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벨기에 |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
세르비아 | 스위스 | 스웨덴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
슬로베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안도라 | 알바니아 | 영국 | 에스토니아 | 오스트리아 | |
우크라이나 | 이스라엘 | 이탈리아 | 조지아 | 지브롤터 |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
스페인 | |
ESPAÑA | |
FIBA 지역 | FIBA 유럽 |
국가 연맹 | 스페인 농구 연맹 (FEB) |
FIBA 랭킹 | 6위 |
감독 | 세르지오 스카리올로 |
월드컵 | 출전 12회, 우승 2회 (2006, 2019) |
올림픽 | 출전 12회, 은메달 3회 (1984, 2008, 2012) |
유로바스켓 | 출전 32회, 우승 4회 (2009, 2011, 2015, 2022) |
용품 스폰서 | 나이키 |
1. 개요
스페인의 농구 국가대표팀. 명실상부 유럽 최강팀이자 미국과 대등하게 겨룰 수 있는 팀으로 평가받는다. 2000년대 이후 미국과 2번이나 올림픽 결승에서 대결을 펼치기도 했다.주요 선수들이 NBA에서 활약하거나 뛴 경험이 있으며 자국 리그인 리가 ACB 또한 탄탄하여 꾸준히 강호로 군림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솔 형제가 가장 유명하다.
그러나 가솔 형제의 은퇴 이후에는 전력이 약해진 상태이다.[1]
2. 역대 선수단
2.1. 2014년
2014. 7. 1. 발표 | |||||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신장 | 소속팀 |
4 | F | 파우 가솔 | 1980년 7월 6일 (34세) | 213cm | |
5 | F | 루디 페르난데스 | 1985년 4월 4일 (29세) | 195cm | |
6 | G |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 1986년 6월 12일 (28세) | 190cm | |
7 | G |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 | 1980년 6월 13일 (34세) | 193cm | |
8 | G | 호세 칼데론 | 1981년 9월 28일 (32세) | 191cm | |
9 | F | 필리페 레예스 | 1980년 3월 16일 (34세) | 203cm | |
10 | F | 빅터 클라버 | 1988년 8월 30일 (26세) | 207cm | |
11 | G | 리키 루비오 | 1990년 10월 21일 (23세) | 193cm | |
12 | G | 세르히오 율 | 1987년 11월 15일 (26세) | 190cm | |
13 | C | 마크 가솔 | 1985년 1월 29일 (29세) | 215cm | |
14 | C | 서지 이바카 | 1989년 9월 18일 (24세) | 208cm | |
15 | F | 알렉스 아브리네스 | 1993년 8월 1일 (21세) | 198cm | |
감독: 코치: |
2.2. 2021년
2021. 7. 6. 발표 | |||||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신장 | 소속팀 |
3 | G | 사비에르 로페즈아로스테기 | 1997년 5월 19일 (24세) | 200cm | |
4 | C | 파우 가솔 | 1980년 7월 6일 (41세) | 213cm | |
5 | G | 루디 페르난데스 | 1985년 4월 4일 (36세) | 196cm | |
6 | G |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 1986년 6월 12일 (35세) | 191cm | |
8 | G | 다리오 브리수엘라 | 1994년 11월 8일 (26세) | 188cm | |
9 | G | 리키 루비오 | 1990년 10월 21일 (30세) | 193cm | |
10 | F | 빅토르 클라버 | 1988년 8월 30일 (32세) | 213cm | |
12 | G | 카를로스 알로센 | 2000년 12월 30일 (20세) | 193cm | |
13 | C | 마크 가솔 | 1985년 1월 29일 (36세) | 215cm | |
14 | C | 윌리 에르난고메스 | 1994년 5월 27일 (27세) | 209cm | |
16 | F | 우스만 가루바 | 2002년 3월 9일 (19세) | 203cm | |
18 | F | 피에르 오리올라 | 1992년 9월 25일 (28세) | 208cm | |
20 | F | 알베르토 아발데 | 1995년 12월 15일 (25세) | 200cm | |
21 | F | 알렉스 아브리네스 | 1993년 8월 1일 (27세) | 201cm | |
23 | G/F | 세르히오 율 | 1987년 11월 15일 (33세) | 192cm | |
44 | F | 후안초 에르난고메스 | 1995년 9월 28일 (25세) | 205cm | |
감독: 코치: |
3. 역대 성적
3.1. FIBA 농구 월드컵
2006, 2019 우승3.2. 올림픽
2008, 2012 은메달3.3. 유로바스켓
2009, 2011, 2015, 2022 우승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color: #D88900; 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10A04; 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02020> | | | | |
아르헨티나 | 미국 | 브라질 | 브라질 | 소비에트 연방 | |
<rowcolor=#202020> | | | | | |
유고슬라비아 | 소비에트 연방 | 유고슬라비아 | 소비에트 연방 | 미국 | |
<rowcolor=#202020> | | | | | |
유고슬라비아 | 미국 | FR 유고슬라비아 | FR 유고슬라비아 | 스페인 | |
<rowcolor=#202020> | | | | | |
미국 | 미국 | 스페인 | 독일 |
[1] 실제로 가솔 형제의 대표팀 은퇴 이후 처음 출전한 메이저 대회인 2022 유로바스켓은 금메달을 목에 걸었지만, 그 이후 벌어진 2023 FIBA 농구 월드컵 필리핀-일본-인도네시아는 16강 조별리그에서 최하위 4위로 탈락하여 8강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하고, 2024 파리 올림픽에서도 12강 조별리그에서 최하위 4위로 탈락하여 8강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하였다. 2025 유로바스켓은 디펜딩 챔피언임에도 불구 예선 광탈이라는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아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