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22:47:08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2025)
ある魔女が死ぬまで

Once Upon a Witch's Death
<nopad>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메인 비주얼.jpg
{{{#b37941,#ead7a7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6f4ea,#2f476a><colcolor=#b37941,#ead7a7> 장르 드라마, 판타지
원작 사카(坂)
캐릭터 원안 코레후지(コレフジ)
감독 니고리카와 아츠시(濁川 敦)
시리즈 구성 오오치 케이이치로(大知慶一郎)
캐릭터 디자인 유키 시즈쿠(ユキシズク)
서브 캐릭터 디자인 요시다 타테(吉田 縦)
Aquanta
카사사기 아카네(鵲あかね)
프롭 디자인 요시다 타테
미술 감독 쿠가 유미코(空閑由美子)
오니타니 타쿠미(鬼谷拓実)
색채 설계 카키타 유키코(垣田由紀子)
촬영 감독 에마 츠네타카
편집 타키가와 미사토(瀧川三智)
음향 감독 모리시타 히로토(森下広人)
음향 제작 하야시 유키(林 佑樹)
녹음 쿠로사키 히로키(黒崎裕樹)
음향 제작 글로비전(グロービジョン)
음악 타테야마 아키유키(立山秋航)
음악 제작 플라잉 독(フライングドッグ)
기획 키쿠치 타케시(菊池 剛)
쿠도 다이죠(工藤大丈)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타나카 쇼(田中 翔)
사사키 시로(佐々木史朗)
이토 쇼세이(伊藤将生)
사노 케이스케(佐野圭介)
미야모토 히데아키(宮本秀晃)
프로듀서 카와모토 사치(河本紗知)
콘도 마리코(近藤真理子)
이이즈카 아야(飯塚 彩)
카완도 켄지로(川人憲治郎)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하토리 아유무(はとりあゆむ)
라인 프로듀서 타케모토 히로카즈(武本浩和)
애니메이션 제작 EMT 스퀘어드
제작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25. 04. 01. ~ 방영 중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AT-X / (화) 23:30
스트리밍
[[크런치롤|
Crunchyroll
]]
#!if 링크 != null
[[https://www.crunchyroll.com/series/GMEHME72W|▶]]
#!if 주석 != null
^^^^
#!if 시청등급 != null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4a4e58;font-size:.8em;color:#dadada;font-weight:bold;font-style:italic;"
}}}
편당 러닝타임 23분
화수 12화 (예정)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2.1.2. 캐릭터
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5. 주제가
5.1. OP5.2. ED
6. 회차 목록7. 회차별 WEB 예고편8. 평가
8.1. 방영 전8.2. 방영 후
9. 기타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문예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니고리카와 아츠시, 방영 시기는 2025년 4월.

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티저 PV
메인 PV 제1탄
메인 PV 제2탄

2.1.2. 캐릭터

메그 라즈베리
파우스트
소피 헤이터

===# CM #===
번선 CM

2.2. 키 비주얼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메인 비주얼.jpg
<rowcolor=#b37941,#ead7a7> 티저 비주얼 메인 비주얼[1]
시추에이션 비주얼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애니시추에이션비주얼제1탄.jpg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애니시추에이션비주얼제2탄.jpg
<rowcolor=#b37941,#ead7a7> 제1탄 「마녀의 집」 제2탄 「라피스의 거리」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애니시추에이션비주얼제3탄.jpg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애니시추에이션비주얼제4탄.jpg
<rowcolor=#b37941,#ead7a7> 제3탄 「이계 축제」 제4탄 「마법식 전」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마녀의 여행 콜라보 비주얼.jpg
<rowcolor=#b37941,#ead7a7> 마녀의 여행 콜라보 비주얼

3. 줄거리

“넌 죽는다. 1년 뒤에.”

마녀와 인간이 평온하게 공생하고 있는 영국의 한 시골 마을.
그곳에서 평화롭게 살던 견습 마녀 메구 라즈베리는 17살 생일,
스승인 ‘영년의 마녀’ 파우스트로부터 ‘죽음의 선고’ 저주가 발동되어 1년 뒤 죽을 운명임을 통보받는다.

저주를 회피할 단 하나의 방법은 '기쁨의 눈물'을 천 개 모아 '생명의 씨앗'을 만드는 거라는데….
갑작스럽게 나타난 생명의 기한은 메구의 평범한 일상을 고요하면서도 확실하게 변화시켜 간다.

이것은 남은 인생 1년을 선고당한 미숙한 마녀가 일으키는 다정한 기적의 이야기──.
― 코믹스 1권 개요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등장인물|등장인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

5.1. OP

OP / 1화 ED / 5화 삽입곡
Drops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f6f4ea,#2f476a><colcolor=#b37941,#ead7a7> 노래 사카모토 마아야
작사 이와사토 유호(岩里祐穂)
작곡 키요타 나오토(清田直人)
편곡 코노 신(河野 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6f4ea,#2f476a><colcolor=#b37941,#ead7a7> 콘티 니고리카와 아츠시(濁川 敦)
연출
작화감독 유키 시즈쿠(ユキシズク)
}}}}}}}}}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c1d1f><table width=650><bgcolor=#ffffff,#1c1d1f>[[사카모토 마아야|{{{#!wiki style="text-align: center" ||

5.2. ED

ED
花咲く道で
꽃이 피는 길에서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f6f4ea,#2f476a><colcolor=#b37941,#ead7a7> 노래 테시마 아오이
작사 카지우라 유키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6f4ea,#2f476a><colcolor=#b37941,#ead7a7> 콘티 츠지 마사토시
연출
작화감독
}}}}}}}}}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c1d1f><table width=650><bgcolor=#ffffff,#1c1d1f>[[테시마 아오이|{{{#!wiki style="text-align: center" ||

6. 회차 목록

<rowcolor=#b37941,#ead7a7> 회차 제목[2]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余命一年の魔女
시한부 1년의 마녀
오오치 케이이치로
(大知慶一郎)
니고리카와 아츠시
(濁川 敦)
니고리카와 아츠시 오카다 유키코
(岡田由起子)
미나미하라 요시코
(南原孝衣子)
아오키 신이치
(青木伸一)
Wang Xiao-ming
Fan Dong-dong
Yin Shao-feng
Hwang Hyun-grak
유키 시즈쿠
(ユキシズク)
선행: 2025.03.01.
日: 2025.04.01.
제2화 見習い魔女とラピスの人々
견습 마녀와 라피스의 사람들
무라카와 나오야
(村川直哉)
타케우치 아키라
(竹內 昭)
요시다 타테
(吉田 縦)
아오키 신이치
오카다 유키코
周婧
黄华
江影
王培非
徐延文
欧阳海
王瑞浩
SUN CHANG
HWANG HYUNGRAK
나카야마 카즈코
(中山和子)
우에다 에리
(上田理恵)
日: 2025.04.08.
제3화 東より、英知の来訪
동쪽에서 온 예지의 방문
타카야시키 히로시
(高屋敷 寛)
마에조노 후미오
(前園文夫)
호소다 사오리
(細田沙織)
慧敏
約拿単
타케우치 아키라
(武内 啓)
요시다 타테
(吉田 縦)
토미노 키에
(鞠野黄英)
日: 2025.04.15.
제4화 祝福は開門と共に
아오시마 타카시 마에사와 히로키
(前澤大樹)
카쿠하라 유키
(角原勇輝)
노가미 신야
(野上慎也)
마스이 잇페이
(桝井一平)
이시이 마이
(石井麻衣)
코니시 아미
(小西亜実)
한승희
타케우치 아키라 日: 2025.04.22.
제5화 祭典の夜空に花は咲く
니고리카와 아츠시 mikan 아오키 신이치
타케우치 아키라
오카다 유키코
陈娇娇
徐延文
欧阳海
扬彤琤
黄华
江影
毛缟斑
루라포트
(ルラフォート)
FAN DONG DONG
尹少锋
황형락
타케우치 아키라 日: 2025.04.29.
제6화 魔法のない夕暮れの空は
日: 2025.
제7화 日: 2025.
제8화 日: 2025.
제9화 日: 2025.
제10화 日: 2025.
제11화 日: 2025.
제12화 日: 2025.

7.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6f4ea,#2f476a><colcolor=#b37941,#ead7a7>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8. 평가

8.1. 방영 전

원작이 라이트 문예로 분류되는 만큼 일반적인 라이트 노벨보다는 진중한 분위기에 내용도 무게감이 있어 애니화를 기대하는 반응도 많으나 제작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 감독 니고리카와 아츠시의 필모작들이 연애폭군, 용사 파티에서 추방된 비스트테이머, 최강종의 고양이귀 소녀와 만나다, 이세계 느긋한 기행 ~육아 하면서 모험가 합니다~ 등 가벼운 일상물류 작품이 많으며, 그 작품들의 평가도 크게 좋지 못했기 때문이다.

8.2. 방영 후

정적인 연출과 안정적인 작화로 방영전의 우려를 씻어냈다.

방영후 세간의 반응은 대체로 무난하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9. 기타

  • 방영 직전 만우절을 겸해서 마녀의 여행과의 콜라보레이션 기획을 개최, 영상과 비주얼 및 일문일답 등을 공개했다.

    <rowcolor=#b37941,#ead7a7> TV애니메이션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의 여행」 티저 영상 공개⁉ 오늘 방송 개시⁉ 【※만우절 영상】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마녀의 여행】 스페셜 콜라보 무비

[1]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메인 비주얼.webp[2] 한국에서는 정식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번역 제목은 임의로 서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