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1 20:30:38

장안대학교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장안대학교|{{{#!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동양미래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미래대학교 · 파일:명지전문대학 엠블럼.svg 명지전문대학 ·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배화여자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서울여자간호대학교 UI.svg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파일:서일대학교 엠블럼.svg 서일대학교 ·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숭의여자대학교 · 파일:인덕대학교 엠블렘.svg 인덕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 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 파일:김포대학교 UI.svg 김포대학교 · 파일:농협대학교 엠블럼.svg 농협대학교 · 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 · 파일:동남보건대학교 UI.svg 동남보건대학교 ·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 동서울대학교 ·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 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 · 파일:서울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예술대학교 · 파일:서정대학교 심볼.svg 서정대학교 · 파일:수원과학대학교 UI.svg 수원과학대학교 ·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 파일:신구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 파일:연성대학교 엠블럼.svg 연성대학교 ·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 파일:오산대학교 UI.svg 오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웅지세무대학교 엠블럼.svg 웅지세무대학교 · 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 ·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 파일:청강문화산업대학교 UI.sv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인하공업전문대학 UI.svg 인하공업전문대학 · 파일:재능대학교 심볼.svg 재능대학교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 강릉영동대학교 · 파일:강원도립대학교 UI.svg 강원도립대학교 · 파일:세경대학교 UI.svg 세경대학교 · 파일:송곡대학교 UI.svg 송곡대학교 · 파일:송호대학교 UI.svg 송호대학교 · 파일:한국골프대학교 UI.svg 한국골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한림성심대학교 UI.svg 한림성심대학교
파일:한국영상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영상대학교
파일:대덕대학교 UI.svg 대덕대학교 ·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대전보건대학교 심볼.svg 대전보건대학교 · 파일:우송정보대학 심볼.svg 우송정보대학
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 파일:대구공업대학교 UI.svg 대구공업대학교 ·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 파일:수성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 파일:영남이공대학교 UI.svg 영남이공대학교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 광주보건대학교 · 파일:기독간호대학교 심볼.svg 기독간호대학교 · 파일:동강대학교 교표.svg 동강대학교 · 파일:서영대학교 교표.svg 서영대학교 · 파일:조선간호대학교 UI.svg 조선간호대학교 ·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대동대학교 UI.svg 대동대학교 ·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 파일:부산경상대학교 UI.svg 부산경상대학교 · 파일:부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부산보건대학교 심볼.svg 부산보건대학교 ·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부산여자대학교 · 파일:부산예술대학교 UI.svg 부산예술대학교
파일:울산과학대학교_UI.svg 울산과학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파일:강동대학교 UI.svg 강동대학교 · 파일:대원대학교 UI.svg 대원대학교 · 파일:충북도립대학교 UI.svg 충북도립대학교 · 파일:충북보건과학대학교 UI.svg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파일:충청대학교 UI.svg 충청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 파일:아주자동차대학 엠블럼.svg 아주자동차대학교 · 파일:연암대학교 엠블럼.svg 연암대학교 · 파일:충남도립대학교 심볼.svg 충남도립대학교 · 파일:혜전대학교 UI.svg 혜전대학교
파일:군산간호대학교 UI.svg 군산간호대학교 · 파일:군장대학교 UI.svg 군장대학교 · 파일:백제예술대학교 UI.svg 백제예술대학교 · 파일:원광보건대학교 UI.svg 원광보건대학교 · 파일:전북과학대학교 UI.svg 전북과학대학교 ·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광양보건대학교 로고.svg 광양보건대학교 · 파일:나주대학교 엠블럼.svg 나주대학교 · 파일:동아보건대학교 심볼.svg 동아보건대학교 · 파일:목포과학대학교 UI.svg 목포과학대학교 · 파일:순천제일대학교 UI.svg 순천제일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 파일:전남도립대학교 UI.svg 전남도립대학교 · 파일:청암대학교 심볼.svg 청암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파일:가톨릭상지대학교 UI.svg 가톨릭상지대학교 ·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 파일:경북보건대학교 심볼.svg 경북보건대학교 ·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성운대학교 UI.svg 성운대학교 ·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 파일:포항대학교 UI.svg 포항대학교 ·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파일:거제대학교 UI.svg 거제대학교 · 파일:경남도립거창대학 UI.svg 경남도립거창대학 · 파일:경남도립남해대학 UI.svg 경남도립남해대학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연암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연암공과대학교 · 파일:진주보건대학교 UI.svg 진주보건대학교 · 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 창원문성대학교 · 파일:한국승강기대학교 심볼.svg 한국승강기대학교
파일:제주관광대학교 심볼.svg 제주관광대학교 · 파일:제주한라대학교 UI.svg 제주한라대학교
}}}}}}}}}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전문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문대학 <colbgcolor=#fff,#1c1d1f>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 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 파일:김포대학교 UI.svg 김포대학교
파일:농협대학교 엠블럼.svg 농협대학교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서울한류캠퍼스) · 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 · 파일:동남보건대학교 UI.svg 동남보건대학교 ·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 동서울대학교 ·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
파일:서영대학교 교표.svg 서영대학교(파주캠퍼스) · 파일:서울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예술대학교 · 파일:서정대학교 심볼.svg 서정대학교 · 파일:수원과학대학교 UI.svg 수원과학대학교 ·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 파일:신구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 파일:연성대학교 엠블럼.svg 연성대학교 · 파일:오산대학교 UI.svg 오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웅지세무대학교 엠블럼.svg 웅지세무대학교 · 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파일:청강문화산업대학교 UI.sv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기능대학 I 파일:ICT폴리텍대학 심볼.svg ICT폴리텍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I대학(성남) ·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한국폴리텍II대학(화성)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반도체)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colbgcolor=#003478><colcolor=#F5F5F2> 장안대학교
長安大學校
Jangan University
파일:장안대학교 UI.svg
건학이념 자아실현
분류 2/3년제 사립 전문대학
개교 1979년 3월 ([age(1979-03-01)]주년)
학교법인 학교법인 서림학원
이사장 류종규
총장 이종진
재학생 수 1,874명 (2024년)
대표번호 031-299-3000
031-227-8276 (팩스)
주소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삼천병마로 1182 (상리)
경영위기대학 전문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잡코리아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교통4. 캠퍼스
4.1. 정문4.2. 자아실현관4.3. 대학본부 겸 학술정보관4.4. 전공동아리관4.5. 사회과학관4.6. 생활과학관4.7. 체육관4.8. 바이오생명과학관4.9. 유아교육과4.10. 중앙주차장 및 외국어전용관4.11. 골프장 및 테니스장
5. 대학 평가
5.1. 2025년5.2. 2024년5.3. 2023년
6. 2026학년도 신설학과 개설 및 학과명 변경
6.1. 신설학과6.2. 학과명 변경
7. 학과/학부
7.1. 호텔관광학부7.2. 예술디자인학부7.3. IT·콘텐츠학부7.4. 보건복지학부7.5. 인문사회학부7.6. 글로벌자율학부
8. 학과 생활
8.1. 지식융합경영학부8.2. 호텔관광학부8.3. 글로벌외국어학부8.4. 사회과학부8.5. 건강과학부8.6. IT컨텐츠학부
9. 동아리10. 학식 및 주변 먹을거리11. 사건사고12. 출신 인물

1. 개요

장안대학교는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전문대학이다.

2. 연혁

장안대학교 연혁
  • 1978.12 : 장안실업전문대학 설립
  • 1989.03 : 장안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91.03 : 학교법인 서림학원 변경 인가
  • 1991.05 : 장안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98.05 : 장안대학으로 교명 변경
  • 2011.11 : 장안대학교로 교명 변경

3. 교통

대중교통 이용 안내(버스)

장안대 – 수원역: 8471, 8472, 9802
장안대 – 수원역 환승센터: 30, 30-1, 31, 32-4, 35, 39, H103, H160(내리 경유), H161
* 수원역 환승센터는 수원역 2층 대합실과 연결되어있다.
장안대 – 사당역: 8155, 8156
장안대 – 병점역: 34(광교-장안대후문 승하차), 34-1(광교- 장안대후문 승하차), 50
장안대 - 오목천역: 30, 30-1, 35
* 30, 30-1, 31, 34, 34-1번 버스는 장안대학교 후문 앞에서 탑승

스쿨-통학버스 운영정보

수원노선
수원역-오목천역-학교 : 오전 8시20분, 오전 8시 50분, 오전 9시 40분
학교-오목천역-수원역 : 16시30분, 17시40분, 18시40분
승하차 : 수원역 10번출구 뒤편 새수원빌딩앞 , 오목천역 3번출구

사당,의왕노선
사당역-학교 : 오전 8시10분
학교-사당역 : 18시 10분
승하차 : 사당역 4번출구 전진공업사 앞, 의왕 톨게이트 버스정류장

안산노선
상록수역-학교 : 오전 8시 30분
학교-상록수역 : 17시 40분
승하차 : 상록수역 행복드림요양원 맞은편

부평,인천노선
부평역-송내역0학교 : 오전 7시 55분, 송내역 8시10분 출발
학교-송태역-부평역 : 17:40분
승하차 : 부평역 대아지하상가 7번출구, 송내역 남부광장 에이스 빌딩앞

수원,화성과 근접하기 때문에 대중교통이 잘되어 있어, 경기도권 전문대와 비교하면 스쿨버스 운행이 낮은편. 스쿨버스 요금은 수원역, 오목천역에서는 무료이며 이 외에는 1,500원~1,800원 사이라고 한다.

4. 캠퍼스

파일:장안대학교 건물_0013_레이어 1.jpg
  • 2025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 장안대학교는 수도권 전문대학 중에서도 드물게 인근 4년제 대학에 견줄 만큼 넓은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녹지와 쾌적한 학습 환경, 다양한 실습 시설이 많아 캠퍼스에 대한 재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4.1. 정문

파일:대학교정문.png
유려한 곡선과 세련된 디자인이 어우러진 정문은 새로운 배움과 도전이 시작되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4.2. 자아실현관

파일:자아실현관1.jpg
대학 내 가장 큰 건물이자, 가장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다.

파일:일야아트홀2.jpg

대극장인 일야아트홀(900석규모) , 컨벤션 홀(리셉션, 결혼식, 회의 등 ) 식당, 편의점, 카페, 기숙사, 스포츠센터가 있다.
특히 스포츠센터의 경우에는 재학생들은 누구나 이용이 가능해서 인기가 많다

4.3. 대학본부 겸 학술정보관

파일:학술관수정.png

전면이 유리로 되어있어 유리관이란 별명으로 불린다. 내부는 행정사무실과 강의실, 대강당 등 학생들 복지를 위한 교육시설이 잘 구성 되어 있으며 대학본부, 학술정보관, 장안스터디카페, 시네마천국 영화관, 컴퓨터실, 크리에이터제작실 (유튜브) , 온라인강의제작실 등이 있어 많은 학생들이 이용하는 곳이다

파일:학술정보관 1번.png
파일:학술정보관 2번.png

쾌적한 실내 학습 공간은 물론, 외부 자리까지 마련된 학술정보관은 장안대학교 학생들의 공부 명소이다. 또한 장안스터디카페 내에 복사/인쇄기가 설치되어 있어 과제할 때 많은 도움이 된다.

파일:05.시네마.png

학생들이 자유롭게 영화를 볼 수 있는 간이 영화관으로, 이용학생은 많지 않지만 꾸준히 인기가 있는 편이다.

파일:06.강의.png

토익, 방과 후 직업교육은 보통 유리관에서 많이 한다.

꿀팁으로 장안대학교 학술정보관 게시판에는 각종 동아리프로그램을 확인해 볼 수 있다.

4.4. 전공동아리관

파일:07.전공동아리관.jpg

교양과목 강의실 및 뷰티케어과, 총학생회, 대의원회, 학보사가 있다.

교양강의 수업운영을 하고 있으며 뷰티케어과 학생들의 실습실과 수업의 공간이다.

실내 구조가 특이하여 신입생들은 길을 잘 못찾는 경우도 있다.

4.5. 사회과학관

파일:09.사회과학관.png
자아실현관이 생기기 전까지 드라마 촬영장소로 많이 나왔던 건물이다. 사회과학관 안으로 들어가면 평범한 중고등학교 후관 느낌이다. 여기서 배달음식을 시켜먹거나 여러 가지 먹방을 하는 학생들도 많다.

4.6. 생활과학관

파일:장안대학교 건물_0008_생활과학관 (1).jpg

입구에 따라 생활과학관과 체육관으로 나뉘게 된다. 이론실습실과 체육관을 함께 이용할 수 있어 스포츠계열학과 학생들의 이용빈도가 높다.

생활과학관 내부에도 체육시설이 있어, 재학생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있다

여담으로 특유의 몽환적인 분위기로 인해 모델 관련 학과의 런웨이 촬영지로 자주 활용되며, 일명 ‘아는 사람만 아는’ 인생사진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빛과 그림자가 교차하는 구조 덕분에 감성 컷을 남기기에 최적의 장소로 평가받는다.

4.7. 체육관

파일:10.체육관.png

장안대 농구부가 가장 많이 이용한다. 그리고 대 운동장과 더불어 체육대회가 이쪽에서 개최된다. 배드민턴, 탁구도 많이한다.
체육관 앞에 스쿨버스가 많이 정차한다. 그래서 후문에 탑승표 자동판매기가 있다. 2층까지 이용이 가능하다는

4.8. 바이오생명과학관

파일:장안대학교 건물_0010_바이오생명과학관 (4).jpg

바이오생명과학관에서는 반려동물 미용을 비롯한 동물보건의 학과 실습실이 위치해 있다. 학교 정문에서 가장 가까운 건물이다

4.9. 유아교육과


파일:유아교육관.jpg
유아교육관은 전체가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이용하는 건물이라 할 수 있다. 내부에서는 다양한 교육들이 진행되며 앞으로는 아이들이 뛰어 놀 수 있는 놀이터도 개설되어있다. 장안대학교 유아교육과의 실습실의 장비가 많은편이라 학생들이 기다리지 않고 다함께 실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파일:장안대학교 건물_0006_인문관 (1).jpg
인문관에는 항공관광과 학생들과 함께, 인문계열의 학과(전공/과) 강의실이 위치해 있다.

파일:인문관2.png

항공관광과 실습실과

파일:인문관1.png

호텔조리 및 제과 관련 학생들의 실습실

4.10. 중앙주차장 및 외국어전용관

파일:중앙주차건물.jpg
중앙주차장 및 외국어 전용관이다. 여기에서는 글로벌 학생들의 이론 수업이 주로 진행되며, 드론산업과(성인학습자전담과정)학생들의 수업이 주로 진행된다.

4.11. 골프장 및 테니스장

파일:04.골프장.png

대학 내부에는 골프 및 테니스장이 있다.

5. 대학 평가

5.1. 2025년

파일:장안대학교 라이즈.jpg
2025 RISE 사업 참여
“경기도 라이즈(RISE) 위한 교류·협력↑”…경기 동남부 전문대학 6개교 협약 체결
경기도가 추진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에 경기도 동남권 6개 전문대학교[1] 중 하나로 컨소시엄(이하 '경기 RISE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게 되었다.

2025학년도에는 입학정원을 100명이나 줄이고 신입생 충원률이 65.1%로 반등했으나 주변대학에 비하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500명이 넘는 미달인원이 발생했다.

2024년 교비회계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운영비용 315억, 운영수익 276억으로 39억의 적자가 발생했다. 적립금은 108억으로 전년도 122억원에 비해 14억원이 줄었다.

5.2. 2024년

파일:장안대학교 사진1.jpg
한국고등직업교육평가원 인증
한국고등직업교육평가원 인증대학 현황
하지만 2024년에는 기관평가인증을 획득하고, 재정건전성평가를 통과했다. 일반재정지원사업 수행, 학자금, 대학 교육의 사회적인 공신력을 확보하며 이 인증이 완료되는 2028년까지 신입생들은 국가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대학알리미 교비회계 공시에서 운영수익 291억, 운영비용 334억으로 실질적으로 43억원의 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동시에 대학 적립금 또한 2022년에 201억원에서 2024년에는 122억원 수준으로 79억원이 줄었다.#

정원내 신입생 충원률은 31.2%로 작년보다 하락하여 역대 최저를 기록하였다. 전체 정원 1,552명 중에서 485명이 등록하였다.

5.3. 2023년

정부 주도 마지막 ‘부실대학’에 경주대·한국국제대 등 11곳 지정
2023년, 학자금 대출과 국가장학금이 일부 제한되는 정부재정지원대학 유형 I, 흔히 말하는 '부실대학'에 선정되었다.

2023년의 정원내 신입생 충원률은 36.2%로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더 나아가 2024년에는 입학정원을 405명이나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모집인원 2,067명 중에서 813명만 등록하여 충원률이 31.3%로 더 하락했다. 이는 지금은 폐교된 서남대학교 남원캠퍼스의 2016년 충원률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한, 2023년 신입생 중도 탈락 비율이 14.2%로 859명의 신입생 중에서 122명이 등록을 하지 않거나 자퇴했다.

신입생 충원이 되지 않자 2024년부터 외국인 학생 비율이 늘고 있는 추세로, 2024년 입학자 중에서 외국고등학교 출신의 비율이 무려 32.8%에 달한다.

6. 2026학년도 신설학과 개설 및 학과명 변경

6.1. 신설학과

2026학년도 4개의 과(학과)가 신설되었다.

반려동물산업디자인전공, 응급구조학과, 드론산업과(성인학습자 전담학과), 파크골프산업과(성인학습자 전담학과)


파일:장안대학교 신설학과.jpg

6.2. 학과명 변경

2026학년도 기준 학과명 변경 및 학과가 통합되었다. 호텔경영과는 호텔관광과(호텔경영전공)으로,관광레저경영과는(호텔관광과)와 관광레저전공으로 변경되었으며, 스타일스트과는 방송스타일리스트과로 변경, 시각콘텐츠과(웹툰애니메이션전공)은 웹툰애니메이션과(3년제)로 변경되었다

파일:학과명변경.png

IT융합과는 AI 융합과로, 경영과와 비즈니스창업전공은 경영과(창업경영전공)

경영과(비즈니스창업전공)은 경영과(창업경영전공) 글로벌경영과는 경영과(글로벌경영전공)으로 변경되었다

복지행정법률과(복지행정전공)과 복지행정법률과(경찰법률전공)은 경찰행정과로 학과가 통합되었다

7. 학과/학부

2024학년도 전체학과 소개

7.1. 호텔관광학부

7.2. 예술디자인학부

7.3. IT·콘텐츠학부


7.4. 보건복지학부

7.5. 인문사회학부

7.6. 글로벌자율학부


8. 학과 생활

8.1. 지식융합경영학부

세무회계과는 사회과학관 3, 4층을 쓰고 있다. 장안대에서 취업률도 높은 편이고 사무직 쪽으로 많이 나간다.

8.2. 호텔관광학부

항공관광과는 2023년 수시 1차 5.9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호텔조리과는 인문관 내에 있으며, 조리시설이 갖춰진 4개 실습실을 갖고 있다.

외식비즈니스과는 글로벌화를 뒷받침할 경쟁력을 갖춘 인재, 일류 외식산업인을 육성하고 있으며 1, 2학년의 전문학사 과정과 3, 4학년의 '관광학사'를 배출하고 있는 학과이다.

8.3. 글로벌외국어학부

외국어전용관에 위치해 있다. 영어과, 일본어과, 중국어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차장으로 이어지는 건물이기 때문에 학교지리를 잘모른다면 약간 헤맬수도 있다.
사회과학부 교수님 사무실들도 이쪽에 위치해 있다. 층마다 자판기가 배치되어 있다.

관광비즈니스영어과와 관광비즈니스중국어과는 수준별 단계별 수업으로 운영한다.

8.4. 사회과학부

경찰법률서비스과는 舊행정법률과가 2020년 이후로 법정계열과 행정계열이 분리되면서 신설된 학과이다.

행정실무비즈니스과는 舊행정법률과가 2020년 이후로 법정계열과 행정계열이 분리되면서 신설된 학과이다. 1학년 1학기때 민법, 헌법, 법학 기초, 행정 조직, 인사행정, 행정 기초를 공통으로 배우며, 1학년 2학기가 되면 행정전공과 법학전공으로 나누어진다. 현재까지는 법학전공계열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진학하게 되면 주로 법무법인 또는 법률사무소 쪽으로 나가게 되며, 학과에서도 취업률 향상 등을 위하여 2학년 1학기 종강 후 대략 3주 동안 변호사, 법률사무소장, 법률사무소 사무장 등으로 구성된 법률실무전문가 양성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유아교육과는 항공관광과와 더불어 장안대학교의 간판학과라고 볼수있다. 유아교육관 건물 하나를 통째로 사용한다.

부사관과는 2013년 개설된 학과이며 2년제이다. 교수진들 중 한분은 육군 준장 출신, 나머지는 영관급 출신이며 육군반을 운영하고 있다.

매년 부사관과 중에서 준수한 합격률을 보이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육군에서 20명(부사관+3사 포함)이 합격하여 임관, 해군에서 9명이 임관하였다.

8.5. 건강과학부

바이오보건환경과는 환경공학과의 전문대버전이다. 수업을 듣는다.

생활체육과는 매년 체육대회를 쓸어담고 있으며 장안대에서 인원이 많은 과에 꼽힌다. 체육관 건물을 통째로 쓴다.

뷰티케어과는 전공동아리관에서 수업을 듣는다

바이오동물보건과는 2018년부터 신설된 학과이다. 학교 정문에 들어서면 왼쪽 산학협력관에 위치해 있다. 요즘 반려동물 관련 직업이 늘어나는 추세라 미래를 생각한다면 좋은 선택이라 할 수 있다. 반려동물를 자주 만질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어 반려동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들어올 만 하다.

8.6. IT컨텐츠학부

정보통신관을 주로 쓰는 3개의 학과가 있는 곳이다. 건물 내에 있는 PC들의 OS는 Windows, Mac 등이 있으며 와이파이도 빵빵하니 데이터 걱정은 필요없다. PC까지 수업시간이 아니라면 마음대로 쓸 수 있으니 IT학부 학생들은 PC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게임컨텐츠과는 1학년 2학기부터 프로그래밍, 기획, 그래픽 전공으로 나눈다. 기획은 QA 입사 사례가 많으나 직업 수명이 짧다는 것이 단점이다. 매년 새 졸업 인력을 더 저렴한 인건비로 채용할 수 있으므로 1년 계약직 QA로 채용하는 일이 많다.

멀티미디어컨텐츠과는 3년제이며, 게임컨텐츠과와 마찬가지로 1학년 기준으로 학생들을 A, B반으로 나눈다. 또한 학과 내 학생회 형식의 공동체인 '연구회'가 존재하는데, 각반 대표는 여기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

소프트웨어융합과 또한 3년제 학과이다. 미래 IT혁명을 이끌어갈 정보통신기술, 전자상거래 등을 배우고 정보보안전문가 쪽으로 나갈수 있다. 일종의 컴퓨터정보과(컴공)으로 보면 될듯.
4년제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3+1년제로 전공심화과정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9. 동아리

  • REIGN ROCK : 락밴드 동아리. 축제 공연을 포함 연 3~4회 공연을 한다.
  • 쿰바야:come hy here : 기독교 동아리. 장안대를 위한 기도, 복음화에 힘쓰며 예배 및 수련회를 진행한다.
  • 트릭 : 농구 동아리. 매주 목요일 오후 6~9시에 다같이 운동을 하며, 대회에도 출전하고 있다.
  • J FIT : 에어로빅 동아리. 주 1회 활동하고, 대회에도 출전하고 있다.
  • 가톨릭 학생회 : 가톨릭 동아리. 가톨릭 학생들의 친목도모 및 장안대를 위한 기도를 진행한다.
  • Beyond-댄스 : 댄스 동아리. 주 1회 연습을 하고, 장안대학교 축제 공연 및 외부공연도 진행한다.

10. 학식 및 주변 먹을거리

  • 자아실현관에 식당이 있으며 가격은 메인메뉴 4000~5500원, 면류 3500원이다. 2015년부터 신세계푸드로 학식 위탁업체가 바뀌었다. 식권을 뽑으려는 줄과 학식을 받으려는 줄 모두 굉장히 길어 일부 학생들은 한솥 협성대점을 이용하거나 각종 배달 음식을 시켜먹는다. 석식은 식권을 뽑으면 바로 먹을 수 있다.
  • 총학생회에서 밥차 이벤트도 한 적이 있다.
  • GS25 편의점이 있다.

11.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안대학교/사건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안대학교/사건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안대학교/사건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출신 인물


[1] 동원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여주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장안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