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10:50:46

중도통합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중도통합민주당 민주당
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개별 합류)[1]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7대 국회
원내 구성
''' 2004.5.30. ~ 2008.5.29.'''
{{{#!wiki style="margin: 3px 0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여당
파일:열린우리당 1차 로고.svg
152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21석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10석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9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4석
파일:국민통합21 로고3.svg
1석
무소속
2석
재적
299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후반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여당
파일:열린우리당 흰색 2차 로고.svg
143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23석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svg
11석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9석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svg
5석
무소속
4석
재적
295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11석
야당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136석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svg
9석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6석
파일:친박연대 가로 로고.svg
3석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25석
재적
291석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50%; margin: 0 -10px"
{{{#!folding [ 원내 정당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파일:열린우리당 흰색 2차 로고.svg
2004.05.30.~2007.08.20.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2004.05.30.~2008.05.29.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svg
2004.05.30.~2008.05.29.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2004.05.30.~2005.05.06.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2004.05.30.~2006.03.10.
파일:국민통합21 로고3.svg
2004.05.30.~2004.09.13.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svg
2005.05.06.~2007.06.27.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svg
2006.01.17.~2008.02.12.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05.07.~2007.06.27.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2007.06.27.~2007.08.20.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08.05.~2008.02.17.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svg
2007.08.20.~2008.02.17.
파일:참주인연합 글자.svg
2007.09.28.~2008.02.24.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svg
2007.10.30.~2008.05.23.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svg
2008.02.01.~2008.05.29.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2008.02.17.~2008.05.29.
파일:미래한국당(2008년) 글자.svg
2008.03.17.~2008.03.21.
파일:친박연대 가로 로고.svg
2008.03.21.~2008.05.2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50%; margin: 0 -10px"
{{{#!folding [ 역대 국회 ]
{{{#!wiki style="margin: -6px -1px"
파일:국회휘장.svg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nopad>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로고.svg
중도통합민주당
영문 명칭 <colbgcolor=#FFFFFF>Centrist United Democratic Party(CUDP)
한문 명칭 中道統合民主黨
등록 약칭 통합민주당 (2007.6.29~2007.8.7.)
민주당 (2007.8.7.~2007.8.20.)[2]
등록번호 제121호
등록일 2007년 6월 29일
당명변경 2007년 8월 20일 (민주당)[3]
해산일 2008년 2월 18일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
통합 정당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7 (여의도동, 신송빌딩 12층)
대표 박상천 초대(공동)
김한길 초대(공동)
원내대표 강봉균
사무총장 고재득
정책위의장 이상열
국회의원
9석 / 299석 (3.01%)
당 색
노란색 (#F7C517)
정책연구소 국가전략연구소
공식 사이트 www.minjoo.kr[4]
1. 개요2. 역사3. 로고4. 역대 지도부
4.1. 대표4.2. 원내대표
5. 비판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2007년에 존재했던 대한민국민주당계 정당.

2. 역사

파일:중도통합민주당_창당.jpg
2007년 2월, 김한길계 의원들이 열린우리당을 집단 탈당하였고, 5월달에는 중도개혁통합신당을 창당하였다. 한편, 새천년민주당은 2005년에 당명을 민주당으로 바꾼 상태였다. 중도개혁통합신당과 민주당은 서로 통합을 의논하였고, 이후 6월 27일에 중도통합민주당을 신설 합당하였다.

하지만 다른 열린우리당 탈당파들과 손학규계 등이 대통합민주신당 창당을 준비하자, 중도통합민주당은 탈당 릴레이가 시작된다. 2007년 7월 말엔 6명의 의원[5]이 탈당, 8월 3일엔 김한길 공동대표와 강봉균 원내대표를 비롯한 19명의 의원들[6]이 탈당하고 비교섭단체로 강등된다.

결국 중도통합민주당 당명으로 활동한 지 2개월이 채 안된 2007년 8월 13일, 민주당으로 당명, 로고, 당헌 등을 변경하면서 사실상 이전의 민주당으로 돌아갔다.[7] 도로 민주당 그러나 김한길계뿐만 아니라 기존 민주당 인사들도 대거 탈당해서 대통합민주신당으로 가버렸기 때문에 원래의 민주당보다 당세가 더욱 약해졌다.

3. 로고

로고는 농악대의 상모 돌리기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한다. 상모는 복을 불러 들이는 것으로 대한민국의 번영을 상징하며, 점점 확산되는 로고의 원심력과 진한 색으로의 변환은 중도 세력의 힘을 모아 확산하겠다는 정신을 의미한다.

로고의 노란색은 정권교체와 창출을 이룬 50년 정통 민주당의 정신을 계승하고[8] 주황색은 중도통합의 정신으로 화합을 이루어 대한민국을 통합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오렌지색(진한 주황색)은 대한민국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는 열정을 나타낸다.

4. 역대 지도부

4.1. 대표

파일:중도통합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대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박상천
김한길
2대
박상천
}}}}}}}}}}}}

4.2. 원내대표

파일:중도통합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원내대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강봉균
2대
최인기
}}}}}}}}}}}}
  • 강봉균(2007년 7월 5일~2007년 8월 7일)# 8월 3일, 김한길계 18명과 함께 탈당하였다.
  • 최인기(2007년 8월 8일~2007년 8월 13일) 강봉균의 탈당 후 공석인 상태에서 원내대표를 맡았다. # 이후 당명이 민주당으로 회귀한 후에도 계속 원내대표를 맡는다.

5. 비판

두 정당이 통합했지만 유기적인 결합에 이르지는 못해서 따로국밥에 비유된 적도 있다. 대표적으로 김한길계중도개혁통합신당 시절의 홈페이지를 계속 사용했고, 박상천계는 이전 민주당의 홈페이지를 계속 사용했다고 한다. # 잦은 당적 변경에 네이버 등의 포털에도 소속 의원의 당적이 제대로 표기되지 못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6. 기타

7. 둘러보기

민주당계 정당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1998 ~ 200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국민의 정부 이전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개혁국민정당
열린우리당 새천년민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중도개혁통합신당
중도통합민주당
열린우리당 대통합민주신당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
참주인연합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
참여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국민) 보수정당(참여)
}}}}}}}}}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참여정부 ~ 이명박 정부
(2003 ~ 201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참여정부 이전
새천년민주당 민주국민당 국민통합21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정당등록취소 자유민주연합
열린우리당에서 분당 민주당 화합과 도약을 위한 국민연대 창조한국당 정당등록취소 국민중심당 자유민주연합
중도개혁통합신당 자유선진당 정당 해산
중도통합민주당 자유선진당
민주당
통합민주당으로 합당 정당 해산
평화민주당 국민행복당 녹색통일당 제3신당 국민생각 국민중심연합 자유선진당
국민행복당 정통민주당 자유선진당
정당등록취소
자유선진당
선진통일당
새누리당에 합당
이명박 정부 이후
}}}}}}}}} ||

[1] 김한길계 의원 19명, 민주계 의원 6명 등.[2] # 김한길계가 탈당 의사를 보이자, 잔류 민주당 측에서 약칭을 민주당으로 바꾸었고, 얼마 안 가 당명마저 민주당으로 되돌린다.[3] #[4] 지금은 폐쇄되었다.[5] 김효석, 이낙연, 신중식, 채일병, 유선호, 김홍업.[6] 강봉균, 김낙순, 김한길, 노현송, 박상돈, 변재일, 서재관, 양형일, 염동연, 우제창, 우제항, 유필우, 이근식, 장경수, 조배숙, 조일현, 주승용, 최규식, 최용규.[7] 김한길계의 색채를 지우고, 바로 이전의 민주당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당명과 로고 등을 복구한 것이다. 다만 신설 합당을 했기 때문에 정당 등록일은 2007년 6월 29일이다.[8] 다만 여기서 말한 50년 전통 민주당의 상징색은 남색이었고,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뤘던 새정치국민회의의 상징색은 초록색이었다. 노란색은 평화민주당열린우리당 시절 상징색이었다.[9] 이전에는 자유민주연합 소속이었다.[10] 그런데 이후 민주당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으로 합당했기 때문에 어차피 대부분 같은 당적이 될 예정이었으며 탈당에 큰 의미는 없었다. 철새 이미지만 빼면 신국환뿐만 아니라 김한길계 등 이 시기 민주당 진영 정치인 상당수가 비슷한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