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01:45:42

인천과학대제전

인천과학대제전
개최 장소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개최 시기 10월 4주차 금 & 토
주최 인천광역시교육청
링크 인천과학대제전 홈페이지

1. 개요2. 개최 장소3. 대중교통
3.1. 버스3.2. 도시철도
4. 여담5. 개최일(2020년 이전)6. 개최일(2020년 이후)7. 관련 문서

1. 개요

Incheon Science Festival(ISF)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주최하는 인천광역시 전역의 관내 초, 중, 고등학교의 과학 동아리에서 부스 운영을 하고 이를 체험하는 활동을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증진시키는 축제로, 올해(2022년)로 24회를 맞이한다.[1] 2019년까지 금요일토요일 이틀간 개최되었다.
2023년은 25회를 맞이하면서,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최대규모로 열렸다.
2024년은 26회를 맞이하며, 25회와 똑같이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개최된다. [2]

2. 개최 장소

예전에는 만성중학교 운동장, 동부학생체육관, 문학경기장 매소홀 등 다양한 장소를 빌려서 개최하였으나, 제12~제14회 행사 쯤부터 송도컨벤시아로 장소가 고정되어 개최되고 있다.[3]
현재 2024년 기준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개최되고 있다.

3. 대중교통

3.1. 버스

인천 버스 17
인천 버스 70
인천 버스 3-2
인천 버스 71
인천 버스 인천e음86

3.2. 도시철도

4. 여담

  • 부스를 운영하는 동아리 학생들[4][5]에게는 봉사시간이 부여되고 부스를 체험한 참가 학생들은 자율 및 진로활동에 도움 되는 축제다. 과학동아리생도 자기 학교 부스 운영 시간이 아닐 경우 다른 학교 부스 체험이 가능하다.[6]
  • 초중고가 모이는 축제이다 보니 상위학교 과학동아리생인 졸업생이 이전 학교 과학선생님을 뵈는 경우도 생긴다.
  • 과학교육, 발명교육, 환경교육체험전 등으로 부스가 구성된다.
  • 축제 당일만 되면 주변 편의점과 식당 등에 사람들이 엄청 몰린다. 가급적이면 점심시간이 되기전에 조금 일찍 가서 먹는 것이 좋다.[7][8]
  • 부스가 200개 전후이기 때문에 팸플릿을 잘 챙겨서 길을 잃지 않도록 하자. 팸플릿에 각 학교의 부스 제목이 번호대로 나열되어 있으며 부스 번호가 적힌 지도도 있다.
  • 꼭 초중고 학교에서만 부스 운영하러 오는 것은 아니고 대학교, 소방서 등 주요 공공기관에서도 홍보 목적으로 부스 운영을 한다.
  • 축제 당일날 막상 가보면, 부스는 많지만 대부분 예약제이기 때문에 오후에 가면 대부분의 인기 부스는 예약제[9][10][11]이기 때문에, 예약이 마감되어 헛걸음한다. 아침 일찍 가서 가자마자 예약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부스 체험이 15분 이내에 끝나지만, 여유롭게 30분 정도의 텀을 두고 연속적으로 예약해 놓는 것이 나중에 여유롭게 관람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
  • 2019년 21회 과학대제전은 인천수학축전(5회)과 같은 기간(11월 1, 2일)에 개최되었다.[12] 2023년에도 10월 27, 28일에 같이 개최, 2024년에도 10월 25, 26일에 같이 개최되었다. 이과축전인가?
  • 당연한 소리지만 부스 운영 여부는 오로지 각 학교 담당 과학선생님의 재량으로, 미리 몇 달 전에 신청한 학교만 할 수 있다.[13]
  • 과학동아리 학생들이 아시아드경기장 내부를 돌아다니며 자기 학교 부스를 많이 홍보한다.[14] 또한 학교에 따라 특색 있게 부스를 꾸미기도 한다.[15]
  • 축제 포스터는 학생들이 그린 작품 중에서 매년 새로 선정하며 대제전 기간에 컨벤시아 천장에도 크게 매달아 놓는다. 다만, 작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선정이 중단되었고, 2023년부터는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개최하다보니 지금은 볼 수 없게 되었다.
  • 중학교 3학년 과학동아리생들은 대제전 다음주가 기말고사면 부스운영 참여를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16] 반대로 기말고사 후 대제전이면 상관없지만.

5. 개최일(2020년 이전)


2016, 2018년은 수능 다음날에 개최했다.

6. 개최일(2020년 이후)

7. 관련 문서


[1] 24회는 이전과 달리 인천대공원에서 10월 28, 29일에 열린다.원래 11월 송도컨벤시아였다[2] 제10회 인천수학축전과 함께 열린다.[3] 2020,21년은 온라인, 22년은 인천대공원에서 개최된다.23년은 수학축전과 함께 아시아드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4] 대제전 기간 동안 이들은 목걸이 형태의 명찰을 착용하고 활동한다. 부스 번호, 학교명과 학생 성명이 적혀 있다.[5] 실험복을 입는 학교도 있고 그렇지 않은 학교도 있다. 교복 착용 여부도 학교마다 케바케.[6] 부스 체험을 하고 도장을 채우면 담임교사가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7] 다만, 부스들도 점심시간에는 운영을 중단하기 때문에 너무 일찍 먹지 말고 요령것 먹어야 한다.동아리생의 경우 도시락이나 컵밥 배달이 많다[8] 도시락을 싸가지고 가 좌석에 앉아서 먹어도 되지만 딱히 추천하지 않는다. 여기도 저기도 모두 사람이다.[9] 예약제로 안하면 괜찮겠지 않느냐고 많이들 그러지만, 어쩔 수 없다. 재료를 가져올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는데다가, 괜히 선착순으로 했다가 재료가 소진되면 뒤에 줄 서있던 사람들은 시간만 낭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10] 그래서 늦은 오후에 오면 그냥 부스 체험은 거의 반포기하고 오는 것이 좋다.[11] 부스 운영 시간은 9~17시이다.[12] 그 이전 해인 2018년에 수학축전은 8월 말에 열렸다.[13] 학교에 따라 과학동아리가 2개 이상이면 한 학교당 2개 이상의 부스를 운영할 수 있다.[14] 부스 번호와 주제가 적힌 피켓을 들고 다닌다.변장을 하는 학생들도 있다[15] 예를 들어 폴리스라인 등[16] 이럴 경우 2학년생들만 참여하게 된다.[17] 이전과는 다르게 11월 첫날에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