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02:08:09

마누엘라 친스베르거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아스날 WFC|{{{-1 아스날 WFC}}}]] {{{-1 2024-25 시즌}}} [[틀:아스날 WFC/간략|{{{-1 스쿼드}}}]]
1 친스베르거 · 2 폭스 · 3 우번모이 · 5 코디나 · 6 윌리엄슨 · 7 캐틀리 · 8 칼덴테이 · 9 미드 · 10 [[킴 리틀|{{{#023474,#8bbcfc 리틀 (C)}}}]]
11 매케이브 · 12 모눔 · 13 밸티 · 14 판돔셀라르 · 16 카파 · 17 후르티그 · 18 켈리 · 19 포드
21 펠로바 · 22 · 23 루소 · 25 브라크스테니우스
28 일레스테트 · 32 쿠니크로스
파일:UEFA EURO NED.png 레네이 슬레허르스
파일:UEFA AUS.png 애런 디안티노 · 파일:UEFA EURO ENG.png 리앤 홀
파일:UEFA EURO ENG.png 세바스티안 바튼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파일:250017366.webp
<colbgcolor=#f00000><colcolor=#fff> 아스날 WFC No. 1
마누엘라 친스베르거
Manuela Zinsberger
출생 1995년 10월 19일 ([age(1995-10-19)]세)
오스트리아 니더외스터라이히 슈토케라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트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7cm / 체중 70kg
포지션 골키퍼
소속 <colbgcolor=#f00000><colcolor=#fff> 유스 USV 라이체르스도르프 (2001~2009)
SV 노이렝바흐(2009~2010)
USV 그로스루스바흐 (2010)
선수 SV 노이렝바흐(2010~2014)
FC 바이에른 뮌헨 프라우엔 II (2014)
FC 바이에른 뮌헨 프라우엔 (2014~2019)
아스날 WFC (2019~ )
국가대표 102경기 (오스트리아 / 2013~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여담

1. 개요

오스트리아의 여자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친스베르거는 유소년 시절 USV 라이체르스도르프와 SV 슈토케라우에서 뛰었다.

2009–10 시즌 겨울 이적 기간에 친스베르거는 처음으로 성인 무대에 도전하며 니더외스터라이히 주리그 소속의 USVG 그로스루스바흐로 이적했다.
그녀는 2010년 3월 21일 마리아 안츠바흐와의 경기에서 데뷔했고, 리그 9경기 중 5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다.

2010년 여름, 친스베르거는 ÖFB 프라우엔 분데스리가의 명문 클럽인 SV 노이렝바흐로 이적했고, 생일 직후인 2010년 10월 30일(9라운드), FC 쥐드부르겐란트와의 1–1 홈경기에서 데뷔했다.
이와 병행하여 그녀는 2013년까지 2부 리그 동/남부에서 활동 중이던 노이렝바흐 2군에서도 뛰었다.
2012–13 시즌부터는 1군의 주전 골키퍼로 자리 잡았다.

2014년 6월 27일, 친스베르거는 독일 FC 바이에른 뮌헨 프라우엔과 3년 계약을 체결했다.
9월 21일, ETSV 뷔르츠부르크와의 원정 경기에서 바이에른 2군 소속으로 첫 경기에 출전해 4–1 승리를 거뒀다.
1군에서는 같은 해 11월 30일 SGS 에센과의 분데스리가 11라운드 경기에서 첫 출전을 기록했고, 0–0 무실점 경기를 펼쳤다.

2017년 2월 18일(12라운드), 프라이부르크와의 원정 경기에서 74분경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팀의 3–2 승리를 지켰고, 2월 26일(13라운드)에는 미에데마의 2골로 2–1 승리를 거뒀다.

2019년 4월 2일, 친스베르거는 시즌 종료 후 계약을 연장하지 않고 팀을 떠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2019–20 시즌을 앞두고, 그녀는 아스날 WFC과 계약했다.
첫 12경기 중 6경기에 출전하여 단 11실점만 허용했고, 빠르게 주전 골키퍼로 자리매김했다.
2019년 11월 17일, 아스널이 첼시와의 런던 더비에서 2–0으로 승리했으며, 무실점 경기를 펼쳤다. 이 경기는 38,262명의 관중이 몰린 WSL 최다 관중 기록 경기였다.

2020년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에서는 16강(코로나 전), 8강(코로나 이후)에 출전했으며, 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에게 1–2로 패해 탈락했다.

2021–22 시즌 아스널은 FA 여자 슈퍼 리그 2위를 차지했고, 친스베르거는 20경기에 출전했으며 2경기 벤치를 지켰다.
2021년 2월 5일, 그녀는 2023년까지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
그녀는 2021–22 시즌 FA FA 여자 슈퍼 리그 골든 글러브을 수상하며, 13경기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2023–24 시즌 여자 슈퍼리그에서 친스베르거는 18경기에 출전해 5번의 무실점 경기를 기록했다.

2024년 1월, 그녀는 2년 계약 연장에 합의했으며, 이는 2019년 아스널 입단 이후 113경기 출전, 49경기 무실점을 기록한 뒤였다. 그녀는 "아직 아스널에서의 커리어는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2024–25 시즌을 앞두고, 아스톤 빌라에서 다프너 판돔셀라르가 영입되며, 친스베르거와 주전 골키퍼 자리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3. 국가대표 경력

친스베르거는 오스트리아 U-17 및 U-19 여자 대표팀에서 활약한 뒤, 2013년 6월 2일, 슬로베니아와의 친선 경기를 앞두고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당시 17세였던 그녀는 후반 시작과 함께 교체 투입되어 안나-카리나 크리스틀러를 대신했고,
팀의 3–1 승리에 기여하며 첫 A매치 출전 기록을 남겼다.

2014년 알가르브컵에서는 3월 7일 북한과의 0–2 패배, 3월 12일 포르투갈과의 2–1 승리에 출전했다.
그녀는 2015년 캐나다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에서 세 경기에 출전했다.

2016년 3월, 키프로스 우먼즈 컵 우승을 차지하며 오스트리아 성인 대표팀과 첫 국제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그녀는 유로 2017 예선에서 오스트리아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으며, 조 2위로 사상 첫 유럽 선수권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

본선에서 그녀는 스위스, 프랑스, 아이슬란드와의 모든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오스트리아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며, 덴마크와의 승부차기 끝에 아쉽게 탈락했다.

친스베르거는 2019년 여자 월드컵 예선 전 경기에 출전했고, 4경기 무실점을 기록했다. 오스트리아는 스페인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했지만, 최하위 2위팀으로 분류되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유로 2022 예선에서도 8경기 전 경기에 출전했고, 프랑스와의 0–3 패배 외에는 실점하지 않았다.
오스트리아는 3위 팀 중 3번째로 높은 성적을 기록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은 코로나19로 1년 연기되었으며, 오스트리아는 개최국 잉글랜드와의 개막전에 나섰고, 친스베르거는 선발로 출전했다.
이 경기에서 잉글랜드의 결승골을 넣은 아스널 팀 동료 베스 미드에게 따뜻하게 축하해주는 모습으로 화제가 되었다.

유로 본선 직전, 2023년 여자 월드컵 유럽 예선이 시작되었고, 친스베르거는 8경기 중 7경기에 출전했으며 3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다. 2022년 6월 27일, 그녀는 유로 본선 명단에 포함되었다.

2024년 6월, 친스베르거는 개인적인 사유로 대표팀에서 잠시 이탈했다. 이는 그녀의 아내가 임신 소식을 인스타그램에 공개한 직후였고, 출산이 임박한 상황이었다.

2024년 7월 16일, 독일과의 경기(0–4 패)에서 그녀는 A매치 1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여담

  • 2022년 3월 7일 여자친구 마델린과 약혼했고, 2023년 6월 9일 혼인했다. 2023년 12월 25일, 마델린이 임신했으며 2024년 7월 출산 예정임을 발표했다.