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친스베르거 · 2 폭스 · 3 우번모이 · 5 코디나 · 6 윌리엄슨 · 7 캐틀리 · 8 칼덴테이 · 9 미드 · 10 리틀 (C) · 11 매케이브 · 12 모눔 · 13 밸티 · 14 판돔셀라르 · 15 스미스 · 18 켈리 · 19 포드 21 펠로바 · 22 쿨 · 23 루소 · 24 하인즈 · 25 브라크스테니우스 · 32 쿠니크로스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colbgcolor=#f00000><colcolor=#fff> 아스날 WFC No. 25 | ||
스티나 브라크스테이누스 Stina Blackstenius | ||
본명 | 엠마 스티나 브라크스테이누스 Emma Stina Blackstenius | |
출생 | 1996년 2월 5일 ([age(1996-02-05)]세) | |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 바스테나 | ||
국적 |
| |
신체 | 키 174cm / 체중 72kg |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
소속 | <colbgcolor=#f00000><colcolor=#fff> 유스 | 바드스테나 GIF (2002~2011) |
선수 | 바드스테나 GIF (2011~2012) 린셰핑 FC (2013~2016) 몽펠리에 HSC 페미닌 (2017~2019) 린셰핑 FC (201~2020) BK 헤켄 FF (2020~2021) 아스날 WFC (2022~ ) | |
국가대표 | 115경기 35골 (스웨덴 / 2015~ ) | |
SNS |
1. 개요
스웨덴의 여자 축구 선수.2. 클럽 경력
스티나 브라크스테니우스는 스웨덴 바드스테나에서 자랐으며, 여섯 살이었던 2002년 지역 축구 클럽인 바드스테나 GIF에 입단했다. 2011년 4월 20일, 그녀는 여자 5부 리그인 외스테르예틀란드 지역 디비전 3 소속 팀으로서 BK 켄티를 상대로 성인 무대 데뷔전을 치렀다. 선발로 출전한 이 경기에서 두 골을 넣었지만, 팀은 4-5로 패했다. 데뷔 시즌인 2011년에는 리그 18경기에 모두 선발 출전해 21골을 넣었고, 2012년에는 16경기에서 38골을 기록하며 리그 득점왕에 오르기도 했다. 그 해 그녀는 외스테르예틀란드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2013 시즌을 앞두고 브라크스테니우스는 스웨덴 여자 1부 리그인 다말스벤스칸 소속 린셰핑 FC와 3년 계약을 맺었다. 4월 17일, 예테보리 FC와의 1-1 무승부 경기에서 68분 교체로 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며, 5월 28일 말뫼 FF를 상대로 한 경기에서 첫 1부 리그 골을 기록했다. 같은 해 7월 31일에는 스벤스카 컵 대회에서 처음으로 출전하여 란스브로 IF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13–0 승리를 이끌었다. 시즌 전반에는 주로 교체 선수로 기용되었지만, 시즌 후반부터는 선발로 기회를 얻기 시작해 마지막 다섯 경기에서 여섯 골을 넣으며 팀의 리그 3위에 기여했다. 린셰핑은 2013–14 스웨덴 컵 결승에 진출했고, 그녀는 크리스티안스타드를 상대로 한 결승전에서 62분에 교체 출전했다. 2014년 10월, 브라크스테니우스는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에서 리버풀을 상대로 데뷔했고, 1차전에서 1–2로 졌지만 2차전에서 3–0으로 이겨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2015년에는 스웨덴 축구 시상식인 포트볼스갈란에서 올해의 유망주상을 수상했고, 이듬해인 2016년에는 링크셰핑이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브라크스테니우스는 해당 시즌 19골을 넣으며 팀 동료 페르닐레 하르데르에 이어 리그 득점 2위에 올랐다.
2017년 1월, 브라크스테니우스는 프르미에르 리그 소속 몽펠리에 HSC 페미닌와 2년 반 계약을 맺었다. 1월 4일 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과의 경기에서 후반 시작과 함께 교체 투입되어 81분 결승골을 넣으며 데뷔전을 치렀다. 2월 19일에는 프랑스컵 16강전에서 4부 리그 소속 FC 도몽을 상대로 네 골을 넣으며 16–0 대승을 이끌었다. 시즌 중반에 합류한 그녀는 2016–17 시즌 리그 11경기에서 7골을 넣으며 몽펠리에의 리그 2위 달성에 기여했다. 다음 시즌에는 20경기에서 12골을 넣으며 리그 득점 순위 4위에 올랐고, 팀은 리그 3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2018–19 시즌 초반에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 12경기 중 단 6경기만 선발로 나섰고, 2019년 1월 계약 해지를 결정했다.
2019년 1월 30일,스웨덴으로 돌아와 과거에 뛰었던 린셰핑 FC와 2년 계약을 체결했다. 복귀전에서는 박스요 DFF를 상대로 5–0 대승을 거두었고, 그녀는 시즌 동안 9골을 넣으며 팀의 5위에 기여했다.
2020 시즌을 앞두고 브라크스테니우스는 고텐버그를 연고로 한 BK 헤켄 FF로 이적했다. 이적 과정에서는 린셰핑과 고텐버그 간의 갈등이 있었으며, 스웨덴 축구협회의 중재를 통해 해결되었다. 첫 시즌에서 그녀는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2021년 4월 4일 스벤스카 컵 준결승에서는 FC 로센고르드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었으며, 결승전에서도 득점하며 에스킬스투나 유나이티드를 3–0으로 꺾고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2021 시즌에는 헤켄이 리그 2위를 차지했고, 브라크스테니우스는 리그 득점왕(17골)과 도움왕(8도움)을 동시에 차지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발롱도르 20인 후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녀는 2021 시즌 종료와 함께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
2022년 1월 14일, 잉글랜드 FA 여자 슈퍼 리그 소속 아스날 WFC은 브라크스테니우스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1월 19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WFC와의 리그컵 8강전에서 69분 교체 출전으로 데뷔했고, 2월 5일 같은 팀과의 리그 경기에서 78분 동점골을 넣으며 아스날 이적 후 첫 골을 기록했다. 2022–23 시즌 FA 여자 리그컵에서는 첼시를 상대로 1–1 동점골을 넣었고, 팀은 결국 3–1로 승리해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이어진 2023–24 시즌 FA 여자 리그컵에서는 레딩을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했으며, 아스톤 빌라 WFC와의 준결승전에서는 전반에만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4–0 승리를 이끌었다. 결승전에서는 첼시를 상대로 연장 116분에 결승골을 넣어 1–0 승리를 확정지었고, 아스날은 우승을 차지했다. 맨체스터 시티 WFC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후반 89분과 92분에 연속골을 터뜨리며, 아스이 7년 만에 시티 원정에서 승리를 거두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3. 국가대표 경력
브라크스테니우스는 2015년 10월 27일, 감라 울레비에서 열린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후반 79분 교체 투입되어 스웨덴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는 1–0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이후 2016년 4월 8일, 그녀는 슬로바키아와의 유로 예선 원정 경기에서 자신의 다섯 번째 A매치 출전 경기에서 성인 대표팀 첫 골을 기록했으며, 이 골은 팀의 세 번째 득점이었고 경기는 3–0으로 승리했다.블랙스테니우스는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스웨덴 여자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조별리그 첫 경기인 남아공전에서는 교체 출전했지만, 이후 두 경기에서는 벤치에 머물렀고, 스웨덴은 조 3위 중 상위 두 팀으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전 상대는 당시 월드컵과 올림픽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미국이었으며, 브라크스테니우스는 18분 부상으로 교체된 프리돌리나 롤페를 대신해 투입되었다. 그녀는 후반전에 선제골을 넣으며 팀에 리드를 안겼고, 경기는 1–1로 종료된 후 승부차기에서 스웨덴이 승리했다. 결승전에서도 브라크스테니우스는 교체 출전해 67분에 득점, 스웨덴이 독일에 1점 차로 따라붙는 골을 넣었으나 결국 2–1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7년 여름, 그녀는 UEFA 여자 유로 2017 대표팀에도 발탁되었으며, 조별리그 러시아전과 이탈리아전에서 연속으로 골을 넣었다. 그러나 스웨덴은 8강에서 개최국 네덜란드에 패하며 탈락했다.
그 후 브라크스테니우스는 2019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에서 3골을 넣으며 팀 내 코소바레 아슬라니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골을 기록했고, 최종 명단에 포함되어 프랑스 본선 무대에 올랐다. 그녀는 조별리그 첫 경기인 칠레전에서 선발로 출전해 2–0 승리를 이끌었고, 16강전 캐나다전에서는 결승골을 넣으며 1–0 승리를 이끌었다. 이어진 독일과의 8강전에서는 또 한 번 결승골을 터뜨려 2–1 승리를 이끌었다.[1] 팀은 준결승에서 네덜란드에 패했지만, 3–4위전에서는 잉글랜드를 꺾고 대회 3위를 차지했다.
2021년 도쿄에서 열린 2020 도쿄 올림픽에도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 대회에서 개인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그녀는 대회 최다 득점자(5골)로 팀을 이끌었고, 조별리그 미국전에서 2골, 호주전에서 1골, 8강 일본전에서 선제골을 넣으며 3–1 승리를 도왔다. 결승전 캐나다전에서도 다시 득점해 스웨덴이 리드를 잡았지만, 연장전 끝에 106분에 교체되었고, 경기는 승부차기에서 2–3으로 패하며 스웨덴은 또 한 번 은메달에 머물렀다. 이 대회에서의 활약으로 그녀는 올림픽 누적 7골을 기록하며, 로타 셸린이 보유하고 있던 스웨덴의 올림픽 최다골 기록(6골)을 경신했다.
2022년 6월, UEFA 여자 유로 2022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대회 직전 부상 우려가 있었지만, 개막전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는 후반 68분 교체 출전했고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후 남은 4경기에는 모두 선발 출전했으며, 포르투갈과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1골을 기록했다. 스웨덴은 준결승에서 개최국 잉글랜드에 0–4로 패했다.
2023년 6월 13일, 브라크스테니우스는 2023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대표팀 23인 명단에 포함되었고, 조별리그 이탈리아전에서 득점하며 팀의 5–0 대승에 기여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린셰핑 FC (2013~2016, 2019~2020)
- 다말스벤스칸: 우승 (2016)
- 스벤스카 쿠펜: 우승 (2013-14, 2014-15)
- 아스날 WFC (2022~ )
- FA 여자 리그컵: 우승 (2022-23, 2023-24)
-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우승 (2024-25)
-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여자 U-19 챔피언십: 우승 (2015)
- 하계 올림픽 : 은메달 (2016, 2020)
- 알가르브컵: 우승 (2018)
4.2. 개인 수상
- 디비전 3 득점왕: 2012
- UEFA 여자 U-19 챔피언십 득점왕: 2015
- 다말스벤스칸 득점왕: 2021
5. 여담
- 브라크스테니우스는 스웨덴에서 스티나와 그녀의 아버지, 그리고 그녀의 오빠 만이 가지고 있는 성이다. 스티나의 아버지가 소유한 농장 브라크스타와 스티나의 친조부 이름인 스텐에서 따온 성이다.
- 스티나의 이복 동생은 스웨덴 국가대표 핸드볼 선수 니나 코팡이다.
[1] 이는 1995년 월드컵 이후 스웨덴이 메이저 대회에서 독일을 꺾은 최초의 승리였다.
분류
- 스웨덴의 여자 축구 선수
- 외스테르예틀란드 주 출신 인물
- 1996년 출생
- 2011년 데뷔
- 여자 축구 공격수
- 몽펠리에 HSC 페미닌/은퇴, 이적
- BK 헤켄 FF/은퇴, 이적
- 아스날 WFC/현역
- 스웨덴의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선수
-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참가 선수
-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
-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참가 선수
-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
-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UEFA 여자 유로 2017 참가 선수
- UEFA 여자 유로 2022 참가 선수
- UEFA 여자 유로 2025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