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11:17:19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후도 유세이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정크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 싱크로
서브 에이스 에이스
5D's
정크 워리어
코믹스
라이트닝 워리어
OCG
정크 스피더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5D's
스타더스트 드래곤
코믹스
섬광룡 스타더스트
OCG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5D's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OVA)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슈팅 스타 드래곤
코믹스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크로니클
OCG
스타더스트 워리어
슈팅 스타 드래곤 TG-EX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5D's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슈팅 퀘이사 드래곤
코믹스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OCG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 ||
스타더스트 드래곤 진화체
스타더스트 드래곤  버스터 모드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
 구세룡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OCG 오리지널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클리어 마인드 슈팅 스타 드래곤

톱 클리어 마인드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오버 톱 클리어 마인드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오버 톱 클리어 마인드
 
슈팅 퀘이사 드래곤
OCG 오리지널
 
 제외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파일:wwoymbivy1ob1.png
결집한 별이 유대를 이어주고, 기도와 함께 미래로 나아간다! 빛이 비추는 길이 되어라!
集いし星が、絆をつなぎ、祈りと共に未来へ駆ける!光差す道となれ!
델타 액셀 싱크로!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デルタアクセルシンクロ! 「コズミック・ブレイザー・ドラゴン」!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하나된 별이 믿음을 이어주고, 기도와 함께 미래로 나아간다. 밝은 빛의 길이 되어라!
델타 액셀 싱크로!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1. 개요2. 설명
2.1. 성능2.2. 역사2.3. 모티브/설정
3.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コズミック・ブレイザー・ドラゴン(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일어판명칭=コズミック・ブレイザ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Cosmic Blazar Dragon,
속성=바람, 레벨=12, 공격력=4000, 수비력=4000, 종족=드래곤족,
소재=싱크로 몬스터의 튜너 + 튜너 이외의 싱크로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는 싱크로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의 이 카드를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하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효과3=●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할 시기에 발동할 수 있다. 그것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4=●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그 후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1점

20주년
애니버서리 팩 세컨드 웨이브에서 OCG화된 최초의 바람 속성 / 레벨 12의 몬스터. 후술하겠지만 애니메이션의 설정에서 이름만이 공개되어 있었던 맥거핀이었는데, 애니메이션에서 짧게 밝혀진 설정(명칭/델타 액셀 싱크로 몬스터)을 토대로 OCG화하였다.

바람 속성 몬스터 중 공격력 / 수비력이 동시에 1위이며 수비력은 CX 초거대 공중요새 바빌론과 공동 1위. 블레이자(Blazar)를 블레이저(Blazer)라고 오역해 버렸다.[1]

TCG에서 발매되는 상품 Duelist Saga에서 돈 사우전드의 카드[2]와 함께 수록 카드 명단에 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 팩에 애니버서리 팩 20AP 1st wave에 신규 수록되는 카드가 있어서 OCG에서는 애니버서리 팩 20AP 2nd wave에 수록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되었고, 실제로 맨 앞자리인 51번 카드로 확정되었다.

스타더스트 드래곤 - 슈팅 스타 드래곤 루트에서 델타 액셀 싱크로 소환으로서의 원래 진화체여야 했던 걸 반영해 바람 속성이 되었고, 생김새도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슈팅 스타 드래곤을 적절히 섞은 모습이 되었다. 슈팅 퀘이사와 대칭을 이룬다는 걸 어필하듯이 공격력 / 수비력 4000, 소환 조건과 소환 제약도 유사하며, 일러스트의 배경과 구도는 슈팅 퀘이사의 것을 좌우 반전시킨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담으로 이 카드의 일러스트 구도는 타카하시 카즈키의 5D's 첫 원화에서 그려진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유사하다. #

여담으로 던 오브 마제스티 한글판 초회 한정 공인 매장 전용 스페셜 팩에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로 수록되었는데, 매물 자체가 적어 상당한 몸값을 자랑한다. 몸값만 해도 만창룡을 넘어서는 탓에 어지간히 자금 사정이 좋지 않고서야 고레어작을 할 때에도 차라리 비교불가할 정도로 저렴한 쿼싴을 구하는 경우가 대부분.[3]

2.1. 성능

소환 과정과 제약도 슈팅 퀘이사 드래곤,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와 완전히 동일한데, '싱크로 소환으로만 소환할 수 있다'라는 제약이 붙어 있어 소생계 카드로 불러올 수는 없다. 이 카드의 성능을 생각한다면 당연한 조치.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 다음 다시 싱크로 소환을 하는 건 가능하다.

효과는 ①의 효과 하나 뿐인데, 코스트로서 이 카드를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하고, 효과의 발동, 소환, 공격 선언 중 하나를 무효로 할 수 있다.

스타더스트 드래곤 계열의 특징인 퍼미션을 극대화한 몬스터로, 유희왕 OCG에서 가장 강력한 몬스터 퍼미션 중 하나로 꼽히며, 스펠 스피드가 더 빠른 카운터 함정을 제외하면 무엇이든 요격할 수 있다. 게다가 카드명 제약이 없어 2장을 소환하면 무효화 효과를 2번 쓸 수 있다.

또한 자기 자신을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한다는 것이 코스트로 명시되어 있어서, 일단 효과를 발동하기만 하면 코즈믹은 웬만해선 요격당하지 않는다. 퍼미션 몬스터는 일단 1번 퍼미션을 사용하면 무방비가 되어 얻어맞는 것이 당연한데, 이 카드만은 그렇지 않다.
  • 퍼미션을 사용하며 제외 존으로 이동하기에 자신을 릴리스하여 발동하는 스타더스트 드래곤,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처럼 로커스트 킹, 자이언트 핸드 같은 필드 몬스터 효과 발동에 체인하여 퍼미션하는 카드에 당하지 않으며[5], 자신을 릴리스해 묘지로 이동하는 이들과는 달리 무덤의 지명자를 비롯한 묘지 견제에도 당하지 않는다.
  • 스타더스트, 스덕버는 자신의 효과를 '적용한 턴'에 소생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즉 발동이나 효과를 무효화당하면 알아서 부활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카드는 되돌아오는 조건이 없기 때문에 엔드 페이즈에 반드시 되돌아온다.
  • 스타더스트 드래곤, 스덕버, 슈팅 스타는 '특수 소환' 효과를 발동하여 필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특수 소환이 봉인되거나 퍼미션에 맞으면 부활하지 못한다. 코즈믹은 체인을 생성하지 않아서 되돌아오는 것을 막지 못한다.

심지어 명왕결계파금지된 일적[6]을 맞춰서 코즈믹의 효과를 무효로 할 경우, 코즈믹의 ①의 효과로 상대의 행동을 무효로 할 수는 없지만, 발동은 할 수 있으므로 이후의 다른 효과에 체인하여 코즈믹은 필드에서 도망갈 수 있으며, 그래도 엔드 페이즈에 정상적으로 되돌아온다. 신의 통고 등으로 코즈믹의 ①의 효과가 체인당해 무효화되더라도 되돌아오는 것 자체는 못 막는다.

즉 코즈믹 자체의 생존력은 거의 모든 다른 몬스터를 능가하는 수준이며, 이 몬스터를 치우려면 매우 한정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용암 마신 라바 골렘, 파괴수 등 상대 몬스터를 릴리스하여 소환되는 몬스터. ①의 효과에 소환 무효가 있긴 하지만, 소환 선언을 한 시점에서 코즈믹이 필드에 없으므로 코즈믹으로 못 막는다.
  • 초융합, 아르테미트 슬레이, 로기어스텔라 티 폰[7]등 체인 자체가 걸리지 않는 제거 카드로 치운다. 코즈믹은 상대의 행동에 반응하기 때문에 체인 불가 제거 카드에는 반응을 못 하고 무력하게 쓸려나간다.
  • 심연룡 알버 레나투스의 경우 체인 없이 코즈믹을 룰 융합으로 먹어버릴 수 있다. 특히 알버스의 낙윤세트하는 경우에는 알버스의 소환을 무효로 하고 도망갈 수도 없으니 주의.
  • 왕궁의 철벽 등으로 제외를 막아버리면 코즈믹의 ①의 효과 자체가 봉인된다. 코즈믹이 필드에 있을 때 발동하면 퍼미션을 맞고 사라지니 코즈믹이 효과를 쓰고 도망갔을 때 쓰는 것이 좋다.
  • 코즈믹이 효과를 사용한 뒤, 블랙 가든 등으로 몬스터 존을 꽉 채워버리면 코즈믹이 돌아올 공간이 없다. 그러나 이런 방법을 사용할 정도라면 이미 듀얼의 주도권이 자신에게 있을테니 별로 의미 없는 대책이다.
  • 제외 상태인 이 카드는 아무 내성이 없으므로 어떻게든 코즈믹을 제외 존에서 치워버리면 못 돌아온다. 대표적으로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는 제외 존의 코즈믹을 아주 쉽게 먹어버릴 수 있어서 상성이 좋지 못하다. TG 글레이브 블래스터에게 납치당할 경우[8], 상대가 퍼미션을 발동해서 자신의 제외존으로 이 카드가 보내지더라도 엔드 페이즈엔 상대 필드로 돌아간다.
  • 금지령을 맞으면 이 카드의 효과로 이미 제외되어 있는 이 카드는 엔드 페이즈에 못 돌아오고 그대로 묘지로 보내진다.

또한 이 카드의 생존력은 이 카드 자체에만 한정된 이야기고, 거꾸로 공수 4000이나 되는 몬스터가 주인을 지켜주지 못한다는 뜻도 되므로 고화력 덱을 상대로는 주의해야 할 필요도 있다.

효과에 턴제가 없기 때문에 엔드 페이즈에 퍼미션을 발동하면 그 엔드 페이즈에 다시 되돌아온다. 특히 턴 플레이어가 자신이라면 무효화를 걸어버린 뒤 우선권이 자신에게 돌아와서 무효화 직후 복귀할 수 있다.

그 특성상 낙인 덱과는 물고 물리는 관계인데, 엔드 페이즈에 발동하는 효과가 많은 낙인에게 있어 코즈믹 블레이저는 우선권만 얻는다면 그걸 전부 다 무효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우선권 처리를 역이용당해 상대의 빙검룡 미라제이드를 자신 턴에 터뜨렸고 유언 효과를 못 막은 경우, 상대가 우선권을 포기하면 코즈믹 -> 빙검룡 순으로 효과가 적용되며 코즈믹이 터진다. 또한 심연룡 알버 레나투스에게 걸리면 바로 잡아먹힐 수 있어, 코즈믹에게 있어서 낙인이 편한 상대는 아니다.

2.2. 역사

발매 당시에는 링크 소환으로 인해 싱크로 몬스터를 링크 마커 위에만 소환할 수 있어 소환하기 힘들었지만 2020년 4월 마스터 룰 개정으로 융합/싱크로/엑시즈 몬스터를 링크 소환 도입 전과 동일하게 메인 몬스터 존에 소환할 수 있게 되면서 소환 난이도가 링크 소환 도입 이전보다도 낮아졌다.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에서 노멀로 재록되어 구하기 쉬워졌다.

발매 당시에는 까다로운 소환조건만큼 파격적인 효과를 가진 카드였지만, 시대가 지나고 파워 인플레가 진행되면서 평가가 많이 떨어졌다. 10기에 들어서면서 퍼미션의 질은 떨어져도 훨씬 가벼운 소재로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들이 다수 등장했기 때문.[9] 그런데 이 카드는 소환하려면 엑스트라 덱 4장 이상 + 몬스터 자원 6장 이상이라는 괴랄한 자원을 투자해야 하는데, 레벨을 정확하게 맞춰야 하는 특성상 실제로는 더 많은 카드가 소모된다. 정크도플 혹은 스피드로이드 같은 특화 덱을 맞춰야만 소환이 가능한 최종 에이스급 카드인데 그 결과물은 고작 1:1 교환에 그치는 게 문제다. 퍼미션의 질보다는 양으로 승부를 보는 시대에, 아무리 범위가 넓고 강력한 퍼미션을 갖고 있다 한들 1번밖에 못 막는 코즈믹은 가성비가 최악에 가까웠다. 이 카드를 소환할 자원으로 다른 퍼미션 싱크로들을 늘어놓으면 2~3회의 퍼미션이 나온다.

이 때문에 로망을 제외하면 굳이 소환할 이유가 없다는 평가를 받았고, 심지어 본가인 정크도플에서조차 퀘이사 / 코즈믹 루트를 타지 않고 플뢰르 드 바로네스새털라이트 워리어를 통해 1대다 교환을 노리는 식으로 대체되는 추세다.

그렇게 과거의 카드로 묻히나 했지만 붉은 용 출시 이후 소환에 드는 자원을 압도적으로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번거롭게 레벨을 조정하며 싱크로를 우르르 늘어놓을 필요 없이 적절한 레벨 12 싱크로, 붉은 용, 이 카드만 엑덱에 넣어두면 12싱크로를 2마리만 늘어놓는 루트로 이 카드가 나온다. 붉은 용으로 주로 불러오던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가 금지를 먹은 이후 대체재로 쓰인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고작 2개체로 나오는 코즈믹은 매우 강하다.

2.3. 모티브/설정

파일:코즈믹퀘이사풀뷰.png
전신 일러스트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CosmicBlazarDragon-JP-Anime-5D-NC.png
Z-one의 회상 속 후도 유세이의 사용 카드 목록
-유희왕 5D's 제149화 中-

유희왕 GX암흑계의 혼돈왕 컬러리스와 마찬가지로 유희왕 5D's 본편의 설정에서 이름만이 묘사됐던 몬스터.[10] 설정상 Z-one이 살았던 세계선의 유세이가 다뤘던 에이스 몬스터로, '톱 클리어 마인드'의 경지에 도달한 유세이가 사용했던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최종 진화형이다. 안티노미가 주로 구사했던 델타 액셀 싱크로 몬스터로 분류된다. 명칭의 '블레이자(Blazar)'는 '퀘이사'에서 분출되는 플라즈마 광선을 의미한다.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시작으로, 슈팅 스타 드래곤에서 이어지는 최종 진화형인 만큼, 기본적인 외형은 스타더스트를 닮아 있으며, 근육질의 사지는 슈팅 스타 드래곤과 같다. 이 몬스터의 직전 계보인 슈팅 스타 드래곤은 입도 없고 공격(스타더스트 미라지)시에는 몸을 전투기 같은 형태로 변화시키는 등[11], 약간 기계적인 느낌이 있었던 반면, 코즈믹 블레이저는 완전히 원점 회귀한 셈이다.

애니메이션에서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을 다뤘던 유세이는 사람들의 희망이 되어 그 이름을 역사에 남겼지만, 해당 세계선은 후에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역사를 수정하기 위해 Z-one이 본편 세계선의 유세이에게 개입을 시도한 결과, 유세이는 본래 정해진 세계선의 미래보다도 더 빨리 클리어 마인드를 습득하였고, 그에 따라 슈팅 스타 드래곤의 출현도 빨라졌다. 그리고 최종 결전에서 안티노미는 유세이에게 델타 액셀을 전수한 뒤 사망하였으나, 유세이는 동료들의 유대를 하나로 모아 '톱 클리어 마인드'를 뛰어넘는 새로운 경지 '오버 톱 클리어 마인드'의 영역에 도달하여 리미트 오버 액셀 싱크로 몬스터인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소환하였다.

이에 따라 본편의 유세이는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을 습득하지 못했지만, '오버 톱 클리어 마인드'의 경지는 말 그대로 '톱 클리어 마인드'의 상위형이기 때문에 그 하위형인 톱 클리어 마인드는 당연히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12]

이 카드가 등장하는 경우=5D's가 원래 역사대로 진행되었을 경우 파멸의 미래를 막을 수 없다는 점 때문인지, 슈팅 퀘이사 드래곤과 달리 연속 공격 효과는 없어서 퍼미션 효과로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건 가능할지라도 원작처럼 무한광 아인 소프 오르+시계신 5장이 있는 상황을 돌파할 수는 없다.

3. 관련 카드


[1] 이름 속 블레이자는 1978년 천문학자 에드워드 슈피겔이 BL Lac 천체와 퀘이사를 조합한 것이다.(BL Lac+Quasar) 이후 일반 퀘이사와 구분하기 위해 blaze(불타다)와 quasar(퀘이사)를 합친 단어다.(출처: 위키낱말사전)[2] Duelist Saga의 리스트 일부에 No.1~4가 있는 걸로 보아 게이트 오브 누메론 시리즈로 추정되었으나 돈 사우전드의 계약으로 판명됐다.[3] 텐사우전드 드래곤이 10~15 정도에 거래되는 한편 코즈믹 프싴은 적어도 20언저리에서 그 이상의 금액대로 판매글이 올라온다. 반면 쿼센유 출신의 쿼싴은 그런대로 매물은 있기 때문에 2~2.5 정도의 적당한 가격에 거래되는 편이다.[4] 효과를 발동해서 코즈믹을 전투로 부술 몬스터를 내려고 하면 1번째 효과인 몬마함 퍼미션에 막히고, 효과 발동 없이 튀어나오는 룰 특소 몬스터를 사용한다 해도 2번째 효과에 차단당한다.[5] 천광, 어비스, 포영 등의 프리체인 필드 카드 무효 효과는 코즈믹이 퍼미션을 쓰기 전에 찍을 수는 있지만, 코즈믹의 퍼미션을 빼는 1 : 1 교환에 그치게 된다. 그 체인 위에서 다른 카드의 효과가 더 발동할 경우 코즈믹이 다른 효과에 체인을 걸어 도망갈 수도 있다. 포영, 천광 같은 일회성 마법/함정이면 몰라도 디에스이레,어비스 같은 고성능 필드 퍼미션 몬스터는 무효 및 파괴되어 사라지기에 이들이 필드에 있어도 효과를 쓰지 못하게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6] 일적은 퍼미션 몬스터의 퍼미션에 체인을 걸어 무효화시키는 운용이 주가 되는데, 코즈믹은 효과 발동 시점에서 도망가버려서 일적으로 무효화시키기 쉽지 않다. 코스트로 몬스터를 보내서(마함만 보내면 막힌다) 코즈믹이 효과를 쓰기 전에 무효화시키거나 상대가 다른 퍼미션 몬스터의 퍼미션을 먼저 썼을 때 같이 맞추는 것 말고는 일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다.[7] 이쪽은 효과 발동에 마함 등으로 체인은 가능하지만 공격력 3000 이상의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틀어막아 코즈믹으로 막을 수 없다. 티 폰의 소환을 막는 건 가능하지만, 티 폰의 소환을 무효로 하면 상대의 소환 불가 디메리트가 풀리는 것에 주의.[8] 정규 소환 또는 붉은 용으로 나왔다면 뺏긴다. 실전성 없는 이야기지만 리미트오버 드라이브로 등장한 코즈믹은 안 뺏긴다.[9] "발동을 무효로 하는" 범용 싱크로 몬스터만 보더라도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플뢰르 드 바로네스, 아크 디클레어러 등이 있다.[10]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통해 언급된 것조차 아니며, 단순히 후도 유세이가 사용한 덱의 데이터 중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로 그 이름이 올라가 있었던 게 전부이다.[11] 진짜 변형하는 건 아니고 전투기스러운 자세를 취한다.[12] 결과적으로 유세이는 오버 톱 클리어 마인드를 쓰긴 했지만 안티노미가 자신의 목숨을 걸고 전수한 건 톱 클리어 마인드였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