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1:29:34

볼고그라드주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63180>
파일:러시아 국장.svg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3180, #263180 20%, #263180 80%, #26318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공화국 (Республика)
파일:칼미키야 공화국 국장.svg
칼미키야 공화국
파일:아디게야 공화국 국장.svg
아디게야 공화국
파일:크림 공화국 국장.svg
크림 공화국
<rowcolor=#ffffff> 연방시 (Федеральный город)
파일:세바스토폴 시장.svg
세바스토폴 연방시
<rowcolor=#fff> 주 (Область)
파일:로스토프 주장.svg
로스토프주
파일:볼고그라드 주장.svg
볼고그라드주
파일:아스트라한 주장.svg
아스트라한주
<rowcolor=#fff> 지방 (Край)
파일:크라스노다르 지방 문장.svg
크라스노다르 지방
}}}}}}}}}
볼고그라드주
Волгогра́дская о́бласть | Volgograd Oblast
파일:볼고그라드 주기.svg 파일:볼고그라드 주장.svg
<rowcolor=#fff> 주기 주장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1BA><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010101>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주도 볼고그라드
시간대 UTC+4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1ba><colcolor=#fff> 인구 <colbgcolor=#fff,#010101>2,453,898명 (2024년)
인구 밀도 21.74명/㎢
면적 112,877㎢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1ba><colcolor=#fff> 주지사 안드레이 보차로프[1]
주의회
27석 / 38석

5석 / 38석

2석 / 38석

2석 / 38석

1석 / 38석

[[공석|
공석
]]
1석 / 38석
}}}}}}}}} ||
<colbgcolor=#0051ba><colcolor=#fff> 설립 1936년 12월 5일[2]
ISO 3166-2 RU-VGG
공식 사이트 파일:볼고그라드 주장.svg

1. 개요2. 역사
2.1. 차리친현 (1919-1928)2.2. 돈주 (1920-1924)2.3. 니즈니-볼가 지방 (1928-1934)2.4. 스탈린그라드 지방 (1934-1936)2.5. 스탈린그라드주 (1936-1961)2.6. 볼고그라드주 (1961-현재)
3. 지리4. 행정구역5. 기타6.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러시아남부 연방관구의 행정구역.

2. 역사

19세기 당시 현재의 볼고그라드주 우안 대부분은 돈보이스코주[3]의 대부분 지역에 해당하였다, 1786년부터 공식적으로 돈-코사크 지역으로 명명되었으며 1870년부터 1918년까지 돈보이스코주로 공식적으로 개칭되었다.

1918년 3월 23일부터 사실상 5월 4일까지[4] 돈 소비에트 공화국이 건국됐다가 멸망하였고 그 자리에 돈 공화국이 건국되었다가 1920년에 멸망하였다.

1920년 돈보이스코주는 분할되어 산하 행정구역 중 7개는 돈주(Донская область)로 편입, 나머지 행정구역 3개는 차리친주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이후 1919년부터 1934년까지 소비에트의 행정구역 대개편으로 역사가 조금 복잡하다.

2.1. 차리친현 (1919-1928)

1918년 9월 7일 북캅카스 군관구 군사위원회에 의해 신설됐으며 현도는 차리친.

1925년 스탈린현으로 개칭됐다가 3년 뒤인 1928년 5월 21일에 니즈니-볼가 지방과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2.2. 돈주 (1920-1924)

1920년 3월 20일 돈보이스코주 일부에서 분할되면서 신설됐으며 주도는 로스토프나도누.

1924년 2월 13일에 쿠반-흑해주, 스타브로폴현, 테레크현과 그로즈니와 함께 남동부주로 일부가 신설되면서 폐지되었다.

2.3. 니즈니-볼가 지방 (1928-1934)

1928년 5월 21일 아스트라한, 사라토프, 스탈린그라드현, 칼미크 자치주, 사마라현의 푸가쵸프구를 떼어와 니즈니-볼가주로 신설되었다. 주도는 1928년부터 1932년까지 사라토프, 1934년까지 스탈린그라드.

1928년 6월 11일에 니즈니-볼가 지방으로 개칭되었고 6월 28일에는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되었다.

1928년 7월 23일에는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칼미크 자치주를 제외한 나머지 행정구역에 대한 대개편이 있었으며 지방 집행위원회 직할시 4곳,[5] 8개의 구(Округ), 76개의 군(Район)으로 개편되었다.

1932년 4월 1일,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는 기존 니즈니-볼가 지방의 행정구역인 야고드노-폴랸스키주를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하기로 결정하였다.

1934년 1월 10일 사라토프 지방과 스탈린그라드 지방으로 분할되면서 폐지되었다.

2.4. 스탈린그라드 지방 (1934-1936)

1934년 1월 10일 니즈니-볼가 지방의 분할로 신설된 행정구역으로 주도는 스탈린그라드.

신설 당시 하위 행정구역으로는 아스트라한, 카미신, 스탈린그라드, 호표르스키구, 칼미크 자치주가 포함되어 있었다.

1935년 10월 22일 칼미크 자치주가 칼미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1936년 12월 5일 스탈린그라드주와 칼미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2.5. 스탈린그라드주 (1936-1961)

1936년 12월 5일 스탈린그라드 지방에서 칼미크 ASSR이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1942년에는 독소전쟁의 주된 전투 중 하나인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주 무대였으며 1944년에는 폐지된 칼미크 ASSR 일대가 스탈린그라드주에 편입되었다.

1954년 1월 스탈린그라드주 북부에 지역에 발라쇼프주가 신설됐으나 1957년 11월 발라쇼프주가 폐지되면서 북부 지역도 다시 반환됐다.

2.6. 볼고그라드주 (1961-현재)

1961년 12월 16일, 흐루쇼프스탈린 격하 운동의 일환으로 주 명칭이 스탈린그라드에서 볼가 강의 도시라는 뜻의 볼고그라드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른다.

3. 지리

북쪽으로는 사라토프주, 북서쪽으로는 보로네시주, 서쪽으로는 로스토프주, 남서쪽으로는 아스트라한주, 남쪽으로는 칼미키야 공화국과 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카자흐스탄의 서카자흐스탄주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이란, 캅카스,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으로 이동할 수 있는 남부의 주요 관문으로써 지리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유럽 러시아 중부와 볼가 지방을 관통하는 볼가강돈강이 주 일대에 걸쳐 있으며 볼가-돈 운하를 통해 연결된다.[6]

대륙성 기후가 뚜렷하며 건조한 편으로 북서쪽은 초원 지대인 반면 동쪽은 반사막 지대에 실제로 반사막 기후에 가까운 편이다.

1월의 평균 기온은 -7°C에서 -12°C 사이이며, 7월의 평균 기온은 28°C에서 35°C 사이로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가 심한 편에 속한다.

4. 행정구역

6개의 주 직할시, 33개의 군

5. 기타

동방식민운동의 영향으로 상당수의 독일계 러시아인들이 거주하였고 북부 지역에는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라는 독일계 러시아인들의 자치 공화국도 있었으나 독소전쟁으로 사라지고 현재는 약 1만 7천명의 독일계 러시아인들이 남아 있다.

6. 참고 문헌



[1] Андре́й Бочаро́в.[2] 스탈린그라드주 설립 기준, 1961년 12월 16일 볼고그라드로 개칭되었다.[3] 당시 돈/쿠반 카자크 기병대가 주둔하고 있었으며 카자크의 수장인 아타만이 일종의 주지사 역할을 하던 제정 러시아의 행정구역이었다.[4] 명목상 9월 30일까지.[5] 사라토프, 스탈린그라드, 볼스크, 아스트라한.[6] 이 운하를 통해 카스피해, 백해, 발트해, 흑해 그리고 아조프해로 이동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