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5 00:21:43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프리미엄 전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gcolor=white,#1f2023><table bordercolor=black><colbgcolor=black><colcolor=white><bgcolor=black> 파일:WotBlitzLogo.png ||
게임 플레이 시스템 | 게임 모드 | 이벤트 모드 | 승무원 | | 업적 | 장비 | 임무 | 클랜 | 상점 | 뽑기 | 용어 (PC월탱 용어) | 배틀 패스 | 시즌
테크트리 전차 (둘러보기 틀)
기타 문제점 | 사건 사고 | 버전 업데이트 (내역) | 이벤트 | 콜라보레이션 | 그래픽 및 사운드 | PC버전과의 차이점 | e스포츠 | 버그 | 모드 | Tanks Blitz
템플릿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5><#000000>
파일:WoTB_Logo.png파일:투명.png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차량|{{{#!wiki style="font-size:1.2em"]]'''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나치 독일 군기(1938–1945).svg 독일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유럽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파일:WoTB_HN.svg 기타 국가 파일:WoT_LT.png 파일:WoT_MT.png 파일:WoT_HT.png 파일:WoT_TD.png
프리미엄 수집가전차
{{{#!wiki style="margin: -16px -11px;" 기타 전차 }}}
※ 신규 전차 추가 시 템플릿: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의 표 사용 바람


1. 개요2. 중형전차
2.1. Y5 T-34 - 5티어2.2. Stridsvagn 74A2(스트리스방 74A2) - 6티어2.3. Y5 Firefly(Y5 파이어플라이) - 6티어2.4. Edelweiss(에델바이스) - 7티어2.5. Hafen(하펜) - 7티어2.6. Y5 ELC Bis(Y5 엘크비스)- 7티어2.7. M4/FL10 - 7티어2.8. O-47 - 8티어
3. 구축전차
3.1. Helsing(헬싱) - 7티어3.2. WZ 135G FT Blaze (WZ 135G FT 블레이즈) - 7티어

1. 개요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 등장하는 기타 국가 소속 수집가 전차를 모아둔 문서.

2. 중형전차

2.1. Y5 T-34 - 5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Y5 T-34 55/55/55 ㎜ 240 m 51.12 도/초 700 5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Y5 T-34 520 마력 == % == kg 5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Y5 T-34 == 톤 38.59 도/초 5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75mm Gun L1 110/160/38 ㎜ 160/120/200 AP/APCR/HE 5 단계
== 발 0.390 m 3.5 초 7.77 초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가격
(골드)
65/42/42 ㎜ 50/20 ㎞/h 28.17 톤 360/+20/-10도 구매 불가
파일:떼삼사롬웰.jpg
승무원 구성 :

개요
5단계 깡패전차. T-34 전차의 Y5버전. 크롬웰 차체에 T-34 포탑을 올렸다. 일반적인 전차들과 달리 디펜더 시리즈 특유의 원자력 엔진 컨셉을 가지고 있어 기동 시 스파크와 전기차 같은 소리가 난다.원자로 1호기

공격

방어

기동

게임플레이
5단계 방에서는 준수한 한 방과 그럭저럭 쓸만한 재장전시간에 크롬웰 특유의 경쾌한 기동, -10도에 달하는 우월한 내림각이 합쳐진 매우 준수한 전차이다. 해외 유튜브 댓글에서도 OP라는 댓글이 자주 보일 정도로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전차. 부각이 -10도라 헐 다운 하기에 유용하다.

미국 전차들처럼 넓직한 포방패 믿고 포탑을 내놓고 농성한다는 느낌보다는 작은 포탑을 활용해 이리저리 움직이며 조준 시간을 내주지 않는다는 느낌으로 운용하자. 포방패가 넓지는 않아도 정면 장갑의 상당 부분을 덟고 있고 양측면 뺨 끝으로 갈수록 급경사로 인해서 절대도탄이 일어난다.

차체는 크롬웰 답게 물장갑이며 크기도 동급 중형전차 중 최대급이므로 가능한 숨겨라. 이동할 때는 상대 발포 타이밍과 포신 방향을 체크 한다음에 잽싸게 다음 엄폐물로 달려가는 것이 좋다.

추천 장비

장점
  • 기동성: 크롬웰 차체이다. 전진 50, 후진 20 ㎞/h에 추중비 ~22까지 나오는 덕에 엄폐물 간 이동은 물론 사격 후 빠른 엄폐까지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포탑이 워낙 작아서 헐 다운하면서 앞뒤로 내빼는 Y5 T-34를 맞히는게 상당히 힘들다.
  • 내림각: T-34 포탑을 달았는데 내림각이 -10도가 되었다. 좋은 기동성과 작은 포탑과 어우러져 헐 다운시 상대하기 힘든 전차로 악명을 떨친다.
  • 조준 시간: 기본 조준 시간이 1.51초로 동급 2위이다. 기동간 사격 추가 분산도도 그럭저럭 나쁘지 않다.

단점
  • 차체 장갑: 크롬웰 차체이므로 방호력이 없다. 5단계라 Smasher가 아닌 KV-2만 만나는 건 다행이지만 장갑 두께가 65 / 42 / 42 ㎜이므로 강화 부품 +[1]이 나은 선택일 수 있다. 최대한 헐 다운하고 폭로 면적을 줄여서 중대구경 저명중률 주포에 맞는 일을 피하자. 내구도가 낮은 편이라 한 방 제대로 맞으면 뼈아프고 2발 맞으면 차고로 간다.
  • 분산도: 조준은 빠르지만 분산도가 화력 1번만 모두 골랐을 경우 0.385 정도에서 논다. 정조준은 필수다. 조준 하는 사이 맞을 것 같다면 내구도를 보전 하는 걸 선택 하는게 나을 수도 있다.
  • 낮은 DPM과 내구도: 단독으로는 크게 문제가 안 되지만, 1:1 결투 상황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유리한 상황을 잡고 진입했음에도 간신히 이기거나 양패구상하는 경우가 잦다. 완벽한 상황이 아니면 방심 하지 말자. 만약 6탑 체력깡패 토그를 만났다면... 명복을 빈다.

패치 사항

기타

2.2. Stridsvagn 74A2(스트리스방 74A2)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Strv 74 A2 76/76/51 mm 269.3 m 59.57 도/초 1 010 5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Twin Scania-Vabis 607 374 마력 20 % Kg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Strv 74 A2 26. 74톤 49.64 도/초 5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클립 장전/클립 간격/클립 용량
7,5cm L/56,5 kan Strv 74 135/180/38 mm 160/135/200 AP/APCR/HE 4 단계
102 발 0.337 m 3.9 초 11.52 초 / 1.5 초 / 3 발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76/63/63 mm 45 km/h 26.74 톤 360/ +9/ -6도 구매 불가
파일:external/static-wbp-us.gcdn.co/3_strv-screen-01.jpg파일:Stridsvagn74A2.png
승무원 구성 :

개요
스웨덴의 Strv 74 전차 개발 기획안 중 하나로 프랑스 AMX-13 전차의 요동 포탑과 7,5 cm kan strv 74 주포를 장착할 계획이었지만, 요동포탑이 포탑링에 맞지 않아 실제로 생산되지는 않았다. 출시 당시 기준으로 블리츠에 스웨덴 트리가 없는 관계로 기타 국가로 나왔다. 그러나 이후 유럽 테크트리가 나옴에 따라 차후 램 2와 AC 1 센티넬, AC 4 센티넬처럼 국기만 바뀔 수도 있다. 6.5패치에서 스웨덴 국기로 바뀐다.공식 홈페이지

공격
3발 클립 자동장전 장치를 가진 6단계 중형 전차 답게 순간 화력은 보장 된다. 탄값 또한 골탱 답게 30 / 1 200 / 15 크레딧으로 무척이나 저렴하다. 탄간 재장전 시간은 1.5초, 탄창 재장전 시간은 13초 중반 까지 내릴 수 있다.

관통력은 135 / 180 / 38mm로 보정 포탄을 쓰면 142 / 189 / 42mm가 된다. 상대 중형 전차를 상대 하는 데에는 문제 없고 중전차 상대시 골탄을 쓰거나 아군과 교전하는 틈을 타서 약점 정조준 사격 혹은 단거리 측면 기습을 하면 된다.
분산도는 0,355 까지 내릴 수 있으며 171 미터 쯤 되는 근중거리에서 안전한 위치에 자리 잡고 사격을 개시 하는 것이 좋다.

방어
차체 76 / 63 / 63mm에 포탑 76 / 76 / 51mm로 요동 포탑이라 포방패가 없어 정면에서 사격을 주고 받는 것을 피해야 한다.

그럭저럭 하위 단계 전차의 입사각 나쁜 탄은 종종 튕겨내며 중구경 이하 고폭탄에 내성을 가진 다는 점은 요긴 하다. 물론 확실히 대구경에 해당하는 122mm 이상의 주포에는 절대 피탄 당하지 않아야 한다.

기동
환풍기 + 고급 연료 + 환풍기 까지 올리면 차체 선회 속도는 49˚/s, 포탑 회전 속도는 58˚/s 선으로 상당히 신속하여 목표 변경 및 신속한 대응에 지장이 없다.

선회는 좋지만 주행성은 다소 별로다. 전진 최고 속력이 45km/h로 궤도 성능이 1 / 1,1 / 1,4로 경전차 수준이지만 엔진 출력이 낮아 유효 PWR이 14,2에 그쳐 순발력과 순항 성능은 그저 그런 편이다. 장거리 우회 공격을 하기에는 살짝 모자른 느낌. 작정 하고 고급 연료 + 엔진 가속기 + 개량 현가 장치를 올리면 그런대로 잘 움직인다. 후진 속력도 최고 20km/h로 나쁘지 않지만 순발력이 안 좋은 관계로 제때 빠지려면 살짝 먼저 움직여야 한다.

게임플레이
3초만에 150X3의 데미지를 넣을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해야 한다. 반면 기동성이 좋지 못하고 허약한 장갑과 낮은 관통력의 단점은 극복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이상적인 운용법은 격전지 바로 뒤에서 아군의 화력지원을 하는 방법으로 운용하는 것이다. 즉, 아예 라인전에 참여하지 않고 발포 후에도 본인의 위치가 노출되지 않는 곳에서 위치하는 구축전차보다 더 앞에 포지션을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적군의 어그로가 본인과 아군에게 적절히 분산될 수 있고, 낮은 관통력의 문제도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크게 문제되지 않게 된다.

기동력은 딱 AMX 12 t를 반토막 친 정도. 수익률은 145%로 싼 포탄 가격과 골탱 다운 저렴한 수리비 덕분에 철갑탄을 잘 써서 콕콕 딜을 박고 다닌 다면 꽤 버는 편이다. 1 200딜 하고 터져도 20 000 흑자, 내구도 100%에 2 400 딜을 한 흥한 판에는 65 000 크레딧 가까이 벌어온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승무원 숙련도 118%와 광학을 기준으로 시야가 296.3 미터 까지 나온다. 팀에 경전이 없을 때 수풀에서 최초 관측을 지원 할 수도 있다.

스팀 버전에선 DLC 품목으로 스트리스방 74A2, 흑연 희귀 위장 증서 10개, 희귀 경험치/자경/승무원/크레딧 부스터 100개, 100만 크레딧, 프리미엄 계정 30일, CVC 헬멧 아바타를 묶어 10,500원에 메가 팩으로 상시 판매중이다. 다만 이미 74A2를 가지고 있다면 사도 크레딧은 못받는다. 신중히 선택하자.

2.3. Y5 Firefly(Y5 파이어플라이) - 6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Y5 Firefly 76/51/51 ㎜ 240 m 41.72 도/초 950 6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Y5 Firefly 520 마력 == % == kg 6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Y5 Firefly == 톤 45.89 도/초 6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75mm Gun L1/B 130/180/38 ㎜ 160/120/200 AP/APCR/HE 6 단계
== 발 0.345 m 4 초 5.47 초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가격
(골드)
65/42/42 ㎜ 55/20 ㎞/h 27.27 톤 360/+25/-10도 구매 불가
파일:파플롬웰.jpg
승무원 구성 :

개요
5주년때 얻을 수 있는 6단계 셔먼 파이어플라이의 디펜더 버전이다. 장식으로 보라색 원자로를 얻을 수 있었다.

크롬웰의 차체에 셔먼 파이어플라이의 포탑을 얹고 외관 상 엔진을 원자로로 바꾼 버전이다. 실제 성능도 크롬웰과 파이어플라이의 중간 정도이다.원자로 2호기

공격
밥 다먹이고 장전기를 달 시 크롬웰 B와같이 DPM 2000을 자랑한다. 4.8초마다 160점 짜리 공격력을 퍼붓는다. 조준시간 3.1초, 분산도 0.326으로 매우 훌륭하다. 거기다가 크롬웰 B만큼은 아니어도 -10도의 우월한 내림각으로 불편함이 없다. 철갑탄 탄속도 1 000 m/s로 동급 중형 중 최고속이다.

다만 원본 파이어플라이보다 관통력이 낮다. 철갑탄 관통력 130 ㎜로 셔먼 파이어플라이의 171 ㎜에 비하면 41 ㎜이나 낮다.

방어
차체는 정면 65 ㎜, 측면 42 ㎜로 입사각이 아주 나쁜 탄 정도나 튕기는 수준이다. 포탑 장갑도 76 ㎜에 불과하지만 작아도 포방패가 있어 한두 번 탄을 튕겨내준다.

기동
최고속도 시속 55 ㎞로 베롬웰보단 못하지만 그렇다고 모자란 기동성은 아니다. 평균 속도 38 ㎞/h에 추중비는 21.9까지 올라간다.

게임플레이
원본의 -6도보다 더 좋은 -10도의 부각을 잘 활용하자. 차체 장갑은 영 믿을게 못된다. 민첩한 기동성과 2000 DPM의 속사포로 승부하는 것이 좋다.

파이어플라이라고 돼있긴 한데 비교 대상은 오히려 프리미엄 전차인 크롬웰 B, 일명 베롬웰, 이랑 하기 좋다. 크롬웰 B에서 관통력, 내림각, 기동성을 희생한 대신 사격 통제와 탄속을 강화한 버전이라고 보면 대략 들어맞는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2.4. Edelweiss(에델바이스) - 7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Edelweiss 100/40/40 mm 260 m 46.94 도/초 230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SN-230TRM 850 마력 20 % 750 kg 8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Edelweiss 42 톤 48 도/초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90 mm Kw.K. E/L56 150/210/45 mm 225/190/270 AP/APCR/HE 7 단계
64 발 0.38 m 2.3 초 6.9 초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가격
(골드)
90/40/40 mm 53 km/h 38.02 톤 360/+25/-8 도 4 900
파일:edelweiss-1.jpg파일:edelweiss-2.jpg
빠른 속력과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는 중형전차로 실험 전차로 제작되었다. 제1차 유로파 전쟁의 영웅 Belgen Gunther의 전투 경험을 기반으로 천재 공학자 Teimer가 설계했으며 제2차 유로파 전쟁 당시 갈리아 공국 의용군 제3 중대 제7소대에서 운용하였다. 양산되지는 않은 전차이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전장의 발큐리아 콜라보로 출시된 중형전차. 발큐리아 시리즈의 주인공격 전차인 에델바이스 호를 이식한 것으로, PC에선 8티어 전차로 등장했지만 블리츠에선 7티어를 배정받았다. 디자인은 원본처럼 독일 전차, 특히 3호 전차의 디자인이 섞인 것 같은 부분이 있어 3호 전차를 마개조 수준으로 만든 것 같은 느낌을 가지고 있다.

주포, 엔진, 정면 장갑 등 다방면에 걸쳐 7티어 중형 전차에게 요구 되는 적절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판터의 차체 장갑을 90mm 곡면으로 강화 하고, 차체 하단을 밑바닥까지 끌어 내린다음, 엔진 출력을 150 마력 정도 강화 후, 개량형 8,8cm L/56를 올려 놓은 듯한 전차.

공격
주포는 90mm Kw.K. E/L56으로, 90 ㎜급 평균 대미지 225 HP이다. 관통력은 일반 철갑탄 기준 150mm으로 지극히 평균이다. 관통력이 좀 모자란거 같지만, 판터의 7,5cm 100 구경장이 비상하게 높은 거지 대부분의 7티어 중형 전차는 140~150mm대 평균 관통력을 갖고 있다.

연사력은 장전기 + 전투 식량 + 통조림을 끼워 주면 10,32발/분으로 재장전 시간 5,81초 까지 향상 가능하다. 정지 사격시 조준 시간이 1,42초로 어지간한 구축 전차와 같은 수준이다.

정지 사격시 분산도는 T-43 수준으로 적정 교전 거리[2]는 173 미터이다.

기동을 시작하면 코멧 처럼 조준원이 크게 벌어진다. 수직 안정기 도움 없이는 100 미터 이상에서 기동간 사격은 맞히기 힘들다.

주포는 더미 주포이며 실제로는 탄이 포방패 위쪽에서 나온다.따라서 이를 이용해 헐다운을 하면 상대방에게 포방패만 보여준 상태로 사격할 수 있다.

방어
정면에서 바라보는 포탑의 면적이 마치 슈말투름 포탑처럼 좁고 100mm 굴곡 장갑에 포탑 정측면도 굉장히 예리하게 잡혀 있다. 포탑 정측면은 40mm로 얇지만 각이 매우 날카롭게 져있어 120mm 이하 포탄을 절대도탄각으로 종종 튕긴다. -8도 내림각의 도움으로 야트막한 경사를 타고 헐 다운하면 쏠쏠하게 적탄을 튕겨 낼 수 있다. 포방패가 아주 특이하게 생겼는데, 마치 전장의 발큐리아 여주인공이 쓰고 다니는 머리 장식 내지는 흰 토끼 귀 처럼 생겼다.

포탑은 작지만, 차체는 꽤나 큼직하다. 때문에 정면 굴곡이 그다지 좋지 않고, 측면 수직 장갑이 상당히 크게 드러난다. 정면과 달리 측면은 일단 장갑판에 덮여 있지만, 궤도 전체를 보호 해주진 못한다. 나머지 부분은 그저 40mm 수직 장갑이다. 차체 정면에 받음각을 주거나 낮은 엄폐물 뒤에 서서 포탑만 드러내고 싸우는 것이 좋다.

기동
최고 시속 53 / 20km에 고급 연료 보급시 935 마력 까지 올라가는 엔진 덕분에 추중비가 24,82 PS/t 까지 올라간다. 상당히 강력한 기동성을 활용한 측면 공격과 전선 후방 습격에 능하다. 차체 폭이 꽤 넓어 좁은 곳에서 운신이 다소 불편할 수 있다. 아군 끼리 부대끼는 곳에 갈 때는 주의해야 한다.

게임플레이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2017년 9월 갑자기 재판매를 하였다.

이 녀석 또한 밑의 하펜처럼 2명이서 운용하는데, 전차장이 포수를 겸임하고 조종수가 무전수를 겸임하며 자동장전장치를 채용해 장전수는 없다고.

2.5. Hafen(하펜) - 7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Hafen 120/120/75 ㎜ 260 m 42 도/초 1 100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DMA RD-620C2 715 마력 20 % 750 kg 8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Hafen 34 톤 47 도/초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82 ㎜ M35E4 145/195/45 ㎜ 190/160/250 AP/APCR/HE 7 단계
50 발 0.36 m 2.8 초 5.5 초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가격
(골드)
100/120/75 ㎜ 52 km/h 33.9 톤 360/+12/-7 도 구매 불가
파일:hafen_2.jpg파일:hafen_1.jpg
승무원 구성 :

개요
전장의 발큐리아 콜라보로 2018년 9월에 출시된 중형 전차이다. 다른 발큐리아 콜라보 전차들과는 다르게 전장의 발큐리아 4에 등장하는 빈란드 합중국산 에딘버러군 제식 전차 "미닛"이다. 외양은 전반적으로 M4 셔먼의 파생형이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로 셔먼의 느낌이 강하게 난다. 주포는 고증 무장인 75 ㎜급 주포가 아니고 82 ㎜ M35E4로 영국군 20 파운더 주포(83.4 ㎜) 보다 살짝 작은 해괴한 규격의 포를 달고 있다. 발당 190 대미지로 에델바이스 보다 DPS는 살짝 낮으나 재장전 시간이 최대 4.6초대 까지 내려가는 더 나은 연사력을 자랑한다. 또한 장비까지 다 꼈을 경우 822 마력 까지 나오는 엔진에서 나오는 기동성이 쓸만하다.

공격
주포는 82 ㎜ 급이지만 더 큰 85 ㎜을 쓰는 소련의 T-34-85 Rudy, T-43보다 연사력이 나쁘다. 관통력은 일반탄 145 ㎜, 고속철갑탄 195 ㎜로 평이하게 나쁘다. 관통력이 비슷한 코멧 같은 전차들처럼 배를 째고 전멸전으로 가거나 겁없이 중전차에 정면으로 덤비면 크게 데일 수 있다. 2 462 DPM이라 그렇게까지 낮은 화력은 아니고 장갑과 기동성을 최대한 활용하면 중간은 갈 수 있다. 다만 7단계 다른 중형 전차들 화력이 워낙에 좋다보니 좀 나뻐 보인다.

조준 시간 자체는 그럭저럭이지만, 분산도는 최상의 상태여도 0.335 수준이라 독일 수준의 저격 플레이는 힘든 편이다. 200 미터가 넘어가면 슬슬 약점 사격이 안 맞는 걸 느낄 수 있다.

일반탄의 100 미터 당 관통력 손실률이 13%대에 달하고 골탄이 고속철갑탄[3] 이라 장거리 정면 교전은 되도록 지양 하는 것이 좋다. 거리가 조금 멀어지면 슈퍼 퍼싱 해치를 맞히는 것도 뚫는 것도 어려운 수준이다.

주포 가동 범위에 하자가 있다. -7/+12도로 높은 차체 덕분에 내림각에 의해 고통 받는 경우가 다른 전차 보다 잦고 올림각도 문제가 있다.

방어
표기 장갑과 실제 장갑 모델에 차이가 있다. 블리츠행어 같은 데서 장갑 모델을 보면 차체는 100/75/40 ㎜이고 포탑 장갑은 120/75/45 ㎜로 나온다. 심지어 궤도로 덮이지 않은 측하단은 고작 50 ㎜ 장갑이다.

정면은 각 좀 주면 175~200 ㎜대 실방호력이 충분히 나오고 좁은 차체 하단은 각이 엄청나서 금강불괴 수준의 방호력도 종종 나온다. 약점은 차체 정면 해치 둘과 각이 없는 변속기 덮개. 포탑의 경우 양쪽 뺨이 잘 뚫리는 편이지만 포탑 폭로 면적은 적은 편이다. 75 ㎜에서 120 ㎜에 이르는 복합 경사식 포방패가 보호하는 부위는 좁은 면적에 한해 정말 무식한 수준의 방호력[4]이 나온다.

기동륜이 굉장히 크고 돌출 돼있어서 완전 노출시 빈번하게 피탄 된다. 바로 뒤에 발라진 차체 장갑이 50 ㎜에 불과해서 절대도탄각이 아닌 이상 139 ㎜ 이상 관통력을 가진 탄에 다 뚫리면서 궤도도 나가버리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 기동륜은 하펜 끼리의 미러 매치에서 변속기 덮개와 더불어 일단 노리고 보는 약점이다.

기동륜, 전면 해치, 변속기 덮개, 포탑 양옆 뺨 등 정조준하면 쉽게 뚫리는 약점이 산재해서 묻지마 탱킹은 무리지만 쏘고 빠르게 숨는 빼꼼샷 플레이 중에는 꽤 도움이 되는 편이다.

기동
원작 설정의 400 마력 엔진을 가지고 나왔다면 희대의 굼벵이가 되었을 테지만 다행히 기본 715에 최대 822 마력이 나오는 가공(?) 엔진을 얹어서 중형전차 중에서 기동성은 중상 정도 된다.

유효 추중비는 최대 24 / 20 / 15 가량 나온다. 험지 기동력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최고 속력도 전진 52, 후진 20 km/h로 중형 전차로서 기동전 수행에 문제 없는 수준이다.

선회도 괜찮은 편으로 차체 58도/초, 포탑도 50도/초 선까지 올라간다.

게임플레이
전형적인 빼꼼샷(Peek-A-Boo) 지향 중형전차. 가파르지 않은 적당한 경사지나 얕은 둔턱 혹은 변속기와 차체 해치를 가려줄 중간 높이의 엄폐물 뒤에 자리 잡은 뒤 계속 해서 들락날락 거리며 사격을 반복 하고 상대방에게 최소한의 조준 시간을 내주는 스타일에 어울리는 전차이다.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출몰하면 상대의 어그로를 끌어서 미리 조준원을 조여 놓고 쏘는 경계 사격에 당할 수 있으니 적당히 쏘고 다른 자리로 옮기는 것이 좋다.

중형 전차 치고는 상당히 정면 방호가 좋아 제대로 조준하지 않고 날아온 포탄은 잘 튕기는 편이다. 하지만 대놓고 믿을만한 방호력은 아니다.

기동성이 우수한 편이기 때문에 어그로가 끌릴 거 같으면 히트 앤 런도 무난하게 할만 하다.

시야는 승무원 숙련도 113%에 광학 장비를 달면 302 미터로 7단계 중형전차 중에서 쓸만한 편이다. 수풀을 이용한 제한적인 아군 관측 지원이 가능할 정도.[5]

내구도에 우위가 있다면 높은 DPM을 믿고 1:1 결투를 거는 전차를 보고 당황할 필요는 없다. 하펜은 이리저리 틀면 난전에서도 탄을 잘 튕기는 편이고 선회 성능도 좋으며 순발력도 상위권이다. 다만 내림각에 비해 차체가 지나치게 비만이라 초근접전에서는 불리한 편이다.

반대로 상대 무포탑 구축전차 같은게 근거리에 보이면 과감하게 뺑뺑이를 시도해서 털어버리는 센스도 추천 할만 하다. 물론 상대방의 발포를 보고 들어가야 한다.

추천 장비
장비는 전형적인 중형 전차와 같이 맞추면 좋다. 장전기[6], 강화 부품[7], 광학 강화 장치, 조준기[8], 정밀 조립[9], 엔진 가속기[10], 수직 안정기 정도면 충분히 활약 가능하다. 하펜 패키지는 9개 장비가 전부 열려 있기 때문에 장비 없이 싸우는 일은 없을 것이다.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이름인 하펜은 독어로 정박지 혹은 항구다. 영어로는 Harbor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야마토 정박지의 독어 표기는 Yamato Haffen이다. 이는 전차장인 클로드 월러스의 고향 이름이기 때문이다. 마을 이름이 항구(...)

원작에서는 셔먼과 취급이 비슷한 좀 구식인 제식 전차이다. 작중에도 불평이 많으며 75 ㎜ 주포를 장비하고 있다. 후에 셔먼 파이어플라이랑 비슷한 개수를 받는다. 블리츠에서는 그냥 82 ㎜ 가공 주포를 달고 나온다. 물론 전차 자체가 가공물에 나오는 거라 고증 따위 상관 없다.

설정상의 크기는 5,9 x 4.05 x 3.05 m로 블리츠에서 구현된 5,56 x 3,7 x 2,58 m는 원본의 73% 정도 크기이다. 전차가 작을 수록 폭로 면적이 작으니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원작에서 31 톤이었던 중량은 33,9톤으로 증가했다. 승무원이 3톤을 차지 하는 건지도

본질적으로 캐릭터 게임인 원작에서는 탑승자가 전차장 클로드와 조종수 마일즈 딱 둘이다! 전차장이 포수/장전수를 겸임하고 조종수가 나머지를 다 한다.

2.6. Y5 ELC Bis(Y5 엘크비스)- 7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Y5 ELC Bis 65/42/42 ㎜ 250 m 41.72 도/초 1200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Y5 ELC Bis 520 마력 == % == kg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Y5 ELC Bis == 톤 43.81 도/초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75mm Gun L1/C 145/202/38 ㎜ 160/120/200 AP/APCR/HE 7 단계
== 발 0.345 m 3.9 초 4 초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가격
(골드)
65/42/42 ㎜ 55/20 ㎞/h 25.1 톤 360/+13/-7도 구매 불가
파일:엘퀴롬웰.jpg
(전차백과 설명)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크롬웰 차체를 쓴 5주년 시리즈의 마지막인 7단계 중형 전차. AMX ELC bis의 포탑을 크롬웰 차체에 올렸으며 원본과 달리 360도 선회 포탑과 높은 DPM을 자랑한다. 다른 Y5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원자로 장식을 가지고 있으며 전기 모터로 돌아가는듯한 기동음이 특색이다.원자로 3호기

공격
3.52초를 끊는 고연사력을 바탕으로 2 725 DPM까지 나오는 고화력이 장점이다. 철갑탄 탄속도 1 000 m/s로 동급 중형 전차 중 1위이다. 조준 시간과 명중률, 기동간 분산도도 괜찮은 축에 든다.

은탄 관통력이 코멧보다 낮은 145 ㎜로 대충 쏘면 별의별 전차가 포탄을 튕겨내는 진풍경을 감상 가능하다. 프리미엄 탄을 들면 관통력 202 ㎜가 보장 되지만 DPM이 2000대로 추락한다. 고속철갑탄 공격력이 철갑탄에 비해 25%나 낮은 120 HP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Y5 시리즈와 다른 최대의 단점은 내림각. 아주 납작한 포탑에 -7도 내림각이라 Y5 T-34나 Y5 Firefly와 달리 포탑만 내밀고 싸우는게 매우 힘들다.

한 방 공격력이 160 HP란 것도 슬슬 문제가 되기 시작한다. 내림각과 허접한 장갑, 그리고 낮은 관통력 덕분에 제 화력을 발휘하려면 노출 시간이 너무 길어진다.

방어
장갑이 얇기로 유명한 크롬웰에 5단계 경전차 포탑을 올린 셈이라 7단계 전투에서는 방호력이 없다. 비좁은 포방패 마저도 140 ㎜대 방호력이라 대놓고 뚫리는 수준이다.

KV-2와 Smasher의 아주 좋은 먹이가 된다. 대구경 고폭탄을 관통 당하고 화재 발생하면 한 방에 차고로 가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다.

차체는 판터급으로 커다랗고 중량은 25 톤으로 경전차 수준이다. 즉, 충각 당하면 엄청난 내구도가 증발한다.

기동
7단계까지 끌고온 크롬웰 차체인만큼 전진 최고 속력 55 ㎞/h에 유효 추중비가 26에 달하는 등 기동성은 여전하다. 하지만 7~8단계 전투에서는 LTTB, Dracula, AMX CDC 같이 Y5 ELC bis를 능가하는 기동력을 가진 경/중형전차가 날뛰기 시작한다. 낮은 관통력과 나쁜 내림각 덕분에 기동간 사격이 자주 튕겨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게임플레이
내림각과 포방패를 빼버린 코멧 같은 느낌의 중형전차이다. 최대한 엄폐물에 숨어서 어그로가 안 끌리게 있다가 발포한 적 전차에 한 발씩 먹이고 다시 숨는 것을 반복하는 전선 지원에 어울리는 전차. 이동시 위장률이 유지 되는 경전차도 아니라 초반에 최전선에 나가면 아차하는 순간 집중 사격 받고 순식간에 차고로 가버린다. 전선에 나선 아군을 방패 삼아 싸우는 것이 필수적이다. 높은 DPM이 나쁜 내림각과 관통력 때문에 많이 저하 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최대한 고속철갑탄을 동원하는 것이 좋다.

1:1 대결에서는 높은 DPM으로 유리하다고 할 수 있지만 정면이 튼튼한 전차와 헤드온하면 그렇게까지 유리하다고 할 수 없고, 큰 차체와 가벼운 중량 덕분에 상대방이 충각과 함께 사격 하면 뭘 해보기도전에 궤도 끊기고 내구도를 크게 잃게 된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기타

2.7. M4/FL10 - 7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포탑 M4/FL10 76 / 30 / 20 ㎜ 255 m 47.98도/초 1 250 7단계 요동포탑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단계 비고
GMS 6046B 410 마력 15 % 7 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지형 돌파 능력 (도로/야지/물) 선회 속도 단계 비고
현가장치 M4/FL10 110 / 79 / 69% 52.15도/초 7단계 최종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클립 장전/클립 간격/클립 용량
주포 75 ㎜ SA50B 144 / 202 / 38 ㎜ 160 / 135 / 175 AP / APCR / HE 7단계
48발 0.345 m 4.3초 4.31 / 3.84 / 3.36초, 1.33초, 3발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좌우/내림/올림) 가격
(골드)
76 / 40 / 40 ㎜ +52 / -20 ㎞/h 28.21 톤 360 / -6 / +8도 구매 불가
파일:egypt_sherman-01.jpg파일:egypt_sherman-02.jpg
이집트 기갑 부대의 요청으로 Batignolles-Châtillon사에서 개발한 전차이다. M4 Sherman을 현대화한 대표적인 전차라 알려져 있다. 처음으로 제작할 때는 M4A1의 차체에 AMX 13의 FL 10 포탑을 장착하였지만, 그 후 대부분 M4A4의 차체를 사용하였다. 총 50대가 제작되었으며 이집트 기갑 부대에서 1960년대 중반까지 운용하였다. 그 후 남은 전차 중 운용할 수 있는 전차는 가자 지구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제20 사단으로 이전되었다.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미국제 M4 셔먼(M4A4)의 차체에 프랑스제 75 ㎜ SA50B 주포를 달은 요동포탑을 얹은 괴상한 물건이다. 미국 소속도 프랑스 소속도 아닌 기타 국가로 분류되어 추가 되었다.

실제로 개발된 차량으로 실전 투입도 되었는데 정작 이를 사용한 국가는 이집트이다. 이집트군의 요구로 프랑스 회사가 AMX-13의 포탑인 FL10을 M4A4 셔먼 차체에 올려서 납품 하였다. 이집트군은 이 차량의 엔진을 자국이 보유한 M4A2 신품 셔먼의 디젤 엔진으로 교체 하였고 1956년에 실제로 배치 및 실전 투입 되었다. 다만 이 전차는 당시 이집트군으로서도 땜빵 전차로 간주 되었기 때문에 1967년에 살아남은 전차 30대 전부가 가자 지구에서 창설된 제20 팔레스타인 전차 사단에 공여 되었다. 이 전차들은 이후 6일 전쟁에 투입 되어 반수 가량이 이스라엘군과 교전 중 파괴 되거나 야전에서 유기 되었다. PC판에서는 프랑스 개량형이라는 점에서 프랑스 소속으로 출시되었지만 블리츠에서는 기타 국가에 배정되었다.

이탈리아 테크트리보다 앞서 블리츠 최초의 자동재장전장치를 가진 주포를 달고 나왔다. 본가 월탱에서 이탈리아 전차에 달려있는 그 주포이며 메커니즘이 다소 복잡하다. 첫 번째 탄과 두 번째 탄, 세 번째 탄이 재장전시간이 다 다르고, 다른 클립포와는 달리 3발을 한 발씩 장전한다. 한 번에 전부 쏘고 숨어도 되고, 한 발씩 사격 하면서 간을 보는 것도 좋다.

공격
75 ㎜ 주포는 코멧과 비등비등한 하드웨어 성능을 가진 주포이다. 144 ㎜의 관통력과 160 DPS의 공격력 등 7단계 중형전차가 가질만한 표준적인 성능의 주포이다. 하지만 자동재장전장치 하나로 다른 모든 전차와 차별화가 가능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가지고 나온 덕분에 등장시 일약 화제가 되었다.

최대 3발 장전에 탄간 1.33초의 신속한 사격이 가능하다. 4.5초[11] 재장전시간의 단발 주포 처럼 쓰다가 기회를 잡으면 2.66초만에 3발 480 대미지라는 128 ㎜ 주포의 한 방을 살짝 넘는 큰 피해를 입히고 빠질 수도 있다. 이 유연한 장전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것이 M4/FL10 화력의 핵심이 된다. 대신 DPM 자체는 단발 주포 중형전차 보다 낮으니 주의.[12]

요동포탑 치고도 주포 상하 구동각이 형편없다. 얼마나 형편없냐면 주행 중에 저격 모드를 키면 위아래에 동시에 구동각 제한선이 보일 정도이다. 가급적이면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 기동사격전을 벌이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그나마 -6도 내림각은 동구권 전차를 많이 몰아 봤다면 적응이 쉬운 편이다. 대신 기본 조준 시간[13]이 1.52초대 까지 내려간다.

방어
차체 정면 상단이 122 ㎜대 실방호력을 가진 것이 최대로, 딱히 장갑에 강점이 없다. 해당 부위도 어차피 저관통포를 달고 있는 6단계 전차를 상대할 때 말고는 탄을 튕겨내지 못하니 클립 전차 답게 아군을 방패 삼아 화력을 극대화 하고 받는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전념해야 한다.

억지로 내림각 -6도를 다 끌어다 헐 다운 할 경우 차체 정면 상단은 153 ㎜ 가량, 포탑은 110 ㎜대 방호력을 낸다. 포방패가 없는 고로 모든 동단계 이상의 전차가 헐 다운 하든 말든 M4/FL10을 포탑, 차체 안 가리고 다 뚫을 수 있다. 얌전히 있지말고 최대한 바쁘게 앞뒤로 오가면서 어그로 끌리는 일을 피하자. 상대 전차의 주포가 자기를 노리고 있는지 파악 하는 것도 반쯤 필수이다.

증가장갑인지 모르지만, 측면 장갑 중간에 상당한 면적으로 장갑판이 덧대어져 있는데 이 부위는 76 ㎜ 두께를 갖고 있다. 상대방이 측면을 맞췄는데 튕겨 나갔다면 이 부위에 비스듬히 맞은 것이다.[14] 물론 이거 믿고 티타임을 걸면 안 된다. 나머지 부위는 사정 없이 40 ㎜ 두부 장갑이다.

후면 장갑은 20~40 ㎜로 상대가 고폭탄의 유혹을 느끼는 수준이므로 절대 노출 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여기에도 상단에 배기구 덮개 같은게 있는데 이게 10 ㎜지만 공간장갑 판정이다. 후면에 맞은 고폭탄이 방사 피해로 그친다면 정말 운 좋게 여기 꽂힌 것이다.

기동
최고 속력은 +52 / -20 ㎞/h으로 후진이 좀 괜찮고 도로 지형 돌파 능력도 110%로 비전투 주행 자체는 쾌적하다. 엔진이 고급 연료와 가속기를 달아도 517.5 마력 정도라 추중비가 18.3 수준이다. 민첩하게 회피 기동이 가능한 수준의 기동성은 아니다. 그래도 그럭저럭 중형전차에 충분한 전술 기동력을 갖고 있다. 장비와 군용품을 충실하게 갖출 경우 평균 속도 33 ㎞/h대를 카탈로그에서 찍을 수 있다.

선회 성능은 좋은 편이다. 적당한 승무원 기술 레벨을 갖춘 상태에서 숙련도, 군용품, 장비를 완비했을 때 기준으로 차체 선회가 64도/초, 포탑 선회도 57도를 찍는다. 고로 뺑뺑이 돌릴 때 선회합이 무려 120도/초에 육박하는 상당한 선회전 성능을 갖고 있다. 평탄하고 단단한 전장에서 구축전차나 중전차에 선회전을 걸기에 충분하고 남는 수준이다. 히지만 장갑이 없으므로 일대일 상황이 확실하지 않은 조건에서 선회전을 거는 건 그냥 게임을 던지는 것이니 주의하자.

장갑이 얇고 중량이 저렴한 28.21 톤이므로 판터를 위시한 7~8단계 충각쟁이 전차들에게 찍히는 일이 없도록 하자. 애초에 경장 클립포 전차이므로 내구도를 최대한 아껴야 한다.

게임플레이
기본적으로 경장갑 클립 주포 전차라는 걸 염두에 두고 활동해야 한다. 아직 정찰하지 않은 지역에는 먼저 진입 하는 걸 피해야 한다. 흔히 1.5선이라고 부르는 주전선 바로 뒤의 야트막한 둔덕이나 수풀 등의 은엄폐를 확보한 상태에서 아군과 적군이 개전을 시작하면 지원역으로 투입 되는 것이 좋다. 주포 구동각이 안 좋기 때문에 지형을 너무 끼고 도는 건 좋지 않을 수 있다. 공격 기동 혹은 공격 후 방어 기동 자체는 그런대로 준수해 오래 노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 전차의 핵심 메커니즘이자 블리츠 최초로 주목 받는 자동재장전 주포는 일반 클립 주포에 비해 약간 복잡하다. 1발 이상의 탄을 소모한 와중에도 계속해서 재장전이 진행 되는 것은 맞지만 탄간 재장전 시간이 지난 다음에 재장전 시간이 돌기 시작 하며 재장전 도중 차탄을 발사하면 현재 재장전은 초기화 된다. 완전 장전시 초탄은 카탈로그 상에서 포탄 3이라고 표시 되는 탄을 발사하며 숙련도 113%[15] 기준으로 1.33+3.17=4.5초 만에 재장전이 된다. 하지만 차탄을 발사하면 재장전은 1.33+3.62=4.95초로 약간 늦어진다. 한가지 특이점은 마지막 탄인 탄 1을 발사하고 나서인데 이때는 차탄이 없어 탄간 대기 시간이 적용 되지 않으므로 4.07초 그대로의 재장전 시간이 돌아간다. 즉, 급한 상황에서는 3발 다 쏘고 재장전 되는 대로 발사하는게 DPM은 제일 높다. 장비 체계가 표준화 된 블리츠 특성 상, 본가 월탱과 달리 장전기는 달 수 없다.

따라서 M4/FL10의 운용은 기본적으로 단발 사격, 기회 잡으면 전탄 사격 후 철수 혹은 재장전 되는 대로 발사가 주전법이 된다. 원할 때 2.66초만에 480 HP를 날려버릴 수 있다는 것은 유연성이 높은 운용이 가능하므로 이 ALL OR ONE 사격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다.[16]

기본적으로 DPM이 우월한 것이 장점이 아니므로 자신보다 화력이 좋은 판터나 코멧 같은 전차와 무작정 일대일 전투를 거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클립 전차니 무조건 1~2대의 아군과 협공 하는 것을 익히자.

추천 장비

장점
  • 유연한 자동재장전장치 주포
  • 사격 성능[17]
  • 쓸만한 기동성

단점
  • 관통력
  • 상하 포각
  • 장갑

패치 사항

기타
미국 차체에 프랑스 포탑, 이집트 소속인데 기타 국가로 분류되어 한국어 UI 상에서는 흥겨운 김병장 목소리가 난다. 워해머 40k 콜라보인 프레데터/빈디케이터와 발큐리아 콜라보인 에델바이스 등에서도 나타나는 사소한 옥의 티(?)이다.

2.8. O-47 - 8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RX-20-1 130/80/60 mm 250 m 45.89 도/초 270 8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Minkovsky engine 650 마력 15 % 750 kg 10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RX-20-1 40 톤 45 도/초 8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90mm MMP-80 190/260/45 mm 225/190/270 AP/HEAT/HE 8 단계
100 발 0.37 m 2.1 초 8.45 초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가격
(골드)
100/60/60 mm 55 km/h 37.04 톤 360/+16/-8 도 7 300
파일:o-47-1.jpg파일:o-47-2.jpg
양쪽에 귀처럼 생긴 파츠가 약점으로 장점이고 뭐고 전부다 말아먹으니 이런 탱크 사지말고 치킨이나 뜯어라.
승무원 구성 :

개요
워게이밍건담 시리즈에 참여한 것으로 유명한 일본 메카닉 디자이너계의 대부 오오카와라 쿠니오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출시한 전차이다. 나름 고심해서 준비한 듯 <아티스트 시그니처>라는 거창한 이름의 시리즈의 첫 타자로 나온 것이라고 자신만만하게 홍보했지만 판매 실적이 만족스럽지 못 했는지 월탱 블리츠에 나온 처음이자 마지막 아티스트 시그니처 전차가 되었다.

전체적으로 오오카와라 쿠니오 풍의 디자인을 보여준다. 이름부터가 1947년생인 그의 생년과 성씨를 따서 지은 것이며, 형상 자체는 그가 디자인한 지온 공국의 전차 마젤라 어택을 닮았다. 오오카와라 쿠니오가 그린 컨셉 아트

"메카 피닉스"라는 이름의 전설 위장도 존재하는데 해당 위장을 사용하면 이름답게 일본 메카물 풍의 도색이 들어간다. [18]

부품을 뜯어봐도 깨알같은 건담 시리즈 이스터에그가 많은데, 포탑과 궤도의 부품명에 들어간 RX는 우주세기 팬들에게 익숙할 모빌슈트의 코드명이고, 엔진은 무려 미노프스키 엔진 인데다가, 주포는 자쿠 II가 사용하는 90mm MMP-80 머신건이다.

콜라보레이션 전차라는 점에서 라이센스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라이센스가 만료될 경우 재계약이 되지 않는 이상 더 이상 획득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공격
전체적으로 애매한 성격의 90mm 주포를 사용한다. 원작에서는 무려 대 MS용으로 나온 머신건이지만...그냥 이스터에그 식으로 이름만 따왔다고 보면 편하다. DPM부터 관통력, 명중률, 조준시간, 내림각까지 모두 평균~평균 이하를 왔다갔다 하는 그저 그런 수준의 성능을 보여준다. 좋게 말하면 나사빠진 점이 없지만 나쁘게 말하면 특별한 장점 또한 없는 주포이다. 그냥 적당한 90mm 주포로 생각하고 몰면 된다.

방어
전체적으로 각이 적절하게 들어간 형상 덕분에 나쁘지 않은 방어력을 보여준다. 특히 차체 측면은 60mm에 추가적으로 사이드스커트에 의해 완벽하게 감싸져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역티타임에도 문제가 없다.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포탑인데, 포탑 전면부의 장갑 자체는 훌륭하지만 포탑 양 옆의 커다란 귀처럼 생긴 부분[19]이 170mm로 얇고 수직 형상이다. T29처럼 공간장갑이 아니라 엄염한 포탑의 주장갑 일부 취급이라 여기를 얻어맞으면 체력이 쭉쭉 빠져나간다. O-47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 향후 HD화 될때라도 이 부분이 전부 공간장갑으로 바뀌거나 히트박스에서 빠진다면 그나마 나아지겠지만, 결국 약점 부위가 바뀌지 않으면서 포탑 귀때기가 치명적인 약점으로 남았다.

기동
기동성 역시 마찬가지로 평균~평균 이하를 왔다갔다 한다. 애매한 출력의 궤도 성능과 엔진 출력으로 가속력은 남들보다 조금 부족한 편이지만 최고 속력은 나쁘지 않아 가속만 어느 정도 충분히 되면 기동 자체는 쓸만하다. 선회력 또한 특별히 부족한 점 없이 쓸만한 수준으로 나온다.

게임플레이
특장점이랄게 딱히 없기 때문에 그냥 무난한 중형전차로 몰면 된다. 포탑 장갑이 굉장하긴 하지만 약점 부위가 명확하고 커서 대놓고 헐다운 전략을 고집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빠르게 치고 빠지며 약점을 맞히기 힘들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적으로 흥미롭게 생긴 외형과는 다르게 이처럼 성능이 전혀 흥미롭지 못 하게 나와서 출시 직후에도 인기는 시들시들 하였다. 현재도 공방에서 흔하게 보이는 전차는 아니며, 유저들 사이에서도 수집용 전차 정도로 취급된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 11.8.0.1 마이크로 패치를 거치면서 HD화 되어 PBR 텍스처를 받았다.[20] 모델링도 재작업되어 보기륜이 더 디테일해지는 것과 같은 변화가 생겼다. 그러나 포탑의 약점 부위들은 변함없이 그대로 남았다.

기타
2025년 5월 기준으로 디자이너와의 계약이 조만간 만료되어 더 이상 얻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카더라가 나왔다. 이와 관련되어 마지막으로 판매하는건지, 잠수함 패치를 통해 먼저 HD화 된 동시에 상점에서 순차 패키지 상품으로도 나왔다.

월탱 블리츠 마이너 갤러리의 어떤 유저가 만든 '오사칠콘'이라는 디시콘도 있다.

3. 구축전차

3.1. Helsing(헬싱) - 7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Helsing type1 80/50/40 mm 240 m 16 도/초 1000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Aether W-20 500마력 20% 530kg 8 단계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Helsing type1 27 톤 30 도/초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재장전 시간 /
탄간격/
(클립 탄수)
85mm Twin X-Barren mod1 170/220/45 mm 200/200/300 AP/APCR/HE 8 단계
100 발 0.36 m 2.1 초 10/0.25 초 (2발)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출고 중량 좌우 포각/올림각/내림각 가격
(골드)
60/40/40 mm 60 km/h 24.98 톤 360/+15/-6 도 4 900
파일:helsing-2.jpg파일:helsing-3.jpg
파일:Helsing-raven_1.jpg파일:Helsing-raven_2.jpg
(전차백과 설명)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2016년도 할로윈 전차로, 모티브가 된 것은 소설 드라큘라에 나오는 반 헬싱이다. 영화 반 헬싱의 영향을 좀 더 강하게 받은 느낌이다. 영화에서도 헬싱의 적은 드라큘라.디자인이 프로토스한테 전차가 있다면 이런 느낌일거같다는 느낌으로 생겼다. 왜 토스 전차 있잖아 단지 걸어다닐 뿐이지

AMX CDC의 디자인을 가져온 드라큘라와는 달리, 헬싱은 워게이밍이 만들어낸 창작 전차이다. 공식 설정에 의하면 결투중 드라큘라가 패배할때 끔찍한 예언[21]을 하고, 원작의 그 헬싱이 전차로 환생(?!)했다는 이뭐병스러운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공격
주포는 85 ㎜ 쌍열포로 평타 200 x 2에 평관 170 ㎜이다. 구축전차 치고는 철갑탄 관통력이 안 좋은 편이라 화력 1번 장비는 보정 포탄이 좋을 수 있다. 독일제 8,8 ㎝ Kw.K. 43 L/71와 8,8 ㎝ Kw.K. 36 L/56을 반반 섞어놓은 느낌이다. 전탄 관통을 계속해서 기록한다는 가정하에 환풍기 없이도 식량 2종만으로 DPM이 2 580 정도 나온다.

2연장 포의 매커니즘은 사격 버튼을 누르면 초탄 발사후 자동적으로 0.25초 후에 차탄이 발사 되는 식이다. 그래서 한발씩 끊어쏠 수는 없다. 발당 공격력이 200이라 다 맞히면 400정도의 피해를 주니 7단계 구축값은 하지만, 전탄 명중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지 않아 DPM을 완전히 발휘 하려면 숙련이 필요하다.

포탑 선회속도가 워낙 느려 빠르게 기동하는 전차를 쏘다 보면 한발만 관통되고 한발은 튕기거나 궤도에 씹히거나 아예 빗나가는 일이 많다. 최고 속력이 높고 포탑이 달렸어도 본질은 구축전차이므로 포탑을 선회하면서 쏘거나 기동사격 시에는 명중률이 상당히 안 좋다. 정지 상태로 완전히 조준을 마치고 조여야 중거리 이하에서 전탄 명중이 보장된다.

주포 상하 가동 범위가 -6~15도로 좁아서 공격할 자리를 잘 골라야 한다. 평탄한 지면을 끼고 있는 낮은 둔턱 뒤에서 싸우는 것이 좋다.

2연발 연사 능력은 이후 10.1 업데이트에서 '더블샷'라는 이름의 특수 메커니즘으로 분류되었고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안내창도 추가되었다.

방어
가장 두꺼운 정면도 포탑 80 ㎜, 차체 60 ㎜로 얇지만, 형상이 특이해서 매직 도탄을 자주 낸다. 정면에서 똑바로 본다는 가정하에 장갑 경사가 매우 날카로워서 차체 상단도 막 쏜 탄 정도는 튕겨낸다. 8단계 전차가 저격 모드로 봐도 헬싱 상판이 빨갛게 보일 정도. 그래서 관통력이 낮은 전차가 헬싱을 정면에서 만나면 매우 까다롭다. 하단은 장갑이라고 부르기도 뭣하지만 티타임 하기가 편한 형상이므로 잘 활용하자. 내구도는 1 000으로 적당히 있는 편이다.

차체 최상단이 곧게 서있어서 이 부분은 딱 60 ㎜ 방호력이므로 잘 튕긴다고 차체 까지 내밀고 가만히 있으면 십중팔구 뚫리니 주의. 그외에도 차체 상단 중앙에 경사가 적게 진 부위가 있는데 이 부위도 120 ㎜ 정도 방호력을 가지고 있어서 이곳에 맞고 뚫릴 수도 있다.

포탑도 포방패가 보호하는 부분은 특이하게 생긴 포방패가 여러 겹으로 둘러져 있어 사실상 무적인 부위이고 포탑 하단부도 굉장히 튼튼하나 포탑 상단과 측면은 80~100 ㎜ 정도로 조준 사격에 맞으면 잘 뚫린다. 포탑이 작은 걸 이용해서 최대한 노출 면적과 시간을 줄여야 오래 산다.

기동
24.98톤에 500 마력 엔진으로 추중비가 22.0 hp/t 까지도 나온다. 그만큼 주행이 빠르고 도망치거나 아군 지원을 갈 때 길에 버리는 시간이 적다.

반면 차체와 포탑 회전 속도가 구축전차 답게 매우 안 좋다. 고급 연료를 주어도 포탑 선회는 초당 20도를 넘지 못하고 차체 선회 속도도 40도가 최대이다. 이 느린 선회에 익숙하지 않으면 주행하다가 장애물이나 갈림길을 만났을 때 들이박는 경우가 많다.

게임플레이
목이 돌아가는 구축전차 특유의 유연성과 쌍열 클립식 주포로 이 전차만의 기교적인 전투가 가능하다. 나사 빠진 차체와 포탑 회전 속도를 빼면 운용에 큰 걸림돌이 없다. 이 또한 고급 연료 군용품을 장착하면 약간 완화되는 편이다.

한 번에 400점 가량 입히는 피해량은 적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중거리 저격 외에도 중형전차를 따라갈 수 있는 기동력을 이용해 중형전차 끼리 치고 박는 전선 뒤에서 헐 다운을 통한 효율적인 견제가 가능하다. 반면 빈약한 관통력 때문에 중전차가 싸우는 전선에서 지원은 좀 어려운 편이다. 제대로 조준하고 조이지 않으면 소련 중전차 측면 같은 경우 맞춰도 죄다 튕겨나간다.

주행 능력이 구축전차 치고는 좋은 편이고 일단 포탑이 달려있기에 중형전차나 중전차를 주로 타던 플레이어도 어렵지 않게 플레이가 가능하다. 헬싱의 최고 장점으로 구축을 플레이 하지 않는 플레이어가 몰아도 위화감이 적다는 것이다. 덕분에 구축전차 승무원 기술을 올릴 때 부담이 적다.

공격 위치로 달려간 후 중형이나 경전차 처럼 곧바로 고개를 내밀고 쏘고 빠지기 보다는 일단 멈추고 포탑 방향을 제대로 잡은 후 조준원을 좀 가다듬어 살짝 내밀고 완전히 조준 후 사격하고 빠지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구축전차 본연의 은폐 후 완전한 장거리 저격은 2연발 쌍열포 특성상 화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거리에서 이른바 1.5선 화력 지원을 맡는 것이 좋다.

은탄 관통력이 많이 낮아 보정 포탄이 권장되며, 완전 조준 후 발사하는 구축전차지만 서는 위치가 1.5선이고 차탄 발사시 무조건 받게 되는 사격 후 추가 분산도 +1.800을 조금이라도 완화하기 위해서 수직 안정기를 채용하는 것이 좋다.

추천 장비

장점

단점

패치 사항
  • 같이 나온 드라큘라처럼 등장 당시 풀 네임은 Helsing H0이었다. 이후 시간이 지나고 패치로 드라큘라처럼 간결하게 헬싱으로 풀 네임이 변경 되었다.
  • 2022년 10월에 실시된 9.3 업데이트에서 할로윈 기념으로 Dracula, Lycan과 함께 HD화 되었다.

기타
월탱 시리즈 최초로 쌍열포를 달고 나온 전차다. 때문에 헬싱이 사실 워게이밍이 쌍열포 구상 초기에 테스트 용도로 블리츠에 출시한 차량이고, 2020년에 PC월탱에 추가된 소련 이중포신 중전차 계통도가 나온데도 헬싱이 영향을 간접적으로 준거 아니냐는 말도 있다. 향후 블리츠에도 PC월탱의 쌍열포 메커니즘이 추가된다면 헬싱도 주포 메커니즘이 변할 가능성이 생길 수도 있지만[22], 그 전에 프리미엄 전차라서 현재의 주포가 계속 유지될 가능성도 높다.

클립 주포지만 한번에 클립을 비우며 연사한다는 특징은 2020년에 나온 Annhilator에게도 이어졌다. 이후 PC판에서도 Char Mle. 75라는, 비슷한 매커니즘을 지닌 전차가 등장했다. 이쪽은 9티어 경전차고 2연발 대신 3연발 2클립. 다만 이쪽은 75mm답게 알파뎀이 200으로 매우 낮고, 연사력도 탄간 3.5초에 클립 전탄 재장전도 40초 이상(...) 걸리며, 경전차치곤 차체가 거대해 생존력이 헬싱보다도 떨어진다. 그리고 체코 경전차 트리가 나왔는데, 무려 75발 탄창형 기관포(!)를 쏜다.

발사 버튼을 빠르게 연타하면 발포효과음이 최대 4회까지 나는 버그가 있었다. 물론 발사 효과만 그렇고 실제 발사 수는 2발로 동일.

2019년 할로윈 이벤트서 한정 상자(3%)로 재판 되었다. 신규 전용 전설 위장 레이븐(6%)이 추가되었다. 가끔 정말 잭팟이 터져 전차와 위장이 둘다 나오는 경우도 있고, 신규 이벤트에 3개씩 뿌리기도 했다.

3.2. WZ 135G FT Blaze (WZ 135G FT 블레이즈) - 7티어

파일:external/wiki.gcdn.co/Ico_turret_alpha.png 장갑 수치 시야 범위 선회 속도 HP 단계 비고
WZ-135G FT 75/30/30 mm 230 m 20.86 도/초 190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engine_alpha.png 마력 화재 확률 무게 단계 비고
8V135-2 520 마력 20 % 556 kg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suspension_alpha.png 한계 중량 선회 속도 단계 비고
WZ-135G FT 27.8 톤 30 도/초 7 단계 -
파일:external/wiki.gcdn.co/Ico_gun_alpha.png 관통력 공격력 탄종 구성 티어
포탄 적재량 명중률 조준 시간 연사력
122mm D-25CA 175/217/64 mm 400/340/500 AP/APCR/HE 8 단계
24 발 0.46 m 3.43 초 4.62 발/분
차체 장갑 최고 속도 중량 포각 가격
(골드)
75/30/30 mm 50 km/h 25.07 톤 좌우 +-80/ +10/ -8 도 5 000
파일:new-moon-tanks-03.jpg파일:new-moon-tanks-05.jpg
(전차백과 설명)
월드 오브 탱크 전차백과
승무원 구성 :

개요
불의 용을 형상화한 VII 단계 구축전차로 Glacial 112의 형제이다. 끊임없는 분노와 함께 파괴적인 화염으로 전장을 뒤덮는다. 형제인 Glacial 112의 숙적이며 영원히 공존한다. 2017년 뉴 문 이벤트 보상 전차이다.

공격

방어
다른 동구권 전차의의 반구형 포탑과는 조금 다른 각이 진 형상을 지니고 있는 개방형 포탑이다.

기동

게임플레이
장점은 기동성과 45° 좌우 포각이 있고 단점은 화력이나 관통력 등 주포 성능에 우위가 없다. 기동성과 포탑 회전이라는 차별화된 장점이 있지만 이미 상위 호환인 헬싱이 자리를 잡고 있다. 그나마 블레이즈가 추중비나 회전 속도, 포탑 회전이 살짝 좋다. 이에 결국 제작진도 주포 성능이 부족하다 느꼈는지 3.7 업데이트 때 상향을 예고하였다.

추천 장비

장점
  • 1.버프 이후 향상된 매우 빠르게 줄어드는 조준원
  • 2.빠른 기동성 (초반 위치 차지에 매우 유리)

단점
  • 1.없는거나 마찬가지인 장갑
  • 2.낮은 관통
  • 3.구축치고 낮은 dpm
  • 4.애매한 포탑 회전 각도
  • 5.생각보다 낮은 명중률
  • 6.화재 확률이 높음
  • 7.너무 많은 상위호환


패치 사항
  • 3.7 업데이트에서 샹향되었다. 장전 속도가 승무원 100%[23] 기준 14.39초에서 12.47로 줄어들었고, 조준 시간이 6.1초에서 5.3초로 단축, 그리고 명중률이 100미터 기준 오차가 0.412m 에서 0.393으로 향상되었다. 하지만 관통력은 그대로... 옆동네 독일 트리의 E-25가 엄청난 관통력 상향을 받은 것과 대조된다.

기타
전차 이름이나 도색에서 알 수 있듯 중국 테마의 전차지만, 무슨 이유인지 형제라고 소개된 112 Glacial과 달리 중국 소속이 아닌 기타 국가 소속으로 출시되었다.


[1] 130 ㎜ 초과 고폭탄으로 받는 피해 10% 감소[2] 분산도가 1초 내로 1미터 이내로 좁아지는 거리로 100 ÷ 분산도 ÷ 조준 시간으로 산출.[3] 15% 손실률[4] 최소 240 ㎜에서 시작하고 포방패 상부는 야이백 성작으로도 관통 불가.[5] 원작에서 전차장 클로드 월러스는 하차시 소총을 들고 정찰병으로 활동한다.[6] 관통력을 보충하고 싶다면 보정 포탄[7] 설정 상으로는 탄약고가 자주 유폭 돼서 보조 장갑판을 달았다는데, 그렇게 모듈 내구도가 나쁜 편이 아니고 원래 전법 대로면 측면 사격을 맞을 일도 별로 없다. 탄약고가 자주 손상 당하면 당연히 방어 시스템을 선택해야 한다.[8] 정말로 장거리 전투를 원한다면 과급장치[9] 계속 기동하며 나쁜 탄을 튕기는게 목적인 전차라 정밀 조립이 이득이 더 크다.[10] 선회 성능이 이미 충분해서 순발력을 더 강화 하는 편이 좋다.[11] 발사후 즉시 재장전을 시작 하는 것이 아니라 1.33초의 탄간 재장전시간이 지난 다음에 재장전이 시작 된다.[12] 다만 전탄 소모 후 재장전 되는 대로 발사하면 숙련도 113% 기준 2 356 DPM이 나와서 중간은 된다.[13] 조준원이 최대에서 60% 수준으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14] 이 부위가 69도에서 215 ㎜ 방호력이 나온다.[15] 숙련도 100%에 야전 식량, 통조림을 모두 낀 상태. M4/FL10은 관통력 문제로 보정 포탄을 권장하는 편이다.[16] 다만 2발 이상 사격후 완전 재장전시 재장전시간에 탄간이 더해지는건 단 한 번 뿐이므로 놀랍게도 단발 사격을 반복하나 전탄 사격 후 전탄 장전하나 DPM 차이는 거의 없다. 그러므로 너무 강박적으로 매달릴 필요는 없다.[17] 특히 탄속이 1 000 / 1 250 / 1 000 m/s로 좋은 편이다.[18] 상단 이미지[19] 위의 컨셉 아트에 따르면 부무장이 수납되어 있는 부분이나 주포가 아닌 이상 기관총 사용이 불가능한 이 게임에선 장식이다.탄약고 판정보단 낫잖아[20] 본래 5월 초에 11.9 버전에서 함께 HD화가 예고된 Jagdpanther II, STA-1, T69보다 먼저 앞서서 HD화 된 셈이다.[21] 언젠가 우리가 다시 싸우는 날이 올것이다. 또 다른 세상에서 강철의 전차를 타고.[22] 블리츠와 PC의 이중포신 모두 2클립 기반이긴 하지만, 무조건 2발을 자동으로 연사하는 블리츠의 헬싱과 달리 PC월탱의 쌍열포는 각 포를 단발포 전차처럼 따로 사용할 수도 있고, 두 포를 동시에 쏘는 일제사격(헬싱처럼 두 주포를 자동으로 번갈아 쏘는게 아니라 동시에 2발을 발사한다)도 가능하다. 그리고 블리츠에서는 사격 후 무조건 두 클립이 모두 동시에 장전되는데 비해 PC월탱에서는 한 발만 쏜 상태에서는 쏜 포만 재장전되다가, 나머지 포도 쏘면 먼저 쏜 포까지도 장전이 리셋되면서 동시에 재장전되며 일제사격시에는 두 주포가 동시에 장전된다.[23] 장전기, 군수품은 제외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if external != "o"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uuid=a49286dc-a4f2-4626-8c3d-0613ad8096f3|r135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uuid=a49286dc-a4f2-4626-8c3d-0613ad8096f3#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from=135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if external != "o"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uuid=a49286dc-a4f2-4626-8c3d-0613ad8096f3|r135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uuid=a49286dc-a4f2-4626-8c3d-0613ad8096f3#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기타 국가 테크 트리?from=135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