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22:51:08

엄상백/선수 경력/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엄상백/선수 경력
엄상백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3년 2024년 2025년
1. 개요2. 시범경기3. 페넌트 레이스
3.1. 3월
3.1.1. 3월 24일: 수원 삼성전 [패]3.1.2. 3월 30일: 대전 한화전 [패]
3.2. 4월
3.2.1. 4월 3일: 광주 KIA전 [패]3.2.2. 4월 9일: 창원 NC전 [승]3.2.3. 4월 14일: 수원 SSG전 [패]3.2.4. 4월 21일: 사직 롯데전 [패]3.2.5. 4월 26일: 인천 SSG전 [패]
3.3. 5월
3.3.1. 5월 2일: 광주 KIA전 [승]3.3.2. 5월 8일: 수원 NC전 [ND]3.3.3. 5월 14일: 수원 롯데전 [ND]3.3.4. 5월 25일: 수원 키움전 [승]3.3.5. 5월 31일: 광주 KIA전 [승]
3.4. 6월
3.4.1. 6월 6일: 수원 한화전 [패]3.4.2. 6월 12일: 창원 NC전 [승]
3.5. 7월3.6. 8월
4. 포스트시즌(필요 시)5. 시즌 총평6. 관련 문서

1. 개요

kt wiz 투수 엄상백의 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 이번 시즌을 마치고 생애 첫 FA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2. 시범경기

3. 페넌트 레이스

3.1. 3월

3.1.1. 3월 24일: 수원 삼성전 [패]

삼성과의 경기에서 1회 초부터 연속 안타,볼넷을 기록하며 2실점 하였다. 4이닝 4실점을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됐다. 이후 격차는 10점차까지 벌어졌지만, 타선이 무려 7점을 쫓아가면서 엄상백 본인에게 굉장히 아쉬운 경기가 되었다.

3.1.2. 3월 30일: 대전 한화전 [패]

한화와의 경기에서 3이닝 4실점에 2피홈런을 기록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1]

3.2. 4월

3.2.1. 4월 3일: 광주 KIA전 [패]

사흘만 쉬고 KIA와의 경기에 등판해 5이닝 7피안타 3실점으로 이전 등판보다 좀 더 나은 경기력을 보여줬으나 타선의 득점 지원이 없어 패전을 기록했다.

3.2.2. 4월 9일: 창원 NC전 [승]

nc와의 경기에서 5이닝 1실점을 기록하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올 시즌 첫 선발승.

3.2.3. 4월 14일: 수원 SSG전 [패]

박종훈과 언더투수 대결을 하게 되었다. 5이닝 7피안타 1볼넷 4실점를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타선의 득점지원을 노릴만한 기록이었으나 타선이 겨우 1득점을 하면서 시즌 4패를 기록했다.

3.2.4. 4월 21일: 사직 롯데전 [패]

사직 롯데전 더블헤더 2차전에서 6이닝 7피안타 5실점 5자책 1사사구 7삼진 2피홈런를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어느덧 시즌 5패.

3.2.5. 4월 26일: 인천 SSG전 [패]

문학 SSG와의 경기에서 6과2/3이닝 동안 7피안타 4실점(3자책) 1피홈런 5K를 기록하고 내려갔으며, 피칭도 그럭저럭 괜찮았고 안타도 괜찮게 나온 경기였으나 정작 득점은 2점밖에 해내지못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벌써 시즌 6패이다.

3.3. 5월

3.3.1. 5월 2일: 광주 KIA전 [승]

광주 KIA전에 선발등판하여 5이닝 6피안타(2피홈런) 3실점 9K를 기록했으며, KIA 수비진의 실책 퍼레이드와 타선지원으로 현재 가장 폼이 좋은 제임스 네일을 상대로 승리를 챙겼다. 경기 초반부터 제구가 잘 되지않고 이우성과 한준우에게 백투백 홈런을 맞으며 흔들리는 듯 했으나, 탈삼진을 9개나 기록하고 5이닝을 막아냈다.

3.3.2. 5월 8일: 수원 NC전 [ND]

수원 NC전에서 선발등판해 5.1이닝 6피안타 1피홈런 2볼넷 9K 4실점을 기록했다.

현재 피홈런 10개로 리그 전체 1위를 마크하고 있다.[2] 좋은 삼진율과 점차 소화 이닝도 늘리고 있으나 지나치게 많은 피홈런으로 실점이 많은 편.

3.3.3. 5월 14일: 수원 롯데전 [ND]

롯데와의 경기에서6이닝 4피안타(1피홈런) 2볼넷 7K 2실점으로 시즌 두번째 QS를 달성했다. 팀은 장성우의 싹쓸이 3타점으로 승리했다. 예정 되어있던 휴식을 위해 말소되었다.

3.3.4. 5월 25일: 수원 키움전 [승]

키움과의 경기에서 선발로 등판했다. 5이닝 1실점을 기록했고 불펜들이 뒷문을 걸어잠그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3.3.5. 5월 31일: 광주 KIA전 [승]

KIA와의 경기에서 1회부터 3실점을 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이후 무실점을 기록했고, 마침내 타선이 7회초 로하스의 만루포와 함께 역전에 성공하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최종 성적은 6이닝 6피안타 2볼넷 5K 3실점 QS.

3.4. 6월

3.4.1. 6월 6일: 수원 한화전 [패]

한화와의 시리즈 마지막경기인 9차전에 류현진과 맞붙게 되었다.
시리즈 내내 부진하던 KT선발들과 달리 엄상백은 달랐다. 6과 2/3이닝동안 7개의 탈삼진을 잡아내며 QS+을 달성하기 직전 좌익수 김민혁의 투구 판단미스로 결국 1실점하며 이닝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김민으로 교체되었다. 시즌 초 6패를 하던 모습과 정 반대로 류현진과 최고의 투수전을 보여주었으나, 실책하나로 승리투수가 날라갔으며, 9회 박영현,이상동의 이어지는 방화로 패전을 면하려던 기회마저 날라가 패전투수가 되었다.

7회에서 행복 수비가 터져서 그렇지 6회까지는 안정적으로 투구수를 관리하며 kt 주중 3연전 동안 뜨겁게 불타던 한화 타선을 꽁꽁 얼렸었단 점은 고무적인 부분이다.

3.4.2. 6월 12일: 창원 NC전 [승]

6.1이닝 6피안타 2피홈런 1사사구 9K 5실점을 기록했다. 다소 애매한 성적이지만 타선이 NC의 끈질긴 추격을 뿌리칠 정도로 폭발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다만 지금까지의 성적에서 알수 있듯이, 삼진능력은 눈에 띄게 좋아졌지만 피홈런이 상당히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오늘 경기 역시 피홈런만 없었어도 4실점이나 줄일 수 있었다.

3.5. 7월

3.6. 8월

4. 포스트시즌(필요 시)

5. 시즌 총평

6.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선발 2경기 모두 패를 기록하면서 2패이다.[2] 여담으로 2위는 9개를 기록한 같은팀의 웨스 벤자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