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3 17:50:16

인비저블 우먼(마블 라이벌즈)


파일:마블 라이벌즈_로고.png
마블 라이벌즈의 등장 히어로
역할군 내 가나다순 정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10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88em; margin: 5px 0px 13px"
파일:Marvel Rivals_Vanguard.png
[[그루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그루트 프로필.png
그루트
]]
[[닥터 스트레인지(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닥터 스트레인지 프로필.png
닥터 스트레인지
]]
[[매그니토(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매그니토 프로필.png
매그니토
]]
[[베놈(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베놈 프로필.png
베놈
]]
[[씽(마블 라이벌즈)|파일:마블 라이벌즈 씽 프로필.png
]]
[[안젤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안젤라 프로필.png
안젤라
]]
[[엠마 프로스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엠마 프로스트 프로필.png
엠마 프로스트
]]
[[캡틴 아메리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캡틴 아메리카 프로필.png
캡틴 아메리카
]]
[[토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토르 프로필.png
토르
]]
[[페니 파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페니 파커 프로필.png
페니 파커
]]
[[헐크(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헐크 프로필.png
헐크
]]
파일:Marvel Rivals_Duelist.png
[[네이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네이머 프로필.png
네이머
]]
[[데어데블(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데어데블 프로필.png
데어데블
]]
[[매직(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매직 프로필.png
매직
]]
[[문 나이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문 나이트 프로필.png
문 나이트
]]
[[미스터 판타스틱(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미스터 판타스틱 프로필.png
미스터 판타스틱
]]
[[블랙 위도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랙 위도우 프로필.png
블랙 위도우
]]
[[블랙 팬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랙 팬서 프로필.png
블랙 팬서
]]
[[블레이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레이드 프로필.png
블레이드
]]
[[사일록(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사일록 프로필.png
사일록
]]
[[스칼렛 위치(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칼렛 위치 프로필.png
스칼렛 위치
]]
[[스쿼럴 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쿼럴 걸 프로필.png
스쿼럴 걸
]]
[[스타로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타로드 프로필.png
스타로드
]]
[[스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톰 프로필.png
스톰
]]
[[스파이더맨(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파이더맨 프로필.png
스파이더맨
]]
[[아이언맨(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이언맨 프로필.png
아이언맨
]]
[[아이언 피스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이언 피스트 프로필.png
아이언 피스트
]]
[[울버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울버린 프로필.png
울버린
]]
[[윈터 솔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윈터 솔져 프로필.png
윈터 솔져
]]
[[퍼니셔(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퍼니셔 프로필.png
퍼니셔
]]
[[피닉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피닉스 프로필.png
피닉스
]]
[[헬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헬라 프로필.png
헬라
]]
[[호크아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호크아이 프로필.png
호크아이
]]
[[휴먼 토치(마블 라이벌즈)|파일:마블 라이벌즈 휴먼 토치 프로필.png
휴먼 토치
]]
파일:Marvel Rivals_Strategist.png
[[땅상어 제프(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땅상어 제프 프로필.png
땅상어 제프
]]
[[로켓 라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로켓 라쿤 프로필.png
로켓 라쿤
]]
[[로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로키 프로필.png
로키
]]
[[루나 스노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루나 스노우 프로필.png
루나 스노우
]]
[[맨티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맨티스 프로필.png
맨티스
]]
[[아담 워록(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담 워록 프로필.png
아담 워록
]]
[[울트론(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울트론 프로필.png
울트론
]]
[[인비저블 우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인비저블 우먼 프로필.png
인비저블 우먼
]]
[[클록 앤 대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클록 앤 대거 프로필.png
클록 앤 대거
]]

}}}
||<|2><tablewidth=100%><tablealign=center><height=10px><#343346>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
}}}}}}

마블 라이벌즈의 34\번째 영웅
최초의 33 영웅
#!if d1_2 != null
, [[마블 라이벌즈/영웅|{{{#373a3c,#ddd 이전 챔피언 2}}}]]
#!if d1_3 != null
, [[마블 라이벌즈/영웅|{{{#373a3c,#ddd 이전 챔피언 3}}}]]
인비저블 우먼
#!if d2_2 != null
, [[미스터 판타스틱(마블 라이벌즈)|{{{#373a3c,#ddd 미스터 판타스틱}}}]]
#!if d2_3 != null
, [[마블 라이벌즈/영웅|{{{#373a3c,#ddd 현재 영웅 3}}}]]
#!if d3_2 != null
, [[휴먼 토치(마블 라이벌즈)|{{{#373a3c,#ddd 휴먼 토치}}}]]
#!if d3_3 != null
, [[마블 라이벌즈/영웅|{{{#373a3c,#ddd 현재 영 3}}}]]
<nopad> 파일:라이벌즈 인비저블 우먼.webp
인비저블 우먼 수잔 스톰은 흔적도 없이 왔다가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아무리 치열한 전투라도 그녀는 침착함을 잃지 않고 팀원들에게 강력한 역장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일:Marvel Rivals_Strategist.png
인비저블 우먼
<colbgcolor=#343346><colcolor=#fff> 본명 Susan Storm
수잔 스톰
성우 수지 영/콘도 유이#
난이도 파일:라이벌즈_찬 난이도 별.webp파일:라이벌즈_찬 난이도 별.webp파일:라이벌즈_찬 난이도 별.webp파일:라이벌즈_찬 난이도 별.webp파일:라이벌즈_빈 난이도 별.webp

1. 개요2. 스토리3. 능력 정보
3.1. 패시브 - 은밀 전진(Convert Advance)3.2. 일반 공격
3.2.1. 좌클릭 - 오브 프로젝션(Orb Projection)
3.3. 스킬
3.3.1. 우클릭 - 가디언 실드(Guardian Shield)3.3.2. 좌 Shift - 사이오닉 소용돌이(Psionic Vortex)3.3.3. E - 포스 피직스(Force Physics)3.3.4. V - 민첩 타격(Agile Strike)3.3.5. 스페이스바 - 베일 스텝(Veiled Step)3.3.6. Q - 투명 경계(Invisible Boundary)
3.4. 협공 스킬
3.4.1. 패시브 - 환상적인 힘(Fantasti-Force)
4. 평가
4.1. 장점4.2. 단점4.3. 상성4.4. 궁합
5. 역사6. 패치 노트7. 전시
7.1. 코스튬
7.1.1. 기본
7.1.1.1. 인비저블 우먼
7.1.2. 희귀
7.1.2.1. 첫 번째 가족7.1.2.2. 블러드 실드
7.1.3. 특급
7.1.3.1. 말리스
7.1.3.1.1. 한밤의 위엄7.1.3.1.2. 사막 데이지
7.1.3.2. 퓨처 파운데이션7.1.3.3.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7.1.4. 전설
7.1.4.1. 판타스틱 라이프
7.2. MVP
7.2.1. 기본7.2.2. 특급
7.2.2.1. 악의 소용돌이
7.2.3. 전설
7.2.3.1. 영원의 약속
7.3. 이모트7.4. 액세서리
8. 기타

1. 개요

<nopad>
소개 영상
>I'm not the type who fades quietly into the background.

나 그렇게 존재감 없는 타입은 아니거든?

TPS 게임 마블 라이벌즈의 등장 히어로. 판타스틱 포의 멤버 중 한 명인 수잔 스톰이다.

2. 스토리

우주 광선에 의해 세포 단위로 신체가 변형된 수잔 스톰은 견고한 역장을 생성하고 순식간에 시야에서 사라질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종종 사람들의 눈앞에서 사라져 버리곤 하지만, 판타스틱 4라는 가족을 하나로 묶는 힘이 그녀라는 사실은 언제나 명백해 보였다.

타임 스트림 카오스가 발생한 이후로 인비저블 우먼은 자신의 힘을 최대한 활용하며 동료에게 위험할 수도 있는 장소들을 은신 능력으로 살펴보고, 밤의 창조물에게 갇힌 민간인을 구출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해왔다.

[ 굳건한 의지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
내용
||

[ 🔒 인비저블 돔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
미구현
||

[ 🔒 두번째 신혼여행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
미구현
||

3. 능력 정보

인비저블 우먼 기본 능력 정보
<colcolor=#fff> HP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00,#fff>275
이동 속도 6m/s

근접 공격 시 주먹을 휘두른다. 자세한 효과는 아래에 후술.

3.1. 패시브 - 은밀 전진(Convert Advance)

파일:인비저블 우먼 은밀 전진.webp 전투에서 벗어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은신 상태가 되고 자신에게 지속 치료 효과가 적용됩니다.
<colcolor=#000,#fff>치료: 초당 20

체력 재생과 은신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제공하는 패시브.

첫 번째 효과는 체력이 회복되는 것. 단점이라면 전투 중에는 발동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싸우다가 잠깐 은신에 들어가 체력을 채운 후 재차 힐이나 막타를 노리는 식으로 운영하게 된다.

두 번째 효과는 조건부 영구 은신 효과이다. 인비저블 우먼이 기습 및 도망에 뛰어난 이유 중 하나로, 후술하겠지만 이 특성 탓에 인비저블 우먼은 소통이 적은 솔랭에서는 뛰어난 모습을 보이지만 소통, 시야 장악이 활발한 팀 게임에서는 취약해진다.

영구 은신으로 얻을 수 있는 메리트는 다음과 같다.
  • 언제 어딨는지 알 수 없음 : 인비저블 우먼이 코 앞이나 뒤통수까지 접근을 하더라도 알아챌 수 없어 기습과 후퇴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
  • 다양한 진입 루트 : 직선, 우회, 적의 옆이나 뒤 등 여러 가지 루트로 변칙 이동이 가능하다. 위치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적 영웅에게 심리적 압박을 넣을 수 있으며, 적 영웅들은 적극적으로 이동하거나 딜교를 걸기 어려워진다.
  • 다양한 킬 기회 : 딜교, 솔킬 후 후퇴하는 암살자, 딸피로 도망가는 영웅 등 은신으로 코앞에서 기다렸다가 킬을 딸 수 있다.
  • 싸움에서의 선공권 : 일반적인 영웅들은 가다가 마주치면 바로 싸움이 걸리지만 인비저블 우먼은 시야에 포착되면 도망갈지 먼저 싸울지 고를 수 있어 심리전을 거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은신 중 발소리는 들리기 때문에 너무 맹신하지 않는 것이 좋다.

3.2. 일반 공격

3.2.1. 좌클릭 - 오브 프로젝션(Orb Projection)

파일:인비저블 우먼 오브 프로젝션.webp 파일:마우스 좌클릭 [마블 라이벌즈].png 히어로를 관통할 수 있는 역장을 펼쳐 최대 거리까지 비행한 후 인비저블 우먼으로 돌아와 적에게 피해를 입히고 팀원을 치료합니다.
<colcolor=#000,#fff>유형: 비행 물체
피해: 25(발사 시), 15(회수 시)
치료: 45(발사 시), 35(회수 시)
사격 속도: 0.5초
비행 물체 속도: 120m/s
최대 거리: 30m
탄약: 10
오브는 영웅을 관통하고 최대 거리에 도달한 후 인비저블 우먼으로 돌아갑니다. 적에게 피해를 주고 팀원을 치료합니다.

부메랑처럼 돌아오는 힐링 무기. 그렇기에 광역으로 최대 80까지 회복이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최대 거리가 존재해 적진 후방을 교란하는 스파이더맨이나 베놈에게 힐 주기 힘들다는 점이 있다.

3.3. 스킬

3.3.1. 우클릭 - 가디언 실드(Guardian Shield)

파일:인비저블 우먼 가디언 실드.webp 파일:마우스 우클릭 [마블 라이벌즈].png 선택한 아군 앞에 실드를 생성합니다. 실드는 피해를 차단하고 주변 아군에게 지속 치료 효과를 제공합니다. 실드를 통과하는 적을 감속시킵니다.
<colcolor=#000,#fff>치료: 초당 50
범위: 반경 3m
감속: 35%
감속 지속 시간: 3초
실드: 250
실드 회복: 초당 50
쿨타임: 6초(파괴 후)
실드가 파괴되기 전에 인비저블 우먼은 언제든지 선택한 팀원에게 방패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방패가 손상된 후 인비저블 우먼은 F 키를 눌러 실드를 회수하고 실드량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아군 앞에 방벽 영역을 생성하는 스킬.
히트스캔 히어로들에게 쉽게 노려지는 날아다니는 아군히어로들에게는 든든한 회복수단이자 생존수단이며, 다른 아군히어로들에게도 적군입장에서 결정적인 킬찬스를 놓치게 많드는 아주 유용한 스킬이다

3.3.2. 좌 Shift - 사이오닉 소용돌이(Psionic Vortex)

파일:인비저블 우먼 사이오닉 소용돌이.webp 사이오닉 소용돌이를 모은 다음 시전하고, 대상이나 필드에 적중하거나 좌 Shift 키를 다시 누르면 사이오닉 사이클론으로 분출되어 적을 지속적으로 끌어당기며 피해를 입힙니다.
<colcolor=#000,#fff>유형: 비행 물체
비행 물체 속도: 80m/s
범위: 반경 50m
피해: 초당 35
지속 시간: 4초
감속: 50%(중앙)
쿨타임: 12초
범위 내에 있는 적을 감속시킵니다. 적들이 중앙에 가까울수록 감속 효과가 커집니다.

광역 둔화 지역을 까는 스킬. Shift 키를 다시 눌러 적을 지속적으로 끌어당긴다.

3.3.3. E - 포스 피직스(Force Physics)

파일:인비저블 우먼 포스 피직스.webp 사이오닉 에너지를 조작하여 전방의 적을 밀거나 당깁니다.
<colcolor=#000,#fff>범위: 반경 1.5m, 길이 30m
피해: 55
미는 거리: 12m
당기는 거리: 7m
쿨타임: 8초

이 기술은 지정한 지점에 있는 적을 원하는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킨다. 주로 적을 끌어오거나 밀쳐내는 식으로도 쓰인다. 다만 저지불가 상태는 포스 피직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시 발동, 긴 사거리, 밀치기, 납치기, 피니시를 합친 유래없는 유틸성을 지닌 강력한 능력. 그냥 기본적인 성능만 봐도 사거리 긴 완전즉발 납치기로 쓸 수 있는, 시전 속도가 매우 빠르고 조금만 응용해도 아군의 광역기나 스킬 사거리 안에 집어넣거나 자신의 기술 연계에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군을 포커싱하는 상대를 밀쳐내고 궁극기를 무력화 하거나 낙사를 시켜 전황을 뒤집는 등 활용도와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쿨타임이 돌고 있다면 장점이 아무리 많아도 의미가 없기 때문에 포스 피직스는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유틸기로 쓸지, 일반 공격의 적중을 위해 공격기로 쓸지, 아니면 탈출기로 써야할지 언제나 선택을 해야한다.

이 절륜한 기술이 범위 내의 모든 적 영웅에게 적용되기까지 하므로 말 그대로 일일히 설명하기엔 입이 아플 정도의 활용처가 있겠지만 일반 공격을 맞추려다 잘못 끌고오거나 조준을 제대로 못해서 아예 빗나가는건 예사요, 당겨야할 때 미스드래그를 저질러 다 잡은 적 영웅을 방생하는 사태도 벌어지는 등 제대로 쓰는 것이 여간 어려운게 아닌지라 인비저블 우먼을 다루는 유저의 전투력 측정기로 절찬리에 대활약하고 있다.

3.3.4. V - 민첩 타격(Agile Strike)

파일:인비저블 우먼 민첩 타격.webp 3연타 콤보를 발동하며, 세 번째 공격이 전방의 적을 블로우시킵니다.
<colcolor=#000,#fff>

3번째 근접 공격시, 주변 적을 띄운다.

3.3.5. 스페이스바 - 베일 스텝(Veiled Step)

파일:인비저블 우먼 베일 스텝.webp 발밑에 역장을 생성하고, 이를 밟으면 은신 상태가 됩니다.
<colcolor=#000,#fff>쿨타임: 6초

인비저블 우먼의 생존기겸 이동기. 고지대를 선점하거나, 사망했을 시 아군에게 더욱 빨리 합류하거나, 즉발 은신인것을 이용해 적군 암살자에게 포커싱 당할때 생존하는데에 사용한다.

의외로 버니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버니합을 해봐야 이동 거리 차이가 크진 않아서 큰 의미는 없는 수준.

3.3.6. Q - 투명 경계(Invisible Boundary)

파일:인비저블 우먼 투명 경계.webp 선택한 영역에 인비저블 역장을 생성하여 적들이 역장 내 아군을 감지할 수 없게 만들고 아군에게 지속 치료 효과를 제공합니다. 역장을 통과하는 적을 감속시킵니다.
<colcolor=#000,#fff>이동 속도 둔화: 55%
둔화 지속 시간: 1초
치료: 초당 180
범위: 반경 10m, 높이 40m
지속 시간: 8초
에너지 비용: 4300
역장 내 적의 이동 속도를 20% 감속시킵니다.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Disappear! "
(사라져라!)
― 적군 또는 본인 사용

"Shields up!"
(실드여 나와라!)
― 아군 사용
||


아군에게 은신과 회복 효과를 주는 영역을 발동하는 기술이다. 사용하면 아군에게 8초 동안 총 1320이라는 준수한 힐량을 제공한다.

치유사로서는 더할나위 없이 뛰어난 성능의 궁극기. 아군을 가려준다는 장점도 있는지라 아군이 기습할 때 그 호응으로서 걸어주는 것도 제한적이나 가능하다.

다만 궁극기를 이렇게 쓰게되면 정작 범위에 벗어나 광역 힐링이 들어가지 않으니 주의할 것. 거기다 즉발 힐량이 아니라 8초동안 천천히 힐이 들어오는, 맨티스의 영혼의 공명과 비슷한 지속 힐링기라 폭딜에는 대처하기 난감한 부분도 있다.

3.4. 협공 스킬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영웅 간 협공하게 된 배경}}}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영웅 간 협공하게 된 배경: }}}{{{#!if 같은문서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3.4.1. 패시브 - 환상적인 힘(Fantasti-Force)

파일:은하를찌를듯한조화.webp 인비저블 우먼이 자신의 힘으로 사이오닉 아머를 활성화하여 판타스틱 4 멤버 전원을 강화합니다. 이 강력한 힘은 미스터 판타스틱, 씽과 휴먼 토치에게 기운을 불어넣어 피해 저항력을 부여합니다. 활성한 이후 지속적으로 보너스 HP를 생성하여 매 순간 손실한 HP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colcolor=#000,#fff>협공 보너스: +15% 치유
지원 영웅:파일:마블 라이벌즈 휴먼 토치 프로필.png 파일:Marvel Rivals-Heroes_미스터 판타스틱 프로필.png 파일:마블 라이벌즈 씽 프로필.png

자신의 팀원들인 판타스틱 4를 강화시키는 패시브. 마블 라이벌즈 최초로 3영웅을 지원하는 협공 스킬이다.

덕분에, 판타스틱 4 조합은 유지력 하나는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4. 평가

상시 은신을 통해 아군을 지원하는 데 특화되어 있는 히어로다. 인비저블 우먼만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역시 상시 은신인데, 위치를 잘 들키지 않음, 정찰, 유리한 포지션 선점 등 상시 은신의 메리트는 여전히 크다. 시야에서 잠깐 사라지는 히어로들은 흔하지만, 은신을 정찰에까지 활용할 수 있는 히어로는 인비저블 우먼이 유일하다. 굳이 찾자면 사일록이나 로키 정도.

사기적인 방벽과 힐러로서 필요한 유지력과 기습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강력한 폭딜을 방벽과 지속 힐로 적이 대응하기도 전에 지켜줄 수 있어 아군 케어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장점. 솔랭에서는 시도 때도 없이 난전이 벌어져서 암살, 갱킹각이 수시로 나오고, 강력한 다이브 능력으로 탱커든 딜러든 자르고 다니며 적의 캐리형 히어로들을 짓밟기가 편한 덕분에 솔랭에서 크게 활약하기가 좋다.

4.1. 장점

  • 방벽과 지속힐로 인한 강력한 단일 케어
    인비저블 우먼의 우클릭은 아군 앞에 방벽과 지속힐을 준다는 점 덕분에, 상대의 피해를 막으면서 좌클릭으로 안정적인 힐링이 가능하다. 덕분에 단일 대상 케어 면에선 모든 힐러 중에서도 가장 가치가 높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상시 은신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
    상시 은신 능력이 기습과 이동, 후퇴에 큰 도움을 준다. 은신이기에 시야 범위에 직접 들어가지 않는 한 적 시야에 발각되지 않으며, 상대 입장에서는 언제, 어디에서 나타날지 모르며 인비저블 우먼을 알아채기도 어려워 큰 심리적 압박과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일부러 체력 빠진 아군 옆에 서 있다가 함정을 파거나, 1:1 영혼의 맞다이에 끼어들어 킬을 따고, 혼자 있는 적을 처치하고 튀는 등 은신으로만 가능한 무궁무진한 플레이가 많다.

4.2. 단점

  • 짧은 사거리
    인비저블 우먼의 좌클릭은 강력하지만 최대 사거리가 30m라 적 후방에 교란 중인 탱커나 딜러진들을 지원하기 힘들다.
  • 부실한 자힐 수단
    인비저블 우먼은 궁극기를 제외하면 자기 스스로에게 치유를 재공할 수 있는 수단이 고작 패시브에서 나오는 자힐뿐이다. 좌클릭은 말할 것도 없고 우클릭 또한 스스로에게 시전할 수가 없어 근처 아군에게 깔고 자신이 범위 안에 들어가지 않는 이상 치유 효과를 자신이 받기 힘들다. 그렇기에 인비저블 우먼이 공격받아 체력 관리가 꼬인 상황일 때 파트너 힐러가 바로 봐 주지 않는다면 은신 상태로 숨어 오랫동안 전장에서 이탈하거나 은신마저 벗겨져 그대로 죽어버리는 염려 또한 존재한다. 상술한 짧은 사거리 때문에 전방에서 힐을 넣어줘야 하는 타이밍이 자주 발생하는 인비저블 우먼 입장에서는 생각보다 신경쓰이는 요소.

4.3. 상성

4.4. 궁합

5. 역사

  • S1
    처음에는 궁극기가 아쉽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점점 인비저블 우먼 플레이어들의 숙련도가 늘어나면서 좋은 픽으로 평가 받으면서 동시에 조금씩 하향을 당하기 시작한다.
  • S2
    너프와 함께 상향을 받은 캡틴 아메리카아이언 피스트를 필두로 다이버 메타가 찾아온다. 굉장히 힘든 시기였지만 그럼에도 이단 점프와 패시브 덕에 다른 힐러보다는 생존력이 좋았던 탓에 나름대로의 위치를 고수했으며, 2.5 시즌에서는 울트론의 추가와 스톰제프를 필두로 하는 날파리 메타가 떠오른다. 날파리 메타의 중심인 영웅들을 억제하는 힘은 없었지만 가디언 실드(파일:마우스 우클릭 [마블 라이벌즈].png)가 공중 비행 영웅들에게 꽤나 유용했던 탓에 함께 조합하기에는 좋았다.
  • S3
    그간 연속된 하향과 다른 힐러들이 조금씩 상향을 받으면서 비주류 픽으로 전락하고 만다.
  • S4

6. 패치 노트

  • 2025년 1월 10일
    • 인비저블 우먼 추가
  • 2025년 2월 21일
    • 투명 경계 (Q)
      • 너프: 에너지 비용이 4000에서 4300으로 증가
  • 2025년 4월 11일
    • 가디언 실드 (파일:마우스 우클릭 [마블 라이벌즈].png)
      • 너프: 실드 체력이 300에서 250으로 감소
  • 2025년 4월 25일
    • 가디언 실드 (파일:마우스 우클릭 [마블 라이벌즈].png)
      • 너프: 회복 속도가 빨라지는 버그 수정
  • 2025년 7월 11일
    • 오브 프로젝션 (파일:마우스 좌클릭 [마블 라이벌즈].png)
      • 조정: 투사체 발사시 치유량이 40에서 45로 증가하지만 투사체가 되돌아올 때의 치유량이 40에서 35로 감소
      • 조정: 투사체 발사시 피해량이 20에서 25로 증가하지만 투사체가 되돌아올 때의 피해량이 20에서 15로 감소
  • 2025년 9월 12일
    • 가디언 실드 (파일:마우스 우클릭 [마블 라이벌즈].png)
      • 버프: 통과하는 적의 감속 효과가 30%에서 35%로 증가
    • 투명 경계 (Q)
      • 신규: 범위 안에 있는 적의 이동 속도 20% 둔화 효과 추가
      • 버프: 초당 치유 165에서 180으로 증가

7. 전시

7.1. 코스튬

7.1.1. 기본

7.1.1.1. 인비저블 우먼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인비저블 우먼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인비저블 우먼.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인비저블 우먼의 기본 스킨.

7.1.2. 희귀

7.1.2.1. 첫 번째 가족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첫 번째 가족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첫 번째 가족.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아... 이것보다 더 빨리 투명해질 순 없어!! 이 괴물을 어떻게 막지?!"[1]
<colcolor=#000,#fff><판타스틱 포>(1961) 제 3화에서 첫 등장

코믹스 인비저블 우먼과 동일한 배색의 스킨.
7.1.2.2. 블러드 실드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블러드 실드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블러드 실드.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리드라면 이해해줄 거야. 내가 남자들 뒤에서 가만히 있을 사람이 아니라는 걸 잘 알거든. 난 그들 못지않게 유능해, 어쩌면 더 나을지도 모르지. 뱀파이어들은 내 보호막도 뚫지 못하는걸. 내가 다가가도 알아채지도 못할 거야."
<colcolor=#000,#fff><마블 라이벌즈> S1에서 첫 등장

S1 중반 골드 이상시 받을 수 있는 스킨.

7.1.3. 특급

7.1.3.1. 말리스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말리스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말리스.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증오의 여신인 말리스의 손에서 패배를 맛보고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거야?"
<colcolor=#000,#fff><판타스틱 포>(1961) 제 280화에서 첫 등장
미스터 판타스틱으로 변장한 헤이트 몽거[2]가 인비저블 우먼을 세뇌한 모습. 쉬헐크를 몰아붙이지만 바로 다음 화에서 데어데블에게 정체를 간파당하고 원래대로 돌아온다.

그냥 옷만 갈아입었던 것에 불과했던 원작과 비교하면 머리 색이 회색이 되는 어레인지가 가해졌으며, 높은 노출과 육감적인 몸매로 평가가 매우 좋다.

인게임 스킨의 3D 모델에서는 검열로 인해 가슴 트임이 덮혀져 있지만 원래는 가슴 트임을 그대로 드러낼 예정이었는지 가슴 부분의 '맨살' 폴리곤 메시가 여전히 남아있다.[3] 예의 덮개를 제거하여 가슴골을 드러내는 사용자 지정 리스킨 모드가 존재할 정도.

의도한 디자인인지는 불명이나 상체의 얼굴과 팔뚝, 하체의 복부와 넓적다리의 피부색이 서로 확연하게 다르다. 상체는 창백한데 비해 하체는 혈기가 도는듯 붉은 색으로, 상술한 가슴골 노출 커스텀 스킨 모드에 상체 피부색을 하체에 맞춰 바꿔주는 옵션 텍스처가 동봉되어 있다. 스타킹일 수도 있지 않나?

실사영화인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개봉 기념으로 출연진들이 마블 라이벌즈에 등장하는 판포스틱 캐릭터들의 모델링과 스킨을 감상하는 영상이 공개됐었는데#, 보여준 스킨들 중에 이 스킨도 같이 끼여있었다. 수잔을 연기한 바네사 커비는 제일 마음에 드는 스킨이라면서 긍정적인 감상평을 보이는 것은 물론 후속작에서 내가 저거 입을지도 모른다고 개드립을 쳤고, 미스터 판타스틱을 연기한 페드로 파스칼 또한 옆에서 '코스튬 디자이너들 빨리 받아적어라'라고 하며 맞장구쳐주기도 했다.
7.1.3.1.1. 한밤의 위엄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한밤의 위엄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한밤의 위엄.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7.1.3.1.2. 사막 데이지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사막 데이지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사막 데이지.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7.1.3.2. 퓨처 파운데이션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퓨처 파운데이션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퓨처 파운데이션.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나는 뭔가 다른 기분이었어. 다른 것은... 잘못된 것처럼 느껴졌어."
<colcolor=#000,#fff><FF>(2011) 제1화에서 첫 등장
7.1.3.3.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새로운 출발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새로운 출발.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가족이란 자신보다 더 큰 무언가와 연결되는 것입니다. 삶이 우리에게 어떤 시련을 던지든, 우리는 함께 맞설 것입니다ㅡ가족으로서."
<colcolor=#000,#fff>MARVEL 스튜디오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2025)에서 등장

7.1.4. 전설

7.1.4.1. 판타스틱 라이프
<nopad>
파일:인비저블 우먼 판타스틱 라이브 아이콘.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판타스틱 라이브.webp
아이콘 인비저블 우먼
"물론이지, 여보.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영원히!"
<colcolor=#000,#fff><판타스틱 포: 결혼 특집> (2005) 제1화에서 첫 등장
<nopad>
소개 영상

웨딩 컨셉의 전설 스킨. 궁극기 시전 시 웨딩 음악이 뜬다.

7.2. MVP

7.2.1. 기본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기본.gif

인비저블 우먼의 기본 MVP.

7.2.2. 특급

7.2.2.1. 악의 소용돌이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악의 소용돌이.gif
<colcolor=#000,#fff>코스튬 「말리스」 전용

7.2.3. 전설

7.2.3.1. 영원의 약속
<nopad>파일:미스터 판타스틱 영원의 약속.gif
"이렇게 애틋한 순간을 말로는 표현할 수가 없네... 그래서 아예 시도도 안 하려고."
<colcolor=#000,#fff>코스튬 「판타스틱 라이프」 전용

미스터 판타스틱의 스킨「판타스틱 라이프」와 공유하는 MVP.

7.3. 이모트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기본 이모트 아이콘.webp <nopad> 기본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브레인 대격돌 아이콘.webp <nopad> 브레인 대격돌
Brain Blast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내면의 혼란 아이콘.webp <nopad> 내면의 혼란
Inner Turmoil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기본 이모트.webp
기본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브레인 대격돌.webp
상점 판매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내면의 혼란.webp
코스튬 「말리스」 번들에 포함
<nopad>25년 4월 25일, 브레인 대격돌 이벤트 보상 <nopad>25년 1월 10일 출시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맹세 아이콘.webp <nopad> 맹세
I Do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화려한 변신 아이콘.webp <nopad> 화려한 변신
Identity Overhaul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2 아이콘.webp <nopad> 2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맹세.webp
코스튬 「판타스틱 라이프」 번들에 포함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화려한 변신.webp
코스튬 「퓨처 파운데이션」 번들에 포함
<nopad>파일:인비저블 우먼 2.webp
코스튬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번들에 포함
<nopad>25년 2월 14일 출시 <nopad>25년 6월 13일 출시 <nopad>25년 7월 25일 출시

7.4. 액세서리

<colcolor=#000,#fff><nopad> H.E.R.B.I.E. 인형
<nopad> 아이콘 <colcolor=#000,#fff><nopad> 착용 모습 <colcolor=#000,#fff><nopad> 표시 미리보기
파일:인비저블 우먼 HERBIE 인형.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HERBIE 인형 착용 모습.webp 파일:인비저블 우먼 HERBIE 인형 표시.webp
모두가 얼마나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제가 갤럭타로서 여러분이 시간의 흐름을 구하기 위해 싸우는 동안 고향을 떠올릴 수 있는 작은...

8. 기타

  • 서명은 S가 매우 큰 필기체이다.
  • 데뷔 시기상 마블 시리즈의 첫 여성 슈퍼히어로 캐릭터라 다른 히어로들에게 어머니처럼 자상하게 대해준다. 특히 캡틴스파이더맨의 대화에서 잘 드러나는데, 스파이더맨에게는 언제나 환영한다는 자상한 말로, 자신이 팀을 이끌지 불안해 하는 캡틴에게는 격려의 말을 건네주며 인원들에게 따뜻하게 용기를 넣어준다.
  • 원작에서 네이머는 지속적으로 수잔에게 관심을 보이는 묘사가 많았는데, 여기에서도 수잔에게 관심을 가지는 모습을 보인다. 물론 수잔은 리드가 있을 뿐더러, 네이머의 잔혹한 성격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 정중히 말하되 강하게 거부 표시를 하며, 리드 역시 네이머의 행동에 굉장히 불쾌해 하는 모습을 보인다.
  • 금발, 하얀색 바디슈츠, 최상위권 몸매대거와 외형이 너무 비슷하게 생겨서 상대로 만날 때마다 자꾸 헷갈린다는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둘 다 외형상의 차이는 확실히 존재하지만, 문제는 정신없는 난전과 먼 거리에서는 식별이 어렵다보니 가까이 만나봐야 겨우 알 수 있다는 점. 여기에 둘 다 힐러라 역할까지 겹치는 탓도 크다.
  • 외형때문에 사일록과 더불어 2차창작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고있다.

[1] 판타스틱 포 문서에도 나와 있는 판타스틱 포 1권의 표지의 대사.[2] 히틀러가 아니라 사이코맨이 만든 안드로이드.[3] 참고로 본작의 스쿼럴 걸 기본 스킨도 인게임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유방과 고간의 옷 아래 '맨살' 폴리곤이 여전히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