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20:05:28

워리어(유희왕)/카드군 미지정

워리어
<colbgcolor=#FDEEE1> 한국어판 명칭 워리어
일어판 명칭 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Warrior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다양 전사족[1] 효과

1. 개요2. 일반 몬스터 (튜너)3. 효과 몬스터
3.1. 레벨 1
3.1.1. 부스트 워리어3.1.2. 빅 원 워리어
3.2. 레벨 2
3.2.1. 스피드 워리어3.2.2. 매시브 워리어3.2.3. 도플 워리어3.2.4. 소닉 워리어3.2.5. 러시 워리어3.2.6. 풀스피드 워리어
3.3. 레벨 3
3.3.1. 실드 워리어3.3.2. 레벨 워리어3.3.3. 건틀릿 워리어3.3.4. 대시 워리어3.3.5. 하울링 워리어
3.4. 레벨 4
3.4.1. 락스톤 워리어3.4.2. 맥스 워리어3.4.3. 트라이던트 워리어3.4.4. 라피도 워리어3.4.5. 레스큐 워리어
3.5. 레벨 5
3.5.1. 터릿 워리어3.5.2. 백업 워리어3.5.3. 샐비지 워리어
4. 유세이와 관련 없는 "워리어" 카드5. OCG화되지 않은 카드
5.1. 스카우팅 워리어5.2. 더블 델타 워리어5.3. 리제네 워리어5.4. 트라이앵글 워리어

1. 개요

유희왕의 카드 시리즈.

유희왕 5D's에서 주인공 후도 유세이가 사용하던 카드군인 "워리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중 정식으로 카드군으로 지정된 싱크로 몬스터 이외의 카드들 목록이다. TCG판 명칭 문제 때문에 카드군 지정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워리어(유희왕) 문서 참조.

일단 유세이의 워리어만을 따진다면, 어류족을 지정한 샤크처럼 전사족을 지정한다면 주로 문제가 되는 마그넷 워리어사운드 워리어를 포함해 관련 없는 카드 대부분을 제외할 수 있다. 다만 TCG판은 그러더라도 잘못 포함되는 몬스터가 20장을 넘어가기에 여전히 카드군 지정은 요원하다.

듀얼리스트 교류회 등의 컨셉 듀얼 이벤트에서는 유세이 덱을 짜올 경우 메인 덱을 포함해 워리어 몬스터를 일정 수 이상 요구하면서 카드군 지정이 되어있다. 단, 여기서는 사운드 워리어는 제외하였다.

2. 일반 몬스터 (튜너)

2.1. 레벨 3

2.1.1. 튠 워리어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1

3.1.1. 부스트 워리어

파일:ブースト・ウォリア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부스트 워리어,
일어판 명칭=ブースト・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Boost Warrior,
레벨=1,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공격력=300, 수비력=20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튜너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전사족 몬스터의 공격력은 300 올린다.)]
[ 원작 효과 ]
파일:BoostWarrior-JP-Anime-5D.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부스트 워리어,
일어판 명칭=ブースト・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Boost Warrior,
레벨=1,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공격력=300, 수비력=200,
효과1=이 카드는 자신 필드 위에 튜너가 존재할 경우\, 패에서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전사족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유희왕 5D's 87화에서 후도 유세이키류 쿄스케와의 3차전 듀얼 중 사용. 정크 싱크론이 필드에 있는 상태에서 특수 소환된 후 자신의 효과로 정크 워리어를 2900으로 강화했다. 그 후 터릿 워리어, 카드 브레이커와 함께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OCG에선 듀얼리스트 팩 -유세이 편 3-에서 등장. 원작과는 달리 튜너가 아니게 되었으며, 일러스트 역시 완전히 다른 구도로 바뀌었다.

①의 효과는 튜너가 있으면 패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룰 효과. 쉬운 조건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저 레벨 몬스터인 덕분에 포뮬러 싱크론 등의 싱크로 소재로 쓰기에 안성맞춤이다.

②의 효과는 전사족 몬스터의 공격력을 강화하는 지속 효과. 본인 능력치부터가 너무 낮은데다 강화 수치 역시 미약해서 혼자서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크 워리어와 상성이 좋은 편인데, 동시에 도플 워리어도플 토큰을 생성시키면 공격력을 460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여기에 추가 강화 카드를 쓴다거나 지옥의 폭주소환 등으로 여러 장을 전개해서 정크 워리어의 강화 수치를 더 높일 수 있다. 남은 이 카드나 도플 토큰을 링크 몬스터로 바꿔주면 전력 낭비 없이 활용이 가능해진다.

수비력 200의 화염 속성 몬스터인 덕분에 진염의 폭발에 대응해서 플레임벨이나 라바르 덱에서 이 카드를 쓰기도 한다. 싱크로 소환시 레벨 미세조정은 물론이요 포뮬러 싱크론의 소환부터 슈팅 퀘이사 드래곤의 싱크로 소환까지 이어갈 수 있다.

링크 소환이 나온 이후로는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와의 콤보도 써먹을 수 있게 되었다. 패에 잡혀있기만 하면 링크 소재 하나는 무조건 벌수 있는 격. 또한 전사족 / 화염 속성 몬스터인데다 특소가 쉽다는 점을 감안해서 불꽃성기사에 전개요원으로 투입된다.
수록 시리즈
2010-10-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10-JP012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遊星編3 -
2023-04-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3TP-JP206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3 Vol.2
2011-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10-EN012 | DUELIST PACK - YUSEI 3 -
2020-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AR-EN063 | BATTLES OF LEGEND: ARMAGEDDON
2011-03-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10-KR012 | 듀얼리스트 팩 - 유성 편3 -

3.1.2. 빅 원 워리어

유희왕 OCG의 듀얼리스트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GX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주다이 편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만죠메 편
부스터 모델 : 만죠메 쥰
주다이 편 2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헬 카이저 편
부스터 모델 : 마루후지 료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암드 드래곤 LV10 엘리멘틀 히어로 블랙 네오스 사이버 다크 드래곤
에드 편
부스터 모델 : 에드 피닉스
주다이 편 3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 패왕
요한 편
부스터 모델 : 요한 안데르센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이블 히어로 헬 게이너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보옥수 루비 카번클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보옥수 앰버 맘모스
보옥수 코발트 이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5D's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성 편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유성 편 2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유성 편 3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크로우 편
부스터 모델 : 크로우 호건
스타더스트 드래곤
니트로 워리어
정크 워리어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
정크 아처
퀵 싱크론
빅 원 워리어
브라이 싱크론
BF-여명의 코치
BF-정예의 제피로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ZEXAL~9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마 편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카이트 편
부스터 모델 : 텐조 카이토
유마 편 2 고고고&도도도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가가가 매지션
도도도 워리어
베이비 트래곤
No.39 유토피아
크리포톤
휘광자 파라디오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고고고 골렘-GF
도도도 갓사
도도도 위치
맥 폭탄
료·리오 남매 편
부스터 모델 : 카미시로 료가 / 카미시로 리오
배틀 시티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 카이바 세토
파라오의 기억 편
부스터 모델 : 무토우 유우기
가드 펭귄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
No.94 극빙희 크리스탈 제로
없음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죠노우치 카츠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
부스터 모델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
부스터 모델 : 카이바 세토
붉은 눈의 흑인룡
붉은 눈의 철기사-기어프리드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4
부스터 모델 : 쿠자크 마이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바쿠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해피 퍼퓨머
해피 오라클
커스 네크로피어
말살의 사악령
원한의 사악령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속성의 듀얼리스트 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명암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마리크
질풍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유고
심연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낫슈
라의 익신룡
갓 슬라임
크리스탈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휘석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루아
폭염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Soulburner
휘광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미자엘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신영금룡 드래글룩시온
}}}}}}}}} ||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241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빅 원 워리어,
일어판 명칭=ビッグ・ワン・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Big One Warrior,
레벨=1,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00, 수비력=600,
효과1=①: 패의 다른 레벨 1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비슷한 효과로 이 카드보다 훨씬 범용성이 높은 원 포 원이 있다. 다른 건 몰라도 레벨 1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야 한다는 점에서 특수소환하기가 매우 힘들다. 그나마 원 포 원은 제한 카드.

애니에서는 팀 태양전에서 등장. 튜닝 서포터를 버리고 소환되어 데브리 드래곤, 볼트 고슴도치, 튜닝 서포터와 같이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소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름이나 색깔, 머리의 거대한 1자를 보면 아무래도 잭커 전격대반바 소우키치 에서 따온 듯 하다.

3.2. 레벨 2

3.2.1. 스피드 워리어

3.2.2. 매시브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0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매시브 워리어,
일어판명칭=マッシブ・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Fortress Warrior,
레벨=2,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600, 수비력=1200,
효과1=①: 이 카드는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워리어 시리즈의 일원.

데미지 무효 효과와 파괴 무효 효과를 지닌 우수한 방패 요원.

수비 표시 상태에서 관통 몬스터에게 맞거나 공격 표시로 둬도 스킬 드레인, 브레이크스루 스킬, 무한포영, 명왕결계파, 무덤의 지명자, 이펙트 뵐러 등의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를 당하지 않는 한 데미지를 입을 걱정은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론 공격을 2번 + 자기자신이 파괴되는 것까지 포함하면 3회까지 막아주는 실드 윙이 더 유용하고 아예 전투 파괴에는 면역인 마슈마론도 있다. 이래저래 영 아쉬운 카드. 그리고 미스트 바디명경지수의 마음 같은 보호 수단이 없으면 2번째 공격으로 쓰러져 버리므로 암흑의 문과의 콤보가 유용한데 상대가 한 턴에 2번 이상 공격 기회를 가지는 몬스터를 꺼낸다면 위험하다.굳이 하위호환인 이카드를 쓰겠다면 전투 데미지가 0이 된다는 점을 살리거나 땅 속성전사족 이라는 점을 살려야 할듯 싶다.

엔젤 리프트, 리미트 리버스, 트루스 리인포스로 소생시키기에 좋은 몬스터. 물론 거대쥐황야의 여전사로 쉽게 리크루트가 가능하다.

원작에서는 21화에서 보머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에 맞서 유세이가 사용했다. 원샷 부스터와의 콤보로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를 침몰시킨다. 이후 보머가 발동한 체리엇 파일의 효과 데미지를 막기 위해 제물이 되었다. 이때 유세이가 사용했던 원샷 부스터와의 콤보도 현실에서 가능하다. 팀 유니콘 전에서는 덱 파괴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카드 중 하나로 나욌다.

3.2.3. 도플 워리어

워리어 몬스터 중에서도 대표적이고 실전 레벨로 꼽히는 카드. 해당 문서 참조.

3.2.4. 소닉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61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소닉 워리어,
일어판 명칭=ソニック・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Sonic Warrior,
레벨=2,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 필드의 모든 레벨 2 이하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 원작 효과 ]
파일:SonicWarrior-JP-Anime-5D.webp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소닉 워리어,
일어판 명칭=ソニック・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Sonic Warrior,
레벨=2,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 사용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레벨 2 이하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400 포인트 올린다.)]

최종화에서 등장한 워리어. 하이 앤드 로우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다가 크러쉬 스타[2]의 효과로 로드 러너와 함께 특수 소환된 후, 정크 싱크론과 같이 정크 워리어의 싱크로 소재가 되어 효과로 다른 몬스터들의 공격력을 올렸다. 여기에서는 발동 조건이 싱크로 소재 한정에 상승치도 400이었다.

소환 당시 필드에 정크 싱크론 / 스피드 워리어 / 볼트 고슴도치 / 로드 러너 등 1기부터 쓰여온 몬스터들이 나란히 서 있었고, 주변 인물들이 "유세이가 예전부터 써왔던 카드들이야!" 하면서 감동하는 장면에 이 녀석 혼자 새로운 카드라 많이 깬다. 이에 이 카드만 보이면 지금까지 계속 우리들을 도와줬던 소닉 워리어다!라고 말하는 네타도 있다.#

묘지로 보내지면 레벨 2 이하의 몬스터들을 강화시키는 효과. 로우 레벨 덱이라면 화력 증강에 소소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묘지로 보내야 한다는 수동적인 조건이 문제이다. 원작처럼 정크 워리어을 강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정석적인 활용법.

유희왕 태그 포스 6의 동봉 카드로, 한국에서는 싱크론 익스트림의 재록본으로 처음 발매되었다.

3.2.5. 러시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6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러시 워리어,
일어판명칭=ラッシュ・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Rush Warrior,
속성=바람, 레벨=2, 공격력=300, 수비력=12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자신의 "워리어" 싱크로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를 실행하는 자신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데미지 계산시에만 배가 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싱크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스트럭처 덱 싱크론 익스트림에 수록된 워리어. 스피드 워리어의 형제격이 되는 워리어 카드 중 하나로 보인다. 재미있게도 수비력은 스피드 워리어의 3배, 공격력은 스피드 워리어의 3분의 1이다.

1번 효과는 스피드 워리어의 공격력 배수 효과를 자신의 "워리어" 싱크로 몬스터에게 부여해주는 효과.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되기 때문에 막거나 맞대응하는 것도 상당히 힘들다. 특히나 정크 워리어한테 스크랩 피스트하고 동시에 사용되기라도 한다면 상대는 그 턴에 죽을 각오를 해야한다. (실제로 도플 워리어정크 워리어를 소환했다면 정크 워리어의 공격력이 3100이 되므로 안 그래도 6200인 전투 데미지를 이 카드로 또 2배로 만들어 사실상 원턴킬.)

상대 몬스터와의 전투에만 해당되기 때문에 드릴 워리어의 직접 공격에 조합할 수는 없다. 또한 공격력 증가는 지속되지 않으므로 수비적으로 쓸 때는 사용할 타이밍을 고려할 것.

2번 효과의 경우에도 상당한 고성능 효과이며, 1번 효과로 묘지로 보낸 후에 필요할 때 효과를 발동하면 묘지의 "싱크론"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튜너는 물론 비튜너도 가능하므로 싱크론 익스플로러싱크론 캐리어도 가져올 수 있다. 레벨도 2이고 공격력도 낮지만 싱크론 덱에서 여기에 해당되는 몬스터는 이것 말고도 충분히 많으므로 거리낄 것 없이 제외해 주자.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STRUCTURE DECK -싱크론 익스트림- SD28-JP002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스트럭처 덱 -싱크론 익스트림- SD28-KR002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3.2.6. 풀스피드 워리어

3.3. 레벨 3

3.3.1. 실드 워리어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ShieldWarrior-DP08-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실드 워리어,
일어판 명칭=シールド・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Shield Warrior,
레벨=3,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600,
효과1=①: 자신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는 데미지 계산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몬스터는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네크로 가드너와 비슷한 효과. 하지만 이쪽은 공격무효가 아니라 전투 파괴만 방지하는지라, 약간 후달린다. 텍스트 때문에 오해할 수 있지만 1회용이다. 전투 파괴를 무효로 할 수 있는 건 해당 전투 단 1번뿐.

방어적인 성능으로는 공격 자체를 완전히 막는 네크로 가드너의 하위호환이지만, 자신 턴에도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공격력끼리 자폭하는 상황에서 무사히 지켜내는 등의 플레이가 가능해서 완벽한 하위호환은 아니다. 레벨이나 공격력이 더 낮았다면 같은 주인이 사용한 정크 싱크론이나 데브리 드래곤의 효과 범위에 들어갈 수 있었을텐데 많이 아쉬운 카드.

유희왕 5D's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사용. 2화의 우류와의 듀얼을 시작으로 방어 용도로서 자주 사용했다. 주로 벽 몬스터로 소환되다가 전투나 싱크로 소재로 묘지로 보내져서 효과가 사용되는 게 주 패턴이다. 나름 유세이의 대표 카드 중 하나였지만, 3기 이후로 점점 비슷한 성능을 가진 카드들이 등장하면서 잊혀졌고, 끝내 최종화까지도 모습을 비추지 못했다.

여담으로, 일러스트만 보면 장화와 방패가 일체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방패의 아랫단에 발을 걸치게끔 홈이 파여있는 것이다.

3.3.2. 레벨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46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레벨 워리어,
일어판 명칭=レベル・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Level Warrior,
레벨=3,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300, 수비력=600,
효과1=①: 서로의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레벨 2 몬스터로서 패에서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레벨 4 몬스터로서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장렬한 전투에서 등장.

이블 히어로 헬 블러드처럼 특수 소환 능력을 가지고 있는 몬스터. 전사족이라는게 장점이지만, 이건 매직 스트라이커도 가지고 있어서 미묘.

이 카드의 장점은 역시 레벨 조절 능력. 레벨을 2~4로 조절할 수 있어서 싱크로 소환이나, 엑시즈 소환의 보조로 활약하는게 가능하다. 어차피 그거 빼고 이 카드를 쓸 방도는 없다고 봐야겠지만. 참고로 레벨 2로 튀어나오는 효과는 일반 소환이다. 특수 소환이 아니다.

스킬 드레인이 있으면 뭔 짓을 해도 레벨이 변하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유희왕 5D's후도 유세이키류 쿄스케와의 듀얼에서 사용. 레벨 4로 특수 소환하고 일반 소환한 하이퍼 싱크론으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했다.

3.3.3. 건틀릿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84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건틀릿 워리어,
일어판 명칭=ガントレット・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Gauntlet Warrior,
레벨=3,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400, 수비력=1600,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전사족 몬스터는\, 각각 다음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공격력 / 수비력을 500 올린다.)]
듀얼리스트 팩 유세이편 2에서 등장.

그다지 좋지 않은 효과. 같은 값이면 공투하는 랜드스타의 검사커맨드 나이트, 연합군이 더 낫다. 그나마 나은 점이라면 저들보다 상승치가 100 높고, 또 상대 턴에 이 카드가 먼저 전투로 파괴되어 다른 전사족들이 떨어진 공격력을 노출시킬 일은 없다는 것이다. 전투로 파괴될 것 같은 상황이면 릴리스 해버리면 된다. 하지만 결국 이는 자신 턴에 공격력 상승 효과를 안 쓰고 놔뒀거나, 이런 카드를 쓰느라고 소생계 카드를 사용했다는 소리인지라 결국 그리 좋은 것도 아니다.

66화에 고스트와의 싸움에서 등장한 몬스터. 근데 등장하자마자 효과도 못써보고,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돼버렸다.

74화에서 빈사의 순간에 발동한 데스티니 드로우에 의해 드라마틱하게 등장하여, 드릴 워리어TG 블레이드 건맨을 쓰러뜨리는데 일조한다.

크래시 타운에서는 체인지 싱크론과 같이 암즈 에이드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3.3.4. 대시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08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대시 워리어,
일어판 명칭=ダッシュ・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Dash Warrior,
레벨=3,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600, 수비력=1200,
효과1=①: 이 카드가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이 카드의 공격력은 1200 올린다.)]
[ 원작 효과 ]
파일:DashWarrior-JP-Anime-5D.png
한글판 명칭 대시 워리어
일어판 명칭 ダッシュ・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Dash Warrio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바람 전사족 600 1200
이 카드가 공격할 경우,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은 이 턴의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3배가 된다.


유희왕 5D's WRGP 편 100화에서 후도 유세이팀 유니콘의 세컨드 휠러 브레오와의 듀얼 중 사용. 루아의 말에 의하면 스피드 워리어의 형님이라고 한다.

자신의 공격력을 강화하는 지속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원작과는 달리 강화 수치가 고정되었지만 일단 원래 공격력으로 적용시의 결과값은 같다.

스피드 워리어보다 레벨이 1이 높고, 효과도 동생격인 스피드 워리어보단 좋다. 공격을 당할 때는 스피드 워리어보다 더 안 좋지만, 대시 워리어가 공격 할 때는 스피드 워리어와 달리 특수 소환시에도 적용되며, 매턴마다 1800의 어태커로 쓸 수 있다.

3.3.5. 하울링 워리어

3.4. 레벨 4

3.4.1. 락스톤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32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락스톤 워리어,
일어판 명칭=ロックストーン・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Rockstone Warrior,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8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으로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 필드에 "락스톤 토큰"(암석족 / 땅 / 레벨 1 / 공 0 / 수 0) 2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토큰은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서는 릴리스할 수 없다.)]
장렬한 전투에서 등장한 워리어. 특이하게도 유세이의 워리어들은 전부 전사족인데, 자기 혼자 암석족이다.

데미지 무효 효과와 토큰 생성 효과를 동시에 지녔다. 자신이 공격선언을 해야만 토큰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그다지 효율적이진 못한 효과.

원작에서는 유세이가 34화에서 키류 쿄스케를 상대로 사용해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의 관통 데미지를 막았지만,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의 발동 조건을 만족시켜 버렸다. 벽으로만 사용되어 다른 효과는 쓰지 않았다.

일반 소환이 불가능한 기간테스를 제외하면, 고고고 골렘과 함께 자석의 전사 베타를 능가하는 공격력을 갖고 있다. 덕분에 얼마 안되는 하급 암석족으로써 암석족 코아키메일덱이나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의 융합 소재로 주목받은 카드. 다만 콤보로 흔히 사용되는 고등의식술은 불가능.

3.4.2. 맥스 워리어

파일:card1003664_1.jpg 파일:MaxWarrior-DP09-EN-R-1E.jp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맥스 워리어,
일어판 명칭=マックス・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Max Warrior,
레벨=4,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800,
효과1=①: 이 카드는 상대 몬스터에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공격력을 4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다음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이 카드의 레벨은 2가 되고\, 원래 공격력 / 수비력은 절반이 된다.)]
디메리트 어태커지만, 같은 계열의 스팀로이드블랙 벨로키같은 카드보다 화력이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게 심히 난감하다. 전사족 허급 디메리트 어태커 선에서 비교하면 고블린의 돌격 부대 쪽이 안정성이 더 높다.

약화된 후의 능력치는 스피드 워리어와 동일. 하지만 패에 터릿 워리어가 있다면 공격한 후 능력치가 떨어진 이 카드를 릴리스해서 공격력 3000에 수비력 2000짜리 카드로 재활용된다. 하지만 문제는 고블린의 돌격 부대를 릴리스하면 터릿 워리어의 공격력은 3500이라는 것이다.

결국 이들과 차별화하겠다면 공격 후 레벨도 절반이 된다는 점을 활용해야 할 텐데, 이 카드가 나온 당시 시절이라면 모를까 이 카드로 공격하고 싱크로/엑시즈 소환을 하는 것 보다는 차라리 레벨 2짜리 몬스터를 채용해 싱크로/엑시즈 몬스터를 부르고 공격하는 것이 웬만하면 낫기 때문에 활용도는 높지 않다.

유희왕 5D's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사용. 작중에서는 다크 시그너 편에서 키류 쿄스케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소환되어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를 파괴하고 다음 턴에는 인페르니티 데몬을 공격하려고 했으나, 함정 카드 인페르니티 포스에 의해 파괴당했다. 전반적으로 스피드 워리어의 효과를 뒤집은 것 같은 카드로, 공격력 2000 이상의 어태커가 필요하거나 레벨 4 몬스터를 꺼낼 때 등 상당히 자주 등장한다.

공격명은 '스위프트 러시(スイフト・ラッシュ / Swift Rush)'.

3.4.3. 트라이던트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10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트라이던트 워리어,
일어판 명칭=トライデント・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Trident Warrior,
레벨=4,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2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3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선봉 대장에 비하면 레벨 3에 한정되어 있기에 구린 편. 뿐만 아니라 고블린드버그는 종족도 같고, 소환할 수 있는 범위도 레벨 4 이하라서 더 넓다. 이쪽이 차별화해야 할 점은 괜찮은 공격력과 빛 속성일 듯. 그래도 소환하자마자 링크 소재로 쓰는 건 가능하다.

유희왕 5D's WRPG 편에서는 팀 유니콘의 리더 장이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 사용. 효과로 델타 플라이를 특수 소환해 델타 플라이의 효과로 레벨 5가 되어 델타 플라이와 같이 라이트닝 트라이콘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보통 'トライデント'는 한글판에서 '트라이든트[3]'로 번역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이 카드는 '트라이던트'로 번역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의 혁명 DREV-KR015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DUELIST REVOLUTION DREV-JP015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Duelist Revolution DREV-EN015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3.4.4. 라피도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47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피도 워리어,
일어판 명칭=ラピッド・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Rapid Warrior,
레벨=4,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200,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 1에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다른 자신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이 턴에\,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스타터덱 2010에 등장하는 워리어 시리즈.

비슷한 능력에 디메리트도 없고 덤도 있는 일렉기린, 매직 스트라이커쪽이 더 월등한 게 문제점. 이쪽은 전사족이라는 점을 활용해야 할듯 하다. 그렇다해도 역시 같은 전사족에 특수소환 효과까지 가지고 있는 매직 스트라이커보다는 떨어지는게 현실.

유희왕 5D's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사용한 카드로 등장. 102화에서 SP-오버 스피드의 효과로 묘지에서 패에 추가했다. 효과로 직접 공격하려 했으나 파동장벽의 효과로 수비표시가 된 후 쟝의 환각수 휴프노콘의 공격해 왔을 때 아성의 가디언으로 수비력을 올려 역전승했다. 애니에서는 레벨 3의 몬스터로 출현했다.

본래 영어 표기를 고려하면 '래피드 워리어'로 번역되는 것이 보통이고, 유희왕 5D's 대원방송판에서도 그렇게 번역되었음에도 OCG 정발판에서는 라피도 워리어로 오역되었다. 그래도 이탈리아어(ràpido)나 스페인어(rápido)라고 치면 같은 뜻이기에 많이 어색하진 않은 편.

3.4.5. 레스큐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51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레스큐 워리어,
일어판 명칭=レスキュー・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Rescue Warrior,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600, 수비력=1700,
효과1=①: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원래 주인이 자신이 되는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앞면 표시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쓸모 없는 효과. 범용성 있는 컨트롤 탈취 카드는 대부분 금지제한에 일회성이고, 탈취당한 카드도 엑스트라 몬스터의 소재로 사용되어 필드에 벗어나는 일이 보통이라 발동할 기회가 많지 않은데, 발동 조건이 전투 파괴라서 쓸데없이 빡빡하다. 용암 마신 라바 골렘처럼 상대 필드 위에 소환되는 몬스터를 강탈하는 용도로는 소환권이 필요없는 세뇌 해제 같은 게 훨씬 낫다.

원작에서는 109화에서 유세이가 기황제에게 흡수당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다시 가져오기 위해 사용했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한데, 기황제에게 흡수당한 싱크로 몬스터는 장착 카드 취급이라 몬스터로 간주하지 않기 때문. 이건 싱크로 머티리얼도 마찬가지다.

여담으로 디자인이 묘하게 토미카 히어로 레스큐 파이어에 나오는 파이어 1을 닮았다. 이름도 레스큐인걸 보면 노린 것일 수도 있다.

3.5. 레벨 5

3.5.1. 터릿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085_1.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urretWarrior-5DS3-EN-C-1E.png
내수판 해외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터릿 워리어,
일어판명칭=ターレット・ウォリアー,
영어판명칭=Turret Warrior,
속성=땅, 레벨=5, 공격력=1200, 수비력=20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의 공격력은\,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올린다.)]

레벨 5에 전사족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특수 소환이 가능한 몬스터.

특수 소환으로 나오면 일부러 공격력이 아주 낮은(800 이하) 전사족 몬스터를 릴리스하지 않는 한, 레벨에 맞는 수준의 화력은 보장된다. 작중에서 유세이가 했던 것처럼, 공격력 900의 스피드 워리어만 릴리스하고 나와도 2100으로, 사이버 드래곤과 동급이라 하급 몬스터들은 쉽게 이긴다.

과거 전사족 원래 공격력 1위였던 레인보우 네오스(4500)를 먹고 나오면 5700이 되고, 현재 전사족 원래 공격력 1위인 카디언-오광-(5000)을 먹고 나오면 무려 6200이 된다. 다만 현실을 고려할 때 고블린의 돌격 부대로 3500으로 올리는 게 제일 쉽고 이상적. 한방에 3500짜리가 나오면 상대도 쫄게 되어있다. 덕분에 전사족 중심 덱에 넣으면 유용.

위대한 마수 가젯트의 하위호환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위대한 마수 가젯트는 수비력이 0인 데 반해 터릿 워리어는 기본적으로 수비력이 2000이라 벽으로 쓸 수도 있다는 차별점이 있다.

황야의 여전사로 리크루트가 되는 레벨 5이기도 하다. 물론 그걸로 부르면 레벨 5지만 공격력 1200이라는 바보가 된다.

그외에도 레벨 5이면서 간단하게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는 점으로 인해, 조합에 따라 고레벨의 싱크로 몬스터의 싱크로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점도 포인트. 또 엑시즈 소재를 다 써버린 전사족 엑시즈 몬스터들을 이 카드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 소재가 없으면 효과 없는 것만 못한 No.39 유토피아H-C 엑스칼리버 등을 릴리스하고 나오는 것이 제일 좋다.

덧붙여서 공격력이 올라가는 효과는 소환시 적용되는 룰 효과라서 특수 소환과 동시에 적용되는터라 체인 블럭을 형성하지 않는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발매된 지장성 카이저가 이 카드의 상호호환으로, 추가 기능이 붙은 대신에 빛과 땅 속성, 전사족만 릴리스할 수 있다.

원작 사용자는 후도 유세이. 공격명은 리볼빙 샷(Revolving Shot).

해외판 일러스트는 어깨 부분의 포신이 붉은색으로 변경되었다.

3.5.2. 백업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5081_1.jpg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BackupWarrior-PP06-KR-UR-1E.jpg
내수판 해외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백업 워리어,
일어판 명칭=バックアップ・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Backup Warrior,
레벨=5,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21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 2장일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턴에\, 자신은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할 수 없다.)]
후도 유세이가 73화에서 사용한 워리어. 잭 아틀라스와의 연습 듀얼에서 소환하였다. 당시 유세이는 기황제에게 트라우마가 생겨서 싱크로 없는 듀얼 방식을 연구 중이었기 때문에 싱크로 소환을 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달려있었다. 나름대로 성공하는 듯 싶었지만, 덱의 정체성을 전면으로 부정하는 듀얼 방식에는 결국 한계가 있었고, 다음 턴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에게 파괴되면서 패배 직전까지 도달하자 잭이 분노하여 듀얼을 중단하는 사태가 발생해버렸다. 이후 팀 유니콘, 팀 태양 전에서는 패에서 노는 카드로 짤막하게 등장.

텍스트 때문에 헷갈릴 수도 있는데, 마법, 함정 카드도 없어야 한다. 당연히 수비 표시 몬스터가 1장이라도 초과하면 역시 소환이 불가능해서 생각보다 소환 난이도가 굉장히 빡센 편이다. 방어 중일 때 역공을 가하라는 의도로 보이지만, 그러기엔 능력치가 사이버 드래곤과 겨우 자폭하는 수준이다. 그런 주제에 싱크로가 봉인된다는 디메리트까지 붙어있으니 잘못 불러냈다간 오히려 역적이 될 수도 있다. 만약 필드의 몬스터가 싱크로 소환이 가능한 상태라면, 그대로 튜닝해서 싱크로로 상대를 돌파할 생각을 해야지 꺼내는 데 아무런 메리트도 없는 이 카드를 굳이 불러낼 이유가 없다.

대신, 싱크로 외에 다른 소환법에는 전혀 제한이 없기 때문에 싱크로를 안 쓴다면 디메리트가 아예 없는 셈이라 다른 방향으로 우회할 수 있다. 의외로 얼티마야 촐킨과도 궁합이 있는데, 퀵 싱크론 + 볼트 고슴도치를 둘 다 수비 표시로 뽑아서 이 카드를 소환하면 1턴 만에 불러낼 수 있다. 얼티마야 촐킨은 싱크로지만, 소환 방식은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되지 않아서 디메리트인 싱크로 봉인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 다만, 촐킨을 제외한 나머지 싱크로는 여전히 불러낼 수 없기에 오히려 후속 전개가 막힐 가능성이 커져서 그다지 실용성이 좋진 않다.

공격명은 서포트 어택(Support Attack).

3.5.3. 샐비지 워리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56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샐비지 워리어,
일어판 명칭=サルベージ・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Salvage Warrior,
레벨=5, 속성=물, 종족=전사족, 공격력=19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를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튜너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익스트림 빅토리에서 등장.

샐비지라는 이름처럼 어드밴스 소환되었을 때 패나 묘지에서 튜너를 끌고 오는 몬스터. 무조건 묘지의 튜너를 소환할 때 쓸 것 같다…만 효과가 어드밴스 소환할 때만 발동하므로 약간 미묘. 하다못해 그냥 일반 소환에 대응했으면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와 연계해 신나게 쓰였을텐데 말이다.

샐비지라서 그런지 구명조끼를 입은 모습이라 물 속성이다. 그래서 황천 개구리와 상성이 좋고,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이나 빙결계의 용 궁니르도 문제없이 싱크로 소환 가능. 튜너 비트덱, 개구리 제왕 덱에서 쓰면 좋을지도.

또한 의외기는 하지만 소환한 튜너의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으며, 소환 제약이 없다. BF-질풍의 게일같은 카드의 효과도 문제없이 효과를 쓸 수 있고,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도 튀어나올 수 있다는 소리. 퀵 싱크론 등 레벨 5 튜너를 소생시켜 엑시즈 소환하거나, 레벨 5 튜너를 소생시켰을 때, 엑시즈 소환 대신에 얼티마야 촐킨을 부를 수도 있다.

원작 사용자는 후도 유세이. 언논 싱크론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해 정크 싱크론을 특수 소환해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했다.

4. 유세이와 관련 없는 "워리어" 카드

전사족 이외의 카드는 (★) 표시

5. OCG화되지 않은 카드

5.1. 스카우팅 워리어

한글판 명칭 스카우팅 워리어
일어판 명칭 スカウティング・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Scouting Warrio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바람 전사족 1000 1000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에 의해서 자신의 덱에서 패에 넣어졌을 경우, 이 카드를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148화에서 사용한 카드. 증원같은 것으로 서치해오면 그냥 툭 튀어나온다. 애니에서는 스팀 싱크론과 함께 고대 요정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5.2. 더블 델타 워리어

파일:external/uploads1.yugioh.com/Double_Delta_Warrior.jpg
한글판 명칭 더블 델타 워리어
일어판 명칭 ダブル・デルタ・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Double Delta Warrio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바람 전사족 0 2100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하여 싱크로 소환한 턴, 자신은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

148화에서 사용한 카드. 빅 이터와 같이 블랙 페더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로 쓰였다. 이렇게 소환된 블랙 페더 드래곤은 시계신 라치온의 드로우 페이즈 번 효과를 무효화하지 않고 데미지를 그대로 받았는데, 왜인지는 알 수 없다. 여담으로 유세이의 사용 덱에서 메인덱 몬스터 중 이게 가장 레벨이 높다.
이름 때문인지 양손으로 델타 모양을 만들고 있는 게 특징. 유세이가 사용한 몬스터 중 몇 안되는 동양적인 모습의 카드이기도 하다.

5.3. 리제네 워리어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RegenWarrior-JP-Anime-5D.png
한글판 명칭 리제네 워리어
일어판 명칭 リジェネ・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Regene Warrio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어둠 전사족 0 0
이 카드가 패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148화에서 사용한 카드. Sp-엔젤 배턴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후 효과로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되어 정크 싱크론과 함께 블랙 로즈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로 쓰였다.

5.4. 트라이앵글 워리어

한글판 명칭 트라이앵글 워리어
일어판 명칭 トライアングル・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Triangle Warrior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2 전사족 600 1200
이 카드는 상대 필드 위에 "트라이앵글 토큰(전사족/빛 속성/레벨 2/공격력 1200/수비력 1200) 2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것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153화에서 사용한 카드. 자신의 효과로 잭 아틀라스의 필드 위에 "트라이앵글 토큰" 2장을 특수 소환하고 니트로 워리어의 싱크로 소재로 쓰였다. 이후 스피드 스펠을 사용해 니트로 워리어로 원턴 킬을 내려 했으나, 그 공격은 불발되고 트라이앵글 토큰 2장은 잭의 인플루엔스 드래곤과 함께 익스플로드 윙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로 쓰였다.

참고로 이 카드가 OCG화되어도 유세이의 원턴 킬은 성립한다. 수비봉인 같은 걸 이용해서 토큰 한 장을 공격 표시로 바꿔서 때려잡은 다음, 니트로 워리어의 효과로 다른 토큰 1장의 표시형식을 변경해 전투로 1600 데미지를 줄 수 있기 때문.

효과는 이미 금지당한 토치 골렘의 반대 버전.


[1] 락스톤 워리어는 암석족.[2] 미 OCG 함정 카드.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 패와 묘지에서 공격력 1000 이하의 몬스터를 각각 1장씩 특수 소환할 수 있다.[3] 미국식 발음 기호를 따른 표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부스트 워리어, version=20,
title2=레벨 워리어, version2=20,
title3=건틀릿 워리어, version3=18,
title5=매시브 워리어, version5=31,
title6=락스톤 워리어, version6=23,
title7=맥스 워리어, version7=22,
title8=터릿 워리어, version8=46,
title9=백업 워리어, version9=35,
title10=샐비지 워리어, version10=18,
title11=러시 워리어, version11=38,
title12=워리어(유희왕), version12=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