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auto -5px; max-width: 1000px; text-align: center; word-break:keep-all; border: 2px solid #6CCEF5; background-color: #000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30%, #6CCEF5 30%, #6CCEF5 70%, transparent 70%)"
- [ 펼치기 · 접기 ]
- 오리지널 클래식시퀄 시리즈
{{{#!wiki style="margin:0px -5px" 스핀오프TV 시리즈코믹스게이밍테마파크
1. 개요
트론 시리즈에 등장하는 설정들을 정리한 문서.2. 종족
2.1. 유저
현실 세계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인간들을 의미한다. 작중에서는 디지털 세계(그리드)에 직접 들어가거나, 일부 프로그램에게 신적인 존재처럼 여겨지기도 하는데,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자신을 만든 유저의 뜻을 따르는 것이 존재 이유라고 여기기 때문. 다만, 일부 프로그램은 유저의 존재 자체를 믿지 않는 회의론자도 존재한다.2.2. 프로그램 (Basics)
말 그대로 그리드 속에 존재하는 프로그램들. 원래 프로그램은 베이직(유저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그램)과 ISO(유저의 개입 없이 생겨난 프로그램)를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었는데, 반란을 일으킨 클루가 ISO와 그들과 공존하길 원한 온건파 베이직들을 모두 숙청한 이후엔, 오직 베이직만을 부르는 명칭이 되었다.일단 베이직, 프로그램은 현실 세계에서 유저가 만든 디지털 존재로 각자 맡은 역할과 기능이 있으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존재 이유이다. 시스템 내에서는 물리적인 몸을 가지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만들어졌을 때 입력받은 명령을 기초로 행동하지만, 그 외의 부분에서는 독립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감정 역시 가지고 있다. 그리드라는 사회를 이루는 기본 구성원으로서, 단순한 코드 덩어리가 아니라 디지털 세계에서 살아가는 시민이기도 하다.
관점에 따라 유저 = 창조자, 프로그램 = 피조물이라는 관계로 볼 수도 있으며, 오리지널 트론에서도 이를 강조하기도 했다.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는 클루가 반란을 성공한 이후 플린을 비롯한 유저들을 위선자, 자신을 시스템의 해방자로 자칭하며 군림하였기에,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유저에 대한 인식 역시 상당히 부정적으로 변하였다.
트론: 아레스에서 현실 세계로 넘어온 프로그램들은 엄청난 괴력을 지녔는데, 당장 사람 한 명을 쳐서 저 멀리 날려보내는건 일도 아니고, 아테나는 오락실 게임기들을 한 손으로 집어던졌다.
2.3. ISO (Isomorphic Algorithm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SO(트론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SO(트론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개념
3.1. 더 그리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그리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그리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디레졸루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레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레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레니게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니게이드(트론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니게이드(트론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4. 영속성 코드
트론: 아레스에서 핵심이 되는 설정. 그리드나 시스템 속 프로그램들은 현실에 출력되면 단 29분만 존재할 수 있고, 그 시간이 지나면 빛을 잃고 디레즈되어 잿더미로 변한다. 영속성 코드는 이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으로, 딜린저 그리드 출신 프로그램들을 군사적으로 판매할 야망을 가졌던 줄리안 딜린저는 사력을 다해 이 코드를 찾아내려고 한다. 이브 킴이 과거 자신의 동생인 테스 킴의 유산에서 이걸 찾아내자 아레스와 아테나를 필두로 이를 빼앗으려고 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후반부에서 밝혀지기로 이 프로그램은 케빈 플린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테스 킴 또한 케빈 플린의 옛 기록에서 영속성 코드를 찾은 것이었다. 실제로 전작인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 등장하는 트론 시스템 2.0 출신의 ISO 및 프로그램들은 이미 해당 코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인지, 현실세계에서 제한시간 없이 돌아다닐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영속성 코드의 원리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인 채로 현실에 복제하는 것이 아닌 현실의 법칙에 완전하게 종속시키는 것으로, 이로 인해 프로그램이 현실로 전송된 후 사본이 따로 트론 시스템 2.0나 딜린저 그리드에 백업으로 남지 않으며 디레즈되지 않고 현실의 다른 물질들처럼 노화를 겪는다. 이런 이유로 케빈 플린은 이브 킴을 지키며 인간으로 살기로 결심한 아레스에게 영속성 코드를 적용시킨 뒤,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이 코드는 비영속성 코드라 불러야 할 것 같다고 말하면서 결코 무한하지 않은, 그렇지만 그렇기에 가치 있는 인간의 삶에 대한 충고를 해주고 그를 배웅한다.
4. 연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론/연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론/연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탈것
생긴 것만 보면 전기로 구동될 것 같지만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는 우렁찬 엔진 소리가 난다. 트론: 아레스에서는 전기 혹은 다른 특수한 에너지로 구동되는지 엔진음이 아닌 전기모터스러운 효과음이 난다.[1]함선 종류를 제외한 소인승 탈것들의 공통점으로 기체 뒷부분에서 탈것이 지나간 궤적을 따라 ‘라이트리본’이라는 장벽을 생성하는 기능이 있다. 라이트리본은 거의 파괴가 불가능하며, 트론: 아레스에서는 모서리 부분에 충돌한 물체를 레이저 절단기마냥 반으로 썰어버릴 수도 있는 것으로도 묘사되었다.
현실 세계로 넘어온 경우 29분이 지나면 프로그램과 함께 소멸한다.
5.1. 라이트 사이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트 사이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트 사이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라이트 러너
<colbgcolor=#000><colcolor=#77CBEF,#77CBEF>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라이트 러너 Light Runner | }}} | |
<nopad> | ||||
주 사용자 | 프로그램 유저 ISO | |||
원 작동처 | 영속 | |||
탑승 인원 | 2명 | |||
개조판 용 | 없음 | |||
등장 장면 |
기본적인 틀은 버기카와 유사하고, 라이트사이클에 비해서 더 튼튼하고 모든 유형의 지형에서 주행이 가능하다.
라이트사이클보다 속도와 기동성 면에서는 떨어지지만, 라이트리본은 라이트사이클의 것보다 더 크게 생성할 수 있고 다른 공격 무기를 포장할 수 있으며, 그리드 밖인 아웃랜드까지 움직일 수 있다.
5.3. 라이트 제트
<colbgcolor=#000><colcolor=#77CBEF,#77CBEF>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라이트 제트 Light Jet | }}} | ||
<nopa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론: 아레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주 사용자 | 프로그램 유저 | ||||
원 작동처 | 바텀 | ||||
탑승 인원 | 1명 | ||||
개조판 용 | 없음 | ||||
등장 장면 |
|
탑승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에너지로 구동해서 고속으로 민첩하게 달릴 수 있는 비행 차량으로, 거의 파괴 불가능한 장벽인 라이트리본을 생성한다.[2]
국내 자막에서는 "광선제트기"로 번역되었다.
트론: 아레스에서도 딜린저 시스템이 설계한 새 기종이 등장하는데 이름은 안 나온다. 전작의 위에 올라타는 형태에서 뒤로 붙는 형태로 바뀌었고, 생성되는 라이트리본의 갯수가 4개로 증가했다. 초반부 엔컴의 시스템에 침투 후 탈출할 때, 중후반부에 아테나가 직접 이브 킴을 찾으러 갈 때, 후반부에 현실 세계에 등장한 레코그나이저의 호위기로 등장. 레코그나이저의 호위기들은 F-35 두 대를 라이트리본으로 가볍게 썰어버리는 활약을 한다.
5.4. 라이트 파이터
<colbgcolor=#000><colcolor=#77CBEF,#77CBEF>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라이트 파이터 Light Fighter | }}} | |
<nopad> | ||||
주 사용자 | 프로그램 유저 ISO | |||
원 작동처 | 영속 | |||
탑승 인원 | 3명 | |||
개조판 용 | 없음 | |||
등장 장면 |
|
기총 모습 |
기본적인 틀은 3인용 제트기과 유사하다.
탑승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에너지로 구동해서 고속으로 민첩하게 달릴 수 있는 비행 차량으로, 거의 파괴 불가능한 장벽인 라이트리본을 생성한다. 전방 뿐만 아니라 후방에도 기총이 있는데, 후방 기총을 사용할 때는 조종실의 뒷좌석이 기총 쪽으로 움직인다.
국내 자막에서는 "광선제트기"로 번역되었다.[3]
5.5. 탱크
원형은 케빈 플린이 만든 게임 속 탱크.트론: 아레스에서도 등장. 다만 탱크라기보다는 장갑차에 가깝다. 초반에 아레스와 함께 화려하게 등장하고, 이후 아테나가 레코그나이저에 탑재된 걸 끌고 이브 킴을 생포한 뒤 기지로 돌아갈 때 사용되었는데 가는 도중에 아레스가 던진 디스크에 맞아 박살난다.
앞부분에 라이트리본과 성질이 같은 블레이드를 생성할 수 있다.
5.6. 스피드 보트
5.7. 라이트 스키머
제트스키 비슷한 수상 이동수단. 트론: 아레스에서 아레스와 이브 킴이 시뮬레이션의 바다에 빠진 뒤 이것을 타고 딜린저 그리드를 탈출한다.트론 시리즈 탈것답게 라이트리본을 생성하며, 현실 세계의 2인승 수상 오토바이 Seabreacher처럼 얕은 물에서 잠수가 가능하다.
5.8. 레코그나이저
<colbgcolor=#000><colcolor=#77CBEF,#77CBEF>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레코그나이저 Recognizer | }}} | ||
<nopa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론: 디 오리지널 클래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론: 업라이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론: 아레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주 사용자 | 클루의 부관 블랙가드 | ||||
원 작동처 | 영속 | ||||
탑승 인원 | 5명 이상[4] | ||||
개조판 용 | 슈퍼 레코그나이저 | ||||
전용 곡 |
|
▲ 슈퍼 레코그나이저 |
원형은 케빈 플린이 만든 게임 속 적 기체. 이름의 어원은 영단어 "인식하다"라는 뜻의 레코그나이즈(Recognize)에서 접미사가 붙어 만들어진 단어로, 우리말로 번역하면 "인식기"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그리드 내의 보안과 인력 수송을 담당하며,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는 클루의 부관들이 그리드를 정찰하고 불법 프로그램이나[5], 통행 시간을 어기는 프로그램들을 관리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함선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중앙의 탑승부는 엘리베이터처럼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능이 있는데, 승객들이 타고 내릴 때 사용된다.
트론: 업라이징에서는 기존의 레코그나이저보다 훨씬 큰 "슈퍼 레코그나이저"가 클루의 전용 기함으로 등장한다.
트론: 아레스에서도 슈퍼 레코그나이저와 비슷한 기존의 것보다 큰 대형 레코그나이저가 등장한다. 아테나가 현실에 프린팅하여 도시를 파괴하고 드론을 출격시켜 전투기를 파괴하는 등 전함처럼 써먹지만, 현실 실전용으로 만든 기체가 아니어서 그런지 전투기의 미사일 한 방과 자폭공격에 바로 무력화되는 등 내구도는 그렇게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 여담으로 자체 무장으로 레이저 기총이 달려있어 헬기가 앞을 가로막자 곧바로 격추해버렸다.
5.9. 클루의 지휘함
트론: 새로운 시작에 등장한 클루의 전용 함선. 전면부에 큰 투명 창이 있어 밖을 내다볼 수 있게 설계되어있고, 내부는 마치 왕좌를 연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작중 후반부에는 렉티파이어의 최상부에 연결되며 함교 역할을 한다.
5.10. 렉티파이어
<colbgcolor=#000><colcolor=#77CBEF,#77CBEF>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렉티파이어 Rectifier | }}} | |
<nopad> | ||||
주 사용자 | 클루 클루의 부관 블랙가드 | |||
원 작동처 | 영속 | |||
탑승 인원 | 0명 이상 | |||
개조판 용 | ||||
전용 곡 |
|
실내 모습 |
차량 유형은 항공모함 또는 공중전함으로 간주된다.
오리지널 트론에서는 '샤르크의 캐리어'라는 유사한 형태의 기함이 등장했고, 샤르크가 MCP의 통치를 강화하는 본부 역할을 했다. 2편의 렉티파이어는 클루가 그리드의 포털을 통해 대규모 군대를 준비하고 현실 세계로 수송하기 위한 이동식 요새로써 사용하였다.
5.11. 솔라 세일러
<colbgcolor=#000><colcolor=#77CBEF,#77CBEF>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솔라 세일러 Solar Sailer | }}} | |
<nopad> | ||||
주 사용자 | 프로그램 유저 ISO | |||
원 작동처 | 영속 | |||
탑승 인원 | 0명 이상 | |||
개조판 용 | ||||
전용 곡 |
광활한 더 그리드의 내부 공백 공간을 빛줄기를 따라 항해하는 기체. 주로 원거리 간의 물자 수송과 정보 전달이 주 목적이며, 기수 부분에 커다란 돛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보통 종점은 현실로 통하는 포탈이다.
오리지널 트론과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는 도망쳐 나온 주인공 일행들이 현실로 빠져나갈 포탈로 향하는 지름길로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고, 트론: 아레스에서는 딜린저 그리드의 내부에서 배경으로 잠시 등장하였다.
5.12. 드론
네모낳게 생긴 소형 무인 비행체. 역시나 라이트리본을 생성하며, 레코그나이저가 전개하는 무기이기도 하다. 작중에서 딱히 활약은 없는데, 아레스와 이브 킴이 제트스키를 타고 딜린저 그리드를 탈출하는 걸 막기 위해 3대가 투입되지만 전부 터져버리고, 이후 현실 세계에 등장한 레코그나이저에서 수백대가 발사되어 이브 킴을 포위하지만 이후 딜린저 그리드가 무너지면서 전부 다 땅 위에 내려앉았다.6. 물건
6.1. 아이덴티티 디스크
| | |
▲ 메인프레임의 아이덴티티 디스크 | ▲ 트론 시스템 2.0의 아이덴티티 디스크 | ▲ 아레스의 아이덴티티 디스크 |
영화 내에서는 프로그램들의 코드를 수정하거나 고칠 수 있으며, 반대로 가장자리가 발광하며 프로그램들을 조각내버릴 수 있는 강력한 무기로 사용되기도 한다.[8] 그 때문에 불법 프로그램들과 레니게이드들은 배틀 그리드에서 디스크 배틀 경기를 하기도 한다.
손상된 코드를 수정 및 재조립할 수 있으며, 디스크를 잃어버린 프로그램은 시간이 지나며 자신의 모든 정보들을 유실하게 된다.[9]
6.2. 바텀
|
▲ 바텀 |
그리드 속 대부분의 운송 수단들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대표적인 운송 수단으론 라이트 사이클이 있다.
현실 세계에서는 안 쓰이고, 탈것 자체를 프로그램과 함께 출력한다.
6.3. 라이트 그리네즈
|
▲ 라이트 그리네즈 |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클루의 부하들이 술집을 박살낼 때 썼다.
6.4. 스태프
스태프 등장 장면 |
트론 오리지널과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는 단순히 발광만 했지만, 트론: 아레스에서 딜린저 그리드의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스태프는 발광 파츠에서 라이트 리본까지 생성되는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더욱 위협적인 무기가 되었다. 또한 두동강나도 여전히 쓸 수 있다.
6.5. 수갑
그리드 물건이라는것만 빼면 평범한 수갑이다. 트론: 아레스 후반부에 아테나가 이브 킴을 붙잡을때 수갑을 채웠지만 이후 시간 초과로 소멸한다.6.6. 디지타이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레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레즈#디지타이저|디지타이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기업
7.1. 엔컴 인터내셔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엔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엔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 딜린저 시스템
파일:딜린저 시스템스.jpg트론: 새로운 시작의 블루레이 부가 영상에 수록된 단편영화, 트론: 넥스트 데이에서 처음 언급된 사명. 에드워드 딜린저가 엔컴에서 쫓겨난 후에 설립한 기업으로, 엔컴 사의 주요 경쟁사 중 하나로 손꼽힌다.
트론: 아레스에서도 주요 배경으로 등장.
8. 기타
8.1. 에너지
<colbgcolor=#000><colcolor=#77CBEF,#77CBEF>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10px 0;"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에너지 Energy | }}} | |
<nopad> | ||||
▲ 트론: 새로운 시작 |
|
디지털화된 사용자는 복원 및 전력 전송을 위해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는 반면, 충분한 에너지 위험 감소(해체)가 부족한 프로그램은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다.
에너지원에는 그리드 내 아웃랜드와 ENCOM의 천연 하천과 수영장, 클럽에서 판매되는 정제 에너지 음료가 포함된다.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는 엔드 오브 라인 클럽에서 판매하는 음료로써 등장한다.
[1] 이를 노린 것인지, 테슬라의 전기자동차 속 OS와 트론: 아레스가 콜라보하기도 하였다.[2] 뚫는 방법이 있긴 한데, 탑재된 기총을 라이트리본에다 난사하면 깨진다.[3] 라이트 제트와 라이트 파이터의 구분 없이 그저 광선제트기라고 만 나오며, 오역에 가깝다.[4] 조종사 1명, 부관 2명, 승객 2명 이상[5] 아이덴티티 디스크가 없는 프로그램[6] 1편에서는 구멍이 없는 완전한 원반 형태이고, 2편에서는 가운데 구멍이 뚫린 도넛 형태이다. 이 도넛 형태의 디자인은 3편까지도 이어지지만, 유이하게 아레스와 아테나만 딜린저 그리드의 마스터 컨트롤 프로그램에게 주어지는 삼각형 형태의 디스크를 가지고 있다.[7] 다만 예외의 경우도 있다.[8] 현실 세계에서도 광선검과 맞먹는 위력을 지녔는데, 입자 레이저를 단칼에 베어버렸다.[9] 디스크를 지니고 있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불법 프로그램으로 간주 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