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16:30:55

페넬로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페넬로페(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페넬로페(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페넬로페(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음이의어: }}}[[페넬로페(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페넬로페(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페넬로페(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타카의 역대 왕비
안티클레이아 페넬로페 -
오디세우스의 계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오디세우스 +페넬로페
(이카리오스의 딸)
텔레마코스 +나우시카
(퀴크레우스의 딸)
프톨리포르테스
+키르케
(헬리오스의 딸)
라티누스 +??? 레우카리아 +이탈로스
(텔레고노스의 아들)
폴리포르테스
+키르케
(헬리오스의 딸)
텔레고노스 +페넬로페
(이카리오스의 딸)
마밀리아
이탈로스 +레우카리아
(라티누스의 딸)
}}}}}}}}}

<colcolor=#b59162><colbgcolor=#663333>
이타카 왕비
페넬로페
Πηνελόπη|Penelope
파일:페넬로페 조각상.jpg
출신 스파르타
부모 이카리오스 (아버지)
페리보이아 (어머니)
배우자 (1) 오디세우스
(2) 텔레고노스
자녀 (1) 슬하 3남
텔레마코스
폴리포르테스
아르케실라오스
(2) 슬하 1남 1녀
이탈로스
마밀리아

1. 개요2. 일대기
2.1. 결혼 이전2.2. 트로이 전쟁 발발2.3. 《오디세이아2.4. 결말
2.4.1. 《텔레고네이아》2.4.2. 《비블리오테케》
3. 매체에서4. 관련 문서

1. 개요

서사시 《오디세이아》와 《텔레고네이아》의 등장인물.

이타카 섬의 왕비이자 오디세우스의 아내이다. 페넬로페이아(Πηνελόπεια)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어원은 '천을 찢는 직공'.[1][2]

아버지는 페르세우스의 딸 고르고포네의 아들이자 스파르타의 왕 튄다레오스[3]의 형제인 이카리오스, 어머니는 나이아스인 페리보이아. 오디세우스와 혼인하여 이타카의 왕비가 되었다. 본래 오디세우스는 페넬로페의 사촌 헬레네에게 구혼한 여러 구혼자들 중 하나였으나, 마음을 바꿔 페넬로페와 결혼했다. 어찌 보면 꿩 대신 닭으로 골라잡은 것 같지만(...) 막상 결혼하고 나선 양쪽 모두 서로에게 충실한 부부로 잘 살았다.[4]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러 떠난 뒤 20년 동안이나 돌아오지 않았는데도 페넬로페는 남편이 만약 자신이 돌아오지 않으면 재혼하라고 이야기했음에도 그만 기다리며 수절하고 있었을 정도이니, 페넬로페도 남편을 많이 사랑한 모양이고, 오디세우스도 그 정도로 사랑받을 만큼 아내에게 잘 한 모양. 히기누스의 《이야기》에서도 정숙한 여인들 중 하나로 분류됐다.[5]

2. 일대기

2.1. 결혼 이전

페넬로페의 아버지이자 스파르타의 국왕이던 이카리오스[6] 여러 아내들에게서 많은 자녀를 두었으나 그 중에서 페넬로페를 가장 총애했다.

혼기가 찬 페넬로페가 이타카의 왕자 오디세우스와 혼인하여 떠나게 되자, 이카리오스는 아끼는 딸을 멀리 보내고 싶지 않았던 나머지 사위에게 떠나지 말고 여기 남아서 같이 살자고 청했다. 하지만 오디세우스는 이타카로 돌아가야 했기에[7] 거절했고, 이에 이카리오스는 떠나는 둘을 따라와서 오디세우스에게 자기 아들들을 제치고 왕위를 물려준다는 조건까지 걸며 남아 달라고 간청했다. 이에 오디세우스가 페넬로페에게 선택권을 주자, 페넬로페는 대답하는 대신 베일로 자신의 얼굴을 가리는 것으로 남편을 따라갈 뜻을 나타냈다. 이를 알아들은 이카리오스는 딸의 결정을 존중했고, 딸을 떠나보낸 그 자리에 미덕의 여신 아이도스의 상을 세워 딸을 기억했다고 한다.

2.2. 트로이 전쟁 발발

페넬로페는 이후 이타카의 왕자비가 되었으며 이윽고 시아버지 라에르테스가 왕위에서 퇴위하여 남편 오디세우스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 왕비가 되었다.

부부는 행복한 신혼 생활을 보내었고, 아들 텔레마코스까지 얻었으나, 오래지 않아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러 떠나게 되었다. 이 때 오디세우스는 페넬로페에게 자신이 10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으면(혹은 텔레마코스에게 수염이 나는 것이 보이면, 즉 아들이 성인이 되면) 원하는 이와 재혼하라고 했는데, 페넬로페는 10년은커녕 20년이 지나도록 재혼하지 않고 남편 오디세우스가 돌아오기만을 기다렸다.

2.3.오디세이아

그 사이 그리스 각지에서 수많은 남자들이 몰려와 강압적인 구혼을 일삼았는데[8] 이에 페넬로페는 늙은 시아버지의 수의를 미리 마련하여 며느리로서 마지막 도리를 다한 뒤 재혼할 대상을 선택하겠다며 핑계를 댄 뒤, 낮에는 천을 짜고 밤에는 도로 풀어버리는 수법으로 수의의 완성을 끝없이 늦춤으로써 무려 3년을 끌었다. 결국 시녀장 멜란토의 배신으로 들통이 나긴 했지만.[9] 현대에도 이 일화는 '페넬로페의 베짜기(Penelope’s Web)'라는 숙어로 남아 '쉴새없이 해도 끝나지 않는 일'을 가리킬 때 쓰인다.[10] 그리고 구혼자들의 행패에 시달리며 바다를 헤매던 남편 오디세우스를 기다리는 동안에 페넬로페는 비슷한 시기 엘렉트라와 헬레네 등 다른 그리스 지역 나라 왕비들이 왕 남편들을 곁에 두며 행복하게 산다는 풍문을 매년 들으며[11] 남편인 오디세우스가 자신의 곁에 없다는 사실에 매일같이 울며 밤낮을 지샜다.

그리고 마침내 오디세우스가 20년만에 이타카로 돌아와 구혼자들을 다 죽이고 페넬로페의 앞에 나타났지만, 과연 그 남편에 그 아내인지라 페넬로페는 오디세우스를 자처하는 이 남자가 정말 자기 남편이 맞는지 의심했고[12] 일부러 그가 진짜 자기 남편이 맞는지 시험하기 위해 침대를 옮길 것을 요구(혹은 침대를 다른 방으로 옮겼다고 이야기)한다. 이에 오디세우스가 "그 침대는 옮길 수 없다"[13]라고 대답하자 그제야 오디세우스의 귀환을 확신하고 두 부부는 눈물을 흘리며 감동의 재회를 하게 된다.

정숙하기도 했지만 오디세우스만큼이나 지혜롭고, 또 고생도 많이 해서 여러모로 유명한 여인이다.

2.4. 결말

남편 오디세우스와 재회한 이후에 페넬로페가 어떻게 됐는지에 대해서는 그리스 신화의 전승마다 갈린다.[14]

우선 남편 오디세우스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만난 스케리아의 공주 나우시카와 아들 텔레마코스가 결혼하여 며느리 나우시카가 들어오는 모습까지 보고, 아들 텔레마코스와 며느리 나우시카 사이에서 손주까지 보았다는 전승도 있으며, 귀환한 남편과의 사이에서 늦둥이 차남 폴리포르테스를 출산했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

2.4.1. 《텔레고네이아》

엘리시온에 들어간 자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괄호 안): 데려간 이 / A: 엘리시온에서 아킬레우스와 부부가 되었다는 전승이 있음
<colbgcolor=#eee,#000>카드모스 부부 (제우스)카드모스 · 하르모니아
라다만티스 부부라다만티스 · 알크메네
펠레우스 일가 (테티스)펠레우스 · 아킬레우스 · 네오프톨레모스
메넬라오스 부부 (제우스)메넬라오스 · 헬레네A
텔레고노스 부부 (키르케)텔레고노스 · 페넬로페
그 외 멤논(에오스) · 메데이아(마카리아)A · 이피기네이아(아르테미스)A, 디오메데스 · 파트로클로스 · 오르페우스 · 에우리디케 · 안드로마케(불명)
}}}}}}}}}||

현재는 유실된 텔레고네이아의 요약본이 기록되어 있는 파불라에 의하면, 페넬로페는 오디세우스를 아버지인 줄 모르고 죽인 텔레고노스[15]와 결혼해 이탈로스라는 아들을 낳았고, 텔레마코스[16]는 키르케와 결혼하여 라티누스를 낳았다.[17][18] 비블리오테케에서는 키르케와 텔레마코스의 결혼은 없고, 페넬로페와 텔레고노스의 결혼만이 적혀 있다.
CXXV 오디세이아 中
Deioneus fathered Cephalus, who fathered Arcesius, who fathered Laertes, who fathered Ulysses. Ulysses fathered Telegonus by Circe, and Telemachus by Penelope. Telegonus fathered Italus by Penelope, Ulysses’ wife; he named Italy after himself. From Telemachus was born LAtinus, who named language after his own name.
데이오네우스에게서 케팔로스가 태어나고, 케팔로스에게서 알케시오스가 태어나고, 알케시오스에게서 라에르테스가 태어나고, 라에르테스에게서 오디세우스가 태어났다. 율리시스와 키르케의 사이에서 텔레고노스가 태어났고, 아내 페넬로페와의 사이에서 텔레마코스가 태어났다. 텔레고노스와 율리시스의 아내 페넬로페와의 사이에서 이탈리아의 어원이 되는 이탈로스가 태어났다. 텔레마코스에게서는 라틴어의 어원이 되는 라티누스가 태어났다.

CXXVII 텔레고노스 中
When he learned whom he had killed, Telegonus on Minerva's orders, returned to his home on the island of Aeaea along with Telemachus and Penelope. They returned Ulysses' dead body to Circe and there laid him to rest. Again on Minerva's orders, Telegonus took Penelope and Telemachus took Circe in marriage. From Circe and Telemachus was born Latinus, who gave his name to the Latin language; from Penelope and Telegonus was born Italus, who gave his name to Italy.
자신이 죽인 이의 정체를 알게 된 후, 텔레고노스는 미네르바의 명령에 따라 텔레마코스, 페넬로페와 함께 고향 아이아이에 귀환했다. 그들은 율리시스의 시신을 키르케에게 맡겨 장례를 치렀다. 미네르바의 명령에 의해, 텔레고노스는 페넬로페와, 텔레마코스는 키르케와 결혼했다. 키르케와 텔레마코스의 사이에서 라틴어의 어원이 되는 라티누스가 태어났고 페넬로페와 텔레고노스의 사이에서 이탈리아의 어원이 되는 이탈로스가 태어났다.
히기누스의『이야기
36. 그런데 텔레고노스는 키르케에게서 자신이 오뒷세우스의 아들임을 알고서, 그를 찾아 배를 띄운다. 그리고 이타케 섬에 닿아 가축 떼 중 일부를 몰아가려 했다. 그래서 오뒷세우스가 지원하러 온 것을 텔레고노스가 <가오리> 가시 날을 가진 창을 손에 들고 있다가 부상을 입혀서, 오뒷세우스가 죽는다.

37. 텔레고노스는 그를 알아보고 매우 애통해하다가, 그 시신을 페넬로페와 함께 키르케에게로 가져간다. 그리고 거기서 페넬로페와 결혼한다. 키르케는 그들 둘을 행복한 자들의 섬으로 보낸다.
『그리스 신화』, 강대진 번역, 민음사, 2022 (아폴로도로스, 『비블리오테케』 3,7,36-37)

이러한 전승들이 신화집에 수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파불라의 저자인 히기누스는 페넬로페를 그리스 신화 속 정숙, 순결한 여인 중 한 명으로 분류하였다.[19] 이 여인들은 하나같이 남편에게 목숨을 다할 정도로 충성했거나 남편 이외의 다른 남자에게 몸을 허락하지 않은 여인들이었다. 원래 정숙한 여인으로 명성이 높았던 안드로마케조차 남편 사후 자의도 아니고 강제로 네오프톨레모스의 첩이 됐다는 이유로 이 목록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는데, 페넬로페는 첫 번째로 당당히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저자가 텔레고네이아를 바라보는 견해를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다.

2.4.2. 《비블리오테케》

[E.7.38] But some say that Penelope was seduced by Antinous and sent away by Ulysses to her father Icarius, and that when she came to Mantinea in Arcadia she bore Pan to Hermes.

일부 전승에 따르면 페넬로페가 안티누스에게 유혹당했고, 그로 인해 오뒷세우스는 그녀를 아버지인 이카리우스에게 보낸다. 그리고 그녀는 아카디아의 만티네아로 떠나 헤르메스와의 사이에서 을 낳는다.

[E.7.39] However others say that she met her end at the hands of Ulysses himself on account of Amphinomus, for they allege that she was seduced by him.

또 다른 전승에서는 페넬로페가 구혼자 중 한 명인 암피노무스에게 유혹당했다는 이유로 오뒷세우스에게 살해당했다고 전해진다.

비블리오테케

비블리오테케의 요약집 3.7,37에서 이어지는 내용은 텔레고네이아가 선녀로 보일 정도의 막장스러운 전승이 여럿 존재한다.
또 일설에 따르면 오뒷세우스는 죽은 구혼자들의 친척들에게 고소를 당했다. 에페이로스의 섬들을 다스리던 네옵톨레모스에게 사건의 재판을 맡겼는데 그는 일단 오뒷세우스가 제거되면 케팔레니아 섬을 자기가 차지할 수 있으리라고 믿고 오뒷세우스에게 추방형을 선고했고, 오뒷세우스는 아이톨리아로 안드라이몬의 아들 토아스를 찾아가서 토아스의 딸과 결혼하여 얻은 아들 레온토포노스를 남겨두고 고령에 죽었다고 한다.
아폴로도로스의 《도서관》 오뒷세우스의 뒷이야기 中

또 다른 기록된 야사에서는 오디세우스가 구혼자들을 죽인 건으로 유족들에게 고소를 당하고 이에 네오프톨레모스가 재판관 역할을 맡게 된다. 네오프톨레모스는 오디세우스만 없어지면 자신이 케팔레니아의 지배권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추방시켰다. 페넬로페로서는 20년을 기다렸던 남편이 추방당한 후 외국에서 재혼하고 그녀 자신은 케팔레니아 지방을 실효 지배하게 된 네오프톨레모스에게 무슨 짓을 당했을 지도 모르는 슬픈 결말이다.

3. 매체에서

3.1.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파일:IMG_5140.jpg 파일:페넬로페.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jpg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오디세이아를 다룬 13권에서 19권 초반까지 등장하며, 행적은 대체로 오디세이아의 내용 그대로 따라간다. 트로이 전쟁이 끝난 뒤 구혼자들의 행패 속에서도 지고지순하게 아들 텔레마코스와 함께 오디세우스가 귀국하기만을 기다리며, 위에 서술된 오디세우스의 아버지 라에르테스에게 바칠 수의를 만들다가 풀어버리는 일화도 나오며 작중 내내 남편을 그리워한다.

본격적으로 오디세우스의 복수가 시작된 19권부터는 당시 익숙했던 홍은영 작가의 그림체가 아니라, 서영수 작가의 그림체로 바뀌었기 때문에 신판을 읽지 않은 독자들은 오디세우스와 페넬로페의 결말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20] 결국 텔레마코스와 함께 구혼자들을 몰살한 오디세우스가 정체를 드러내지만 워낙 겪은 일이 많은지라, 오디세우스로 가장한 사기꾼인지 의심부터 하고보며 편히 쉬도록 그의 방에 자신의 침대를 옮겨달라고 수수께끼를 낸다. 당연히 오디세우스는 단번에 페넬로페의 진의를 눈치 채고 그 침대는 자신이 직접 살아있는 나무의 밑등으로 만들어, 땅 속에 뿌리가 박혀있는데 어떻게 옮기냐며 부부만이 알 수 있는 사실을 말하자 결국 진짜 오디세우스임을 확인하며 눈물의 재회를 한다.

홍은영이 그림을 맡았던 구판에서는 금발벽안이었고,[21] 서영수로 교체된 뒤에는 분홍머리에 벽안으로 나온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애니메이션 버전인 올림포스 가디언에서는 보라색 머리를 한 장발의 왕비로 등장한다. 그리고 늙은 거지로 변신한 오디세우스를 바로 알아보았다.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7권에서는 사촌들인 클뤼타임네스트라헬레네, 디오스쿠로이와 함께 등장했다.

2025년 3월 15일, 팔도가 기획한 홍은영 작가와의 콜라보 콘텐츠 2화에서 오디세우스 일가가 함께 평화롭게 식사를 즐기는 에피소드가 공개됐다. 텔레마코스와 페넬로페는 오디세우스에게 그간 있었던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하며 오디세우스는 식사를 하며 말해주겠다고 답한다.# 그렇게 21년[22]이라는 기나긴 세월 끝에 홍은영 작가의 오디세우스 일가는 마침내 재회할 수 있었고 수많은 팬들을 감동시켰다.

4. 관련 문서



[1] 페넬로페가 낮에는 수의를 짜고 밤에는 도로 풀어버리는 수법으로 구혼자들을 물리친 에피소드를 생각하면 묘한 이름이다.[2] 이설(異說)로 오리라는 뜻의 '페넬롭스'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여기에 의하면, 페넬로페가 태어나자 친모인 나이아스(민물의 여신) 페리보이아가 아이의 아버지인 스파르타 왕 이카리오스에게 찾아와 아이를 맡겼고, 이카리오스는 사생아를 받아들여 키우면 본부인인 왕비가 싫어할까 봐 아이를 물에 버렸다. 그러자 친모가 보낸 오리들이 아이를 가라앉지 않게 띄워서 도로 뭍으로 올려보냈다. 이를 본 이카리오스는 아이를 데려다 키우기로 했고 그의 왕비가 아이를 자기 양녀로 삼아 길렀으며, 이 일로 페넬로페라는 이름을 얻었다는 설이다. 이 단어의 경우, 아리스토파네스의 <새>에서는 νῆττᾰ(오리)와 πηνέλοψ를 시종 구분하여 사용하므로 영문판 혹은 한국어판 번역에서는 뿔닭과 같은 다른 단어를 사용해 구분한다. 스테시코로스 혹은 이비코스에 따르면(Emonds(1922), Stesichorus fr. 92) πανέλοψ는 오리는 오리이되 그 크기가 비둘기(περιστερά )만한 오리라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 <동물지> 593b에는 고니, 오리, 물닭, 쇠오리, 가마우지, 거위, 논병아리 등 발에 물갈퀴가 달린 새들 중에 분류되어 있다.[3] 디오스쿠로이, 헬레네, 클뤼타임네스트라의 친/양부.[4] 오디세우스의 경우, 트로이 전쟁 종전 이후 10년 간의 표류 기간 동안 키르케칼륍소 등 다른 여성과 동침한 적이 몇 번 있긴 하다. 다만 이 때는 자신의 당부대로 페넬로페가 재혼했을 거라 생각해서 체념한 것도 있고, 여신인 상대를 당해낼 재간이 없었던 것도 있고, 그러는 와중에도 마음으로는 내내 페넬로페만 그리워했다.[5] 페넬로페와 함께 정숙한 여인으로 분류된 신화의 여인들은 에우아드네, 라오다메이아, 헤카베, 테오노에, 알케스티스가 있다.[6] 스파르타는 독특하게도 두 명의 왕을 동시에 모시는 정치 체제를 갖고 있었다. 두 왕은 각각 정치와 군사를 나누어 관장했다. 그래서 이카리오스와 튄다레오스 형제 모두 동시에 스파르타의 왕으로 재위했다.[7] 당시 이타카에는 오디세우스가 유일한 왕위 계승권자였다. 오디세우스의 형제로는 누이동생 크티메네가 전부였고, 그의 아버지 라에르테스는 아예 외동이라서 계승권을 가진 숙부나 사촌 등 가까운 친척도 없었다.[8] 당시에는 왕이 죽고 홀로 남은 왕비가 가장 인기 있는 신붓감이었다. 왕비의 새 남편은 새로운 왕이 되어 권세를 누릴 수 있었기 때문.[9] 멜란토는 오디세우스의 정원사 돌리오스의 딸이자 염소치기 멜란티오스의 누이로, 페넬로페가 딸처럼 총애하던 측근 시녀였다. 그러나 사실은 구혼자들 중 서열 2위였던 에우뤼마코스라는 자와 내연 관계였고, 전술한 대로 페넬로페의 시간 끌기 작전을 에우뤼마코스에게 일러바쳐 주인을 배신했다. 오디세우스가 아테나가 변신시켜 준 거지의 모습을 한 채 돌아왔을 때는 그를 업신여겨 모욕을 주기도 했다. 이후 오디세우스가 정체를 드러내고 구혼자들을 모조리 죽여버린 뒤, 멜란토를 포함해 구혼자들 편에 붙었던 하녀들은 배신의 대가로 전원 교수형에 처해졌다.[10] 구혼자들의 행패에 하도 시달렸는지, 페넬로페는 차라리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화살을 쏴서 자기를 죽여달라며 기도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아르테미스는 한때 트로이 전쟁에서 오디세우스가 속해 있던 그리스 연합군과 대립하던 트로이를 지지한 신이긴 했어도, 전쟁 초기 자신을 모욕한 그리스 연합군의 총사령관이던 아가멤논과는 달리 아르테미스를 모욕하지 않은 오디세우스에게는 악감정이 별로 없었고, 트로이 패망 이후 포세이돈의 진노로 오디세우스가 부하와 군선들을 모두 잃고 칼륍소에게 7년간 붙들려 있을 당시 오디세우스를 고향으로 돌려보내 달라고 아버지 제우스에게 탄원했던 이복 언니 아테나의 의견에 동조했기 때문에 페넬로페를 쏴 죽이지 않고 살려주었다.[11] 반면 포키스의 왕후 엘렉트라의 언니이자 아가멤논과 클뤼타임네스트라의 첫째 딸 이피게네이아는 평생 결혼하지 않고 아르테미스 여신을 모시는 무녀로만 살다가 죽었다.[12] 다른 인간 혹은 신이 오디세우스를 가장하는 것이 아닐까 의심했다. 실제로 암피트뤼온으로 변신해 알크메네와 동침해 헤라클레스를 낳게 한 제우스의 사례도 있고.[13] 오디세우스와 페넬로페의 부부 침대는 오디세우스가 직접 만든 것으로, 살아있는 올리브 나무를 베지 않고 그대로 기둥 삼아 그 자리에 만든 것이었다. 심지어 그 주변으로 집까지 오디세우스가 직접 지었다고도 한다. 그러니 방바닥을 헐고 나무를 뿌리채 뽑을 게 아니면 침대를 옮기는 건 불가능하다.[14] 호메로스의 오딧세이아 에서는 그녀에 대한 추가적인 등장은 없다.[15] 오디세우스와 키르케의 아들.[16] 오디세우스와 페넬로페 사이에 태어난 아들.[17] 또한 지금은 소실된 소포클레스의 비극 《오뒷세우스 아칸토플렉스》Ὀδυσσεὺς ἀκανθοπλήξ 역시도 텔레고네이아에 기반한 이야기였고, '텔레마코스-키르케' 및 '텔레고노스-페넬로페'의 결혼을 다룬다. 20세기에 활동한 그리스의 소설가 겸 극작가인 마가리타 림페라키 역시 이 내용을 다루기도 했다.[18] 이 침대를 보세요. 대지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오디세우스는 강하고 아름답게 자란 이 나무를 자르고 싶어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 올리브 나무를 중심으로 침실을 지었죠. 손수 나무를 깎고 손질하며 상아로 장식했어요. 이건 둘만의 비밀이었어요. 이젠 당신도 아네요 - Le lit secret(1967)#[19] § 256을 참조[20] 캐릭터가 매우 심하게 바뀐데다가 그 전에는 끝까지 오디세우스가 돌아올 것이라고 믿던 것과 달리 오디세우스를 바로 코앞에 두고도 닮은 사람일 것이라며 믿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성격, 태도까지 싹 바뀌어 다른 사람처럼 보이게 됨으로써 완전히 캐릭터를 망쳐버렸다.[21] 신판에서도 페넬로페는 머릿결 묘사가 좀 더 섬세해진 것을 제외하면 큰 디자인 변화는 없다. 신판에서 사촌 언니 클뤼타임네스트라의 공주 시절 모습이 페넬로페와 무척 닮았다. 차이점은 페넬로페는 벽안이지만 클리타임네스트라는 녹안이다.[22] 2003년 12월 15일에 출간한 18권으로부터 21년이 지나서야 나온 후일담이다. 이는 오디세우스가 실제 트로이로 떠나 이타카에 돌아오기까지의 시간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