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애니메이션#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애니메이션#|]]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ある魔女が死ぬまで Once Upon a Witch's Death | |
<nopad>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1권(한국).jpg | |
<colbgcolor=#634c3d><colcolor=#ffffff> 장르 | 드라마, 판타지 |
작가 | 사카 |
삽화가 | 코레후지 |
번역가 | 이거트7개 |
출판사 | |
레이블 | |
발매 기간 | |
웹 연재 기간 | 2019. 10. 03. ~ 연재 중 |
권수 | |
관련 사이트 | 웹 연재(카쿠요무) |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문예. 작가는 사카(坂). 삽화가는 코레후지(コレフジ).2. 줄거리
"너 1년만 더 있으면 죽을 거야, 저주 때문에" "뭐?"
17번째 생일. 견습마녀 멕은 스승인 영원한 마녀 파우스트로부터 여명을 선고받는다.
저주를 푸는 방법은 사람의 기쁨의 눈물을 1000알 모아 생명의 씨앗을 만들어 내는 것뿐.
메그는 눈물을 모으기 위해 닫혀 있던 자신의 세계를 펼쳐 많은 사람과 관련되어 간다.
만남, 이별, 우정, 애정 그리고 눈물.
많은 생각을 받고 약속을 맹세한 그 앞에서 멕은 마녀로서 소중한 것을 배우고, 그리고 스승이 자신에게 주려는 것을 알아간다.
"나 전혀 스승님께 보답할 수 없어. 그러니까, 아직..."
밝고 유쾌하고 조금 애틋한, 마녀의 사제가 보내는 한살림의 이야기.
― 1권 소개글(아마존)
17번째 생일. 견습마녀 멕은 스승인 영원한 마녀 파우스트로부터 여명을 선고받는다.
저주를 푸는 방법은 사람의 기쁨의 눈물을 1000알 모아 생명의 씨앗을 만들어 내는 것뿐.
메그는 눈물을 모으기 위해 닫혀 있던 자신의 세계를 펼쳐 많은 사람과 관련되어 간다.
만남, 이별, 우정, 애정 그리고 눈물.
많은 생각을 받고 약속을 맹세한 그 앞에서 멕은 마녀로서 소중한 것을 배우고, 그리고 스승이 자신에게 주려는 것을 알아간다.
"나 전혀 스승님께 보답할 수 없어. 그러니까, 아직..."
밝고 유쾌하고 조금 애틋한, 마녀의 사제가 보내는 한살림의 이야기.
― 1권 소개글(아마존)
3. 발매 현황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720><table bordercolor=#f6b68d,#f6b68d><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bgcolor=#634c3d><rowcolor=#ffffff><width=33.33%> 1권 ||<-2><bgcolor=#1b232e><width=33.33%> 2권 ||<-2><width=33.33%>
3권
||파일: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1권(한국).jpg | | | |||
<rowcolor=#ffffff>
|
|
| |||
<rowcolor=#ffffff> 종말의 말과 시작의 눈물 | 푸른 바다에 축복의 종은 울려퍼진다 | 끝없는 이야기의 막이 오르다 | |||
| 2021년 12월 17일 | | 2024년 07월 17일 | | 2025년 03월 17일 |
| 2025년 04월 24일 | | 미정 | | 미정 |
| 2025년 04월 30일 | | 미정 | | 미정 |
4. 등장인물
- 메그 라즈베리(メグ・ラズベリー) - 성우: 아오야마 요시노/해나 앨리야
스승인 마녀 파우스트를 돌보며 마법을 연마하는 수습 마녀. 매사에 긍정적이나 입이 조금 지저분하다. 17세 생일에 스승인 파우스트로부터 본인이 저주로 인해 1년 시한부 인생이라는 얘기를 듣고[4] 저주를 푸는 방법인 사람의 기쁨의 눈물을 1000알 모아 생명의 씨앗을 만들어 내기 위해 여행을 계획한다. 정황상 동양쪽에도 관련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파우스트(ファウスト) - 성우: 사카키바라 요시코[5]/린다 영
이명으로 「빙결의 마녀」라는 이름을 갖고 있으며 마법계 탑클래스라 지칭하는 "칠현인" 중 1인. 마법사 중에서도 시간마법을 특기로 하고 있으며 매사에 침착하고 위엄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현재 부모를 잃었던 메그를 제자로 키우고 있으며 메그에게 시한부 인생이란 사실을 알려준다.
- 소피 헤이터 - 성우: 요우미야 히나
파우스트와 같은 '칠현인'중 한명.메그와 동갑이라고 한다. 칠현인으로 꼽힐 만큼 마법사로는 최정상급이지만 오히려 그 뛰어난 마력 때문에 가족과 이웃들에게 버림받아 5살에 마법협회가 거둬갔고 덕분에 마법을 싫어한다. 작중에선 라피스의 마을 축제로 이계의 문을 열기 위해 라피스에 왔는데[6] 처음엔 메그를 딱히 목적도 없이 마법을 배운 햇병아리 취급했으나 축제 당일 위험한 요소를 막는 결계가 깨지자 급하게 수습하느라 애를 쓰고 책임까지 전부 덮어쓴 메그를 인정하게 된다.
- 이노리 - 성우: 이토 시즈카/마르와 엘다
파우스트와 마찬가지로 '칠현인'중 한 명인 마녀. 이명은 '예지의 마녀'.
100살이 넘었다는 소문이 있지만, 외견은 상당히 젊게 유지하고 있다.
파우스트가 마력에 의한 갑작스런 환경 변화 때문에 북미로 파견되자, 그녀에게 부탁 받아 메그 라즈베리를 돌봐주러 온다. 첫 등장에 맨발을 입에 갖다 대는 험한 방식으로 메그를 깨우고, 발냄새 난다는 악평을 몇 번이고 듣지만[7] 그럼에도 메그를 호평하며 자신의 조수가 되지 않겠냐는 제안을 한다.
현대적이지만 철학적인 관점으로 가르치고 이야기하는 파우스트와는 대조되게 옷차림은 마녀의 스테레오 타입에 가깝지만, 마법 연구 방식은 현대 과학에 가깝다.[8]
- 엘드라 - 성우: 히카사 요코
- 수수께끼의 소녀 - 성우: 타네자키 아츠미
- 안나 윌리엄스 - 성우: 마에다 카오리/리세트 모니크 디아스
메그가 저주에 관한 것을 선고받은 이후 첫 번째로 만난 소녀. 이름 자체는 평범하지만 어머니의 묘비명에 적힌 성을 조합해 풀네임을 적으면 낯익은 그 캐릭터와 동명이인이 되어버린다. 메구의 앞으로 활동에서 튜토리얼 적인 역할을 했다.
- 헨디 윌리엄스 - 성우: 야나카 히로시/제프 스웨어린젠
안나의 아버지이자 메구도 자주 신세를 지고 있는 의사. 부인(이리스)은 사별했으며 다양한 곳에 여행을 떠났던 적이 있다.
- 제페토 - 성우: 츠지 신파치
시계방의 주인.
- 플레어 - 성우: 쿠보타 타미에
라피스 마을에서 사는 메그의 이웃 할머니. 메그와 파우스트가 볼 수 있는 임종이 가까워졌을때 생기는 검은 오라[9]가 생겨난 상태라서 메그는 플레어를 구하고자 했으나 결국 운명을 바꿀 수 없다는 걸 알고 마지막 소원인 '가족들을 만나고 싶다'를 이뤄주기 위해 아들인 에드 가족들을 데려왔고 플레어는 메그, 아들과 손녀와 함께 어린시절부터 함께 했던 고목 아래에서 평온한 표정으로 영면에 들어갔다.
- 에드 - 성우: 테즈카 히로미치
플레어의 아들.메그를 따라 어머니를 만나러 가족들과 고향에 돌아왔고 덕분의 어머니의 임종을 지켜볼수 있었다.
- 릴리 - 성우: 무라카미 마나츠
에드의 딸이자 플레어의 손녀.
- 레이첼 - 성우: 나카하라 마이
메그가 과거에 시계를 고쳐준 것으로 알게 된 여인. 기혼자며, 이 시계는 남편의 것이었다고 한다.
- 마리 - 성우: 야스노 키요노
- 우프신 - 성우: 미즈나카 마사아키
5. 미디어 믹스
5.1. 코믹스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 ある魔女が死ぬまで | |
<nopad> | |
<colbgcolor=#5b2132><colcolor=#ffffff> 장르 | 판타지 |
작가 | 아메아라레 케누 |
출판사 | |
연재처 | ComicWalker |
레이블 | |
연재 기간 | 2023. 03. 10. ~ 연재 중 |
단행본 권수 | |
관련 사이트 | 웹 연재(코믹 워커) |
5.1.1. 발매 현황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720><table bordercolor=#5b2132,#c76683><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bgcolor=#e2a07f,#a24f25><rowcolor=#ffffff><width=33.33%> 1권 ||<-2><bgcolor=#716c9c,#676293><width=33.33%> 2권 ||<-2><bgcolor=#7db597,#417158><width=33.33%> 3권 ||
| | | |||
<rowcolor=#ffffff>
|
|
| |||
| 2023년 07월 27일 | | 2024년 07월 26일 | | 2024년 09월 27일 |
| 2024년 05월 28일 | | 2025년 04월 30일 | | 미정 |
5.2. 애니메이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애니메이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어느 마녀가 죽을 때까지/애니메이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기타
- 문예의 1권의 부제와 코믹스의 1 ~ 2권의 부제가 동일한 걸로 볼 때 코믹스의 1 ~ ?권을 문예 1권의 형태로 가져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7. 외부 링크
[1] 2025. 03. 17. 기준[2] 2025. 04. 24. 기준[3] 2024. 04. 30. 기준[4] 파우스트의 말로는 누군가 임의로 건 것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걸려있었다고 하며 1년 뒤 급격한 노화가 오며 길어야 한달 안에 죽는다고 한다.[5] 헬싱의 인테그랄 페어브룩 윈게이츠 헬싱 이후 24년만의 주연 복귀작.[6] 라피스 마을은 마력이 모여서 순환하는 곳이라 그 마력을 방출하기 위해 이계의 문을 열어 이계의 존재를 불러들이는 축제를 1년에 한번씩 치른다.원래는 이를 파우스트가 관장했으나 하필 그 직전에 허리부상을 당하면서 소피가 그 대리로 온 것.[7] 진짜 몇 번이고 듣는데, 위의 이미지대로 상당히 긴 부츠에 긴 스타킹을 신고 다니는 데다 자주 걸어다니고 씻을 틈도 없었다고 본인 입으로 말한 것을 고려하면, 발냄새가 심하다는 건 진담일 가능성이 크다.[8] 예를 들어, 생명의 씨앗을 만들 재료로 기쁨의 눈물 1000개를 1년 안에 수집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자, 어느 부분에서 기쁨의 눈물로 인정되는가 데이터를 수집해서 (귀납적으로) 정의내리고, 그 상태를 재현하는 약품과 마법을 고안하고 피험자를 모아 시험한다고 했다.[9] 파우스트의 설명으로는 사신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