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19:19:49

조반니 레오니


1 A. 베케르 · 2 고메즈 · 3 엔도 · [[버질 반 다이크|4 버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5 코나테 · 6 케르케즈 · 7 비르츠 · 8 소보슬라이 · 9 이삭
10 맥 알리스터 · 11 M. 살라 · 12 브래들리 · 14 키에사 · 15 레오니 · 17 존스 · 18 각포 · 22 에키티케
25 마마르다슈빌리 · [[앤디 로버트슨|26 로버트슨
VC
]] · 28 우드먼 · 30 프림퐁 · 38 흐라벤베르흐 · 41 페치
42 뇨니 · 43 바이체티치 · 46 R. 윌리엄스 · 47 램지 · 73 리오
파일:UEFA NED.png 아르네 슬롯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Giovanni Leoni(EPL).png
<colbgcolor=#C8102E,#C8102E><colcolor=#fff> 리버풀 FC No. 15
조반니 레오니
Giovanni Leoni
출생 2006년 12월 21일 ([age(2006-12-21)]세)
라치오주 로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5cm / 체중 79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C8102E,#C8102E><colcolor=#fff> 유스 SSD 비곤티나 칼초 (2009~2015)
AS 치타델라 (2015~2019)
칼초 파도바 (2019~2023)
프로 칼초 파도바 (2023~2024)
UC 삼프도리아 (2024 / 임대)
UC 삼프도리아 (2024)
파르마 칼초 1913 (2024~2025)
리버풀 FC (2025~ )
국가대표 0경기[1] (이탈리아 / 2025~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8102E,#C8102E><colcolor=#fff> 역대 등번호 이탈리아 대표팀 - #
칼초 파도바 - 15
UC 삼프도리아 - 46
파르마 칼초 1913 - 46
리버풀 FC - 15
후원사 나이키
가족 아버지 에마누엘레 레오니
어머니 미카엘 레오니
에두아르도 레오니, 마하마두 디아라
동생 필리포 레오니, 마틸데 레오니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개인 기록6. 여담7. 레오니에 대한 언사8. 둘러보기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리버풀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반니 레오니/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반니 레오니/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반니 레오니/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UC 삼프도리아에서의 활약 덕에 2024년 3월 21일, 처음으로 U-18 대표팀에 소집되었고, 1경기를 출장하였다.

2024년 10월 10일에는 U-19 대표팀에 소집되었고, 이후 총 7경기를 소화하였다.

2025년 9월, 에스토니아이스라엘을 상대하는 월드컵 예선전을 앞두고 생에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195cm에 육박하는 큰 신장과 일찍이 완성된 거구의 체격이 돋보이는 센터백이다. 유소년 시절부터 백4와 백3를 가리지 않고 뛰며, 능숙한 전술 수행 능력을 가진 현대적인 유형의 수비수로 평가받았다.

강인한 피지컬을 앞세운 대인 수비가 최대 장점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타고난 힘이 좋아서 지상 경합을 통해 상대 공격수들을 무력화 시키는 데 능하다. 파르마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2024-25 시즌에는 17세의 나이에 로멜로 루카쿠와 같은 거한의 스트라이커들을 몸싸움에서 제압하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 장신을 이용한 공중 경합에도 능한 만큼 높은 제공권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에 세트피스에서도 위협적인 높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볼 플레잉 센스도 갖춘 편으로, 주발이 아닌 왼발도 능숙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센터백으로서 좌우를 가리지 않고 뛸 수 있는 선수다. 소속팀의 전술 특성상 능동적으로 공을 다루는 다양한 빌드업 상황을 경험해보진 못했으나, 기본적으로 공을 침착하게 다루는 편이고, 긴 전환 패스나 좋은 퀄리티의 전진 패스도 종종 구사한다. 이에 1군 레벨에서 아예 오른쪽 풀백으로 기용된 경기도 있었으며, 리그 내 동나이대 선수들 사이에선 상당히 좋은 발밑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아직 1군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후방 빌드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수준의 역량을 당장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큰 보폭에서 나오는 준수한 속력을 보유했지만, 큰 체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리 민첩한 편은 아니며, 이에 뒷공간 커버나 순발력 있는 수비에는 다소 어려움을 겪는 모습도 보인다. 또한 소속팀의 전술 특성상 높은 수비 라인을 많이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공을 오래 소유하며 경기를 주도하는 엘리트급 체급의 팀에서 기능할 수 있을지에 관해선 증명이 더 필요한 선수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속도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을 때, 상대로부터 볼을 영리하게 빼낼 줄 아는 선수로[2], 위험할 수 있는 상황에서의 수비 판단과 태클링이 좋아서 약점을 보완할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평가다. 실제로 유소년 시절부터 상당히 지능적이라는 평가를 많이 받아왔다. 특히 본인보다 빠르거나 힘이 센 공격수를 만나면, 미리 어깨를 집어 넣거나 상대 움직임을 먼저 예측하는 방식으로 상대를 제어하는 침착한 수비를 구사한다. 발끝을 사용해 상대의 타이밍을 뺏거나 소유권을 가볍게 탈취하는 태클도 특징적이다. 이에 상대를 잘 알고 있는 베테랑 선수들이 가진 요령과 기술을 어린 나이부터 갖췄다는 현장 평가도 있었다.[3]

이에 특별한 단점이 두드러지는 유형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1군은 물론이고 빅리그 경험이 너무 부족한 편이기 때문에, 아직까진 빌드업부터 대인 수비 상황에 이르기까지 실수를 종종 보이기도 한다. 나이가 어린 탓에 아직까진 어쩔 수 없이 안정성 측면에선 발전이 필요한 상태다.

종합하자면, 현대 축구의 전술적, 기술적 요구에 부합하는 세련된 센터백이 될 자질을 갖춘 유망주로, 1살 많은 피에트로 코무조와 함께 아주리 군단 미래의 한 축을 책임질 센터백 중 하나로 평가받는 선수다.

5. 개인 기록

6. 여담

  • '레온치노(leoncin)'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작은 사자라는 뜻으로, 처음 축구를 시작했을 때 코치가 이 별명을 붙인 이후로 쭉 레온치노라고 불렸다고 한다. 실제로 '레오니'라는 성이 이탈리아어로 '사자들'이라는 뜻이다.
  • 운동 선수 집안에서 5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부모님이 모두 수구 선수 생활을 했으며[5], 큰형도 프로 수구 선수고[6], 작은형은 프로 농구 선수다[7]. 동생들도 각각 빠델과 테니스 선수라고 한다.
  • 걸음마를 떼기도 전부터 공을 발 밑에 두고 있었을 정도로 일찍 축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 로마에서 태어났지만, 5세 무렵 은행원인 아버지를 따라 온가족이 파도바로 이사를 온 뒤, 쭉 파도바에서 자라서 파도바에 애착이 깊다고 한다.
  • 2024년 1월, 삼프도리아로 이적하면서 처음 가족들을 떠나 홀로서기를 하게 됐는데, 이때 축구적으로도 인간적으로도 성장한 것 같다고 밝혔다.
  • 식단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정도로 철저한 성격의 소유자지만, 내성적이고 부끄럼이 많아 말보다는 경기장에서 자신을 보여주는 걸 선호하는 편이라고 한다.[8] 그러나 성격이 좋아서 친구는 많다고.
  • 로마 출생답게 AS 로마의 팬이다. 그러나 프리미어 리그가 꿈의 무대라고 하며, PL을 늘 챙겨 보고 선수들의 이름도 다 외운다고 한다.
  • 인터뷰를 통해 난독증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때문에 고등학교 졸업 시험도 구술로 봤다고 한다. 학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늘 공부에 최선을 다했다고 하며, 덕분에 성적도 좋았다고 한다.
  • 학업에 욕심이 있어 대학에 진학해 스포츠 과학을 전공할 생각임을 밝히기도 했다. 선수 생활과 병행하기 위해 화상 수업을 통해 학위를 취득할 계획이라고 한다.
  • 2023년 파도바 시절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파도바에서 만난 감독들이 대부분 수비수 출신이라 조언을 많이 들었다고.
  • 성장기에 키가 급격하게 크면서 신체 구조의 균형이 안맞아 한동안 경기에 나서지 못하는 문제를 겪었다고 한다. 그러나 훌륭한 워크에식과 정신력으로 꾸준히 훈련을 하면서 체격이 좋아지며 문제를 극복했다고. 이 과정에서 가족들이 인내심있게 파도바 구단측을 믿고 레오니의 성장을 맡겼다고 한다.
  • 파도바 U-17 팀 당시 자만하지 않고 매 훈련 때마다 100%를 쏟아붓는 본인의 태도를 1군 감독이 마음에 들어해 1군 훈련에 함께 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자평하기도 했다.[9]
  • 파도바 U-17 팀의 쥐세페 아고스티니 감독에게 특히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 ‘축구가 아니더라도 인생은 아름답다'는 말을 늘 해줬다고.
  • 파도바 U-19 시절, 경기에 집중하지 못해 바로 교체 당하는 일이 있었는데 당시 루카 로세티니 감독과 이야기를 나누고 오히려 감독에게 감사를 전했다고 한다. 실제로 그 사건으로 큰 배움을 얻었다고.
  • 삼프도리아에서 파르마로 이적하게 되자 구단 스태프들과 인사를 나누기 위해 클럽 사무실을 찾았다가 눈물을 보였다고 한다. 단 6개월 밖에 함께 하지 않았지만 삼프도리아에 대한 애정이 깊었던 모양. 삼프도리아 관계자들도 이런 레오니의 진심어린 모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10]
  • 삼프도리아에 합류한 첫 날 첫 훈련 때부터 훈련이 끝나면 바닥에 있는 콘과 공을 주웠다고 한다. 어떤 훈련이든 상관없이 장비 담당자를 돕는 모습에 코치들이 여러 번 '레오, 그냥 내버려 둬. 신경 쓰지 마'라고 말했지만, 레오니는 '아뇨, 전 원래 이렇게 해요'라고 대답했다고.

7. 레오니에 대한 언사

레오니가 오랫동안 아주리 수비의 핵심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그가 세리에 A에서 17경기 밖에 뛰지 못했다고 리버풀 이적에 의문을 표하는 사람들이 있다. 너무 적다고? 아니다. 충분하다. 레오니는 그 기간 동안 훌륭한 활약을 펼칠 수 있는 자질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아리고 사키
우리는 훌륭한 소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레오니가 세리에 A에서 뛰게 될 줄 알았다. 그럴만한 자격이 있는 선수다.
안드레아 피를로
똑똑한 소년이다. 레오니는 상대의 의도를 읽어낼 줄 아는 선수다.
로베르토 바로니오[11]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리버풀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1165352526.png
파일:171287.png
파일:158983.png
파일:970322526.png
파일:204716.png
1 <rowcolor=white> 2 3 4
C
5
알리송 베케르
Alisson Becker

파일:브라질 국기.svg | GK
1992.10.02.
2018~2027
조 고메즈
Joe Gomez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05.23.
2015~2027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파일:일본 국기.svg | MF
1993.02.09.
2023~2027
버질 반 다이크
Virgil van Dijk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1.07.08.
2018~2027
이브라히마 코나테
Ibrahima Konat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9.05.25
2021~2026
파일:544877.png
파일:494595.png
파일:424876.png
파일:2025이삭.png
파일:243016.png
<rowcolor=white> 6 7 8 9 10
밀로시 케르케즈
Milos Kerkez

파일:헝가리 국기.svg | DF
2003.11.07.
2025~2030
플로리안 비르츠
Florian Wirtz

파일:독일 국기.svg | FW
2003.05.03.
2025~2030
도미니크 소보슬라이
Dominik Szoboszlai

파일:헝가리 국기.svg | MF
2000.10.25.
2023~2028
알렉산더 이삭
Alexander Isak

파일:스웨덴 국기.svg | FW
1999.09.21.
2025~2031
알렉시스 맥 알리스터
Alexis Mac Allister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MF
1998.12.24.
2023~2028
파일:118748.png
파일:492777.png
파일:223541.png
파일:647681.png
파일:206915.png
<rowcolor=white> 11 12 14 15 17
모하메드 살라
Mohamed Salah

파일:이집트 국기.svg | FW
1992.06.15.
2017~2027
코너 브래들리
Conor Bradley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 DF
2003.07.09.
2021~2029
페데리코 키에사
Federico Chies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1997.10.25.
2024~2028
조반니 레오니
Giovanni Leo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6.12.21.
2025~2031
커티스 존스
Curtis Jon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1.01.30.
2018~2027
파일:243298.png
파일:510663.png
파일:449027.png
파일:122798.png
파일:155503.png
<rowcolor=white> 18 22 25 26
VC
28
코디 각포
Cody Gakpo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FW
1999.05.07.
2023~2028
위고 에키티케
Hugo Ekitik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2.06.30.
2025~2031
기오르기 마마르다슈빌리
Giorgi Mamardashvili

파일:조지아 국기.svg | GK
2000.09.29.
2024~2029
앤디 로버트슨
Andy Robertso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DF
1994.03.11.
2017~2026
프레디 우드먼
Freddie Woodma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7.03.04.
2025~2030
파일:216094.png
파일:441266.png
파일:586268.png
파일:591386.png
파일:p535928(24-25).png
<rowcolor=white> 30 38 41 42 43
제레미 프림퐁
Jeremie Frimpon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0.12.10.
2025~2030
라이언 흐라벤베르흐
Ryan Gravenberch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MF
2002.05.16.
2023~2028
아르민 페치
Armin Pecsi

파일:헝가리 국기.svg | GK
2005.02.24.
2025~2030
트레이 뇨니
Trey Nyoni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7.06.30.
2024~2030
스테판 바이체티치
Stefan Bajčetić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2004.10.22.
2021~2027
파일:Rhys Williams(21-22).png
파일:p489580.png
파일:Rio Ngumoha(25-26).png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
<rowcolor=white> 46 47 73 - -
리스 윌리엄스
Rhys William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1.02.03.
2019~2026
칼빈 램지
Calvin Ramsay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DF
2003.07.31.
2022~2027
리오 은구모하
Rio Ngumoh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8.07.21.
2025~2026
- -
리버풀 FC 2025-26 시즌 임대 선수
파일:비테슬라프야로스.png
파일:250135608.png
파일:444884.png
파일:214285.png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
<rowcolor=white> 56 95 19 21 -
비테슬라프 야로스
Vítězslav Jaros

파일:체코 국기.svg | GK
2001.07.23.
2025~2030
AFC 아약스 임대
2026.06.30 복귀
하비 데이비스
Harvey Davi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2003.09.03.
2025~2030
크롤리 타운 FC 임대
2026.06.30 복귀
하비 엘리엇
Harvey Elliot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3.04.04.
2019~2027
아스톤 빌라 FC 임대
코스타스 치미카스
Kostas Tsimikas

파일:그리스 국기.svg | DF
1996.05.12.
2020~2027
AS 로마 임대
-
구단 정보
감독: 아르네 슬롯 / 홈 구장: 안필드
출처: 리버풀 FC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2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655ba>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홈).svg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 GK 1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주장 아이콘.svg
(Gianluigi Donnarumma)
1999년 2월 25일 ([age(1999-02-25)]세) 7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2 알렉스 메렛
(Alex Meret)
1997년 3월 22일 ([age(1997-03-22)]세) 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14 굴리엘모 비카리오
(Guglielmo Vicario)
1996년 10월 7일 ([age(1996-10-07)]세) 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 마르코 카르네세키
(Marco Carnesecchi)
2000년 7월 1일 ([age(2000-07-01)]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DF 2 라울 벨라노바
(Raoul Bellanova)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3 페데리코 디마르코
(Federico Dimarco)
1997년 11월 10일 ([age(1997-11-10)]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4 페데리코 가티
(Federico Gatti)
1998년 6월 24일 ([age(1998-06-24)]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3 리카르도 칼라피오리
(Riccardo Calafiori)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1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9 안드레아 캄비아소
(Andrea Cambiaso)
2000년 2월 20일 ([age(2000-02-20)]세) 16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21 알레산드로 바스토니
(Alessandro Bastoni)
1999년 4월 13일 ([age(1999-04-13)]세) 39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2 조반니 디 로렌초
(Giovanni Di Lorenzo)
1993년 8월 4일 ([age(1993-08-04)]세) 50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23 잔루카 만치니
(Gianluca Mancini)
1996년 4월 17일 ([age(1996-04-17)]세) 1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 조반니 레오니
(Giovanni Leoni)
2006년 12월 21일 ([age(2006-12-21)]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MF 5 마누엘 로카텔리
(Manuel Locatelli)
1998년 1월 8일 ([age(1998-01-08)]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6 니콜로 로벨라
(Nicolò Rovella)
2001년 12월 4일 ([age(2001-12-04)]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8 산드로 토날리
(Sandro Tonali)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27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6 다비데 프라테시
(Davide Frattesi)
1999년 9월 22일 ([age(1999-09-22)]세) 30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8 니콜로 바렐라
(Nicolò Barella)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65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조반니 파비안
(Giovanni Fabbian)
2003년 1월 14일 ([age(2003-01-14)]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FW 7 마테오 폴리타노
(Mateo Politano)
1993년 8월 3일 ([age(1993-08-03)]세) 16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9 마테오 레테기
(Mateo Retegui)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22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카디시야 FC
10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2000년 2월 18일 ([age(2000-02-18)]세) 42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1 모이스 킨
(Moise Kean)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23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15 프란체스코 피오 에스포지토
(Francesco Pio Esposito)
2005년 6월 28일 ([age(2005-06-28)]세) 1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7 리카르도 오르솔리니
(Riccardo Orsolini)
1997년 1월 24일 ([age(1997-01-24)]세) 1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20 다니엘 말디니
(Daniel Maldini)
2001년 10월 11일 ([age(2001-10-11)]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 마티아 자카니
(Mattia Zaccagni)
1995년 6월 16일 ([age(1995-06-16)]세) 11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6일(토)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2025년 9월 9일(화) 원정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1] 2025년 8월 29일 기준[2] 실제로 유벤투스와의 경기에서 두샨 블라호비치랑달 콜로 무아니 같은 선수들과 경합을 했을 때, 속도로 따라잡지 못했지만 마지막 순간에 발끝으로 공을 걷어내는 기지를 여러 차례 발휘한 바 있다.[3] 삼프도리아 시절에 레오니를 지도한 로베르토 바로니오 코치가 이렇게 평가했다.[4] 직전 기록은 2005-06 시즌 마르코 로시가 AC 키에보베로나를 상대로 기록한 18세 116일[5] 현재에는 아버지가 은행원으로 일하고 있고, 어머니는 물리치료사로 일한다고 한다.[6] 2004년생으로, 골키퍼라고 한다.[7] 2005년생으로, 입양된 형제다. 현재 이탈리아 농구 리그에서 파워 포워드로 뛰고 있다고 한다.[8] 이에 파도바 시절 그를 지도한 감독이었던 빈센조 토렌테 감독은 레오니가 너무 말이 없어서 20분도 대화하기 어렵다며, 일주일에 세 마디는 하겠냐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9] 실제로 당시 빈첸초 토렌테 1군 감독은 유소년 경기를 보러 왔다가, 레오니의 성격과 투지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10] 실제로 당시 삼프도리아 수석코치 로베르토 바로니오는 예의 있고, 상대를 존중할 줄 아는 바른 성품과 착한 성격을 가진 레오니의 인간적인 면모를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11] UC 삼프도리아 수석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