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1 | 포항 2 | 포항 3 | 포항 4 | 포항 5 |
한창화 | 김희수 | 이칠구 | 연규식 | 박용선 | |
포항 6 | 포항 7 | 포항 8 | 포항 9 | 경주 1 | |
서석영 | 이동업 | 김진엽 | 손희권 | 배진석 | |
경주 2 | 경주 3 | 경주 4 | 김천 1 | 김천 2 | |
최덕규 | 최병준 | 박승직 | 최병근 | 이우청 | |
김천 3 | 안동 1 | 안동 2 | 안동 3 | 구미 1 | |
조용진 | 김대진 | 권광택 | 김대일 | 김용현 | |
구미 2 | 구미 3 | 구미 4 | 구미 5 | 구미 6 | |
황두영 | 허복 | 김일수 | 정근수 | 윤종호 | |
구미 7 | 구미 8 | 영주 1 | 영주 2 | 영천 1 | |
김창혁 | 백순창 | 임병하 | 박성만 | 이춘우 | |
영천 2 | 상주 1 | 상주 2 | 문경 1 | 문경 2 | |
윤승오 | 남영숙 | 김홍구 | 박영서 | 김창기 | |
경산 1 | 경산 2 | 경산 3 | 경산 4 | 의성 1 | |
차주식 | 배한철 | 박채아 | 이철식 | 최태림 | |
의성 2 | 청송 | 영양 | 영덕 | 청도 | |
이충원 | 신효광 | 윤철남 | 황재철 | 이선희 | |
고령 | 성주 | 칠곡 1 | 칠곡 2 | 예천 1 | |
노성환 | 정영길 | 정한석 | 박순범 | 도기욱 | |
예천 2 | 봉화 | 울진 | 울릉 | ||
이형식 | 박창욱 | 김재준 | 남진복 |
}}}
}}}}}} ||
1. 개요
포항시 양덕동,두호동,환여동을 관할하는 도의원 선거구. 포항시에서 제일 인구가 많고 보수세가 가장 약한 양덕동이 있다보니 5선거구,8선거구, 9선거구와 같이 그나마 보수세가 약한 선거구다. 다만 2022년엔 두호동이 끼어서 이전보단 보수세가 강해졌다.여담으로 사법/교정 관련 기관이 몰린 선거구이기도 한다. 실제로 포항교도소를 제외한 나머지 사법/교정 관련 기관(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대구지방검찰청 포항지청, 법무부 포항준법지원센터)이 전부 여기에 있다. 즉 경상남도의 창원시 제6선거구와 비슷한 점이 있는 셈[1]
2. 역대 선거 결과
2.1.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4선거구 장량동, 환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문하(朴吻夏) | 무투표당선 | |
[[새누리당|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2.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4선거구 장량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송교(李松敎) | 14,095 | 2위 |
42.19% | 낙선 | ||
2 | 박용선(朴容瑄) | 15,949 | 1위 |
[[자유한국당| | 47.74% | 당선 | |
3 | 전세훈(田世勳) | 3,364 | 3위 |
[[바른미래당| | 10.0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5,722 | 투표율 61.76% |
투표 수 | 34,143 | ||
무효표 수 | 735 |
2.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4선거구 두호동, 장량동(양덕동), 환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성필(朴盛弼) | 5,999 | 2위 |
| 26.74% | 낙선 | |
2 | 연규식(延圭植) | 16,435 | 1위 |
| 73.2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52,280 | 투표율 43.82% |
투표 수 | 22,913 | ||
무효표 수 | 479 |
[1] 여기도 창원지검과 창원지원이 있으며, 보수세가 약하고 정의당 득표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공통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