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특별자치도청 쇼트트랙팀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
<rowcolor=#fff> 여자 | ||||
박지원 | 노아름 | 최지현 | 윤도경 |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최지현 Choi Jihyun| 崔知賢 | |
출생 | 1994년 3월 9일 ([age(1994-03-09)]세) |
국적 | |
학력 | 청신초등학교 청주여자중학교 청주여자고등학교 연세대학교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소속 | 전북특별자치도청 |
국가대표 | 2012-13~2015-16, 2018-19, 2022-23(6시즌)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다.2. 선수 경력
2.1. 2013-14 시즌
국가대표 후보 순위인 8위에 그쳐 국제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2.2. 2014-15 시즌
국가대표 후보 순위인 8위에 그쳐 국제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2.3. 2015-16 시즌
6위로 선발되어 월드컵 멤버로 국제대회에 참가했다.2.4. 2018-19 시즌
6위에 선발되어 월드컵 멤버로 출전했고 5차 드레스덴 월드컵 1000m(1)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2.5. 2022-23 시즌
이유빈이 부상으로 태극마크를 반납하자 차순위로 입촌했다.2.6. 2024-25 시즌
2.6.1. 상하이 트로피
- 상하이 트로피에 출전했다.
2.7. 2025-26 시즌
2.7.1. 국가대표 선발전
- 1차 선발전 종합 29점으로 3위를 기록했으나, 2차 선발전 1500m 4위, 500m 11위, 1000m 23위를 기록하며 부진했고 최종 6위를 차지하였다. 자동선발된 최민정을 포함해 국가대표 7순위가 되며 예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3. 수상 기록
3.1. 주요 국제대회 성적
| ||
금메달 | 2019 소피아 | 3000m 계주 |
| ||
금메달 | 2010 타이베이 | 종합 |
금메달 | 2010 타이베이 | 500m |
금메달 | 2010 타이베이 | 1000m |
금메달 | 2010 타이베이 | 1500m |
금메달 | 2010 타이베이 | 3000m |
3위 | 2010 타이베이 | 1500m S.F. |
3.2. 월드컵 성적
|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1000 m | 0 | 1 | 0 | 1 |
3000 m 계주 | 6 | 2 | 1 | 9 |
메달합계 | 6 | 3 | 1 | 10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12-13 | - | 23위 | 27위 | 19위 |
2015-16 | - | 28위 | - | - |
2018-19 | - | 21위 | 10위 | 31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2] |
4. 기타
- 좋아하는 선수는 안현수이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94년) ~ 25회(2018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 | | | | |
<rowcolor=#ffffff>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
| | | | |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 | | | |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
| | | | |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 | | | |
종합 우승제 폐지: 26회(2019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19 | 2019 몬트리올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20 | 2020 보르미오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2 | 2022 그단스크 | 500m | 2023 | 2023 드레스덴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4 | 2024 그단스크 | 500m | 2025 | 2025 캘거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6 | 2026 솔트레이크 시티 | 500m | 2027 | 2027 알마티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1]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2]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9개의 80%인 7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