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63180>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3180, #263180 20%, #263180 80%, #26318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공화국 (Республика) | ||
칼미키야 공화국 | 아디게야 공화국 | 크림 공화국 |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 ||
<rowcolor=#ffffff> 연방시 (Федеральный город) | |||
세바스토폴 연방시 | |||
<rowcolor=#fff> 주 (Область) | |||
로스토프주 | 볼고그라드주 | 아스트라한주 | |
자포로지예주* | 헤르손주* | ||
<rowcolor=#fff> 지방 (Край) | |||
크라스노다르 지방 | }}}}}}}}} |
1. 러시아의 주
| |
아스트라한주 Астраханская область | |
주도 | 아스트라한 |
인구 | 997,778 (2021) |
면적 | 49,024㎢ |
인구밀도 | 20.35명/㎢ |
종교 | 기독교 (52.4%) -러시아 정교회 (46%) -기타 정교회 (4.3%) -기타 기독교 (2.1%) 무종교 (22.7%) 이슬람 (14.6%) 슬라브 이교 (1.7%) 기타 종교 (8.6%) |
시간대 | UTC+3 |
2. 러시아 도시
| |
아스트라한 Астрахань | |
설립 | 1334년 |
인구 | 524,371 (2021) |
면적 | 209㎢ |
인구밀도 | 2,512명/㎢ |
시간대 | UTC+3 |
볼가 강 하류에 있는 도시로 아스트라한주의 주도이다.
하자르 칸국의 수도였던 아틸이 그 기원으로, 킵차크 칸국 시절에는 튀르크 귀족[1]의 성지라는 뜻의 핫지 타르한이라고 칭해져 오늘날의 이름인 아스트라한이 되었다. 카자흐스탄과 가깝고 기차가 자주 다닌다. 언뜻 보면 카스피해를 낀 해안도시 같아 보이지만 이라크의 바스라처럼 볼가강의 퇴적으로 현재는 카스피해와는 100km 가까이 떨어져 있다.
중세 아스트라한 칸국의 수도였다. 사라이와 함께 중세 흑사병이 시작된 곳으로 추정된다.[2] 독소전쟁 때 바르바로사 작전의 최종 도달 목표 아르한겔스크-아스트라한 선의 기준점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연평균 10.5도, 7월 평균기온 25.6도, 2월 평균기온 -3.7도로 우리나라 중부지방과 비슷한 온도를 보이지만 연강수량이 234mm로 매우 적어 건조기후에 속한다. 원래 이 정도 강수량이면 사막으로 분류되지만, 1년 내내 15~30mm 정도로 적지만 꾸준하게 비가 내리기 때문에 주변에는 짧은 풀이 자라는 황무지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 주변에서는 볼가 강에서 흘러오는 물길을 이용한 관개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볼가 강 하류 삼각주~카스피해로 이어진 지리적 조건을 이용해 특산물은 캐비어다. 이곳 캐비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편이다.
교통은 2007년까지 노면전차, 2017년까지 트롤리버스가 있었으나 모두 폐선되고 현재는 시내버스와 승합차뿐이다.
러시아 해군의 카스피해 전단 사령부가 위치해 있다. 2022년 노동용기도시로 지정되었다. #
대항해시대 3에 등장하는 내륙도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