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1:31:58

카로칸 디펜스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f4dfc1,#986b52><tablebgcolor=#fff,#444><tablecolor=#373a3c,#fff><#f4dfc1,#986b52><-2> 체스의 오프닝 ||
[ 1...e5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오픈 게임
[ 세미 오픈 게임 펼치기 · 접기 ]
* ⚫ 1...c5 시실리안 디펜스
[ 1...d5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클로즈드 게임
[ 세미 클로즈드 게임 펼치기 · 접기 ]
* ⚫ 1...Nf6 인디언 디펜스
* ⚪ 2.Bf4 런던 시스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그 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fff> 플랭크 오프닝 이레귤러 오프닝
}}}}}}}}}
⚪, ⚫는 각각 백, 흑의 수순으로 정렬 순서는 Lichess 오프닝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마스터 사용 빈도를 따름.
카로칸 디펜스
Caro–Kann Defence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
<colbgcolor=#f4dfc1> 수순 1.e4 c6
상위 오프닝 킹즈 폰 오프닝
ECO 코드 B10–B19

1. 개요2. 이론3. 파생형
3.1. 2.d4 d5
3.1.1. 3.Nc3/3.Nd2
3.1.1.1. 메인 라인3.1.1.2. 구르게니체 시스템3.1.1.3. 캄포메네스 어택3.1.1.4. 구르게니체 카운터어택3.1.1.5. 폰 헤닉 갬빗3.1.1.6. 라사-스투디어 갬빗3.1.1.7. 에든버러 베리에이션
3.1.2. 익스체인지 베리에이션3.1.3. 어드밴스 베리에이션3.1.4. 판타지 베리에이션3.1.5. 미세스 갬빗3.1.6. 율리시스 갬빗
3.2. 투 나이트 어택3.3. 2.Nc3 d5
3.3.1. 골드만 베리에이션3.3.2. 스콜피온-호루스 갬빗3.3.3. 성 패트릭 어택
3.4. 2.Nf3 d5
3.4.1. 아포칼립스 어택3.4.2. 3.d3
3.4.2.1. 3...dxe4 4.dxe43.4.2.2. 트랩 라인(김창훈 갬빗)
3.5. 액셀러레이티드 파노브 어택
3.5.1. 모던 베리에이션3.5.2. 오픈 베리에이션3.5.3. 판 위르셀 어택3.5.4. 토이카넨 갬빗
3.6. 드브루이커 디펜스3.7. 마시 베리에이션3.8. 브레이어 베리에이션3.9. 오이베 어택3.10. 힐빌리 어택
3.10.1. 셰퍼 갬빗
3.11. 라반 어택
3.11.1. 더블 갬빗3.11.2. 폴리시 베리에이션
3.12. 매사추세츠 디펜스3.13. 스파이크 베리에이션
4. 기타

[clearfix]

1. 개요

체스오프닝 중 하나로, 백의 1.e4를 1...c6으로 받아치는 수를 일컫는다. 명칭은 1886년에 이를 분석한 영국의 호레이쇼 카로(Horatio Caro)와 오스트리아의 마르쿠스 칸(Marcus Kann)의 이름을 딴 것이다. 1.e4에 대응해서 시실리안 디펜스, 오픈 게임, 프렌치 디펜스 다음으로 많이 두어지는 오프닝이다.

2. 이론

흑의 첫 수 1...c6는 백의 2.d4를 허용한 뒤 바로 2...d5로 e4폰을 공격해 백의 대응을 강요하겠다는 포석이다. 2...d5 이후 백의 대응은 폰을 나이트로 지킬지(메인라인 등), 전진해서 중앙을 닫을지(어드밴스), 교환할지(익스체인지)로 크게 갈리게 된다. 비슷한 아이디어를 가진 프렌치 디펜스와 비교하면 ...e6를 미루기 때문에 밝은 비숍이 갇히는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c6폰에 퀸사이드 나이트의 전개가 방해받으며, 카로칸에서도 백의 중앙 차지에 도전하려면 언젠가는 c6-c5로 한 번 더 밀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빠른 c7-c5가 가능한 프렌치보다 템포를 더 쓰게 된다는 점이 단점이다.

c6-e6 카로 구조로 대표되는 안정적인 폰 구조가 장점인 견고한 오프닝이다. 백은 흑에 비해 폰이 전진되어 폰 구조상 약점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고, 흑은 엔드게임에서 이러한 장점을 살리려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백은 어드밴스나 익스체인지 등 다른 폰 구조를 택할 수도 있어 다양한 양상으로 게임이 진행된다. 백에게 폰 구조 선택권을 주지 않고 확실하게 카로 구조를 만드는 오프닝으로는 스칸디나비안 디펜스가 있으나, 이쪽은 퀸이 초반에 왔다갔다하며 너무 많은 템포 손해를 보기 때문에 높은 수준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백의 중앙을 곧바로 압박하는 프렌치와 달리 빠른 ...c5를 치지 않기 때문에 흑이 백으로부터 초반 주도권을 가져오기는 어렵고 이 문서와 하위 문서의 수많은 바리에이션에서 나타나듯이 백의 선택지도 많은 편이다. 아마추어 레벨에서는 많은 라인에서 흑이 잘 모르면 손해를 보기 쉬운 백의 날먹 트랩 라인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3. 파생형

3.1. 2.d4 d5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4 d5)]
카로칸 디펜스에서 가장 흔히 두어지는 기본 진행이며, 카로칸 디펜스로 진행된 마스터 레벨의 게임 중 약 79%가 해당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백은 d4를 두어 중앙을 차지하고, 흑은 c6의 도움을 받아 d5으로 바로 중앙을 타격한다.

백의 대응은 나이트를 전개하며 e4폰을 지키고 교환을 유도하거나(메인 라인 및 몇몇 사이드라인), e4폰을 먼저 d5폰과 교환하거나(익스체인지), e4폰을 밀며 중앙을 닫는(어드밴스) 것이 가장 흔하다. 이외에는 f3 전진으로 폰으로 e4폰을 지키는 판타지 베리에이션이 가끔 나온다.

3.1.1. 3.Nc3/3.Nd2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Nc3)]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N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Nd2)]
백은 나이트를 전개하면서 e4폰을 수비한다. 흑이 바로 폰을 교환하고 백이 나이트로 되잡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기에, 두 라인의 큰 차이점은 거의 없다시피 하다. 3.Nd2는 모던 베리에이션(Modern Variati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1.1.1. 메인 라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로칸 메인라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nclude(틀:체스게임, info=Main lin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Pw, e4=N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Nc3 dxe4 4.Nxe4)]
백이 나이트를 전개하며 폰을 지키고, 흑은 바로 e4폰을 잡으며 백이 나이트로 되잡는다. 카로칸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자주 두어진 라인이다. 3.Nc3 대신 3.Nd2로도 같은 라인이 된다.
3.1.1.2. 구르게니체 시스템
[include(틀:체스게임, info=Gurgenidze System,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 h7=Pb,
a6=, b6=, c6=Pb, d6=, e6=, f6=, g6=Pb,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Nc3 g6)]
흑이 폰을 잡지 않고 g폰을 올려 비숍 피앙케토를 준비하는 라인이다. 모던 디펜스에서 전환되기도 한다. 백이 다음 수에 4.e5를 하게 된다면 피앙케토를 하더라도 비숍의 대각선이 가로막히게 되면서 피앙케토된 비숍의 힘이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 이 라인이 유행했을 때는 백이 일부러 3.Nc3 대신 3.Nd2를 두며 이를 회피하기도 했다.
3.1.1.3. 캄포메네스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Campomanes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Nb,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Nc3 Nf6)]
흑이 폰을 잡지 않고 나이트를 전개하면서 e4지점에 대한 압박을 더한다. 다만, 백의 e5 전진으로 나이트가 쫓겨나기 때문에 흑에게 템포 손해가 벌어진다. 나이트가 d7칸으로 도망간 뒤에 c5 폰 브레이크를 준비하려고 해도 나이트가 뒤로 빠지면서 퀸의 길을 가로막기 때문에 e6 이후에 c5 폰 브레이크가 가능하다. 여차저차 흑이 c5 폰 브레이크를 한다 해도, 흑이 한 턴 손해를 본 프렌치 어드밴스 형식으로 변하기 때문에 나쁜 수로 평가된다.
3.1.1.4. 구르게니체 카운터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Gurgenidze Counter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Pb,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Nc3 b5)]
흑이 폰을 잡지 않고 b폰을 두 칸 올려 다음수에 b4로 백 나이트를 쫓아낼 준비를 한다. 백은 다음 수에 나이트가 쫓겨나가면서 e4폰의 보호가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폰을 잡거나 밀어야 하며, b4로 나이트가 쫓겨난다고 해도 흑은 퀸사이드 쪽 폰을 너무 밀어서 퀸사이드가 약화되는 단점이 있으며, 기물 전개를 하지 않고 폰만 움직였기 때문에 전개 부분에서도 백이 앞서고 있다고 평가된다.
3.1.1.5. 폰 헤닉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von Hennig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Bw, d4=Pw, e4=Pb, f4=, g4=, h4=,
a3=, b3=, c3=Nw,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3.Nc3 dxe4 4.Bc4)]
흑이 e4폰을 잡을 때 백은 폰을 되잡지 않고 대신 비숍을 전개한다. 블랙마-디머 갬빗과 비슷하게 진행되며 백의 빠른 킹사이드 전개 및 공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다음 수에 흑의 4...b5로 백 비숍이 쫓겨날 수 있고, 그 틈을 타 흑 또한 기물을 전개 할 시간을 벌 수 있으며, 5...Nf6 6.f3 exf3 7.Nxf3 Bf5[3]로 흑이 방어에 성공하게 된다면 폰을 하나 희생한 만큼의 이점을 가져가기 힘들기 때문에 좋은 수라고 평가되진 못한다. 흑은 4...b5 대신 4...Nf6, 4...Bf5로 폰을 지키며 전개해도 좋다.
3.1.1.6. 라사-스투디어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Rasa-Studier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b, f4=, g4=, h4=,
a3=, b3=, c3=Nw, d3=, e3=, f3=Pw,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Nc3 dxe4 4.f3)]
백에게 폰을 하나 주는 대신, 기물 전개 속도를 높이는 라인이다. 다만 f폰이 사라져 백 킹의 대각선이 열린다는 단점이 있어 유사하게 폰을 주고 전개 속도를 높이는 다른 갬빗 라인들에 비해 채용률이 떨어지는 편이다.
3.1.1.7. 에든버러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Edinburgh Variation,
a8=Rb, b8=Nb, c8=Bb, d8=,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Qb,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N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Nd2 Qb6)]
백이 3.Nd2를 둔 경우 사이드라인으로 흑이 폰을 되잡는 대신 퀸을 전개하며 d4폰을 공격하는 에든버러 베리에이션이 있다.

3.1.2. 익스체인지 베리에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로칸 익스체인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nclude(틀:체스게임, info=Exchange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exd5 cxd5)]
백이 폰을 바로 교환한다. 백이 중앙 e폰을 바깥쪽 c폰과 교환하기에 선호도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프렌치나 슬라브 익스체인지와 달리 폰 구조에 불균형이 생기기에 무승부 비율이 낮은 편이다.

3.1.3. 어드밴스 베리에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로칸 어드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nclude(틀:체스게임, info=Advance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Pw, f5=, g5=, h5=,
a4=, b4=, c4=, d4=Pw,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e5)]
백이 폰을 밀어 중앙을 닫는다. 1927년 아론 님조비치가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에게 들고 나왔다가 패한 이후 최상위권에서 선호도가 줄어들었지만, 이후 재발견되어 21세기 이후에는 메인라인(3.Nc3 또는 3.Nd2)을 뛰어넘는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 베리에이션이다.

3.1.4. 판타지 베리에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로칸 디펜스/판타지 베리에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nclude(틀:체스게임, info=Fantasy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Pw,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f3)]
마로치 베리에이션이란 이름으로도 불리며, f3 전진으로 e4폰을 뒷받침한다.

3.1.5. 미세스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Mieses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Bw,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Be3)]
기본적인 진행은 3...dxe4 4.f3 exf3 5.Nxf3으로 백이 폰을 하나 준 대신에 기물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백 킹의 대각선이 열렸고, 전개된 비숍의 대각선이 폰에 의해 가로막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점이 폰을 하나 희생한 만큼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지는 않는다.

3.1.6. 율리시스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Ulysses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Nw, h5=,
a4=, b4=, c4=, d4=Pw, e4=Pb,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 h1=Rw,
caption=3.Nf3 dxe4 4.Ng5)]
흑에게 폰을 하나 내어 주고, 백이 이를 되찾고자 기물을 전개하면서 게임을 진행한다. 흑이 폰을 지키면서 기물을 전개하면 폰 우위를 바탕으로 게임을 유리하게 풀어 나가기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3.2. 투 나이트 어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카로칸 디펜스/투 나이트 어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nclude(틀:체스게임, info=Two Knights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Nw,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 h1=Rw,
caption=2.Nf3/Nc3 d5 3.Nc3/Nf3)]
백이 폰을 움직이지 않고 나이트 두 개를 모두 꺼낸다. 바비 피셔가 자주 사용한 라인이다.

3.3. 2.Nc3 d5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Nc3 d5)]
백은 나이트를 전개하면서 폰을 수비하고, 흑은 계획대로 c6폰의 도움을 받아 d5로 중앙을 타격한다.

3.3.1. 골드만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Goldman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Qw,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Bw, d1=, e1=Kw, f1=Bw, g1=Nw, h1=Rw,
caption=3.Qf3)]
백은 퀸을 밖으로 꺼내 흑의 약점인 f7칸을 압박한다. 다음 수에 흑은 대부분 3...dxe4로 폰을 잡는데, 백의 주된 계획은 4.Nxe4로 폰 교환 이후에 Bc4로 스콜라 메이트 위협을 가하는 것이다. 흑은 메인라인과 유사하게 c6-e6 카로 구조를 만드는 경우가 많고, Nbd7-Nb6 나이트 기동으로 c4 비숍 공격을 노리기도 한다.

3.3.2. 스콜피온-호루스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Scorpion-Horus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Bw, h5=,
a4=, b4=, c4=, d4=, e4=Pb, f4=, g4=, h4=,
a3=, b3=, c3=Nw, d3=Pw,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 c1=,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d3 dxe4 4.Bg5)]
흑이 다음 수에 4...dxe4를 하면 5.Bxc3로 되잡아 흑의 d4폰이 백 폰들을 잡으면서 움직일 동안, 백은 두 비숍을 모두 전개하겠다는 아이디어를 가진 오프닝이다. e폰을 핀에 걸고 흑의 전개를 지연시키며, Qe2로 흑 킹을 위협한 뒤 퀸사이드 캐슬링하여 열린 d열로 흑 퀸을 위협할 수 있다.

엔진 평가로는 -0.4 정도로 대부분의 다른 갬빗들과 마찬가지로 폰을 희생한 만큼의 이점은 없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리체스 데이터베이스 기준으로 백의 승률이 57%로 높은 편이다. 백의 기물은 어찌 되었던 전개가 대부분 끝났지만, 흑의 기물은 전부 폰 뒤에 묶여 있는 상태이기에 카로칸 디펜스를 사이드라인으로 상대해 보고 싶다면 한 번 쯤 두어 봐도 나쁘지 않은 오프닝이다.

3.3.3. 성 패트릭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St. Patrick's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Nw, d3=, e3=, f3=, g3=, h3=Pw,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
a1=Rw, b1=,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3.h3)]
흑의 밝은 칸 비숍의 전개를 방해할 의도로 두어지는 수이다. h3를 두어 g4칸을 폰이 컨트롤하기 때문에 흑 비숍이 전개될 자리가 e6칸이나 d7칸 등으로 제한적이게 되는데 e6는 e폰의 진로를 가로막고, d7는 너무 소극적일 뿐더러 c6폰으로 인해 대각선이 가로막혀 있기 때문에 비숍을 전개할 자리가 마땅치 않게 된다. 하지만 백이 중앙을 차지하거나 기물을 전개하는 것이 아닌 바깥쪽 폰을 밀어 수를 썼기 때문에 백으로 두는 선수 이점을 잃은 것에 비해서 얻게 되는 보상이 충분치 않다고 평가된다.

3.4. 2.Nf3 d5

[include(틀:체스게임, info=non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Nw,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 h1=Rw,
caption=2.Nf3 d5)]
백은 나이트를 전개해서 흑의 e5 전진을 막으며, 흑은 계획대로 d5를 올려 중앙 싸움을 시작한다.

3.4.1. 아포칼립스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Apocalypse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Nw,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 h1=Rw,
caption=3.exd5 cxd5 4.Ne5)]
이후 진행에서 나이트를 흑 비숍과 교환하는 경우가 많아[4] 백이 비숍쌍 이점을 갖지만, 3번 움직인 백 나이트를 1번 움직인 흑 비숍과 교환했기 때문에 흑이 전개 우위를 얻는다.

3.4.2. 3.d3

[include(틀:체스게임, info=non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Pw, e3=, f3=Nw,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 h1=Rw,
caption=3.d3)]

2.Nf3 이후 투 나이트 어택 다음으로 백이 자주 선택하는 라인이긴 하지만 별다른 이름이 붙어있지 않다.
3.4.2.1. 3...dxe4 4.dxe4
[include(틀:체스게임, info=none,
a8=Rb, b8=Nb, c8=Bb, d8=,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Nw,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Kw, e1=, f1=Bw, g1=, h1=Rw,
caption=3...dxe4 4.dxe4 Qxd1 5.Kxd1)]
퀸이 교환되고 백이 캐슬링을 하지 못하게 되지만, 마스터 레벨에서 백이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2020년대 이후 새롭게 떠오른 안티 카로칸 라인이다. chesspublishing.com에서는 아예 '엔드게임 베리에이션'이라고 부른다. 체스 엔진 릴라제로에 의해 주목받기 시작했다.

높은 수준에서 이 엔드게임이 백에게 유리한 이유를 궁금해하는 체스 커뮤니티 게시글이 많다. 우선 퀸이 교환된 이상 캐슬링 권한은 별로 중요하지 않고 오히려 백 킹이 퀸사이드나 킹사이드로 유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강력한 백 e4폰에 비해 흑 c6폰은 나이트 전개에 방해만 되고 흑이 비숍을 전개하려 e폰을 올리는 순간 d6칸에 구멍이 생긴다고 한다. 아예 흑이 e폰을 그대로 놔두고 일부러 g6 피앙케토로 전개하는 경우도 많을 정도이다. 전형적인 마스터 수준 경기에서 백은 a2-a4-a5, Nb1(Nf3)-d2-c4, Nd3, Be3, f3 등의 패턴을 보인다.

물론 미세한 포지션 차이를 다룰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의미있는 정도이며, 리체스 래피드 기준 레이팅 2000 정도는 되어야 백과 흑의 승률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흑은 3...dxe4 대신 3...g6, 3...Bg4, 3...Qc7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러한 진행을 거절할 수 있다.
3.4.2.2. 트랩 라인(김창훈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트랩라인(김창훈 갬빗),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Nw,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Bw,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 g1=, h1=Rw,
caption=3...dxe4 4.Ng5 exd3 5.Bxd3)]
아마추어 레벨에서 자주 사용되는 트랩 라인이다. 백은 폰을 갬빗하며 비숍과 나이트를 전개한다. 5...Nf6??로 나이트를 무시하고 전개하거나, 5...h6??, 5...f6??로 나이트를 쫓아내려 드는 수 등은 모두 블런더로, 백의 탁월한 나이트 희생 6.Nxf7!!이 들어온다.[5]
[include(틀:체스게임, info=트랩 성공,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 d7=, e7=Pb, f7=Nw,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Nb,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Bw,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 g1=, h1=Rw,
caption=5...Nf6?? 6.Nxf7!!)]
이후 6...Kxf7?으로 나이트를 잡으면 7.Bg6+ 체크로 퀸이 디스커버드 어택을 당하면서 퀸을 잃게 되며[6][7], 그렇다고 안 잡으면 퀸-룩이 포크에 걸린 상황이므로 퀸을 피하면서 룩을 공짜로 내줄 수밖에 없다.[8]

트랩을 피하기 위해선 5...Nd7으로 퀸 앞을 미리 막아놓으면 된다. 트랩이 막힌 후 백은 6.Nxh7으로 폰을 회수할 수 있으나 이러면 템포를 소모해가며 백의 중앙 e폰과 흑의 외곽 h폰을 교환한 꼴이라 이점이 없다. 엔진은 폰 다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캐슬링 등으로 전개를 이어가는 수를 추천하지만, 기왕 날먹(...)을 노리기로 한 이상은 6.Bc4로 Bxf7# 메이트 위협을 걸 수도 있다. 흑의 최선수는 6...e6지만, 6...Ne5?를 둔다면 7.Qxd8+ Kxd8 8.Bxf7으로 폰을 회수하면서 흑이 캐슬링을 못하게 하고, Nf8+ 포크 위협도 만드는 등 백에게 유리한 포지션이 된다.
상위 라인과 마찬가지로 별다른 이름이 붙어있지 않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갬빗이었으나, 한국에서는 2023년 CM 김창훈의 소개 영상으로 유명해졌다.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보통 김창훈 갬빗이라고 부르는 편.

여담으로 세르비아의 피데마스터 드라간 디닉이 같은 세르비아의 피데마스터 브랑코 콤네닉을 상대로 이 트랩을 시도했고, 놀랍게도 트랩에 성공해 승리를 한 적이 있었다. 이는 마스터 레벨에서도 해당 트랩 라인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대처하기 힘들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3.5. 액셀러레이티드 파노브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Accelerated Panov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Pw,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c4)]
카로칸 익스체인지에서 c4를 올리는 수를 파노브 어택이라고 하는데, 폰 교환을 하지 않고 c4를 빠르게 올려 액셀러레이티드 파노브 어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론적으론 e폰에 의해 컨트롤되고 있는 d5칸을 c4를 올려 더 강하게 컨트롤하며, 이후 흑의 d5를 저지하겠다는 의도이다.

흑은 2…d5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후 백이 흑 d5폰을 c폰으로 먼저 잡든 e폰으로 먼저 잡든, 백은 c폰과 e폰을 모두 교환하고 흑은 백 d5폰을 나이트로 잡으며 백이 고립된 퀸 폰(IQP)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3.exd5 cxd5 이후 백이 4.cxd5 대신 4.d4를 선택하면 파노프 어택으로 전환된다.

2…e5를 둘 수도 있는데, 3.Nf3 이후 3…d6로 방어하기보다는 3…Nf6로 역으로 백 e4폰을 공격하는 편이다.

여담으로 액셀러레이티드 파노브 어택에서 파생된 유사 스칸디나비안(Pseudo-Scandinavian)이란 이름을 가진 사이드라인이 존재하는데, 2...d5 3.exd5 이후에 3…Qxd5로 c4폰에 지켜지고 있는 d5폰을 퀸으로 되잡는 블런더인데도 오프닝 이름이 붙어 있다.

3.5.1. 모던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Modern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Nb, g6=, h6=,
a5=, b5=, c5=, d5=Pw, e5=, f5=,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5 3.exd5 cxd5 4.cxd5 Nf6)]
백이 d5폰을 두 번 연속으로 되잡으며 IQP가 생긴다. 백이 d5폰을 잡지 않고 나이트 전개 등 다른 수를 두는 것은 흑이 d4 전진 또는 dxe4를 둘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좋지 않다. 흑은 퀸으로 폰을 바로 회수하지 않고, 나이트를 전개해서 폰을 한번 더 공격한다. 퀸으로 바로 폰을 잡으면 다음 수에 백의 5.Nc3로 퀸이 쫓겨나면서 템포 손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나이트로 폰을 회수할 의도로 두어지며, 가장 좋은 대응이라고 평가된다. 백의 전개가 흑보다 별로 빠르지도 않고, 흑이 Nxd5를 두며 자연스럽게 백 d4 IQP의 진로를 막기 때문에 흑에게 괜찮은 형태의 IQP 포지션이 된다.

3.5.2. 오픈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Open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Pb, f5=, g5=, h5=,
a4=, b4=, c4=Pw,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e5)]
백이 강력하게 컨트롤하고 있는 d5칸에 폰을 놓지 않고 e5에 폰을 놓아 중앙을 차지한다. 백이 Nf6로 폰을 공격한다면 페트로프 디펜스 스타일로 Nf6를 두어 백의 e4폰을 공격하는 것이 최선이다. d6로도 폰 수비가 가능하긴 하지만, 이는 어두운 칸 비숍의 대각선이 막히기 때문에 추천되지 않는 수이다.[9]

3.5.3. 판 위르셀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Van Weersel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Qw,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5 3.cxd5 cxd5 4.Qb3)]
d5폰을 되잡지 않고 퀸을 꺼내 d5폰을 공격한다. 백은 흑에게 폰을 하나 준 대신에 b7 폰에 압박을 가했기 때문에 흑의 밝은 칸 비숍 전개를 막을 수 있긴 하지만, 이러한 이점이 폰을 하나 희생할 정도의 보상은 아니라고 평가되어 잘 쓰이지 않는다.

3.5.4. 토이카넨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Toikkanen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Pb, e5=Pw, f5=, g5=, h5=,
a4=, b4=, c4=Pw, d4=, e4=,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5 3.e5)]
흑이 폰을 잡으면 비숍을 전개하면서 되잡고, 다음 수에 d4를 두어 중앙을 견고히 가져가겠다는 의도로 두어진다. 때문에 흑의 최선의 수는 폰을 잡는 것이 아니라 백이 d4를 두지 못하도록 먼저 d4를 두는 것이다. 백과 흑의 폰들이 중앙 여기저기 보호받지 못한 채로 흩어지는 경기 양상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아마추어 레벨에서는 흑과 백의 승률이 동등하게 나온다.

3.6. 드브루이커 디펜스

[include(틀:체스게임, info=none,
a8=Rb, b8=,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Nb,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4 Na6)]
다음 수에 나이트를 c7칸으로 재전개하여 d5 전진을 보조해주려는 의도로 두어지는 라인이다. 하지만 나이트를 초반에 두 번 움직이는데다 백이 폰을 잡으리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흑에게 좋지 않은 라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체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흑이 다른 라인들에 비해 특별히 승률이 떨어지거나 하지 않는, 아마추어 레벨에서 통계적으로는 의외로 준수한 라인이다. 아주 가끔 히카루 나카무라가 온라인 블리츠에 자신보다 레이팅이 한참 낮은 사람들을 상대로 쓴다.

3.7. 마시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Masi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Nb,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4 Nf6)]
폰으로 중앙 싸움을 하지 않고, 나이트를 먼저 전개하면서 e4폰을 공격한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알레킨 디펜스와 유사하며, 백이 나이트를 쫓아내려 기물을 전개하지 않고 폰을 밀었을 때, 과도하게 전진된 폰들을 폰 브레이크를 통해 공격하면서 게임을 풀어 나가는 것이다.

3.8. 브레이어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Breyer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Pw,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3)]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며, 보통 킹즈 인디언 어택을 두고자 하는 목적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바비 피셔가 투 나이트 어택을 버린 뒤 카로칸 디펜스를 상대로 브레이어 베리에이션을 즐겨 사용했다.

3.9. 오이베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Euwe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Pw, c3=, d3=, e3=, f3=, g3=, h3=,
a2=Pw, b2=,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b3)]
5대 세계 챔피언 막스 오이베가 1920년 리처드 레티를 이 오프닝을 사용해 꺾어 오이베 어택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백은 중앙 차지를 잠시 미루고 어두운 칸 비숍 피앙케토를 준비하며, 흑의 최선은 여전히 d5로 중앙을 타격하는 것이다.

3.10. 힐빌리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Hillbilly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Bw,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 g1=Nw, h1=Rw,
caption=2.Bc4)]
백은 폰으로 중앙을 차지하는 대신, 비숍을 먼저 전개한다. 흑이 2...d5를 하게 되면 폰 교환을 하더라도 결국 비숍이 쫓겨나기 때문에 약한 수로 평가된다.

3.10.1. 셰퍼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Schaeffer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Qw,
a4=, b4=, c4=, d4=, e4=Pb, f4=, g4=, h4=,
a3=, b3=Bw,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 e1=Kw, f1=, g1=Nw, h1=Rw,
caption=2...d5 3.Bb3 dxe4 4.Qh5)]
폰을 하나 내어주고 백에게 스콜라 메이트 위협을 가한다. 다만, 스콜라 메이트 대처법과 똑같이 g3를 하면 퀸이 쫓겨나게 되고, e4지점에 자리잡은 흑 폰이 f3칸을 컨트롤하고 있기 때문에 퀸이 f3칸으로 이동해서 흑의 대응을 강제시키지도 못하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는다.

3.11. 라반 어택

[include(틀:체스게임, info=Labahn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Pw,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b4)]
독일의 체스 선수인 볼프강 라반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b폰을 올려 흑의 c5전진을 막고자 하는 의도로 두어진다. 다만, 흑이 c5 폰 브레이크를 하지 않고 평범하게 기물 전개를 하면 b4를 둔 의미가 없어지며, 흑이 e폰을 전진시키면 뒤에 있는 비숍에게 폰이 공격받는다는 단점이 있기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11.1. 더블 갬빗

[include(틀:체스게임, info=Double Gambit,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Pw, c5=, d5=Pb,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5 3.b5)]
흑이 중앙을 차지하려, d5를 두었을 때 b폰을 한 칸 더 올려 흑의 폰 체인을 끊으려고 시도한다. 그 과정에서 백은 e4폰을 상대에게 내어주게 되고 c6폰을 잡자니 흑의 나이트 전개를 도와주게 되며, b폰을 지키기 위해 a4등의 수가 추가로 더 필요하기 때문에 평가가 좋지 못한 라반 갬빗이 사용된 몇 안되는 게임에서도 바닥에 가까운 채용률을 가지고 있다.

3.11.2. 폴리시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Labahn Attack,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Pw, c4=, d4=,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Bw, c2=Pw, d2=Pw,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e5)]
흑이 d폰 대신 e폰을 두 칸 밀어서 백의 b4폰을 공격했을 때 비숍을 피앙케토 하면서 흑의 e5폰을 공격한다. 4.Bxe5 Bxb4로 폰 교환을 하는 경우와 d6로 폰을 지키는 경우 둘 다 흑이 유리하다고 평가된다.

3.12. 매사추세츠 디펜스

[include(틀:체스게임, info=Massachusetts Defense,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Pb, g5=, h5=,
a4=, b4=, c4=, d4=Pw, e4=P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 e2=,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d4 f5)]
f폰을 두 칸 올려 백의 e4폰을 치울 목적으로 두어진다. 3.exf5 Qa5+로 흑이 폰을 다시 회수 할 수는 있지만 오프닝 단계에서 퀸이 너무 빠르게 밖으로 나왔고, 흑 킹의 대각선이 열렸기 때문에 좋은 수로 평가되지는 않는다.

3.13. 스파이크 베리에이션

[include(틀:체스게임, info=Spike Variation,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 d7=Pb, e7=Pb, f7=Pb, g7=Pb, h7=Pb,
a6=, b6=, c6=Pb, d6=, e6=, f6=, g6=, h6=,
a5=, b5=, c5=, d5=, e5=, f5=, g5=, h5=,
a4=, b4=, c4=, d4=, e4=Pw, f4=, g4=Pw,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Pw, b2=Pw, c2=Pw, d2=Pw, e2=, f2=Pw, g2=,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2.g4)]
g폰을 두 칸 올려 흑의 밝은 비숍의 전개를 방해할 의도로 두어지는 수지만, 백의 킹사이드가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어 채용률이 낮은 편이다.

4. 기타

  • 바비 피셔는 오프닝으로 첫 수에 1.e4만을 둔 것으로 유명한데, 카로칸 디펜스를 자신을 겁내는 겁쟁이들이나 두는 수라고 극딜했다. 그래서인지 바비 피셔는 흑으로 카로칸을 둔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사실 이 시절 카로칸은 흑이 적극적으로 승부를 내려 하지 않고 무승부를 위해 두는 오프닝 취급을 받았다.
  • 그러나 21세기 들어 새로운 연구들로 인해 이론이 많이 발전했고 최상위권에서는 사용량에서 프렌치 디펜스를 앞질렀다. 카로칸 디펜스의 가장 잘 알려진 사용자로는 비스와나탄 아난드, 알리레자 피로우자가 있다. 원칙적이고 정석적인 오프닝을 좋아하는 플레이어들에게 인기가 있다. 승률 측면에서도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어드밴스를 제외한 거의 모든 주요 라인에서 흑이 백과 대등한 성적을 보이는 등 흑이 선전하고 있다. 단, 2020년대 SGM급 스탠다드 경기에서는 어드밴스 베리에이션에서 공간을 백에게 내주기 때문인지 오픈 게임이나 시실리안 디펜스에 밀려 거의 나오지 않는 것은 물론, 프렌치 디펜스보다도 드물게 나오기도 한다.[10]
  • 유튜버 GothamChess가 가장 좋아하는 오프닝이다. 어린 시절 슬럼프를 겪고 몇년 동안 체스를 그만둔 일이 있었을 때 우연찮게 친구에게서 카로칸 디펜스에 대한 책을 받아 공부한 이후 체스에 복귀할 수 있었다고 한다. 견고하고 오프닝 규칙만 잘 지켜도 할만한 미들게임으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채널을 처음 구독하는 초보자들에게도 시실리안이나 프렌치보다 좋다고 설명한다.
  • 피셔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넷플릭스 드라마 퀸스 갬빗에서도 극 중에서 베니 와츠가 "폰만 남는 희망 없는 오프닝"이라며 디스하는 장면이 있다. 그런데 보드를 조금만 더 주의깊게 본다면 해리 벨틱이 켄터키 주 챔피언십에서 베스 하먼을 상대로 Nf3 카로칸을 썼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두 사람의 기풍, 성격차이를 보여주는 극적 장치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1] 3.Nd2도 마찬가지로 메인 라인에 들어간다.[2] 마로치 베리에이션(Maróczy Variation)이라고도 한다.[3] 만약 흑이 6...Bg4??를 한다면 8.Ne5!로 Bxf7# 체크메이트를 위협하면서 유리해진다.[4] 예시로 4...Nf6 5.d4 Nc6 6.Bb5 Bd2 7.Nxd2 Qxd2 등이 가능하다.[5] 흑이 5...f6??를 두었을 경우에는 6.Nf7!![6] 비숍을 살리겠다고 7.Bc4+??를 둔다면 7...Nd5로 흑이 체크를 막으면서 백의 디스커버드 어택을 방어할 수 있게 되고, 그렇게 된다면 백이 나이트를 희생한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때문에 반드시 7.Bg6+로 체크를 걸어야 한다.[7] 이 경우 그나마 5...Nf6를 두었어서 퀸을 잃을 지언정 곧바로 게임을 지지는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5...h6를 둔 상태에서 6.Nxf7! Kxf7?로 진행되었다면 7.Qh5+를 시작으로 최대 6수 체크메이트를 피할 수 없다.[8] 최선의 수는 7.Qd5로 다음 수에 백 나이트가 흑 룩을 7.Nxh8로 잡는 동안 7...Qxg2로 폰을 하나 잡는 것이다.[9] c6에 위치한 폰에 나이트가 나올 자리가 가로막혀서 폰을 수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10] 2023년 챔피언십이나 2024년 도전자 결정전에서도 프렌치는 깜짝수로나마 나왔지만 카로칸은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2022년 도전자 결정전에서는 프렌치든 카로칸이든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