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틀:더블케이필름앤씨어터 소속 아티스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1e3d8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RTIST | |||||
| 고은성 | 김리현 | 김민호 | 김아론 | |||
| 김준식 | 김준호 | 박만준 | 박새힘 | |||
| 박영빈 | 백기범 | 손유동 | 신은호 | |||
| 윤소호 | 윤여백 | 이경화 | 이정화 | |||
| 이채원 | 전민지 | 정지우 | 조영화 | |||
| 주다온 | 차예준 | 차윤해 | 최지혜 | |||
| 최하윤 | 표바하 | 허윤슬 | 홍산하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정지우 鄭知愚 | Jung Ji Woo | |
| | |
| 출생 | 2000년 8월 5일 ([age(2000-08-05)]세) |
| 국적 | |
| 신체 | 175cm, 65kg, A형 |
| 학력 | 상계제일중학교 (졸업) 계원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 졸업)[1] 명지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예술학부 뮤지컬공연전공 / 휴학) |
| 소속사 | 더블케이엔터테인먼트 [2] |
| 데뷔 | 2020년 대구 DIMF 뮤지컬 '산홍' (데뷔일로부터 [dday(2020-10-23)]일[3], [age(2020-10-23)]주년) |
| SNS | |
1. 개요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2. 출연작품
| 연도 | 작품명 | 배역 | 기타 |
| 2016년 | 그대에게 | 지우 | 청소년 미디어 대전 출품작 |
| 2017년 | 백스테이지 | 정원 | |
| 2018년 | 하이드 | 하은석 | |
| 우리 헤어졌나요? | 원식 | ||
| 윙크 | 도윤 | ||
| 2020년 | 식구 | 경혁 | WOWFF 수상작 |
| 2021년 | 꽃가루[5] [6] | 휘성 | 단편영화 <보통날> 중 |
2.1. 뮤지컬
| 공연 연도 | 작품명 | 배역 | 기간 |
| 2020년 | 대구 DIMF 산홍[7] | 순봉 | 10.23 ~ 10.24 |
| 2021년 | 붉은 정원 | 이반 투르게네프 | 02.05 ~ 04.18 |
| 박열 | 요시다 류지 | 07.14 ~ 09.22 | |
| 링크[8] | 현종 | 10.31 | |
| 은하철도의 밤 | 조반니 | 11.30 ~ 01.30 | |
| 2022년 | 04.26 ~ 06.18[9] | ||
| 소년이 되는 법[10] | 06.02 | ||
| 신이 나를 만들 때[11] | 호상 | 09.27 | |
| 70버스[12] | 겨울 | 10.23 | |
| 랭보 | 들라에 | 10.18 ~ 01.01 | |
| 2023년 | 어린왕자 | 어린왕자 | 03. 04 ~ 04. 23 |
| 보이A | 잭 | 05. 30 ~ 08. 20 | |
| 인사이드 윌리엄 | 햄릿 | 09.12 ~ 12.03 | |
| 스펙트럼[13] | 남준우 | 10.28 | |
| 은하철도의 밤 - 남양주 | 조반니 | 11.18 ~ 11.19 | |
| 아가사 | 레이몬드 애쉬튼 | 12.07 ~ 03.03 | |
| 프라테르니테[14] | 제르베 | 12.13 | |
| 은하철도의 밤 | 조반니 | 12.20 ~ 03.03 | |
| 2024년 | 아나키스트[15] | 무혁 | 03.13 |
| 낭만별곡 | 동래 | 03.19~06.09 | |
| 인사이드 윌리엄 - 인천 | 햄릿 | 04.05 | |
| 에밀 | 클로드 | 06.11~09.01 | |
| 인사이드 윌리엄 - 논산 | 햄릿 | 06.15 | |
| 아가사 - 고양 | 레이몬드 애쉬튼 | 07.27 | |
| 아가사 - 횡성 | 08.24 | ||
| 아가사 - 군포 | 08.30 | ||
| 아가사 - 군산 | 09.07 | ||
| 쓰릴 미 | 나 | 09.10~12.01 | |
| 2025년 | 라파치니의 정원 | 지오바니 | 01.30~04.20 |
| 모리스 | 알렉 | 03.07~05.25 | |
|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 사에구사 켄토 | 06.13~08.24 | |
| 타조소년들 | 로스 | 09.04~11.23 | |
| 은하철도의 밤 | 조반니 | 12.23~03.15 |
2.2. 연극
| 공연 연도 | 작품명 | 배역 | 기간 |
| 2022년 | B Class | 이환 | 02.25 ~ 05.15 |
| 터칭 더 보이드 | 리처드 | 07.08 ~ 09.18 | |
| 2023년 | POSH | 알리스터 | 03.09 ~ 05.21 |
| 히스토리 보이즈 | 포스너 | 06.13 ~ 08.13 | |
| 2024년 | 톡톡 | 밥 | 12.06 ~ 02.23 |
| 2025년 | Punk Rock | 윌리엄 칼라일 | 08.06~08.17 |
| POSH | 알리스터 | 10.17 ~ 01.11 |
2.3. 수상 경력
| 연도 | 대회명 | 부문 | 비고 |
| 2018년 | 경향뮤지컬콩쿠르 | 장려상 | 2018.08.12 |
3. 그 외 활동
| 공연 연도 | 제목 | 배역 | 기간/날짜 |
| 2021년 | 이야기쇼 3회 | 신인 코너 게스트[16] | 05.10 |
| 이쇼X서울뮤지컬페스티벌 | SMF 비대면 온라인 뮤지컬 페스티벌 오프스테이지 [17] | 12.20 | |
| 2022년 | 안무가 이현정 데뷔 10주년 안무 콘서트 MOVEMENT | 게스트[18] | 03.13 |
| 2023년 | 이쇼위크 6회 <신인 기강 잡으러 왔다> | 게스트[19] | 11.11 |
| MOTIV-ATION SHOW <정동화의 레드카펫> | 게스트[20] | 11.23 |
4. 여담
- 본래 2020년 4월에 연극 렛미인의 미키 역으로 데뷔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공연이 취소되었다.
- 쌀국수를 못 먹는다고 한다.
- 거의 모든 셀카에 엄지척 포즈를 하고 있다.[21]
- 공연 전 서브웨이나 맥도날드를 자주 먹는다고 한다. [22]
- 별명이 강낭콩이다. 인스타를 보다보면 종종 강낭콩으로 불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3][24] 비슷한 종류로 도토리, 코코볼, 타코야끼도 있으며 또다른 별명으로 대학로의 미래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극중 배역명(별명)은 쮸+배역명으로 불리는편. 쮸반니(은하철도의밤) , 쮸햄릿(인사이드 윌리엄) , 쮸라에(랭보) , 쮸스너(히스토리 보이즈) 등등••
- 특유의 음색이 굉장히 매력적이며, 소년같고 감미로운 미성이 돋보인다. 감미로운 미성과 굵고 가라앉은 톤을 순식간에 오가며 이러한 목소리 변화를 다양한 캐릭터에서 잘 활용해 사용한다.
- 반민초단이다. 다만 민초와는 다르게 호불호가 갈리기로 유명한 레인보우 샤베트는 정말 좋아한다고. 하와이안 피자도 먹는다고 한다.
- 매력 포인트를 물어보면 대부분 손 이라고 대답한다.
- 겨울을 좋아한다. [25]
- 축구를 정말 좋아한다. 인스타 피드에도 필드에서 찍은 사진이 있고 이쇼터뷰에서는 영국에 축구를 보러 가고싶다고 했다. [26]
- 고양이, 꽃 알레르기가 있다.
- 소두곰을 선물 받고 닮았냐며 트윗을 올리기도 하였다.[27]
- 팬들과 소통하는 게시글에 자주 쓰는 이모티콘이 있다.[28]
- 공연하며 받은 선물과 편지(또는 서포트)는 대부분 당일에 인스타 라이브용 계정에 들고 찍은 인증샷이 올라온다. 인스타 라이브용 계정으로 무물보[29] 나 라방도 자주하며 팬들과 소통이 활발한편.
- 오디션 불합격 문자를 모아둔다고한다. 지치거나 힘들때 다시 꺼내보고 초심을 되찾는다고.
- 고등학교 때 처음으로 단체 관람했던 연극이 톡톡이라고 한다.[30]
- MBTI는 ISTP라고 한다.
5. 인터뷰
- 2022. 02. 11.
'은하철도의 밤' 박좌헌·정지우, "원작과 같지만 다른 작품"
'은하철도의 밤' 박좌헌·정지우, "너는 그냥 특별한 거야"
'은하철도의 밤' 박좌헌·정지우 "관객 박수 소리, 너무 큰 힘 돼" - 2022. 04. 03
'비클래스' 김찬종&정지우 "인물의 상처, 깊게 살펴"
'비클래스' 김찬종&정지우 "요즘 고민, 연기 잘하고 싶다" - 시어터플러스 2022년 9월호
라이징 스타 특집③ 배우 정지우 - 더뮤지컬 223호 2023년 4월호
눈에 보이지 않아도 〈어린왕자〉 정지우 - 혜전문 Interview with
이건 '나'와 '그' 둘만의 이야기…<쓰릴 미>의 반정모, 정지우를 만나다
6. 둘러보기 틀
| [[쓰릴 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 <rowcolor=#B4985B> 연도 | 나 (네이슨 레오폴드) | 그 (리차드 로브) |
| 2007 | 류정한, 최재웅, 강필석 | 김무열, 이율 | |
| 2008 | 류정한, 이창용, 김우형 | 김무열, 김동호 | |
| 2009 | 강필석, 정상윤 | 김산호, 김우형, 강하늘 | |
| 2010 | 최수형, 김재범, 강하늘, 최재웅, 오종혁 | 최지호, 조성윤, 지창욱, 김무열, 이지훈 | |
| 2011 | 김재범, 정상윤, 전성우, 손승원 | 장현덕, 김성일, 이정훈 | |
| 2013 #1 | 정상윤, 전성우 | 송원근, 이재균 | |
| 2013 #2 | 박영수, 오종혁, 신성민 | 정상윤, 이동하, 임병근 | |
| 2014 #1 | 신성민, 전성우, 정욱진, 정동화, 정상윤 | 송원근, 이재균, 임병근, 에녹 | |
| 2014 #2 | 강필석, 정동화, 백형훈 | 에녹, 김도빈, 김성일, 김재범 | |
| 2016 | 정욱진, 강영석, 이상이 | 강동호, 정동화, 임병근 | |
| 2017 10주년 | 최재웅, 정상윤, 이창용, 강필석, 정욱진, 김재범 | 김무열, 에녹, 송원근, 이율, 정동화, 정상윤 | |
| 2019 | 양지원, 김현진, 김우석 | 이해준, 구준모, 노윤 | |
| 2021 #1 | 김현진, 이주순, 김우석 | 배나라, 노윤, 이석준 | |
| 2021 #2 | 동현, 윤은오, 최재웅 | 김이담, 윤승우, 이석준 | |
| 2022 | 이주순, 최재웅, 박상혁 | 윤재호, 황휘, 김진욱 | |
| 2024 | 정재환, 박상혁, 정지우 | 황휘, 반정모, 장윤석 | |
|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 <rowcolor=#c3d6d6> 연도 | 랭보 | 베를렌느 | 들라에 |
| 2018 초연 | 박영수, 정동화, 윤소호 | 에녹, 김종구, 정상윤 | 이용규, 강은일 | |
| 2019 재연 | 정동화, 백형훈, 윤소호 | 김재범, 에녹, 김종구, 정상윤 | 이용규, 백기범, 정의제 | |
| 2022 삼연 | 박정원, 정욱진, 윤소호 | 김종구, 정상윤, 김경수, 김지철 | 문경초, 조훈, 정지우 | |
| 2024 사연 | 박정원, 손유동, 박준휘, 김리현 | 김재범, 김종구, 김경수, 김지철 | 송상훈, 문경초, 신은호 | |
| 2025 사연 (앵콜) | 박정원, 손유동, 윤승우, 김리현 | 김재범, 김경수, 안재영, 김지철 | 송상훈, 문경초, 박영빈, 신은호 | |
|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1] 조승우 배우의 모교를 따라 진학했다.[2] 박열 공연이 끝난 이후 소속되었다.[3] 2020년 10월 23일[4] 팬들과의 소통을 위해 본 계정이 아닌 인스타 라이브와 공연 후 셀카를 올리는 계정을 따로 가지고 있다[5] 계원예술고등학교 정기영화제 대상작[6] 티빙, 웨이브, 왓챠 서비스 중[7] 데뷔작[8] 2021 콘텐츠 창의 인재 동반사업 창작 뮤지컬 낭독공연 Into the creation[9] 앵콜공연[10] 한국예술종합학교 독회[11] 연극열전L 낭독공연[12] 2022 콘텐츠 창의 인재 동반사업 창작 뮤지컬 낭독공연 Into the creation!_2022[13] 2023 콘텐츠 창의 인재 동반사업 창작 뮤지컬 낭독공연 Into the creation!_2023[14] CJ문화재단 스테이지업 리딩 쇼케이스[15] 2024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신작 뮤지컬부문 실연심의[16] 신인 코너 출연, 붉은 정원 - <붉은 정원>, 풍월주 - <부르지 못할 이름>[17] 스모크 - < 절망>, 은하철도의 밤 - < 다시 만날 수 있을까?>[18] 은하철도의 밤 - <켄타우루스 축제의 밤>, <시그너스와 페이튼>[19] 단독 넘버 빈센트 반 고흐 - <From. 빈센트 반 고흐>, 최지혜 배우와 함께 듀엣 번지점프를 하다 - <그게 나의 전부란 걸>[20] 정동화 배우와 함께 랭보 - <모음들>, 단독 넘버 은하철도의 밤 - <그 아일 만난 후>[21] 더블케이 아티스트 인스타 계정이 엄지왕자라고 댓글을 단 이력이 있다.[22] 혜화 맛집 물어보면 늘… 이곳만...[23] 전해주 배우의 비중이 가장 크다.[24] 병아리콩을 언급한 뒤 팬들 사이에서는 병아리콩이라고 많이 불린다.[25] 이쇼터뷰 은하철도의 밤 편에서 언급했다.[26] 맨시티를 좋아한다. 실제로 유니폼을 입고 극장에 출근하기도..[27] 스태프 분들이 닮았다며 찍어보라고 해서 '에이-'하며 찍었더니 닮았다고.
[28] 동구래서...
[29] 무엇이든 물어보세요[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