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
<nopad> | ||||
포뮬러 2 | → | 2025 시즌 | → | 현재 |
2025 시즌 순위 (4R) 현재 6위 |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 2025 시즌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소속 팀 | <colbgcolor=#fff,#191919>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 |
경과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퀄리파잉 종료 기준) | |
우승 | 0회 |
폴 포지션 | 0회 |
패스티스트 랩[1] | 1회 |
포디움 | 0회 |
그랜드 슬램 | 0회 |
해트트릭 | 0회 |
폴투윈 | 0회 |
총점 | 30점 |
평균 스타팅 그리드[2] | 8위 |
평균 완주 순위[3] | 6.75위 |
1. 개요2. 프리 시즌3. 시즌 상세
3.1. 전반기
4. 시즌 총평3.1.1. 1R: 호주 그랑프리3.1.2. 2R: 중국 그랑프리3.1.3. 3R: 일본 그랑프리3.1.4. 4R: 바레인 그랑프리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3.1.8. 8R: 모나코 그랑프리3.1.9. 9R: 스페인 그랑프리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3.1.12. 12R: 영국 그랑프리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1. 개요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의 F1 2025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안토넬리의 포뮬러 1 데뷔 시즌이자 메르세데스 소속으로 참가하는 1번째 시즌이다. 2022년 F4 이탈리아 챔피언십, ADAC F4 챔피언십, 2023 포뮬러 리저널 중동 챔피언십 및 포뮬러 리저널 유러피언 챔피언십에서 사용한 12번을 그대로 사용한다.[4]2. 프리 시즌
2021년 포뮬러 4 시절부터 엄청난 성장세와 압도적인 성적을 보여주며 메르세데스의 아카데미에 발탁된 안토넬리는 루이스 해밀턴이 지난 시즌을 끝으로 페라리로 이적함에 따라 토토 볼프 감독과 팀 스태프들의 선택을 받아 곧바로 빅 팀인 메르세데스에 데뷔를 하게 되었다. 같은 아카데미 출신인 선배 조지 러셀의 팀메이트로 달릴 예정이다.만 18세의 나이에 데뷔를 하게 되었기에 이번 시즌 안토넬리는 여러 기록들의 최연소 타이틀을 가져갈 가능성이 생겼다. 레이스 엔트리와 Q3 진출, 포인트 획득은 막스 베르스타펜이 17세의 나이에 달성했기에 불가능하지만, 우승과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과 폴투윈, 해트트릭, 그랜드 슬램 등은 최연소 기록을 세울 수 있다.
3. 시즌 상세
3.1. 전반기
3.1.1. 1R: 호주 그랑프리
|
16번 그리드에서 시작한 레이스에서는, 다른 선수들이 비가 내려 젖은 노면에서 스핀하여 세이프티 카가 두 번이나 발령되는 가운데, 빗속에서 추월쇼를 선보이며 포인트권으로 올라왔다.[5] 이후 레이스 막판 다시 비가 내리면서 드라이버들이 단체로 피트인해 인터미디어트 타이어로 교체하였는데, 여기서 페라리와 레이싱 불스의 작전 미스가 나오면서 4위까지 순위를 올릴 수 있었다. 경기 후반 언세이프 릴리즈로 페널티를 받아 5위로 랭크됐으나, 경기 종료 후 페널티가 취소되어 4위로 승격되었다.
수중전으로 펼쳐진 레이스에서 다른 루키들이 모조리 리타이어한 가운데, 인상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며[6] 자신이 어째서 이렇게 큰 기대를 받는지를 보여주었다. 이번 레이스를 통해 안토넬리는 F1 역사상 두 번째로 어린 나이에 포인트를 획득한 드라이버가 되었다.[7]
3.1.2. 2R: 중국 그랑프리
스프린트에서는 P7을 기록하며 2포인트를 획득하였다.퀄리파잉에서는 커리어 첫 Q3에 진출하였고 8위를 기록하였다.
레이스에서는 오프닝 랩에 샤를 르클레르의 프런트 윙 엔드 플레이트가 안토넬리의 레이스 카의 플로어를 손상시켜 페이스 저하가 발생했으나, 8위로 피니시하며 포인트 수확에 성공할 수 있었다. 레이스 종료 후에는 뜬금없이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로 선정되었는데, 토토 볼프와 안토넬리 본인조차도 이유를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후 페라리 듀오가 실격당하는 사태가 발생하며 6위로 승격되었다.
3.1.3. 3R: 일본 그랑프리
프랙티스 세션은 9위, 16위, 13위로 그럭저럭한 성적을 보여주었다.퀄리파잉에서는 6위로 마쳤다.
레이스에서는 큰 사고 없이 시작하였다. 최연소 레이스 리더 타이틀도 가져오고 타이어 관리 측면에서도 루키라고는 믿을 수 없는 실력을 보여주었다. 미디엄 타이어로 시작해 31랩을 달리며, 하드 타이어로 시작한 루이스 해밀턴보다 더 늦게 피트 스탑을 하였다. 경기 후반부에는 하드 타이어로 피트 스탑을 한 후 계속해서 5위인 팀메이트 조지 러셀과의 간격을 줄이면서 패스티스트 랩, 그리고 스즈카 서킷 랩 레코드까지 찍는 미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최연소 랩 레코드 기록 및 최연소 패스티스트 랩 기록을 경신하게 되었다. 최종 성적은 P6.
3.1.4. 4R: 바레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Q1에서 팀메이트 조지 러셀을 앞서기도 하는 등, 루키치고 놀라운 스피드를 보여주며 4위를 기록하였다. 이후 전략팀의 실수[8]로 인해 1 그리드 패널티를 받아 5 그리드에서 레이스를 시작한다.레이스에서는 막스 베르스타펜을 상대로 라인 크로스를 통한 추월을 비롯해 여러 차례 멋진 추월을 보여주며 순위권에 올라왔으나, 팀은 키미에게 3스톱 전략을 내리다가 지속적으로 중위권 트래픽에 걸리는 불운을 맞이하였고, 결국 레이스 후반에 SC가 발동되어 키미의 순위는 곤두박질 치고 말았다. 결국 11위로 완주해 포인트 획득에 실패하고 말았다.
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는 안정적인 드라이빙으로 P5를 기록하였다. 개막전 호주 그랑프리 이후로 꾸준히 숏런 퍼포먼스가 좋아지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
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3.1.8. 8R: 모나코 그랑프리
3.1.9. 9R: 스페인 그랑프리
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
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1.12. 12R: 영국 그랑프리
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
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
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
3.2.1. 15R: 네덜란드 그랑프리
3.2.2. 16R: 이탈리아 그랑프리
3.2.3. 17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3.2.4.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3.2.5. 19R: 미국 그랑프리
3.2.6. 20R: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3.2.7. 21R: 상파울루 그랑프리
3.2.8. 22R: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3.2.9. 23R: 카타르 그랑프리
3.2.10. 24R: 아부다비 그랑프리
4. 시즌 총평
[1] 2025 일본 그랑프리[2] 피트레인 스타트 제외.[3] 리타이어 경기 제외.[4] 과거 펠리페 나스르와 아일톤 세나의 차 번호이기도 했다.[5] 중간에 4번 코너에서 스핀하는 아찔한 장면도 있었으나, 다행히 충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6] 루키들 중 올리버 베어먼과 안토넬리만 완주했다.[7] 18년 6개월 19일. 1위는 17년 5개월 29일의 막스 베르스타펜.[8] Q2에서 에스테반 오콘의 사고로 레드 플래그가 발령된 후, 레이스 컨트롤의 세션 재개 선언이 있기 전 레이스 카를 트랙에 내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