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21:27:37

피로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공통·두 지역 이상 겹치는 음식
<colbgcolor=#fff> 육류·생선 살로 · 샤슐릭 · 캐비어
빵·만두 블리니 · 우슈카
음료·술 보드카 · 크바스
샐러드 마르코프차
수프·죽 보르시 · 카샤
러시아^1^
육류 비프 스트로가노프 · 오물 · 샤와르마
빵·만두 메도빅 · 피로시키 · 펠메니
소스 타르타르 소스
우크라이나·벨라루스
육류 치킨 키이우
드라니키
수프 서슬라브 발효 곡물 수프
※ 문서가 있는 음식만 표기
^1^ 북아시아 요리는 틀:몽골과 북아시아 요리 참고.
}}}}}}}}} ||
파일:Fish_pirog.jpg
생선이 들어간 피로그
1. 개요2. 특징3. 종류4. 기타

1. 개요

Pirog(러:пиро́г, 우:пиріг[1], 벨:піро́г)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의 동유럽 국가의 요리다. 속을 채운 구운 밀가루 반죽으로 만드는 파이류의 음식이다.

2. 특징

형태는 제각각이다. 끝이 가늘어지는 직사각형 모양인 경우가 많지만 원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윗부분에도 크러스트가 없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크러스트는 효모 발효한 밀가루 반죽으로 만드는데 이는 대부분의 다른 파이나 페이스트리와는 구분되는 점이다. 과거에는 주로 호밀가루를 사용했지만 요즘은 백밀가루도 많이 사용한다. 크러스트의 종류를 쇼트 크러스트, 퍼프, 플레이키 페이스트리 식으로 변형한 버전들도 있다.

속재료는 대체로 달콤하게 만든다. 트보로그(tvorog) 또는 코티지 치즈, 사과, 자두 , 다양한 베리류, 꿀, 견과류, 양귀비 씨앗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속재료다. 반대로 달콤하게 만들지 않는 세이보리 피로그도 있는데, 여기는 고기, 생선, 버섯, 양배추, 쌀, 메밀 가루 , 감자 등이 들어간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는 세이보리 피로그를 보르시, 육수, 또는 콩소메와 함께 곁들여 먹는다. 피로시키도 소형화된 피로그의 일종이다.

3. 종류

  • 쿨리비악 (Coulibiac)
    연어나 철갑 상어 , 쌀이나 메밀 , 삶은 달걀 , 버섯 , 양파 등이 들어가는 직사각형 피로그. 영국의 비프 웰링턴과도 유사하게 생겼다.
  • 쿠르니크 (Kurnik)
    차르 피로그 또는 웨딩 피로그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닭고기, 계란, 양파, 메밀이나 쌀, 그리고 기타 재료로 채워진 원형 돔 모양의 러시아 피로그다.
  • 중부 유럽과 일부 동유럽 국가에서는 양귀비 씨나 견과류로 만드는 롤 형태의 피로그가 있다.
  • 라스테가이 (Rasstegai)
    중간이 뚫려있는 러시아 피로그.
  • 샹가 (Shanga)
    시베리아와 우랄 지방에 흔한 피로그. 소형 또는 중형 크기에 위가 열린 원형 형태로 만든다. 본래 핀란드에서 유래한 음식이 러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코미 요리 , 마리 요리 , 북러시아 요리 , 우드무르트 요리에 속한다.
  • 바트루슈카 (Vatrushka)
    동슬라브 지역에서 인기많은 달콤한 피로그. 중간에 속이 보이는 고리형으로 만든다. 무발효 호밀빵이나 밀빵으로 만든다.

4. 기타

동슬라브어로 피로그는 대부분의 파이류를 가리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때문에 동유럽에서는 카리알란피라카, 크니쉬, 샬롯 케이크도 피로그로 간주되기도 한다.



[1] 복수형 пирог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