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04:09:00

하드리아노 4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ccb400, #ffe100 20%, #ffe100 80%, #ccb400);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초대-제60대]
{{{#!wiki style="margin: -5px -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nopad>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nopad>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nopad>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nopad>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nopad>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nopad>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nopad>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nopad>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nopad>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nopad>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nopad>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61-120대]
{{{#!wiki style="margin: -5px -1px"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nopad>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nopad>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nopad>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nopad>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nopad>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nopad>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nopad>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nopad>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nopad>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nopad>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nopad>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제120대
<keepall><nopad> 미즉위(제91-92대 사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121-180대]
{{{#!wiki style="margin: -5px -1px"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nopad> 제126대 제127대 제128대 제129대 제130대
<nopad> 제131대 제132대 제133대 제134대 제135대
<nopad> 제136대 제137대 제138대 제139대 제140대
<nopad> 제141대 제142대 제143대 제144대 제145대
<nopad> 제146대 제147대 제148대 제149대 제150대
<nopad> 제151대 제152대 제153대 제154대 제155대
<nopad> 제156대 제157대 제158대 제159대 제160대
<nopad> 제161대 제162대 제163대 제164대 제165대
<nopad> 제166대 제167대 제168대 제169대 제170대
<nopad> 제171대 제172대 제173대 제174대 제175대
<nopad> 제176대 제177대 제178대 제179대 제180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181-240대]
{{{#!wiki style="margin: -5px -1px"
제181대 제182대 제183대 제184대 제185대
<nopad> 제186대 제187대 제188대 제189대 제190대
<nopad> 제191대 제192대 제193대 제194대 제195대
<nopad> 제196대 제197대 제198대 제199대 제200대
<nopad> 제201대 제202대 제203대 제204대 제205대
<nopad> 제206대 제207대 제208대 제209대 제210대
<nopad> 제211대 제212대 제213대 제214대 제215대
<nopad> 제216대 제217대 제218대 제219대 제220대
<nopad> 제221대 제222대 제223대 제224대 제225대
<nopad> 제226대 제227대 제228대 제229대 제230대
<nopad> 제231대 제232대 제233대 제234대 제235대
<nopad> 제236대 제237대 제238대 제239대 제240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제241대 이후]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41대 제242대 제243대 제244대 제245대
<nopad> 제246대 제247대 제248대 제249대 제250대
<nopad> 제251대 제252대 제253대 제254대 제255대
<nopad> 제256대 제257대 제258대 제259대 제260대
<nopad> 제261대 제262대 제263대 제264대 제265대
<nopad> 제266대 제267대
}}}}}}}}}}}}}}}
파일:교황 문장.svg 가톨릭 교회의 교황
파일:169_adriano_IV.png
제168대 아나스타시오 4세 제169대 하드리아노 4세 제170대 알렉산데르 3세
<colbgcolor=#ffe100><colcolor=#670000>
제169대 교황
하드리아노 4세
Hadrianus IV
파일:교황 하드리아노 4세.png
교황명 <colbgcolor=#FFFFFF,#1F2023>하드리아노 4세 (Hadrianus IV)[1]
본명 니콜라스 브레이크스피어
(Nicholas Breakspear)
출생 1100년
파일:노르망디 공국 국장.svg 잉글랜드 왕국 하트퍼드셔 애보츠랭글리
사망 1159년 9월 1일 (향년 58~59세)
파일:교황령 국기(754-1803).svg 교황령 아냐니
재위기간 1154년 12월 4일 ~ 1159년 9월 1일
언어별
명칭
라틴어: Hadrianus PP. IV
이탈리아어: Papa Adriano IV
영어: Pope Adrian IV

1. 개요2. 생애

1. 개요

제169대 교황. 현재까지 가톨릭 교회 역사상 유일한 영국인 교황이다.

2. 생애

만장일치로 새 교황으로 선출된 하드리아노 4세는 우선 로마의 반교황파의 지도자인 아르놀도를 축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155년 로마 시내에 반교황파로 인한 폭동으로 교황청추기경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교황은 주님 부활 대축일의 직전 주일인 주님 수난 성지 주일의 바로 전날에 로마 전역에 교회 업무 전면 중단이라는 강력하고 엄격한 조치를 취하였다. 교회 업무가 중단되면 로마로 찾아드는 순례자 수가 크게 감소해 최종적으로는 도시 경제에 큰 타격이 될 것임이 뻔했기 때문에 원로원은 즉각 아르놀도에게 추방 명령을 내렸다. 그러자 교황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의 협조를 얻어 추방된 아르놀도를 붙잡은 뒤 처형했고, 이후 로마에 내린 교회 업무 중단 조치를 철회했다.

하드리아노 4세는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가 일치하고자 노력을 했으나 순조롭지가 않았다. 교회가 통합하는 것에 대한 조건으로 교황은 당시 동방 교회의 중심 국가인 동로마 제국의 황제 마누일 1세에게 자신의 종교적 권위를 인정해 주기를 요구했으며, 반면 마누일 1세는 자신의 세속적 권위를 인정해 주기를 요구했다. 그러나 하나의 교회에 두 명의 지도자가 양립할 수 없으므로 하드리아노 4세와 마누일 1세는 모두 상대방의 조건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하드리아노 4세는 교황에 권력이 지닌 중요성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포기할 수가 없었고, 마누일 1세의 신하들과 동로마 제국의 백성들은 교회의 황제라고 자처하는 한낱 로마 주교의 권위를 납득할 수가 없었다. 그럼에도 당시 친서방 정책의 일환으로 마누일 1세는 서방 교회에 대해 우호적인 자세를 보였으나, 하드리아노 4세는 거리를 두려는 어물쩍거리는 태도를 보였다. 결국 교회 일치는 달성하기 힘든 것으로 판명되었고, 두 교회는 계속 분열된 상태로 남게 되었다.

하드리아노 4세와 신성 로마 제국의 관계는 그리 좋지 않았다. 프리드리히 1세는 지속적으로 교회를 자신의 통치 아래 예속하려고 시도했고, 하드리아노 4세는 황제보다 교황이 더 우위에 있다는 주장을 하며 프리드리히 1세와 대치하였다. 1157년 10월, 브장송에서 열린 회의에서 교황이 파견한 특사는 프리드리히 1세에게 교황의 서찰을 전했는데, 이 서찰에 적힌 단어 하나가 큰 논란을 일으켰다. 논란을 초래한 단어는 황제에게 수여된 특혜들을 언급한 'beneficia(베네피치아)'인데, 교황 측에서는 이를 '대관식'이라는 뜻으로 썼으나 신성 로마 제국의 법관은 앞뒤 문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봉건적 종속 관계'라고 잘못 번역을 했던 것. 법관이 치명적인 실수를 한 것도 모른 채 이러한 번역본이 그대로 프리드리히 1세에게 전해지자 교황이 자신을 신하 취급한다고 오해해 분노를 했고, 이 일로 인해 결국 교황령과 신성 로마 제국의 관계가 완전히 틀어지게 되었다.

그의 선종에 관해서는 후두염으로 사망했다는 말도 있고 포도주를 마시다가 파리가 날아와 목구멍에 달라붙은 바람에 질식사했다는 말도 있다.
파일:하드리아노 4세의 묘.jpg 파일:하드리아노 4세 비석.jpg
성 베드로 대성당 지하에 있는 하드리아노 4세의 관 하드리아노 4세의 비석


[1] 일부 문서에서는 'Adrianus IV'로도 표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