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특별자치도청 쇼트트랙팀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
<rowcolor=#fff> 여자 | ||||
박지원 | 노아름 | 최지현 | 윤도경 |
<colbgcolor=#fff,#0B1727><colcolor=#000000,#fff> 노아름 Noh Ahreum | |
| |
출생 | 1991년 12월 18일 ([age(1991-12-18)]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
학력 | 세화여자중학교 (졸업) 세화여자고등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 (체육학 / 학사)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소속 | 전북특별자치도청 |
신체 | 159cm |
국가대표 | 2016-17~2019-20(4시즌)[1] |
가족 | 배우자(2021년 8월 28일 결혼 ~ 현재) 반려견 앙꼬(포메라니안)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아름/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아름/선수 경력#|]][[노아름/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 아웃코스 추월이 주특기이며 중반까지 체력을 비축해두다 후반에 치고나가는 스타일이다. 아웃코스 패싱이 주특기인 선수답게 준수한 체력을 갖추고 있으며 추월 시도 중의 스피드도 좋은 편이다. 하지만 추월 경로를 인코스로 뚫어야 유리한 상황에도 아웃으로 치는 경향이 있고[3] 앞쪽에서 끌고 갈 정도의 경기운영 능력이나 체력은 갖추고 있지 않아 아웃코스로 한번에 역전을 하는게 어려운 상황일 수록 유연한 대처가 힘들어 경기력이 하락한다는 단점이 있다. 주니어 시절에 보여준 포텐셜에 비해 많이 성장하지는 못한 케이스이며, 커리어 내내 국대 선발전에서도 항상 턱걸이로만 승선을 하여 제대로 개인전에서 활약 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
4. 출연
4.1. 드라마
<rowcolor=#fff> 연도 | 방송사 | 방송명 | 배역 | 비고 |
2022년 | | 멘탈코치 제갈길 | 모아름 | 데뷔작 |
5. 수상 기록
5.1. 주요 국제대회 성적
| ||
금메달 | 2020 몬트리올 | 3000m 계주 |
| ||
은메달 | 2015 그라나다 | 3000m 계주 |
| ||
금메달 | 2008 볼차노 | 종합 |
금메달 | 2008 볼차노 | 1000m |
금메달 | 2008 볼차노 | 1500m |
1위 | 2008 볼차노 | 1500m S.F. |
금메달 | 2008 볼차노 | 2000m 계주 |
금메달 | 2009 셔브루크 | 종합 |
금메달 | 2009 셔브루크 | 1000m |
금메달 | 2009 셔브루크 | 1500m |
3위 | 2009 셔브루크 | 1500m S.F. |
5.2. 월드컵 성적
|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1000 m | 1 | 0 | 2 | 3 |
1500 m | 1 | 2 | 1 | 4 |
개인전 합계 | 2 | 2 | 3 | 7 |
3000 m 계주 | 3 | 4 | 3 | 10 |
2000 m 혼성 계주 | 1 | 1 | 0 | 2 |
계주 합계 | 4 | 5 | 3 | 12 |
메달합계 | 6 | 7 | 6 | 19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16-17 | - | - | - | 6위 |
2018-19 | - | - | 8위 | 22위 |
2019-20 | - | 27위 | 12위 | 13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5] |
6. 여담
- 존경하는 선수는 안현수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합 우승제: 1회(1994년) ~ 25회(2018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 | | | | |
<rowcolor=#ffffff>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
| | | | |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 | | | |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
| | | | |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 | | | |
종합 우승제 폐지: 26회(2019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19 | 2019 몬트리올 | 500m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020 | 2020 보르미오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2 | 2022 그단스크 | 500m | 2023 | 2023 드레스덴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4 | 2024 그단스크 | 500m | 2025 | 2025 캘거리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2026 | 2026 솔트레이크 시티 | 500m | 2027 | 2027 알마티 | 500m | |||
1000m | 1000m | |||||||
1500m | 1500m | }}}}}}}}} |
[1] 2016-17 시즌은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으로 인한 주전 불참으로 5, 6차 월드컵에 출전했고, 2017-18 시즌도 월드컵 멤버로 선발돼 올림픽과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지 못했다. 그리고 2018-19 시즌은 김건희와 김예진의 불참으로 1~3차 월드컵에 출전했다. 2019-20 시즌 또한 월드컵 멤버로 선발되었으나 노도희의 불참으로 2020 사대륙선수권에 출전했다. 이로써 선수 생활 처음으로 월드컵이 아닌 국제대회에 참여했다.[2] 반려견 계정[3] '꽉잡아윤기' 유튜브 영상에서 같이 노아름의 경기를 리뷰했던 곽윤기도 이 점을 지적했다.[4]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5]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8개의 80%인 6개까지 표기[6] 외가가 인동 장씨 주부공파이다.[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