2010년 8월 일본의 국민 프로 「와랏테 이이토모!」 생방송에 키티가 출연했을 때 스튜디오 뒤편에서 실시간으로 연기한 적도 있다. 키티 이미지에 어울리지 않을 것을 염려하여 자신이 키티 성우라는 것을 말하지는 않고 '하얀 고양이 친구' 등으로 에둘러 표현하고 있지만, 스태프롤에 항상 이름이 적혀있고 라디오 공개 방송에 산리오 회장(!)이 화환을 보내는 등 공식적으로 알려진 사실.

그러나 헬로 키티 50주년인 2023년 11월 1일 부로 헬로 키티 성우를 졸업했다는 중대 발표를 블로그에 밝히게 되면서, 33년을 끝으로성우 교체를 하게 되었다. 이후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연기한 헬로키티 관련 매체들을 산리오 측이 졸업 발표 당일에 갑작스럽게 전부 비공개하고 말았다. 헬로키티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을 전부 비공개 처리하거나, 여러 매체의 키티 목소리를 교체하는 사태가 벌어지게 되며 많은 팬들이 갑작스럽게 사전 고지 없이 영상을 내린 산리오를 비판하는 해프닝이 일어나기도 했다. 최장수 키티 성우였던 만큼,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키티의 이미지에 기여한 바가 커서인지 일본에서 굉장히 큰 이슈가 되었다.

란마 이후 최정상의 위치에 오르고 10년 넘게 전무후무한 전성기를 누렸는데 90년대 출연작들과 인기를 일일이 나열하면서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 90년대의 일본 애니메이션은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출연한 것과 출연하지 않은 것으로 나뉜다고 말 할 정도로 다작을 했는데, 일주일에 출연하는 레귤러 캐릭터가 기본 11개였다고 한다.[10] 본인도 힘들었는지 소속사에 쉬고 싶으니 제발 일을 줄여달라고 부탁할 정도였다고. 인기 역시 넘사벽으로 애니메이션 잡지 아니메쥬의 연간 독자 인기투표인 애니메이션 그랑프리에서 1994년 2위[11]를 제외하고 1989년부터 2001년까지 12년 동안 1위, 2006년까지 18년 동안 TOP 10, 2009년까지 21년 동안 TOP 20이라는 말도 안 되는 기록을 남겼다.[12][13][14]

이렇게 인기를 얻고 캐스팅된 데에는 성우 덕후들도 까지 않을 정도로 연기력이 좋으면서 동시에 할머니, 아줌마, 아가씨, 소녀, 소년, 동물을 소화할 정도로 목소리 폭이 넓기 때문이다.[15] 말괄량이 연기로는 출세작 《마신영웅전 와타루》의 시노비베 히미코, 《마동왕 그랑조트》의 구리구리, 여자 란마, 리나 인버스 등이 유명하고, 귀여운 목소리로는 키티, 밍키모모, 《디지캐럿》의 삐요코, 《프리큐어 극장판》의 니코, 냉정하고 얌전한 소녀 목소리로 아야나미 레이, 하이바라 아이, 쿄우야마 안나, 성인 여성으로는 페이 발렌타인, 개그 캐릭터는 바카본, 로사(무사시) 등이 대표적이다. 의외로 소년역할도 많이 해왔는데 《오소마츠 군》의 토도마츠, 《플랜더스의 개》의 네로, 《날아라 호빵맨》의 주먹밥동자, 《더 도라에몽즈》의 왕도라, 《천재 바카본》(1990년)의 바카본 등이 유명하다. 《포켓몬스터》에서 각종 포켓몬들을 담당하고 있고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아야나미 레이, 이카리 유이, 펜펜, 폭주 초호기, MAGI의 음성과 각종 엑스트라들을 연기한 것은 이미 전설. 그야말로 못하는 게 없는 광역계이자 먼치킨.
[nicovideo(sm5924545)]
하야시바라 메구미 TVA 캐릭터 모음집[16]

스스로를 무녀(イタコ)[17] 성우라고 말할 정도로 캐릭터에 몰입해서 연기하기로 유명하다. '왜 이 캐릭터가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일까', '이 대사를 말하는 캐릭터의 심정은 어떨까' 등 캐릭터를 철저히 연구하고 스튜디오에 들어서면 연기하는 캐릭터에 빠져들어 실제 행동이 변한다고 한다. 《명탐정 코난》 스튜디오에서는 모리 란 성우 야마자키 와카나에게 퉁명스럽게 군다든가, 《카우보이 비밥》에서는 줄리아 성우 타카시마 가라와 눈도 안 마주쳐서 버릇없다고 혼난 일화도 있다. 작품의 설정이나 다른 캐릭터들의 뒷이야기 등을 상세히 파악하는 것 보다 자신의 캐릭터가 아는 만큼만 알고 연기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한다. 《쇼와 겐로쿠 라쿠고 심중》때도 라쿠고를 싫어하는 본인의 배역 미요키치 때문에 수록이 끝나고 원작과 라쿠고에 대해 알아봤다는 모양이다.

한국에서는 아야나미 레이 계열의 쿨뷰티 캐릭터의 목소리로 많이 알려졌는데, 원래 하야시바라는 히미코, 여자 란마, 리나 인버스 같은 활기찬 소녀 목소리로 정평이 나 있다. 90년대 후반 국내에 일본문화가 알려졌던 시기가 에바 신드롬이 절정이었고, 에반게리온 이후 과묵한 캐릭터의 캐스팅이 늘어나서 이런 인식이 생긴 것. 실제로 하야시바라 본인도 에반게리온 오디션에 참가할 당시 아스카나 미사토 역을 맡게 될 거라고 예상하고 있었으나 생각치도 못하게 레이 역에 캐스팅 돼서 당황했다고 한다. 소녀 캐릭터 이외에 커리어 초반에는 소년 캐릭터가 많았으나 현재에는 기존 레귤러를 제외하고는 소년연기를 듣기가 힘들어 졌고, 나이가 들면서 성인 여성 캐릭터가 늘어났다.

하야시바라의 연기에 대해 오오츠카 아키오는 자신의 책 『성우혼(声優魂)』에서 "하야시바라 메구미와 타카야마 미나미는 천재. 범인이 따라해서는 안되는 사람들."라고 평하였고, 야마데라 코이치는 자서전에서 "메구짱이 여자로 태어나서 다행이다. 만약 남자였다면 오디션에서 경쟁할 자신이 없다."고 적었으며, 음향감독 미마 마사후미는 인터뷰에서 "어떤 역할을 부탁해도 연기가 언제나 완벽해서 인간미가 없는 사람이라고 오해했었다."고 말하였다.
파일:megumi_hayashibara_04_350.jpg
1998년 5월호 《아니메쥬》
1980년대 말 히미코, 란마, 밍키 모모 등으로 톱성우로 거듭나고 95년 《슬레이어즈》의 리나 인버스로 정점을 찍나 싶었는데 이어서 방영된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기존에 맡은 캐릭터와 정반대인 감정이 없고 신비로운 아야나미 레이를 연기하며 가히 전설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97년 《포켓몬스터》, 98년 《카우보이 비밥》, 99년 《명탐정 코난》에 출연하면서 10년이 넘게 전성기를 이어나가다가, 1998년 4월 1일 자신의 라디오 《Tokyo Boogie Night》 공개방송에서 웨딩드레스 차림으로 나타나 결혼 발표를한다. 상대는 3살 연하 일반인 남성[18]이고, 하야시바라의 31번째 생일(3월 30일)에 혼인신고를 했으며, 웨딩드레스는 《란마 1/2》에서 만나 절친하게 지내는 사쿠마 레이, 히다카 노리코가 차례로 입고 물려준 드레스라고 한다.

1999년 14년간 소속되었던 아트비전을 퇴사하고 '우드파크 오피스'에 들어갔다. 우드파크 오피스 사무실의 주소는 킹 레코드 스타차일드 사무실로 되어 있는데 성우 기획사 역할을 한다기보다는 개인 스케줄만 관리해 주는 형식으로 사실상 프리랜서. 이후 예전보다 활동이 줄었지만 꾸준히 신작 애니메이션(《건방진 천사》, 《러브히나》, 《디지캐럿》, 《샤먼킹 (2001)》 등)에 출연했는데, 2003년 임신과 2004년 출산 이후에는 육아에 집중하기 위해서 제작진에서 강력히 배역을 오퍼하지 않는 이상 신작출연을 자제하였다. 전성기시절 얼마나 빡세게 활동했는지 출산 휴가가 88년 이후 15년만의 제대로 된 휴식이었다고 한다.

많은 국내 애니메이션 팬들은 신작(심야) 애니에 관심이 쏠리는 경향이 있어 '하야시바라 메구미는 요즘 은퇴했나요? 활동 안 하나요?'라는 글이 종종 나오지만 여전히 현역이다. 국민 애니메이션인 《명탐정 코난》과 《포켓몬스터》에 하이바라 아이와 로켓단의 로사로 고정 출연 중이고, 《날아라 호빵맨》에서 준 레귤러지만 매년 주먹밥동자로 출연하고 있으며, 각종 매체에서 키티 목소리를 담당하고 있다. 또 《에반게리온 신극장판》 같이 기존에 출연했던 작품들이 부활하였고, 콘 사토시 감독의 《파프리카》 , 《프리큐어 극장판》, 《마르두크 스크램블》 3부작 시리즈, 《아수라》 등 극장판에 자주 출연하였다. 특히 《파프리카》에서는 치바 아츠코와 파프리카 1인 2역을 소화했고 작품은 베니스 영화제 경쟁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어 출연작 중 최초로 국제 3대 영화제에 출품되었다.[19] 이외에도 한국에서는 잘 알 수 없지만 외화 더빙, CM 및 TV 프로그램 내레이션, 낭독 등의 일도 꾸준히 하고있다.

2014년 1월, 《원피스》에 레베카로 출연이 결정되며 오랜만에 2쿨이 넘는 레귤러를 맡았다. 지난 들의 과의 인연인지 《감독부적격》, 《스페이스 댄디》, 《낙원추방》에도 출연했고 게임이나 TV 내레이션도 새롭게 맡았다. 2014년 들어서 활동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중. 11월 야마데라 코이치와 같이 스튜디오 카라의 《일본 애니(메이터) 견본시장》의 성우로 발탁되어 모든 여성 캐릭터, 소년 등을 소화했다. 커리어에서 매우 보기 드문 야애니 수위의 연기, 1인 3역으로 여중생 백합 연기, 오랜만의 소년 연기를 들을 수 있는 희귀한 작품이다.

성우 데뷔 30주년 & 가수 데뷔 25주년을 맞이하는 2015년, 하야시바라 재기동이라고 말하면서 다시 성우와 가수 활동 모두 왕성하게 활동을 하고 있다. 임신과 출산 당시 십수년간 해온 레귤러들이 없었다면 성우일을 그만둘 생각을 했다고 말할 정도로 가정에 치중을 했었는데 딸이 초등학교 고학년이 된 후 다시 활동할 여유가 생긴 듯 하다. 4분기 《우시오와 토라》에서는 토와코백면인로 출연하며 오랜만에 악역다운 악역 연기를 보여주며 폼은 일시적이지만 클래스는 영원하다는 말을 입증했다.

2016년 10월 개봉될 스튜디오 카라 제작, 안노 히데아키 감독의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REBOOT야마데라 코이치와 같이 캐스팅 되었다. 일본 애니(메이터) 견본 시장과 동일한 제작진과 캐스팅으로, 하야시바라는 신인시절 조연 사쿠라야마 모모코로 패트레이버 시리즈에 출연한 적이 있다.

또한 조연이기는 했지만 소드 아트 온라인에서 유우키 아스나의 어머니 유우키 쿄코를 맡기도 했다.

2017년에는 성우 데뷔 이래로 처음으로 10대 중반 소년 캐릭터에 도전했다! 사이하라 슈이치가 바로 그 주인공.

2018년에는 드디어 애니화된 꼭두각시 서커스의 히로인 시로가네를 맡았다.

그리고 2020년 4월에는 자신의 초창기 데뷔작인 마신영웅전 와타루 시리즈의 신작인 마신영웅전 와타루 칠혼의 류진마루에서 와타루 시리즈의 히로인인 시노비베 히미코를 다시 담당하였고, 2021년 샤먼킹 신작에서도 쿄우야마 안나를 다시 담당했다.

2021년 4분기에는 달과 라이카와 흡혈공주에서 이리나 루미네스크로 출연했으며 이는 슬레이어즈 에볼루션 R 리나 인버스 이후로 12년 만에 맡은 라이트 노벨 기반 애니메이션 여주인공이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이리나의 마음이 조금씩 풀림에 따라 연기톤도 새심하게 변화를 주는 게 일품.

2023년 2분기에는 세일러 문 최종장에서 최종 보스격인 세일러 갤럭시아로 출연했다.[20] 여담으로 세일러 문의 성우는 미츠이시 코토노로 이쪽도 하야시바라 메구미와 함께 1990년대에 최고의 인기를 누렸으며 동갑이다. 또한 극중 둘의 구도도 은하 최고의 치유력을 가진 전사 vs 은하 최고의 파괴력을 가진 전사라는 걸 생각하면 여러모로 노린 캐스팅이라고 볼 수 있다.[21]

2024년 4분기에는 란마 1/2 리메이크에서 여자 란마를 다시 연기하게 됐다. 옛날이랑 목소리가 좀 달라졌다는 반응도 일부 있으나 하지만 이것은 21세기에 원하는 목소리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목소리톤을 바꾼 것이며 오히려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에 30년 전의 연기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목소리 관리를 잘 했다고 봐야할 것이다.[22]

3.2. 가수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벚꽃 피다
성우 최초로 레코드 회사와 전속계약을 맺고 음반을 발매한 가수이다. 이전에도 성우 활동을 하면서 음반을 내는 경우들이 있었으나 이는 가수 출신 성우거나 이벤트성 음반 발매였다.[23] [24] 처음부터 성우로 데뷔한 성우 출신으로는 최초이다. 당연하지만, 가창력도 굉장히 좋은 편이다.

1989년 4월 《건담 0080》의 히로인 크리스티나 맥켄지역을 맡았는데 건담 이벤트에서 당시 킹 레코드 소속 가수 '시이나 메구미'의 주제곡을 부르게 되어 이벤트 준비로 킹 레코드에 방문하였다. 당시 킹 레코드의 프로듀서였던 오오츠키 토시미치(大月俊倫)[25]를 만나고 가수로서 하야시바라의 재능을 발견한 오오츠키의 권유로 크리스의 이미지송 "夜明けのShooting Star"을 부르게 된다. 이후 킹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가수 데뷔를 준비하는데 하야시바라 본인, 소속사 아트비전, 음반사 킹 레코드 그리고 애니메이션 제작진들 모두 성우의 음반 활동이 처음이라 계약관계, 활동 등 시행착오가 매우 많아 데뷔가 늦어졌다고 한다.

1991년 3월 5일 싱글 <虹色のSneaker>을 킹 레코드에서 발매하며 본격적인 가수 활동을 시작한다.[26] 80년대까지 성우는 무대 뒤의 사람으로 가끔씩 캐릭터 송을 부르는 경우는 있었지만 성우의 이름을 걸고 활동을 하는 것은 하야시바라가 최초로 지금의 성우들이 애니메이션의 OP/ED을 부르고 음반을 발매하는 것 모두 하야시바라가 최초로 시도한 것이다. 킹 레코드 레이블을 현재 애니메이션/성우 업계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현재까지도 킹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로 회사 임원급 대우를 받고 있었다.

그러나 2019년 3월 31일 자로 킹 레코드를 퇴사하게 되었다. 하야시바라는 그 이유로 자신이 나이가 들며 하고 싶을 때 노래를 부르며 일을 하고 싶었지만 킹 레코드 소속으로 있으면서 계약에 묶여 자신의 의지와는 다르게 활동할 수밖에 없었고 그나마 자신이 음악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줬던 사람들도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계약 상 활동이 아닌 좀 더 자유롭게 가수 활동을 하기 위해 킹 레코드를 퇴사하기로 했던 것. 그러나 킹 레코드를 나오더라도 협력관계는 그대로 유지하며 활동에도 제약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이제 프리랜서 가수이므로 이와 관련된 활동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7]

지금의 성우들과 달리 하야시바라는 원래 가수를 염두에 두지 않았고 성우는 연기로서만 승부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어서 적극적으로 가수 활동을 하지 않았다. 콘서트를 하면 일주일에 녹음이 10개가 넘는 성우로서의 본업에 방해되기에 전성기 시절 단 한 번도 콘서트를 한 적이 없고, 라디오의 공개 방송이나 킹 레코드의 합동 콘서트 같은 이벤트의 경우에만 가끔씩 라이브를 하고 있다. 그러나 성우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테츠코의 방" 같은 유명 TV프로그램이나 "오리콘 스타일" 같은 非 애니메이션 계열 잡지 인터뷰를 하며 성우라는 직업을 대중들에게 알렸고, 많은 80년대생 성우들은 하야시바라를 통해 성우를 알게 되고 성우의 꿈을 키웠다고 말하게 되었다.

음반 활동, 다양한 미디어 활동 모두 성우로서는 최초로 후배 성우들의 활동 방식을 바꿨고 오쿠이 마사미는 "하야시바라 메구미는 성우계의 미소라 히바리 같은 인물"이라며 그 영향력을 말하기도 했다. 성우 아티스트 선구자로 남긴 기록들이 화려하고, 최초 타이틀도 많은데, 중요한 기록들은 아래와 같다.
  • 성우 아티스트 최초 오리콘 앨범 차트 TOP 10 진입 (1994.07.02 앨범 『SPHERE』 주간 8위)
  • 성우 아티스트 최초 오리콘 싱글 차트 TOP 10 진입 (1996.04.24 싱글 「Give a reason」 주간 9위)
  • 성우 아티스트 최초 오리콘 앨범 차트 TOP 3 진입 (1996.11.01 앨범 『bertemu』 주간 3위)
  • 성우 아티스트 최초 앨범 초동 10만 장 이상 기록과 역대 최다 초동 기록 [28]
  • 성우 아티스트 최초이자 유일한 싱글 초동 10만 장 (1997.04.23 싱글 「do not be discouraged」 초동 105,590장)
  • 성우 아티스트 역대 최다 단일 앨범 판매 (1997.08.06 앨범 『Irava​​ti』 오리콘 277,060장 / 출하량 40만 장)
  • 성우 아티스트 최초 싱글 다운로드 10만/25만/50만 인증 (2009.04.22 싱글 「集結の園へ」 일본 레코드 협회 인증)[29]
  • 성우 아티스트 역대 최다 판매량 기록 (약 395만 장[30])

90년대 중후반은 일본 음반 시장의 전성기로 B'z, ZARDBEING 사단, 아무로 나미에, globe의 코무로 테츠야 사단, Mr.Children, GLAY 등 쟁쟁한 아티스트들의 밀리언셀러가 수두룩한 시절이었다. 성우가 노래를 부른 다는 개념이 생소했던 시기에 전성기 오리콘 차트의 상위권에 오른 것 자체가 일본 대중문화계에 큰 충격이었고 일반인들에게 성우라는 직업을 인식시킨 하나의 사건이었다. 참고로 당시 오리콘 차트는 애니메이트 같은 애니메이션 계열 상점의 음반 판매량이 집계되지 않고 오직 J-POP 음반점의 판매량만 집계되었다.

하야시바라 메구미 이후 동시대의 타카야마 미나미와 후배 시이나 헤키루, 코우다 마리코 같은 성우들이 음반 활동을 시작했고 소위 제3차 성우 붐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90년대 TV 애니메이션의 부흥과 성우들의 개별적인 활동이 시너지를 일으켜 성우들이 주목받고 열광적인 인기를 얻게 만든 최초의 성우로 "성우의 아이돌화"는 하야시바라 메구미부터 시작되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현재 성우들의 음반 활동, 라디오 활동 등을 개척한 선구자이지만 하야시바라는 연기 본업을 소홀히 하는 일부 성우들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이며 본인이 일으킨 성우계의 변화에 대해 복잡한 감정이 있다고 한다.

2000년대 들어서는 음악 활동이 이전보다 드물어졌으나 본인이 출연하는 작품(《슬레이어즈 Revolution》, 《마르두크 스크램블》, 《에반게리온: 파》들의 주제곡이나 삽입곡을 부르고 있으며 본인의 라디오 공개 방송에서 라이브를 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에반게리온: 파》 삽입곡 날개를 주세요가 공개되고 한일 양국에서 노래 실력으로 대차게 까였다. 듣는 것만으로도 불안하다, 한물갔다는 평. 알고 보니 에바 감독인 안노 히데아키가 부탁해서 라디오 부스에서 데모로 불러본 걸 '어설픈 느낌이 레이와 적합하다'며 그대로 영화에 데모 버전 삽입. 본인은 제대로 녹음하길 원했지만 안노가 거절한 것이라고.

2011년에는 니코니코 동화에 노래를 업로드하기도 했다. (자세한 것은 오소레잔 르 보와르 참조.)

2015년 가수 데뷔 25주년을 기념해 킹 레코드 이외의 음반사에서 녹음한 노래들을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 《타임캡슐》을 발매하고, 3X3 EYES 영상이 PV로 사용된 싱글 《サンハーラ〜聖なる力〜》을 발매했으며, 이례적으로 사이타마 슈퍼아레나에서 열린 KING SUPER LIVE 2015에 출연해 흰 티에 청바지 차림으로 명곡을 열창하며 팬들에게 감동의 순간을 선사했다. 2016년 시이나 링고가 프로듀스한 《쇼와 겐로쿠 라쿠고 심중》의 주제곡 「薄ら氷心中」을 발매하는데, 시이나 링고는 "천하의 하야시바라 여사. 그 일곱 빛깔 무지개색의 목소리에 접근한 것은 작가로서 꿈만 같은 일."라고 코멘트 했다.

2017년 6월 11일에 나카노 썬플라자홀[31]에서 생애 첫 단독 라이브 공연을 개최했다.[32] 일례로 2017년 생애 첫 단독 콘서트를 하게 된 계기는 따로 있는데 당시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오카자키 리츠코의 헌정 앨범 with you를 발매했었을 때였고 킹 레코드에서 "오랜만에 풀 프라이스 음반도 냈으니 콘서트도 한 번은 해야 하지 않겠나? 마침 공개 방송하는 날 오후 시간대가 비었다고 하니 공개 녹음 기세를 살려서 라이브를 해보는 건 어떻겠느냐? 어차피 공개 녹음과 라이브 공연의 차이는 관객에게 비용을 받냐, 안 받냐 밖에 없다."라는 권유를 받았었다. 처음에는 이에 대해 고민을 했으나 이번에 오카자키 리츠코 헌정 앨범도 발표하는 만큼 이번 기회에 오카자키 리츠코에 대한 추모의 의미를 제대로 담기 위해 생애 첫 단독 콘서트를 결정했다. 그래서 해당 콘서트의 구성을 보면 오카자키 리츠코의 헌정이 라이브의 주요 컨셉으로 이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해당 콘서트에서 하야시바라는 오카자키가 만든 곡만 7곡을 열창했으며 특히 라이브 첫 곡의 "夢を抱きしめて"의 경우 오카자키 리츠코의 코러스로 시작하고 앙코르 전 마지막 곡인 "青空"의 경우 오카자키 리츠코가 직접 부르는 노래로 마무리하는데 이는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오카자키 리츠코와 처음부터 끝까지 생애 첫 라이브를 함께하고 싶다는 본인의 의도가 반영된 것. 참고로 앙코르 전 부른 마지막 곡 푸른 하늘에서 하야시바라가 노래를 부르다 반주가 나오자 뒤돌아서서 오른손을 쭉 뻗으며 갑자기 퇴장한 후 노랫소리만 흘러나오는데 이는 원곡자인 오카자키 리츠코와의 하이파이브 및 바톤터치를 의미한다. 즉, "青空"의 처음부터 중간 부분까지는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부른 뒤 라이브를 다 한 것처럼 정중하게 인사를 한 후 갑자기 퇴장하고 클라이막스 부분은 뮤직비디오 영상과 함께 무대 위에서 벚꽃이 떨어지며 노랫소리만 나오는데 노랫소리의 주인공은 원곡자인 오카자키 리츠코. 즉 "青空"은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음성으로 시작하여 오카자키 리츠코의 음성으로 마무리하는 것이며 이는 의도된 것이었다는 의미. 이러한 콘서트 연출을 볼 때 그녀가 자신의 첫 라이브를 어떠한 마음으로 준비했는지 알 수 있다.
친애하는 오카자키 리츠코님,
그때부터 13년이란 시간이 지났어요.
슬프다는 것조차 언급하기 싫었던 그때부터
시간도 흐르고 이렇게 고향에서
당신에 대한 걸 말하고, 노래하고, 풀어내고
마음을 표현할 수 있게 됐어요.
살아간다는 건 어떤 걸까.
그리고 죽어간단 건 어떤 걸까.
천천히, 제대로, 그러면서도 긍정적으로
그런 걸 생각할 수 있게 됐어요.
당신과 만나지 못하게 되어
당신의 곡을 기다리지 못하게 됐을 때,
그건 억울하고 너무나 슬펐어요.
그래도 반복하고 반복하며 또 반복하여
당신의 곡을 들으며 마음으로 받아들이며
들을 때마다 거기에 있는 에너지 같은 게
결코 끊어지지 않았다는 걸
지금이 되어서야 겨우 실감하고 있어요.
지금 없지만 살아 있어.
당신이 제 마음에서 살아 있어요.
계속 살아요. 막 이래요.
티비나 영화나 장례식 장면 등으로
몇 번이나 반복되어
반쯤 너무 많이 사용된 것 같은
그런 말도 실감할 수 있게 됐어요.
깨닫고 보니 13년 지나 있었어요.
긴 건지 짧은 건지 그건 잘 모르겠어요.
누군가에게 있어서 소중한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결코 차례가 아닌 너무나 갑작스런
친구나 가족,
어제까지 같이 있던 반려동물 등
죽음이라는 것이 보내주는
그 받아들일 수 없는 충격을
완화시키지 않고 얼버무리지 않고
제대로 마음에 표시하면
진실된 의미로 자기 안에서
그냥 슬픈 게 아니라,
그러면서 반복하며 자신의 구원이 되고
버팀목이 되어 가는 거야.
힘이 생겨나는 제대로 된 빛 같은 게 있다는 걸,
그게 마음 속에서 살아간다는 걸 이해했어요.
모두에게 당신이 남겨준
온화하고 긍정적인 마음을
제 나름대로 전하고 싶다고 생각해요.
울고 싶어질 때는 제대로 울게요.
눈물은 소중히 사용할게요.
그리고 오늘 저는 무리하지 않는 미소로
거기에 서있을 거예요.
메구쨩답네 라며 미소짓는
당신 을 생각하며, 즐길게요.
그럼, 이만 실례할게요.
하야시바라 메구미 2017.06.11. 생애 첫 단독 라이브 공연 -당신을 만나러 와서- 오카자키 리츠코 파트 시작 전 소개 영상 Dear. 岡崎律子 에서...

또한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규모가 크든 작든 간에 라이브를 참가하게 될 경우, 세트리스트에 오카자키 리츠코가 만든 곡이 반드시 한 곡은 들어간다. 가장 최근의 라이브는 2018년 9월의 KING SUPER LIVE 2018으로 당시 부른 오카자키의 곡은 러브히나의 오프닝 곡인 사쿠라사쿠.[33]

3.3. 라디오

하야시바라 메구미여왕님 등장
신인시절부터 라디오를 하고 싶다고 노래를 부르고 다닐 정도였다고 한다. 본인의 염원대로 1991년 4월에 RF 라디오 일본에서 최초의 단독 진행 라디오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Heartful Station》(약칭 HS)을 시작했지만 '사회의 목탁'이란 악명 높은 방송사 방침으로 8월에 폐지되고 10월 라디오 간사이에서 다시 재개하여 2015년 3월 종영까지 24년간 1200회가 넘는 장수 방송이 되었다. 하트풀 스테이션은 간사이(관서) 지방에만 방송되므로 1992년 4월에 간토 지방의 TBS 라디오에서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Tokyo Boogie Night》(약칭 TBN)를 시작해서 HS를 뛰어넘어 27년째 방송하고 있다. 두 라디오는 성우들의 애니메이션 라디오(애니라지)가 활성화되는 기폭제 역할을 했고, 청취율도 높아 TBN는 골든 마우스를 수상하고 TBS 라디오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애니라지가 되었다.

하야시바라는 성우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서 CD는 발매하지만 라이브는 전혀 안 하는데 팬 서비스의 일환으로 라디오가 100회를 기록할 때마다 공개방송을 열어 팬들을 무료로 초대하며 라이브도 한다. 블로그나 트위터 등을 전혀 안 하기에 라디오에서 가끔씩 말해주는 일상과 사연이 팬들과의 유일한 통로였다. 20년이 넘는 장수 방송인지라 라디오 프로 자체가 유명해져서 애니메이션 관련된 게스트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연예인들도 가끔씩 출연하기도 한다. 청취자들 역시 공개방송에서 만나 팬끼리 결혼을 하다던가, 부모와 자식이 같이 라디오를 듣는다거나, 라디오를 통해서 팬이 되었던 청취자가 성우가 되어서 나타나기도 했다.

토크 능력이 뛰어나서 어지간한 성우/업계 선후배들과 대화를 주도하며(특히 후배들은 하야시바라의 손바닥 위...) 《포켓몬 라디오 쇼! 로켓단 비밀제국》에서는 거물 엔카 가수 코바야시 사치코를 게스트로 자연스럽게 라디오를 진행할 정도. 이런 그녀가 약한 게스트는 혼다 치에코 같이 어려워하는 선배들이나 17세교 교주님 같은 마이페이스인 사람. 이노우에 키쿠코가 게스트로 나왔을 때는 방송에서 '난 이런 타입에 약해...'라고 말하며 17세교 교주님에게 말리는 보기 드문 모습을 보여줬다.[34][35]

라디오를 1회부터 대본 없이 진행하고 있다. 각 코너명만 써져있는 종이와 청취자 엽서만 가지고 스튜디오에 들어간다고. 자신의 라디오에 관련된 거의 모든 것을 담당하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청취자 사연 정리(모두 읽는다고 한다.), 라디오 코너, 게스트 섭외, 이벤트 개최 진행 등을 모두 한다고 한다. 하트풀 스테이션은 어시스턴트와 같이 진행하는데 3번째 어시스턴트로 당시(1999년) 유명해지기 전이었던 호시 소이치로를 발탁한 것도 하야시바라라고 한다. 하야시바라가 DJ 겸 구성작가, 프로듀서로 그만큼 라디오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고.

2015년 2월 28일 방송에서 24년간 진행해온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Heartful Station》을 3월 28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폐지한다고 밝혔다. 3월 21일 1225회에서 16년간 함께 해온 어시스턴트 호시 소이치로와 마지막으로 공동 진행을 했고, 3월 28일 1226회 하야시바라의 단독 진행으로 24년의 역사에 막을 내렸다. 마지막 회에서 라디오가 끝나고 뭘 할까 생각하다가 '하트풀 스테이션'이라는 이름으로 인생 최초의 SNS인 블로그를 시작한다고 밝혔고, 청취자 엽서 주제가 최종회일 뿐 밝고 유쾌한 평소다운 분위기로 하야시바라 메구미답게 방송을 마쳤다.

《하야시바라의 Tokyo Boogie Night》은 여전히 방송 중이며 하트풀 스테이션이 송출되던 시간을 물려받아 라디오 칸사이에서 송출되며 전국 방송으로 확대되었다. 2015년 10월 25일 TBN 1226회를 돌파하며 HS를 넘어 하야시바라가 가장 오래 진행한 라디오 겸 역대 3번째로 오래 방송된 애니라지가 되었다. 2019년 5월 1400회를 방송하며 역대 2번째로 오래 방송된 라디오가 되었다.


[1] 모리카와 토시유키, 히야마 노부유키, 야지마 아키코, 미츠이시 코토노, 이시다 아키라, 코야스 타케히토 등 쟁쟁한 동시대의 성우들과 동갑이다.[2] 세이가쿠인 초등학교(聖学院小学校)는 1960년에 개교한 남녀공학 학교이고, 죠시세이가쿠인(女子聖学院)은 1905년에 개교한 에스컬레이터식 학교로 1년 학비가 100만엔이 넘는 아가씨(お嬢様=오죠사마) 학교로 유명하며 어머니도 같은 학교를 졸업한 동문이라고 한다.[3] 일본은 3년제 특수대학 간호학교에서 간호사를 양성해오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 4년제가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진 3년제가 대부분이다.[4] 이 때 오디션에서 한 말은 전화로 "간호사 언니 바보"[5] 1960년생이니 동기 중 최연장자. 사실 성우보다 토에이 3대 특촬물의 주제가를 모두 부른 것으로 유명하다.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Heartful Station》 16회에서 발언.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보컬 스승을 해주었다고 한다.[6] 졸업 후 집에서 지원을 끊었다고 한다.[7] 1985년 양성소 1년차 때부터 놀이공원 안내방송 아르바이트, 지역방송 버라이어티 내레이션 등 애니메이션 외의 성우일을 했다고 한다.[8] 야마구치 캇페이, 히다카 노리코, 이노우에 키쿠코, 타카야마 미나미, 사쿠마 레이, 코야스 타케히토(다양한 단역을 했다. 위에 거론한 메종일각에서 그녀가 단역들을 오고갔던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세키 토시히코, 야마데라 코이치, 나가이 이치로 등 지금 생각하면 말도 안 되는 라인업.[9] 처음에 나오는 키티 목소리가 하야시바라의 목소리. 2000년대 이후 헬로키티 콜라보가 많아지면서 여러 가지 약빤 광고들이 많다. 이런거요런거 본인曰 : 키티짱은 일을 가리지 않네요[10] 2010년대 기준으로 밑에 있는 출연작들을 보면 출연작이 적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80-90년대 애니메이션들은 기본 4쿨 짧으면 2쿨이었고 1년이 넘는 장기 방영작품도 많았다. 즉, 1쿨이 끝나고 새로운 작품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4쿨 작품에 출연하는 도중에 또다시 4쿨 작품에 들어가는 스케줄. 애니메이션 이외에도 장기간 어린이 프로그램에서 인형 목소리를 담당했고, 내레이션이나 외화 더빙도 있었다.[11] 참고로 1위는 유유백서쿠라마,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텐오 하루카 역의 오가타 메구미였다.[12] 이 인기에 약간이라도 비견될만한 성우는 80년대 카미야 아키라 밖에 없다.[13] 2000년대에 들어 국내 팬덤에서도 넘사벽급 인기를 구가한 이시다 아키라의 경우도 9년 동안 TOP 10, 22년 동안 TOP 20에 랭크되어 2017년 39회엔 하야시바라를 제쳐 애니메쥬 성우 부문 최장 랭크를 하게 되었고 이것마저 현재진행형이지만 하야시바라처럼 10년 이상 쭉 1위에 랭크되지는 않았다. 90년대는 정말로 하야시바라가 주름을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4] 또한 성우 그랑프리에 랭크된 횟수로 따지자면 1위 하야시바라 메구미(20회), 2위 이시다 아키라(18회), 3위 카미야 아키라(15회). 랭크 횟수가 이시다 아키라보다 하야시바라가 많은 이유는 2010년대 들어 실시하지 않았던 년도가 있기 때문.[15] 사실 목소리 폭은 넓지만 워낙 특징적인 목소리여서 알아보기는 그렇게 어렵지 않다.다만 배역에 대한 몰입도가 엄청난 만큼 말투나 느낌은 천지차이.이와 비슷한 유형의 성우로는 사쿠라이 타카히로가 있다.[16] 처음에 나오는 메종일각이 하야시바라의 애니메이션 데뷔작. 동영상에 없는 유명 캐릭터로 바카본, 토도마츠, 왕도라, 주먹밥동자, 헬로 키티 등이 있다.[17] 일반적으로 말하는 무녀(미코)는 세습무이지만 이타코는 한국의 강신무당처럼 신내림을 받는다.[18] 발표에는 회사원이라고 했으나 업계 관계자(각본가)라는 것이 공공연한 비밀로 알려져 있다. 일웹을 조금만 검색해보면 남편(으로 팬들이 확신하는 사람과 추측한 근거들)을 알 수 있다. 라디오나 블로그 등에서 남편을 언급할 때는 짝(相方, 아이카타) 라고 칭한다.[19] 일본 애니메이션이 국제 3대 영화제 경쟁에 출품하는 건 매우 희귀한 일이기에 나름 값진 경력이다. 그나마 자주 초청되는 스튜디오 지브리는 캐스팅이 배우 위주인지라 2024년 시점에서 국제 3대 영화제 경쟁 진출작 주연을 맡은 일본 전문 성우는 칸 영화제에 진출한 공각기동대 이노센스타나카 아츠코오오츠카 아키오 정도.[20] 약 30년 전에도 세일러 문 극장판에서 히로인격인 나요타케 히메코로 출연한 적이 있다.[21] 사실 진 최종 보스는 따로 있지만 극중 비중은 갤럭시아가 더 높다. 실제로 공식 포스터에서도 세일러 문과 갤럭시아가 센터로 나와 있다.[22] 반대로 야마구치 캇페이, 미도리카와 히카루, 히야마 노부유키, 코바야시 사나에는 서서히 목소리가 바뀌고있다.[23] 한국판 개구리 중사 케로로처럼 애니 OST를 음원으로 내는 것 같은 방식.[24] 가수 출신이 일회성으로 성우도 한 대표적인 경우로는 린 민메이 역의 이이지마 마리가 있다. 사쿠라이 토모는 1987년에 걸그룹 '레몬 엔젤'로 데뷔하면서 같은 이름의 애니메이션에서 성우도 하면서 주제곡 제1급연예죄를 부르기도 했는데 사쿠라이 토모의 본격적인 성우 활동은 1993년부터이므로 이 역시 가수 출신이 성우도 한 케이스에 가깝다. 카사하라 히로코의 경우 1989년에 가수 데뷔를 하기 이전에 성우로서 활동하고 있었고 1990년에 마법의 엔젤 스위트민트에서 주역과 주제가를 담당했으며 이후에도 가수 및 성우 활동을 지속적으로 했으나, 가수로서의 활동에 비해 성우로서의 활동은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은 데다 레코드 회사와의 계약관계도 애매하긴 했다.[25]킹 레코드의 전무 이사이자 스튜디오 카라의 프로듀서 (현재는 고령으로 인해 현업에서 은퇴). 쓰러져가던 스타차일드 레이블을 하야시바라 메구미와 계약하고 《슬레이어즈》, 《신세기 에반게리온》 등의 음악을 프로듀서 하면서 현재의 위치로 성장시킨 전설적인 프로듀서. 킹 레코드가 애니메이션/성우 업계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만들었고 2016년 은퇴할 때까지 애니 음악 부분 총책임자였다. 참고로 오오츠키 프로듀서는 1991년 오카자키 리츠코의 노래를 듣고 감동한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그녀의 계약을 요청했을 때 당시 검증이 된 뮤지션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저 없이 이를 수용하기도 했다. 어찌 보면 또 다른 전설을 만든 인물.[26] 1989년 5월 하야시바라 메구미 명의 최초의 싱글 <約束だよ>을 발매하였는데 이는 출연 작품과 연계한 이벤트성 발매로 본격적인 가수 활동은 아니었다. 1990년 2월 EMI에서 발매된 미니앨범 《PULSE》는 가수로서의 음반이지만 킹 레코드와 계약이 꼬인 상태로 발매한 것이라 실질적인 데뷔는 1991년으로 여긴다.[27] 이에 대해서는 2018년 정규 앨범 Fifty~fifty 발매 인터뷰에서도 언급한 적이 있는데 원래 2017년 생애 첫 콘서트를 마친 후 해냈다고 생각하며 다음은 없다고 생각하면서 스스로의 음악활동을 정리할 생각이었는데 그 상황에서 오카자키 리츠코의 미발표곡 Mint를 입수하게 돼 새로운 행선지로 나아갈 표를 얻게 되어 음악 활동을 연장해서 할 수 있었다고 밝혔었다. 그리고 다음 음악 활동에 대해서는 mint와 같은 특별한 표가 없는 한 미정이라고 밝혔었다. # (일본어, 번역기를 통해 읽어볼 것). 그리고 이번에 킹 레코드를 퇴사한 것으로 볼 때, 특별한 건이 생기지 않는 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가수 활동을 하지 않거나 극히 줄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오카자키 리츠코씨, 본인의 미발표곡이 메구상에게 자주 입수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취소선을 쳐놓았지만 사실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2010년 정규앨범 CHOICE의 지지부진한 작업에 박차를 가하도록 만든 중요한 계기가 바로 오카자키 리츠코의 미발표곡 雨の小犬의 발견이었고 2018년 8년 만에 정규앨범을 발표하기로 마음먹은 계기 중의 하나 또한 미발표곡 mint의 입수였다. 게다가 하야시바라가 항상 "비록 세상을 떠나긴 했지만 나는 오카자키 리츠코씨의 곡에 굶주려있다."고 밝혀왔던 것처럼 다시 그녀의 미발표곡이 하야시바라 메구미에게 입수된다면 그녀의 성향상 다시 적극적으로 가수 활동에 임할 것으로 보인다.[28] 1996.11.01 앨범 『bertemu』 초동 101,280장 & 1997.08.06 앨범 『Irava​​ti』 초동 163,410장[29] 2009년 5월 10만 다운로드 골드 인증/ 2010년 6월 25만 다운로드 플래티넘 인증/ 2015년 1월 50만 다운로드 더블 플래티넘 인증[30] 2015년 오리콘 연간 차트까지 1위 하야시바라 메구미 3,948,170장, 2위 TWO-MIX 3,708,957장, 3위 미즈키 나나 2,550,333장[31] Tokyo Boogie Night 1300회 기념 공개 녹음도 이곳에서 했다. 그것도 같은 날에... 즉, 6월 11일 낮 타임에는 공개 녹음을 하고 같은 날 오후 타임에는 라이브 공연을 한 것.[32] 참고로 이 생애 첫 라이브 공연이란 타이틀이 왜 대단하냐면 2017년 3월 하야시바라의 첫 라이브 공연이 발표됐을 때 일본 언론에서는 이 라이브 콘서트를 비틀즈가 일본 라이브를 최초로 발표했을 때와 같은 급의 충격이라고 평가했을 정도였다.#[33] 당시의 재밌는 에피소드 중 하나로 당시 하야시바라는 저 곡을 부르며 중간에 가사를 놓치는 실수를 저질렀었다. 그런데 그녀는 2017년 5월 5일 호리에 유이가 진행하는 호리에 유이의 천사의 알 762회 오카자키 리츠코 트리뷰트 앨범 발매 특집 방송에 출연하여 사쿠라사쿠 관련 에피소드를 말하는 과정에서 당시의 오카자키가 사쿠라사쿠를 녹음하고 "아! 이 노래 어려웠어~"라고 하야시바라에게 이야기했는데 하야시바라는 "자기가 만들었잖아! 이 노래가 뭐가 어려워."라고 생각했었다고 한다. 그래도 하야시바라 본인만큼은 나름 그 노래를 자신 있게 부를 수 있다고 생각했던 모양. 그런데 그 발언 이후 처음으로 부른 그 곡에서 바로 실수를 한 셈.[34] 실제로는 이노우에와 《란마 1/2》에 공동 출연해서 DoCo라는 성우 유닛으로 활동했고 약 30년간 이런저런 작품에서 쌓은 친분이 있는 사이로, 라디오에서 보여준 모습은 설정이다. 애초에 하야시바라가 아닌 무사시가 퍼스널리티인 방송[35] 참고로 하야시바라 메구미와 이노우에 키쿠코 둘 다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비공식(?)적인 오카자키 리츠코 사단이라는 점. 두 성우 다 생전 오카자키와 가까이 지냈고 가수로서도 많은 음악 작업을 그녀와 같이 했다. 그래서 이노우에 키쿠코 또한 하야시바라 메구미처럼 대놓고는 아니지만 오카자키 리츠코에 대한 존경심과 애정이 대단하다. 심지어 이노우에 키쿠코는 자신의 콘서트에서 오카자키 리츠코가 작곡한 곡을 불렀을 때, 울면서 가창했던 적도 있을 정도.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하야시바라 메구미|하야시바라 메구미]]}}}{{{#!if external != "o"
[[하야시바라 메구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하야시바라 메구미?uuid=e104d10-r4510rf-e34y10-ff45t67ii1900|r137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하야시바라 메구미?uuid=e104d10-r4510rf-e34y10-ff45t67ii1900#s-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하야시바라 메구미?from=1378|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하야시바라 메구미|하야시바라 메구미]]}}}{{{#!if external != "o"
[[하야시바라 메구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하야시바라 메구미?uuid=e104d10-r4510rf-e34y10-ff45t67ii1900|r137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하야시바라 메구미?uuid=e104d10-r4510rf-e34y10-ff45t67ii1900#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하야시바라 메구미?from=137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