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1 | 포항 2 | 포항 3 | 포항 4 | 포항 5 |
한창화 | 김희수 | 이칠구 | 연규식 | 박용선 | |
포항 6 | 포항 7 | 포항 8 | 포항 9 | 경주 1 | |
서석영 | 이동업 | 김진엽 | 손희권 | 배진석 | |
경주 2 | 경주 3 | 경주 4 | 김천 1 | 김천 2 | |
최덕규 | 최병준 | 박승직 | 최병근 | 이우청 | |
김천 3 | 안동 1 | 안동 2 | 안동 3 | 구미 1 | |
조용진 | 김대진 | 권광택 | 김대일 | 김용현 | |
구미 2 | 구미 3 | 구미 4 | 구미 5 | 구미 6 | |
황두영 | 허복 | 김일수 | 정근수 | 윤종호 | |
구미 7 | 구미 8 | 영주 1 | 영주 2 | 영천 1 | |
김창혁 | 백순창 | 임병하 | 박성만 | 이춘우 | |
영천 2 | 상주 1 | 상주 2 | 문경 1 | 문경 2 | |
윤승오 | 남영숙 | 김홍구 | 박영서 | 김창기 | |
경산 1 | 경산 2 | 경산 3 | 경산 4 | 의성 1 | |
차주식 | 배한철 | 박채아 | 이철식 | 최태림 | |
의성 2 | 청송 | 영양 | 영덕 | 청도 | |
이충원 | 신효광 | 윤철남 | 황재철 | 이선희 | |
고령 | 성주 | 칠곡 1 | 칠곡 2 | 예천 1 | |
노성환 | 정영길 | 정한석 | 박순범 | 도기욱 | |
예천 2 | 봉화 | 울진 | 울릉 | ||
이형식 | 박창욱 | 김재준 | 남진복 |
}}}
}}}}}} ||
1. 개요
포항시의 구도심인 양학동,중앙동,죽도동을 관할하는 선거구이다. 노년층 비율이 높으면서 구도심 지역으로만 묶인 선거구여서 1선거구,7선거구와 같이 포항시 선거구 보수세 top3를 찍는 지역이다. 참고로 죽도시장과 죽도어시장이 있는 선거구다.한편 선거구 조정으로 2022년 환여동이 4선거구로 넘어갔다.
2. 역대 선거 결과
2.1.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3선거구 중앙동, 죽도동, 두호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두욱(張斗旭) | 무투표당선 | |
[[새누리당|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2.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3선거구 두호동, 환여동, 중앙동, 죽도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전주형(全珠亨) | 11.058 | 2위 |
30.39% | 낙선 | ||
2 | 이칠구(李七九) | 16,378 | 1위 |
[[자유한국당| | 45.82% | 당선 | |
5 | 이솔(李솔) | 1,897 | 4위 |
[[정의당| | 5.30% | 낙선 | |
6 | 장두욱(張斗旭) | 6,410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7.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0,799 | 투표율 60.11% |
투표 수 | 36,544 | ||
무효표 수 | 801 |
2.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3선거구 중앙동, 양학동, 죽도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이칠구(李七九) | 15,478 | 1위 |
| 78.34% | 당선 | |
4 | 손창덕(孫昌德) | 4,278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6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6,821 | 투표율 43.79% |
투표 수 | 20,506 | ||
무효표 수 | 7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