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21:47:17

복지민주통일당

(창당) 복지민주통일당 (해산)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개별 합류)[1]
<nopad> 파일:복지민주통일당 글자.png
복지민주통일당
<colcolor=#CD853F> 한문 명칭 <colbgcolor=#fff>福祉民主統一黨
등록 약칭 복민당
등록번호 제97호
등록일 2002년 10월 21일[2]
해산일 2004년 9월 13일 (성립요건 흠결)
선행 조직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김허남)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7 (여의도동, 동아빌딩 510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0 (여의도동, 중소기업회관 619호)
대표 김허남
국회의원
0석 / 299석 (0%)
[[광역자치단체장|{{{#CD853F 광역자치단체장}}}]]
0석 / 16석 (0%)
[[기초자치단체장|{{{#CD853F 기초자치단체장}}}]]
0석 / 229석 (0%)
당 색
갈색 (#CD853F)
당원 수 857명[3]
2004년 9월 13일 기준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4. 둘러보기

1. 개요

김허남 전 의원이 창당한 정당.

2. 역사

김허남 전 의원이 제16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위해 창당한 정당으로, 출마 당시 최고령(당시 82세) 후보로 잠시 주목을 받았었다. 김허남 예비후보는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과 같은 전직 대통령들의 무능함을 지적하며 엉망진창인 요즘 정치를 이대로 둬선 안됐다면서 출마의 변을 밝혔다.[4]

주 공약으로 애국주의와 근면성실함을 강조하는 3수운동과 3기운동을 내세웠으며, 당선 가능성에 대해 본인의 이북7도 도민회와 신라 김씨 종친회 회장 경력을 바탕으로, 실향민과 신라 김씨 종친회, 서울대 후배들의 머릿수를 합치면 약 1000만명 정도의 표를 얻을 수 있다며 이중 절반만 지지해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지금이야 언론들이 군소정당에 대해 당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해 보도를 안하지만, 막상 선거가 시작되면 달라질 것이라고 호언장담 하였으나 결국 대통령 선거에 불출마 하였다.

대선 불출마 이후, 김허남 전 의원은 정계를 은퇴하였으며, 이후 그 어떠한 선거에도 나오지 않다가 2004년 3월에 개정된 정당법에 의해[5] 성립요건 흠결로 같은 해 9월 13일 해산되었다.

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참여정부 ~ 이명박 정부
(2003 ~ 201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참여정부 이전
새천년민주당 민주국민당 국민통합21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정당등록취소 자유민주연합
열린우리당에서 분당 민주당 화합과 도약을 위한 국민연대 창조한국당 정당등록취소 국민중심당 자유민주연합
중도개혁통합신당 자유선진당 정당 해산
중도통합민주당 자유선진당
민주당
통합민주당으로 합당 정당 해산
평화민주당 국민행복당 녹색통일당 제3신당 국민생각 국민중심연합 자유선진당
국민행복당 정통민주당 자유선진당
정당등록취소
자유선진당
선진통일당
새누리당에 합당
이명박 정부 이후
}}}}}}}}}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국민의 정부
(1998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국민의 정부 이전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 국민신당
자진해산
민주국민당 한나라당 희망의한국신당 자유민주연합
자진해산
한나라당
한국미래연합 한나라당
자진해산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국민통합21
한나라당
국민의 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참여정부
(2003 ~ 2008)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word-break:keep-all"
참여정부 이전
민주파일:1px 투명.svg국민당 한나라당 국민파일:1px 투명.svg통합21
하나로파일:1px 투명.svg국민연합 자유파일:1px 투명.svg민주파일:1px 투명.svg연합
정당등록파일:1px 투명.svg취소 한나라당 자진해산
한나라당 정당등록파일:1px 투명.svg취소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자유민주파일:1px 투명.svg연합 국민파일:1px 투명.svg중심당
자진해산
한나라당
한나라당 자유파일:1px 투명.svg선진당
자유선진당
참여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극우정당
}}}}}}}}} ||
[1] 김허남 등.[2] 6월 20일에 창당발기인대회를 열었다.[3] 등록 당시 당원 수는 810명이었다.[4] 또한, 이회창은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고, 정몽준은 박력이 없으며, 노무현은 신중하지 않은 말장난식 정치를 한다면서 유력 후보 3인을 모조리 비판했다.[5] 정당은 전국 5개 이상의 시도당에 각각 1000명의 당원을 보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