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03:14:21

치지직 치스티벌 - 헤드뱅어즈: 리듬 로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치지직 치스티벌]]{{{#!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역대 치스티벌
배틀그라운드 대회 헤드뱅어즈: 리듬 로얄 대회 미정
파일:치스티벌_헤드뱅어즈_로고.png
<colbgcolor=#72BDCC><colcolor=#000> 치지직 치스티벌 - 헤드뱅어즈: 리듬 로얄 대회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주최, 주관 치지직
중계진 <colbgcolor=#72BDCC><colcolor=#000> 캐스터 최광원,
후원 우리은행
송출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진행 방식 진행 방식 문단 참조
대회 일정
팀원 선발전 강소연
2025년 3월 31일(월) 18:00
너불
2025년 4월 1일(화) 18:00
허니츄러스
2025년 4월 2일(수) 18:00
아야츠노 유니
2025년 4월 3일(목) 18:00
팀 대항전 2025년 4월 4일(금) 18:00
상금
우승 60만 원 네이버 포인트
각 라운드 우승 팀장 20만 원 네이버 포인트
각 라운드 우승 팀원 20만 원 네이버 포인트
1. 개요2. 진행 방식3. 참가 스트리머
3.1. 본선 진출 팀
4. 경기 내용5. 최종 결과6. 여담

1. 개요

치지직에서 주최한 네번째 치스티벌 Headbangers: Rhythm Royale 게임 대회이다.

2. 진행 방식

  • 팀원 선발전
    • 각 팀원 선발전은 30명의 팀원이 개인전 6경기 진행. 경기별 우승자는 팀원으로 선발.
    • 선발전 진행 시 앞 경기 우승으로 선발 완료된 인원은 다음 경기 미참여.[1]
    • 팀원 선발전에서 팀장은 콘텐츠의 진행자 및 관전자 역할로 경기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팀원 선발전은 각 팀장 채널 및 치스티벌에 참가하는 스트리머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 팀 대항전

3. 참가 스트리머

강소연
뇨롱이 다주 동채미 둥그레 모찌슬이
문서희 뭉둥이 밑줄밑줄 박홍시 백설잉
브이챠 빙하유 새담 서넹 서링
성타로 세피람 숀쟝 슈마 실리스 네인
애순이 연보민 옥쓔 요나 유다히
캉난나 하루나비 한두울 해블린
너불
강소소 고순해 김선남 김셀라 김편집
김호러 나자로 우르 라레서 루씨엠99 미라이 of HANAVI
버터구이 벨페르 헤시 삐삐 새벽냥 소래
슨아 쏘 냥 아로 어써미 여비별
온하루 운다 유봄냥 이선 준박스
초하 킴쿠마 해옥 흐쟁이
<rowcolor=#fff> 허니츄러스
꿀유자 나는야꼬등어 네무 of HANAVI 루디 루엘
모라라 믕비 밀키 볼빵소 뵤오
순희 스텐다드QK 시하 시언찡 애불
엔타이노 와사비 요우카 월야화랑 유메루
이새난 찌해 채현찌 카나프 카린
프루넬라 햄쿠비 헤냥 후추
<rowcolor=#fff> 아야츠노 유니
HeavyRainy 고나 김네넹 니은 뇽이
레밀레기 레아나 로보 문릿 리마파트로나 립답
뮤리벨렌 미도미도 마요 바가민 아카이로 류
얀즈 연주하는곰탱 유나나 유레이 유아링
이글콥 쨈하니 초슈야 토다기 토로리 코코
푸후 하쁘 하야시 이로 호라미

3.1. 본선 진출 팀

강소연
세피람 하루나비 숀쟝
실리스 네인 성타로 한두울
다시보기: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너불
김편집 강소소 소래
슨아 벨페르 헤시 김호러
다시보기: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허니츄러스
엔타이노 애불 루디
시언찡 스텐다드QK 유메루
다시보기: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아야츠노 유니
레밀레기 연주하는곰탱 쨈하니
유아링 로보 문릿 HeavyRainy
다시보기: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4. 경기 내용

5. 최종 결과

<colbgcolor=#72BDCC><colcolor=#000><rowcolor=#000> 게임 GAME 1 GAME 2 GAME 3 GAME 4 GAME 5 챔피언 결정전
<rowcolor=#fff> 우승팀 허니츄러스 허니츄러스 아야츠노 유니 강소연 아야츠노 유니 아야츠노 유니
MVP 스텐다드QK 스텐다드QK 레밀레기 하루나비 레밀레기 레밀레기[2]
다시보기: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5라운드까지의 우승 수가 동률이면 팀장의 평균 등수로 승부를 가리려 했으나, 허니츄러스아야츠노 유니의 평균 등수가 21.4등으로 동률이 되어 챔피언 결정전이 성사되었다. 챔피언 결정전으로는 각 팀에서 MVP를 두 번씩 가져간 스텐다드QK레밀레기가 게임 내 1 vs 1 모드인 'Battle Of The Dancers' 모드로 승부를 겨뤘다.
<rowcolor=#000> 허니츄러스 아야츠노 유니
스텐다드QK 대장 레밀레기
65% 남은 체력 90%

6. 여담

  • 치스티벌 팀원 선발전 첫날이었던 강소연 팀 선발전부터 게임 시작 시 참가 플레이어가 튕기는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4라운드 직전 버그가 매우 심해져[3] 재접속만 4~5번 이상씩 하는 사태가 발생해 선발전이 지연되었다. 결국 튕기더라도 그대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룰이 변경됐다. 그 결과 다음날 너불팀에 참가한 흐쟁이의 경우 6경기 중 5경기가 튕기는 바람에 제대로 플레이 하지도 못하고 탈락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 본선에서는 2라운드에서 유니 팀에서 5명이 튕기고 라운드 4에서도 유니 팀에서 3명이 튕기는 등 문제점이 발생했다.[4] 심지어 입장 순서가 늦은 사람이 튕긴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논란이 있었다. [5]
  • 결승 라운드 경기 중, After Party의 최대 경쟁 시간은 41분이라 루즈해질 가능성이 있었고[6], 실제로 본선에서도 2라운드 결승에 After Party가 나와 무려 33분을 플레이했다. [7]

[1] 정확히는 저격 참여 등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세션에 같이 참여는 하지만 게임 시작 이후 라운드 1때 고의로 탈락하는 방식으로 미참여한다.[2]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팀 당 1명만 출전하기 때문에 개인 MVP를 선발하지 않는 관계로 대표 출전자를 서술.[3] 게임을 시작하면 최소 3~4명씩 튕기는 사태가 발생했다. 또한 3라운드에서 타이브레이커가 없는 게임이 나와 6명이 4라운드에 진출하는 경우, 정원 초과로 진출자 전원이 튕기는 문제가 있다는 것도 선발전 이전 참가 스트리머들 간의 스크림에서 밝혀졌다.[4] 룰 상 팀장이 튕길 경우 재경기로 되나 팀장 4명이 전부 튕기지 않아 그대로 진행되었다.[5] 팀 순서대로 유니 팀에 초대 메시지가 가장 늦게 갔고, 초대 메시지를 받지 않았음에도 팀장과 친구 추가가 되어있는 팀원들이 같이하기 등으로 먼저 세션을 차지하기도 했다.[6] 일본의 유저대회에서는 이점 때문에 3분이 지나면 모든 플레이어가 손을 놔서 다음 세션 첫 노트에서 일부러 동시에 죽는 3분 룰을 적용했다.[7] 경기 15분대에 허니츄러스 팀의 엔타이노와 스텐다드QK만 남으면서 MVP 결정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