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16:45:48

은폐(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문서가 있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기술 목록
[ 펼치기 · 접기 ]
종족별 가나다 순 정렬
[[EMP(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terran-emp-color_테.png
EMP
]]
[[거미 지뢰|파일:btn-ability-terran-spidermine.png
거미 지뢰 설치
]]
[[방어막(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SC2_Coop_Swann_Defensivematrix.jpg
방어막
]]
[[야마토 포|파일:btn-ability-terran-yamatogun-color_테.png
야마토 포
]]
[[은폐(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terran-cloak-color_테.png
은폐
]]
[[전술 차원 도약|파일:btn-ability-terran-warpjump.png
전술 차원 도약
]]
[[전투 자극제|파일:btn-ability-terran-stimpack-color_테.png
전투 자극제
]]
[[지게로봇|파일:btn-unit-terran-mule.png
투하: 지게로봇
]]
[[감염된 테란/유닛#s-3.1|파일:btn-unit-zerg-infestedmarine.png
감염된 테란
]]
[[공생충(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zerg-swarmseeds-color_테.png
공생충 생성
]]
[[굴 파기|파일:btn-ability-zerg-deeptunnel.png
굴 파기
]]
[[변신수|파일:btn-unit-zerg-changeling.png
변신수 생성
]]
[[식충|파일:btn-unit-zerg-locust.png
식충 생성
]]
[[잠복#s-2|파일:btn-ability-zerg-burrow-color.png
잠복
]]
[[흡수(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zerg-consume_테.png
흡수
]]
[[갑충탄|파일:btn-ability-protoss-scarabshot.png
갑충탄 생성
]]
[[블랙홀(스타크래프트 2)|파일:btn-ability-protoss-blackhole-color.png
블랙홀
]]
[[요격기(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unit-protoss-interceptor.png
요격기 생산
]]
[[은폐(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protoss-permanentlycloaked-observer-color_테.png
은폐
]]
[[사이오닉 폭풍|파일:btn-ability-protoss-psistorm-color_테.png
사이오닉 폭풍
]]
[[소환(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protoss-massrecall_테.png
소환
]]
[[점멸(스타크래프트 2)|파일:btn-ability-protoss-blink-color_테.png
점멸
]]
[[정신 제어(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protoss-mindcontrol.png
정신 제어
]]
[[환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protoss-feedback-color_테.png
환류
]]
[[환상(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파일:btn-ability-protoss-hallucination-color.png
환상
]]

1. 설명2. 대처 방안3. 은폐 능력을 지닌 유닛/영웅4. 초은폐5. 기타

1. 설명

Cloaking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일부 유닛들에게 있는 투명화하는 특수 능력. 영문명은 클로킹이고, 스타크래프트에서 은폐로 번역했다. 탐지기가 없다면 게임 상 표현으로 공간이 일그러진 것처럼 보이기에 유심히 보면 찾을 수는 있기는 하지만 직접 공격은 할 수 없다. 따라서 은폐 상태의 유닛들에게 일방적으로 공격을 받는다. 탐지기가 있다면 희미하지만 눈에 띌 정도로 보이므로 찾기도 어렵지 않고 공격도 가능하다.

테란 유닛 중에서는 유령, 망령이 이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은폐 중에는 매초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무한정 은폐할 수 없다. 후속작에서는 이들에 더해 공대지 공격헬기인 밴시가 은폐를 탑재했다. 캠페인 유닛인 악령도 은폐가 가능하며, 노바 등 이들 은폐 유닛 기반 영웅들도 은폐 능력이 있다.

저그는 감염된 케리건이나 감염된 듀란처럼 특수한 영웅 유닛을 빼면 이 능력을 지닌 유닛은 없고 대신 대부분의 지상 유닛에게 잠복이란 특수능력이 있다. 후속작에서도 마찬가지. 다만 바퀴처럼 잠복 중 이동이 가능해서 기능상으로는 공격만 못 하는 은폐나 다를 게 없는 유닛이 있기도 하며, 스1에서는 러커로 불리는 가시지옥처럼 오히려 잠복을 해야만 공격이 가능한 유닛도 있다.

프로토스 은폐 유닛 대부분은 에너지와 무관하게 영구히 은폐하거나 다른 유닛을 은폐시킬 수 있다. 은폐 유닛의 대표 유닛으로 암흑기사가 그 상징이다. 그 외로도 관측선 또한 영구 은폐 기능을 가지고 있다. 중재자모선은 자기 자신은 은폐할 수 없지만, 자신을 중심으로 아군과 동맹군을 은폐시키는 은폐장을 가지고 있다. 시리즈를 통틀어 공식 컨텐츠에서 유일하게 은폐에 에너지를 소모하는 프로토스 유닛이 딱 하나 있는데 협동전 피닉스 중재자 모드의 은폐장이다.

2. 대처 방안

은폐 유닛은 저마다의 약점이 있고, 파훼법을 사용해 찾아내 대처할 수 있다.
  • 탐지기(Detector) 유닛 혹은 건물을 사용
    건물을 포함한 탐지기 기능이 붙은 유닛[1]은 은폐 및 잠복한 유닛을 탐지할 수 있다. 통신 위성 중계소(콤샛 스테이션), 궤도 사령부, 예언자는 일정한 범위 내의 은폐 유닛을 탐지하는 광역 탐지 기술을 갖고 있다.
  • 스플래시 데미지
    아무리 은폐한 유닛이라도 직접 공격 대상으로 못 삼을 뿐 무적은 아니라서 다른 유닛 가까이에 있다가 시즈 탱크커세어 등의 스플래시 피해나, 사이오닉 스톰 같은 범위형 공격 마법에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물론 이런 경우는 임시방편이라 확실하게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스타크래프트 1 한정으로 스파이더 마인은 지상 유닛이 은폐 상태이더라도 반응하여 달려든다. 거미 지뢰는 탐지기 유닛이 아니지만 땅의 진동을 감지하여 적을 탐지하는 설정이기 때문에 실제로 상대가 보이든 말든 상관이 없다. 그러나 반대로 일꾼 유닛들이나 아콘 등의 땅에 닿지 않는 부유형 지상 유닛에게는 은폐 유무와 상관없이 거미 지뢰가 반응하지 않는다.
  • 은폐를 무력화하는 기술을 사용
    탐지기가 없더라도 어떤 방식으로든 은폐된 유닛에게 디버프를 거는 광역 스킬을 시전하면 해당 유닛의 은폐는 일시적으로 무력화된다.(ex:인스네어, 플레이그) 예제로 변은종최연성과의 MSL 경기 중 오버로드를 치고 빠지면서 잡아대는 은폐 레이스 부대를 인스네어로 단번에 무력화시켜 이긴 전적이 있다. 하지만 유닛에게 직접적인 디버프 효과를 부여하지 않고 일정 범위에만 디버프를 거는 스킬인 디스럽션 웹같은 경우는 효과는 적용될지언정 유닛의 은폐 자체를 무력화 시킬 수는 없다. 사이언스 베슬EMP 충격파는 상대방 테란 유닛의 은폐를 무력화 할 수 있다.[2] 물론 베슬 자체가 이미 디텍터이기도 하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 유령의 EMP 탄환에 적중한 유닛은 은폐 상태일 시 은폐가 강제로 풀리고 10초 동안 은폐를 할 수 없게 된다. 추가로 프로토스 유닛일 경우 보호막도 날려버릴 수 있다.

3. 은폐 능력을 지닌 유닛/영웅

4. 초은폐

스타크래프트 2 협동전 임무 플레이어 진영 한정으로 일반 은폐보다 더 강력한 은폐가 존재한다. 정규 명칭은 초은폐(Super Cloak). 이 은폐는 탐지기로도 감지되지 않기에 직접적인 공격에 대해서는 완전히 면역이지만, 각종 범위형 피해는 막지 못한다. 즉, 스플래시 데미지에는 면역이 아니며 자기 지뢰는 초은폐 유닛일지라도 얄짤없이 공격 대상으로 조준된다. 일반 은폐와는 달리 푸른 연기등이 나오는 것으로 구분할 수가 있으며 이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에디터에서는 '은폐(Cloaked)'와 '탐지 불가(Undetectable)' 플래그가 동시에 설정됨으로써 구현되어 있다.
개발 단계에서는 보라준의 깊은 그림자 점멸(Deep Shadow Blink)에 사용 후 5초간 초은폐 기능을 넣으려던 흔적이 있다.

5. 기타

스타크래프트 1에서는 은폐를 거는 순간과 푸는 그 찰나의 순간은 공격을 받지않는 상태다. 다만 범위형 스킬이나 스플래시 공격은 마찬가지로 유효하다. 하지만 위의 사항은 스타크래프트 2 에서는 은폐를 푸는 그 즉시 공격 대상이 된다. 다만 은폐 전에 발사된 공격은 은폐 후에는 안 맞으므로 테란유령, 밴시 운용에 중요한 테크닉.

스타크래프트 2 한정으로 암흑 기사는 오랜 시간 적과 마주치지 않거나 명령을 내리지않으면 잠시 은폐를 풀기도 한다.

스타크래프트 맵 에디터를 통해 자체 은폐가 안되는 건물이나 유닛을 영구 은폐 유닛으로 바꿀 수 있다. Set Doodad State 트리거를 유닛들한테 적용하면 보통은 그래픽은 있는데 클릭은 안되고 공격도 받지 않는 은폐 비슷한 상태가 된다. 다만 이 상태가 된 유닛들은 프로토스 건물의 언파워드 상태처럼 컨트롤이 불가능하고 많은 유닛들이 그래픽 오류로 고인돌이 생겨 리마스터 전 버전에선 튕김을 유발한다.[17] 다만 그래픽이 오류가 나지 않고 남아 있는 유닛들은 탐지기로 한 번 비추거나, 트리거를 통해 Enable을 다시 적용하면 튕기지 않고 영구적으로 투명화 하는 유닛들이 있다. 하지만 비콘의 반짝임이나 그림자같은건 제대로 투명화 되지 않는다. 참고로 원래 Set Doodad State 트리거는 인스톨레이션 지형에서 문을 여닫거나 트랩을 끄고 켤 때 쓰라고 만든 트리거이므로 기본으로 제공되는 캠페인 에디터로는 Doodad 외의 다른 유닛에게 설정하는것이 지원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활용처로 랜덤 벙커 디펜스나 포커디펜스 같은 유즈맵에서 건물 겹치기 버그와 같이 쓴 투명 벙커 또는 투명 비콘 등이 있다. 일단 은폐와 비슷한 판정이라 탐지기를 대동하면 클릭도 가능하고 일반 은폐 유닛처럼 반투명하게 보인다.

반면에 암흑 기사관측선의 영구 은폐를 푸는 방법도 있는데 실용성이 거의 없어 안 쓰인다. 스타포지 에디터 등으로 161번 플레이어의 암흑 기사나 관측선을 설치하면 그 중 1기만 은폐가 풀린 채로 맵에 나온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은신도 이 스타크래프트의 은폐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은신시 화면이 일그러지는 효과가 보였다. 하지만 이 때문에 모니터 환경이나 전장 밝기, 눈썰미와 스킬과 특성 등에 영향을 크게 받고 은신 영웅에 대한 불쾌감과 불만이 꾸준히 유저들로부터 제기되자 결국 하얀 윤곽선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패치되었다. 대신 한 자리에 1.5초 이상 가만히 머무르면 윤곽선이나 일렁임도 전혀 보이지않는 완전한 투명 상태가 된다.

[1] 테란 : 미사일 포탑(미사일 터렛), 과학선(사이언스 베슬), 밤까마귀 / 저그 : 포자 군체(스포어 콜로니), 포자 촉수, 초월체, 정신체, 대군주(오버로드, 스타1 한정), 감시 군주 / 프로토스 : 광자포(포톤 캐논), 관측선(옵저버).[2] 정확한 원리는 상대방의 에너지를 순간 고갈시켜서 은폐를 풀리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상대방이 테란일 경우에만 사용 가능한 한정된 방법이다.[3] 자유의 날개 캠페인에서 크리오스 전투복 연구를 하거나 협동전 노바가 사용하는 특수 작전 유령은 은폐 시 에너지를 안 쓴다.[4] 이는 은폐장치의 유무 때문인데, 스타 1 케리건은 유령시절 입고있던 전투복째로 저그에 감염되었기 때문에 은폐장치가 있는 전투복도 그대로 갖추고 있었다가 마지막에 벗어버린다. 그래서인지 군단의 심장 확장팩 인간 케리건의 반복대사에서 은폐장치를 훔쳐서라도 쓰고 싶다...라는 대사가 있다.[5] 알렉세이 스투코프는 편의상 유령으로 구현되었을 뿐 진짜 유령 요원은 아니다.[6] 협동전이나 노바 비밀 작전에서 은폐 기능이 없는 전투복을 착용하면 은폐가 불가능하다.[7] 자유의 날개 캠페인에선 스펙트럼 대역 흡수기 연구를 하면 은폐지속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반으로 줄고, 노바가 사용하는 밴시는 첨단 은폐장을 사용하면 은폐 지속에너지를 안 쓴다.[8] 자유의 날개 캠페인 한정으로 닉스급 은폐 모듈 연구를 하면 은폐 지속에너지를 안 쓴다. 에필로그 미션인 영겁의 정수 미션에서 업그레이드 되어 있다. 이를 이용한 마스터 업적 공략도 있을정도.[9] 피닉스의 분열기에 한정[10] 자신의 유닛만 은폐 가능한 중재자와는 달리 모선은 자신과 아군의 유닛과 건물까지도 은폐시킨다.[11] 중재자나 모선 역할을 수행하는 유닛 중 유일하게 자기자신까지 은폐시키는 대신, 역시 유일하게 에너지를 소모한다.[12] 해적선은 스타크래프트공허의 유산 캠페인, 예언자는 공허의 유산 래더에서도 쓸 수 있지만 이때는 은폐가 없으며 오직 협동전 보라준의 고유 유닛들만 영구 은폐 업그레이드를 얻는다.[13] 협동전 임무 한정[14] 최초로 등장한 초은폐 효과이나 당시에는 3레벨 특성으로 적의 공격을 받지 않는다라고만 서술되어 있었다.[15] 이 때부터 푸른색 연기가 나는 초은폐가 나왔지만 당시에는 공격 받지 않는 특수 은폐 정도로만 인식되었다.[16] 위신 패치인 5.0 버전부터 감지불가 특수 은폐가 '초은폐'라는 이름으로 공식적으로 정립되었다.[17] 과거 스타크래프트 버전에서는 이런 기능을 활용해 맵핵을 방지하고자 일부러 이 기능을 이런식으로 사용했었던 사례도 한때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